나우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우루어는 나우루 공화국의 공용어로, 16~17개의 자음과 12개의 모음 음소를 가진 언어이다.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의 구분이 명확하며,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이 존재한다. 1938년 나우루어 위원회는 유럽인들이 나우루어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표기 체계를 개혁했으며, 현재는 표준어 중심으로 방언이 통합되었다. 19세기 말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어휘집과 문법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가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우루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나우루어 |
고유 언어 이름 | 도레린 나오에로 (Dorerin Naoero), 에카이아이루 나오에로 (Ekaiairũ Naoero) |
사용 국가 | 나우루 |
사용자 민족 | 나우루인 |
2013년 사용자 수 | 9,356명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하위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
문자 | 로마자 |
ISO 639-1 | na |
ISO 639-2 | nau |
ISO 639-3 | nau |
글롯로그 (Glottolog) | naur1243 |
IETF 언어 태그 | na-NR |
유네스코 언어 위험도 | 심각한 위기 |
언어학적 정보 | |
로마자 표기 | 에카카이루 나오에로 (Ekakairũ Naoero) |
2. 음운
나우루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의 구분이 명확하고, 음소 간 대립이 특징적이다.
연구개음과 구개음 구분이 특징적이며, 장모음과 단모음을 구분하는 12개의 모음 음소를 가진다. 마지막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마지막 음절에, 중복되는 경우에는 첫 음절에 강세가 온다.[6]
2. 1. 자음
나우루어는 연구개음과 구개음의 구분이 특징적인 언어이다.
2. 1. 1. 자음 목록
나우루어는 16~17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연구개화와 구개화 입술 자음 간에 음소 대조를 이룬다. 연구개화는 긴 후설 모음 앞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구개화는 비저 전설 모음 앞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5]
무성 파열음은 장음이고, 비음 또한 길이에 따라 대조를 이룬다.[8] 치경 파열음 와 는 높은 전설 모음 앞에서 각각 와 가 된다.[9]
유사음은 "강세 발음"에서 마찰음이 된다. Nathan (1974)는 이를 와 로 표기하지만, 높은 모음의 비음절 동소와 대조를 이룬다는 점도 언급한다. 는 마찰음 로도 들릴 수 있다.
강세에 따라 는 탄음 또는 떨림음이 될 수 있다. 의 정확한 음성적 특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Nathan (1974)는 이를 로 표기하고, 구개화 자음과 같은 패턴을 따르며 부분적으로 무성화될 수 있다고 추측한다.
모음과 어말 사이에는 삽입음 가 나타난다.[5]
2. 2. 모음
나우루어는 12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장모음과 단모음의 구분이 있다.[6] 많은 모음이 로 축약되는 현상이 나타난다.음소 | 동소변이체 | 음소 | 동소변이체 |
---|---|---|---|
2. 2. 1. 모음 목록
나우루어의 음소 모음은 장모음 6개, 단모음 6개로 총 12개이다. Nathan(1974)에 따르면, 많은 모음이 로 축약되는 현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소변이(어떤 음소가 환경에 따라 다르게 소리 나는 현상)가 나타난다.[6]음소 | 동소변이체 | 음소 | 동소변이체 |
---|---|---|---|
개방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은 다른 모음 앞에 올 때 비음절이 된다. 예를 들어, '숨다'라는 뜻의 단어 는 으로 소리 난다.[10]
2. 3. 강세
마지막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마지막 음절에, 그리고 중복되는 경우에는 첫 음절에 강세가 온다.[6]3. 문자
나우루어는 원래 17개의 문자로 표기되었다. 5개의 모음(a, e, i, o, u)과 12개의 자음(b, d, g, j, k, m, n, p, q, r, t, w)으로 구성되었으며, c, f, h, l, s, v, x, y, z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독일어, 영어, 길버티스어 등 외래어의 영향으로 더 많은 문자가 추가되었다. 또한, 일부 모음의 음성적 차이가 발생하여 변이모음 및 유사한 소리가 틸데로 표기되었다.
3. 1. 문자 체계의 변천
나우루어의 초기 표기 체계는 17개의 문자를 사용했다. 5개의 모음(a, e, i, o, u)과 12개의 자음(b, d, g, j, k, m, n, p, q, r, t, w)으로 구성되었으며, c, f, h, l, s, v, x, y, z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외국어, 특히 독일어, 영어, 길버티스어 등의 영향을 받아 나우루어 알파벳에 더 많은 문자가 추가되었다. 또한, 일부 모음의 음성적 차이로 인해 변이모음과 유사한 소리가 틸데로 표기되었다.1938년 언어 개혁은 부분적으로만 시행되었다. "õ"와 "ũ"는 여전히 틸드를 사용하여 쓰이지만, "ã"와 "ñ"은 "e"와 "ng"로 대체되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bw"와 "kw"는 정착했고, "j"가 "ts"를 대체했지만 일부 지역(Baiti, Ijuw 등)에서는 여전히 "ts"를 쓴다. "y"는 널리 사용된다.
오늘날에는 아래와 같이 30개의 라틴 문자가 사용된다.[11]
종류 | 문자 |
---|---|
모음 | a, ã, e, i, o, õ, u, ũ |
자음 | b, c, d, f, g, h, j, k, l, m, n, ñ, p, q, r, s, t, v, w, x, y, z |
3. 1. 1. 언어 개혁의 내용
1938년, 나우루어 위원회와 티모시 데투다모는 유럽인과 미국인이 나우루어를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언어 개혁을 시도했다. 이들은 다양한 나우루어 모음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구별 부호(diacritic)를 도입하고자 했다. 기존의 틸드 대신 억음 부호를 도입하여 "õ"와 "ũ"는 "ô"와 "û"로, "ã"는 "e"로 바꾸었다.또한, 영어의 "j"와 구별하기 위해 "y"를 도입하여 puji|푸지나우루어는 iyeyi|이예이나우루어로 변경되었다. 벨라르 비음을 나타내는 "ñ"은 스페인어의 Ñ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ng"로 바뀌었다. "bu"와 "qu"는 "bw"와 "kw"로, "ts"는 "j"로 바뀌었으며, 단어 끝의 "w"는 삭제되었다.
이러한 개혁은 부분적으로만 성공했다. "õ"와 "ũ"는 여전히 틸드를 사용하여 쓰이지만, "ã"와 "ñ"은 "e"와 "ng"로 대체되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bw"와 "kw"의 이중 자음 사용은 시행되었고, "j"가 "ts"를 대체했지만, Baiti와 Ijuw 지역(개혁에 따르면 Beiji|베이지나우루어와 Iyu|이유나우루어) 등 일부는 여전히 "ts"를 사용한다. "y"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 방언
과거에는 나우루어에 여러 방언이 존재하여 지역 간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었다. 1937년 시드니에서 발간된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의 식민지가 되기 전에는 방언 차이가 커서 서로 다른 지구 사람들 간의 원활한 소통이 힘들었다고 한다.[1]
식민화 이후 외국어의 영향과 나우루어 문어화 등을 통해 지역 방언 차이는 점차 사라졌다. 알로이스 카이저와 필립 델라포르트의 사전 및 번역 작업은 이러한 표준어 통합 과정을 촉진했다.[1] 오늘날에는 방언 차이가 상당히 줄어들어 의사소통의 불편함은 거의 없다.[1] 다만, 수도 기능을 하는 야렌 지역에서는 '야렌 방언'이 사용되는데, 다른 방언들과 미세한 차이만 보일 뿐이다.[1]
5. 연구사
19세기 말부터 나우루어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선교사들과 학자들에 의해 어휘집과 문법 연구가 이루어졌다. 1907년 필립 델라포르트(Philip Delaporte)는 독일어-나우루어 소형 사전을 출판했다. 이 사전은 65쪽 분량의 어휘 목록과 12쪽 분량의 구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650개의 독일어 단어가 나우루어로 번역되어 있다. 또한, 약 1300개의 고유한 나우루어 표현이 수록되어 있으며, 당시 사용된 악센트 기호는 현재와는 달리 틸드(~) 하나뿐이었다.
이 외에도 프랑스인 선교사 알로이스 카이저(Alois Kayser)가 현지에 체류하며 나우루어 연구를 수행했다.[1]
6. 예시
다음은 성경 창세기 1장 1절~8절의 나우루어 번역문이다.
:''1''Ñaga ã eitsiõk õrig imin, Gott õrig ianweron me eb.나우루어 ''2''Me eitsiõk erig imin ñana bain eat eb, me eko õañan, mi itũr emek animwet ijited, ma Anin Gott õmakamakur animwet ebõk.나우루어 ''3''Me Gott ũge, Enim eaõ, me eaõen.나우루어 ''4''Me Gott ãt iaõ bwo omo, me Gott õekae iaõ mi itũr.나우루어 ''5''Me Gott eij eget iaõ bwa Aran, me eij eget itũr bwa Anũbũmin. Ma antsiemerin ma antsioran ar eken ũrõr adamonit ibũm.나우루어 ''6''Me Gott ũge, Enim tsimine firmament inimaget ebõk, me enim ekae ebõk atsin eat ebõk.나우루어 ''7''Me Gott eririñ firmament, mõ õ ekae ebõk ñea ijõñin firmament atsin eat ebõk ñea itũgain firmament, mõ ũgan.나우루어 ''8''Me Gott eij egen firmament bwe Ianweron. Ma antsiemerin ma antsioran ar eken ũrõr karabũmit ibũm.나우루어
이 텍스트에는 Gottde ("하느님"), Firmamentde ("천구") 등 여러 독일어 차용어가 나타난다. 이는 독일 선교사들의 강한 영향력을 보여준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