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스라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라에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코스라에 섬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1668년 스페인의 지배를 시작으로 독일, 일본을 거쳐 미국 통치를 받다가 1986년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독립과 함께 사용 언어가 되었다. 코스라에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음운 체계와 문법 구조를 가지고 있다. SVO 어순을 따르며, 중첩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영어와 일본어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으며, 현재 섬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스라에주 - 코스라에 국제공항
    미크로네시아 연방 코스라에 주에 위치한 코스라에 국제공항은 유나이티드 항공이 괌, 마주로, 추크 등 여러 지역을 운항하며, 캐롤라인 아일랜드 항공은 폰페이 전세편을 운항하고 과거에는 다른 항공사들도 운항했으나 현재는 중단되거나 불확실하다.
  • 코스라에주 - 토폴 (미크로네시아 연방)
    미크로네시아 연방 코스라주 레루 자치구의 레루 섬 남서쪽에 위치한 토폴은 코스라 고등학교를 포함한 공립 학교가 코스라주 교육부에 의해 운영되는 지역이다.
  • 미크로네시아어군 - 나우루어
    나우루어는 남태평양 섬나라 나우루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12개의 자음과 12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 독일어, 영어 등 외래어의 영향을 받았고, 과거 언어 개혁 시도가 있었으며 필립 델라포르트의 사전이 초기 연구에 활용되었다.
  • 미크로네시아어군 - 추크폰페이어군
    추크폰페이어군은 미크로네시아 제어의 하위 언어군으로, 추크어군과 폰페이어군으로 나뉘며, 추크어, 폰페이어 등을 포함한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언어 - 추크어
    추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하며, 어두에 겹자음이 오는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언어 - 카핑아마랑이어
    카핑아마랑이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카핑아마랑이 환초와 폰페이의 폰라키에드 마을에서 사용되는 폴리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양한 어순과 중복 현상이 나타나며 학교와 교회에서 교육을 통해 세대 간 전승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코스라에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코스라에어
다른 이름코샤에어
사용 국가미크로네시아 연방
사용 지역코스라에주
사용자 수9,000명 (2001년)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공용 국가미크로네시아 연방
ISO 639-1해당 없음
ISO 639-2kos
ISO 639-3kos
Glottologkosr1238
Glottolog 명칭코스라에어
언어 생존력심각
지리적 분포
미크로네시아 제어 분포도; 코스라에어 사용 지역은 녹색으로 표시됨
미크로네시아 제어 분포도; 코스라에어 사용 지역은 녹색으로 표시됨.
코스라에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아틀라스]]에서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
코스라에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아틀라스에서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
언어학적 정보
어순VSOnaPo

2. 역사

코스라에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이 섬은 1668년부터 명목상 스페인의 주권 아래에 있었으나, 1885년까지 실질적인 점령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스페인인들은 현지 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켰고, 1898년 스페인이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미국에게 패배할 때까지 섬을 통치했다. 스페인은 코스라에가 속한 캐롤라인 제도를 2,500만 페세타에 독일에게 판매했다. 이로써 섬은 독일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할 때까지 독일의 지배를 받다가, 그 후 일본 제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다양한 국가의 식민 지배로 인해 많은 코스라에인들은 이중 언어 구사 능력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에도 그 증거를 볼 수 있는데, 일부는 여전히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86년 독립할 때까지 섬의 행정은 미국으로 이관되었다.

3. 음운

코스라에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코스라에어의 자음과 모음에 대한 표는 생략한다.

반원순, 이중 후설 모음 소리는 음소적으로 /oa/로 표기되며 음성적으로 [ɒ͡ɑ]로 발음된다. 길게 발음될 경우 [ɑ]는 [ɒɑː]로 길어진다. 모음 길이는 정자법에 표시되지 않는다.

원시 미크로네시아어에서 코스라에어로 오면서 생긴 음운 변화는 다음과 같다.[3]

원시 오세아니아어 자음의 코스라에어 반사음
원시 오세아니아어*mp*mp,ŋp*p*m*m,ŋm*k*ŋk*y*w*t*s,nj*ns,j*j*nt,nd*d,R*l*n
원시 미크로네시아어*p*pʷ*f*m*mʷ*k*x*y*w*t*T*s*S*Z*c*r*l*n
코스라에어*p*f*∅1*m*w,m2*k*k,∅3*∅*∅*t,s4*s*t,s5*∅*s*sr*l,r3*l*n*∅


  • 1 나타나는 예외에 대한 설명은 Jackson 1983:329–330을 참조.
  • 2 단어의 끝에서.
  • 3 /u/영어 앞에서, 드문 예외는 있음.
  • 4 /e/영어 또는 /i/영어 앞에서.
  • 5 차용어에만 해당.

3. 1. 자음

rowspan="2" |순음치음권설음연구개음
불.유.불.유.원.불.유.원.불.유.원.
파열음
마찰음
비음
접근음
탄음


3. 2. 모음



반원순, 이중 후설 모음 소리는 음소적으로 /oa/로 표기되며 음성적으로 [ɒ͡ɑ]로 발음된다. 길게 발음될 경우 [ɑ]는 [ɒɑː]로 길어진다.

모음 길이는 정자법에 표시되지 않는다.

3. 3. 음운 변화

원시 미크로네시아어에서 코스라에어로 오면서 생긴 음운 변화는 다음과 같다.[3]

원시 오세아니아어 자음의 코스라에어 반사음
원시 오세아니아어*mp*mp,ŋp*p*m*m,ŋm*k*ŋk*y*w*t*s,nj*ns,j*j*nt,nd*d,R*l*n
원시 미크로네시아어*p*pʷ*f*m*mʷ*k*x*y*w*t*T*s*S*Z*c*r*l*n
코스라에어*p*f*∅1*m*w,m2*k*k,∅3*∅*∅*t,s4*s*t,s5*∅*s*sr*l,r3*l*n*∅


  • 1 나타나는 예외에 대한 설명은 Jackson 1983:329–330을 참조.
  • 2 단어의 끝에서.
  • 3 /u/|/u/영어 앞에서, 드문 예외는 있음.
  • 4 /e/|/e/영어 또는 /i/|/i/영어 앞에서.
  • 5 차용어에만 해당.

4. 문자 체계

코스라에어는 1970년대 리(Lee)의 사전이 나오기 전까지는 문자로 기록된 적이 없어 라틴 문자를 표기 체계로 사용한다. 코스라에어의 모음 체계는 기본적인 라틴 문자 표기 체계로는 표현할 수 없는 더 많은 모음을 포함하고 있어, 단어의 철자가 복잡하고 언어의 음운론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리(Lee)는 1976년 코스라에어-영어 사전에서 영어와 코스라에어에서 특정 소리에 대한 문자의 사용법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발음 안내를 포함했다.[1]

4. 1. 자음 문자

코스라에어 자음 정자법
rowspan="2" |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연구개음
파열음ppwttwtokkwko
마찰음ffwsswsosrsrwsro
비음mmwnnwnongngwngo
접근음wwollwloyywyo
탄음rrwro


4. 2. 모음 문자

코스라에어 모음 정자법
FrontCentralBack
Highiihu
Mideuco
Low-midacuhoh
Lowahaoa



코스라에어는 1970년대 리(Lee)의 사전이 나오기 전까지는 문자로 기록된 적이 없어 라틴 문자를 표기 체계로 사용한다. 코스라에어의 모음 체계는 기본적인 라틴 문자 표기 체계로는 표현할 수 없는 더 많은 모음을 포함하고 있어, 단어의 철자가 복잡하고 언어의 음운론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리(Lee)는 1976년 코스라에어-영어 사전에서 영어와 코스라에어에서 특정 소리에 대한 문자의 사용법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발음 안내를 포함했다.

5. 문법

코스라에어의 문법은 크게 어순, 중첩, 동사, 형용사, 한정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중첩코스라에어에는 단어 전체가 반복되는 '전체 중첩'과 단어의 일부만 반복되는 '부분 중첩'이 있다.[4] 중첩은 단어의 자음과 모음 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양이나 중요성이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fact"(뚱뚱한)는 "factfact"(아주 뚱뚱한)가 되고, "af"(비)는 "af-yaf"(비가 오는)가 된다. 부분 중첩의 경우, "fosr"(연기)는 "fo-fosr"(연기를 내뿜다)가 된다.
동사코스라에어의 동사는 구조적으로 단순 동사, 복합 동사, 합성 동사로 분류되며, 타동사 및 자동사로도 분류된다.[1] 타동사와 자동사를 구별하는 방법 중 하나는 수동 접미사 '-''yuhk''를 결합하는 것이다.
형용사리(1975)에 따르면 코스라에어의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거나, 술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1] 형용사와 자동사의 구별은 쉽지 않다고 한다.
한정사코스라에어에는 "단순" 한정사와 "복합" 한정사가 있다.[1] 단순 한정사에는 "ah"(그), "uh"(이, 이것들), "an"(저, 저것들), "oh"(저기, 저것들) 등이 있다. 복합 한정사는 숫자 'se'('하나')와 단순 한정사, 또는 뜻이 불분명한 형태소 'ng'와 단순 한정사로 구성된다.

5. 1. 기본 어순

코스라에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SVO)이다. 그러나 문장의 종류에 따라 어순이 바뀔 수 있다.

리(Lee, 1975)는 코스라에어 문장의 예시로 다음을 제시했다.[1]

:Mwet ah tuh ahsack ik ah|사람들이 물고기를 잡았다.kos

질문하는 의문문에서는 어순이 비교적 같게 유지되지만, 역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Kuh kom mas?"는 "당신은 아픈가요?"를 뜻한다. 그러나 "어떻게"를 뜻하는 "fuhkah"와 같은 의문사가 문장에 있으면 구조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Kuh kom mas?"는 "괜찮으세요?"를 뜻하지만, 문장 끝에 "fuhkah"를 붙이면 "Kuh kom fuhkah?"가 되어 "어떻게 지내세요?"를 뜻한다. 따라서 코스라에어의 의문문은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문장은 SVO 형태이다.[1]

5. 2. 중첩

코스라에어의 주요 특징은 중첩이다. 리(Lee, 1975)는 중첩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고 말한다. 단어 전체가 반복되는 '전체 중첩'과 단어의 일부만 반복되는 '부분 중첩'이다. 코스라에어의 중첩은 접두사와 접미사, 두 개의 뚜렷한 형태소를 사용한다.[4]

중첩은 단어의 자음과 모음 구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CV:C 단어 "fact"(fat, 뚱뚱한)의 전체 중첩은 "factfact"가 되며, 이는 "아주 뚱뚱한"으로 번역된다. "lahs"(coral, 산호)라는 단어 또한 "lahs-lahs"가 되어 "많은 산호"를 의미한다.

V:C 단어의 전체 중첩은 다르다. 리(Lee, 1975)는 "V:C 형태의 단음절 단어가 전체 중첩을 거칠 때, 일부 단어에서는 두 번째 음절 앞에 활음 y가 나타난다"라고 말한다. "af"(rain, 비)라는 단어는 "af-yaf"로 중첩되며, 이는 "비가 오는"으로 번역된다. 전체 중첩은 일반적으로 단어의 기본 형태보다 양이나 중요성이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부분 중첩의 경우, 리(Lee, 1975)는 "단음절 단어가 부분 중첩을 겪을 때, 첫 번째 자음과 모음이 반복된다"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fosr"(연기)의 부분 중첩 형태는 "fo-fosr"이며, 이는 "연기를 내뿜다"를 의미한다. 다음절 단어는 약간 더 복잡하다. 두 음절 단어 "fule"은 "ful-fu-le"가 된다.

5. 3. 동사

리(1975)는 코스라에어의 동사가 구조적으로 단순 동사, 복합 동사, 또는 합성 동사로 분류된다고 말한다. 단순 동사는 하나의 자유 형태소로 구성되고, 복합 동사는 하나 이상의 결합 형태소와 결합된 하나의 자유 형태소로 구성되며, 합성 동사는 하나 이상의 자유 형태소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결합 형태소와 결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1] 리(1975)에 따르면, 코스라에어의 동사는 타동사 및 자동사로 분류될 수 있다.[1] 그는 동사가 타동사인지 자동사인지 구별하는 한 가지 방법은 수동 접미사 -''yuhk''를 결합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수동 접미사는 타동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자동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라고 결론 내렸다.[1]

5. 4. 형용사

리(1975)에 따르면 코스라에어의 형용사는 두 가지 주요 용법을 갖는다.[1] 첫 번째 주요 용법은 "종류, 상태, 조건 또는 품질의 측면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것"이다.[1] 두 번째 주요 용법은 코스라에어의 자동사와 유사하며, 형용사는 "술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1] 또한 "형용사와 자동사의 구별은 쉽지 않다"고 한다.[1]

5. 5. 한정사

리(Lee, 1975)는 코스라에어에 구조적으로 "단순" 한정사와 "복합" 한정사 두 가지 유형이 있다고 밝혔다. 코스라에어의 단순 한정사에는 "ah" (뜻: "그"), "uh" (뜻: "이", "이것들"), "an" (뜻: "저", "저것들"), "oh" (뜻: "저기", "저것들") 등이 있다.[1] 리(Lee, 1975)에 따르면 복합 한정사는 다시 두 개의 별도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범주는 숫자 ''se''('하나')와 단순 한정사로 구성된다.[1] 두 번째 범주는 뜻이 불분명한 형태소 ''ng''와 단순 한정사로 구성된다.[1]

6. 어휘

코스라에어는 고유 어휘, 기본 표현, 그리고 다른 언어에서 차용한 어휘를 가지고 있다.

고유 어휘와 기본 표현은 '===고유 어휘===' 섹션을, 영어일본어에서 차용한 어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차용어===' 섹션을 참고하라.

6. 1. 고유 어휘


  • "fosr" = 연기
  • "pysre" = 훔치다
  • "in-sifac" = 머리
  • "infohk" = 땅
  • "tuhram" = 새[5]


기본 코스라에어 문장은 다음과 같다.[5]

  • "Lotu wo" = 안녕하세요
  • "Fong wo" = 안녕히 주무세요
  • "Kulo" = 감사합니다
  • "Kom fuhcah" = 어떻게 지내세요?
  • "muta" = 안녕
  • "Su inem an?" = 이름이 무엇입니까?
  • "Inek pa..." = 제 이름은...
  • "Aok" = 예
  • "Mo" = 아니요


코스라에어는 언어의 식민지화를 통해 다른 언어 및 문화와 접촉하면서, 특히 영어일본어에서 유래한 많은 차용어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차용어는 코스라에어의 음운론에 맞게 변경되었다.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kacluhn. 명. 갤런 [영.]
  • kacm. 명. 캠프 [영.]
  • nappa. 명. 양배추 [일.]
  • paka. 형. 고장난, 없는, 낡은 [일.]

6. 2. 기본 표현

코스라에어의 기본 표현은 다음과 같다.[5]

코스라에어한국어
Lotu wo안녕하세요
Fong wo안녕히 주무세요
Kulo감사합니다
Kom fuhcah어떻게 지내세요?
muta안녕
Su inem an?이름이 무엇입니까?
Inek pa...제 이름은...
Aok
Mo아니요



몇 가지 원어 어휘는 다음과 같다.

코스라에어한국어
fosr연기
pysre훔치다
in-sifac머리
infohk
tuhram



언어의 식민지화를 통해 다른 언어 및 문화와 접촉하면서, 특히 영어일본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많이 생겨났다. 이러한 차용어는 코스라에어의 음운론에 맞게 변경되었다.

코스라에어한국어유래
kacluhn갤런영어
kacm캠프영어
nappa양배추일본어
paka고장난, 없는, 낡은일본어


6. 3. 차용어

코스라에어는 식민지 시대 등 다른 언어 및 문화와의 접촉을 통해, 특히 영어와 일본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차용어는 코스라에어의 음운 체계에 맞게 변화되었다.[5]

원어의미출처
kacluhn갤런영어
kacm캠프영어
nappa양배추일본어
paka고장난, 없는, 낡은일본어


7. 보존 현황

코스라에어는 섬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며, 세대 간 언어 전승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언어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어는 두 번째 공식 언어이지만, 일반적으로 공용어 또는 공식적인 비즈니스 상황에서만 사용된다.[4]

7. 1. 연구 자료

코스라에어에 관한 자료는 많지 않지만, 연구에 참고할 수 있는 몇 권의 책과 온라인 자료가 있다. 코스라에어족과 언어에 관한 유튜브 동영상과 그 언어로 된 노래도 몇 개 있다. 이기동은 코스라에어 참고 문법과 코스라에어-영어 사전을 저술했다. 엘리자베스 볼드윈은 1928년에 성경을 코스라에어로 번역했고, 미국 성서 공회는 1953년에 이를 인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Kosraean http://www.ethnologu[...] 2019-07-31
[2] 웹사이트 What Languages Are Spoken In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https://www.worldatl[...] 2023-01-23
[3] 논문 Proto-Micronesian Reconstructions: 1 2003
[4] 논문 The binarity effect in Kosraean reduplication 2005
[5] 간행물 Speaking Kosrae: The Beautiful Language Of The Pacific Island Of Kosrae https://www.prnewswi[...] 2023-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