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일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일농어는 농어목 눈볼개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최대 2m, 200kg까지 성장한다. 아프리카 열대 지역의 강, 염호, 기수역에 널리 서식하며, 상업적으로 중요한 식용 어류이다. 맛이 담백하여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지만, 빅토리아 호에 유입되어 토착 어종의 멸종을 초래하는 등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과도한 어획과 불법 어업, 침입종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종교적 의미를 지닌 물고기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눈볼개과 - 큰입선농어
    큰입선농어(*Lates calcarifer*)는 동인도양과 서태평양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바라문디'로도 불리는 식용어로, 갑각류, 연체동물, 작은 물고기를 먹고 자라면서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는 자웅동체 어류이다.
  • 생물학에 관한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생물학에 관한 - 녹색 경제
    녹색 경제는 환경 영향 최소화, 자원 효율성 증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며, 재생에너지, 친환경 건축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필수 전략이지만 사회경제적 비용, 불평등 심화 우려, 시장 메커니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국제기구와 여러 국가, 대한민국 또한 녹색 경제 전환을 추진 중이나 정책 불확실성, 사회적 합의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아프리카의 물고기 - 잉어과
    잉어과는 이빨과 위가 없는 무위 어류로 인두치를 이용해 먹이를 씹으며,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고, 독특한 번식 전략을 가진 종도 있으며, 식량, 스포츠,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일부는 침입종으로 문제가 되는, 계통 발생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어류 분류군이다.
  • 아프리카의 물고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나일농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Lates niloticus
영명Nile perch
일명나일아카메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류강
상목극기상목
스즈키목
아카메과
아카메속
나일농어
생산 및 생태
FAO 생산량https://www.fao.org/fishery/en/collection/global_production?lang=en
열 내성https://doi.org/10.1093/conphys/cow062
한국 관련 정보
환경부 지정유입주의
외래생물 정보 시스템https://www.kias.re.kr/species/species_view.jsp?m_code=21661&s_code=0&st=&page=&p_size=&s_type=&t_type=&s_name=&k_name=%EB%82%98%EC%9D%BC%EB%86%8D%EC%96%B4
표준 일본어명나일아카메
표준 일본어명 참고https://www.toyosu-market.or.jp/wordpress/wp-content/uploads/2023/12/c094fcbb6753cc017c0a6b4bbeb9ffc5.pdf#page=6

2. 특징

농어목 눈볼개과에 속하는 민물고기이다. 몸 위쪽은 녹색이나 갈색, 아래쪽은 은빛을 띤다. 몸길이는 최대 2m, 무게는 최대 200kg까지 자란다.[4] 성체의 일반적인 크기는 1.21m에서 1.37m이다.[5] 길쭉한 몸에 아래턱이 돌출되어 있으며, 꼬리는 둥글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다. 눈은 검은색이며, 밝은 노란색 테두리가 있다.

어린 나일농어 (''Lates niloticus''). 1966년 홉슨 여사가 나이지리아 말람파토리의 차드 호 연구소에서 그린 엽서 그림.


성체 나일농어는 산소 농도가 충분한 호수의 모든 서식지에 서식하지만, 어린 개체는 얕은 연안 환경으로 제한된다. 나일농어는 다른 물고기(자신의 종 포함), 갑각류, 연체동물, 곤충을 먹는다. 어린 개체는 동물성 플랑크톤도 먹는다.[6]

3. 생태

나일농어는 최대 몸길이 2m, 무게 200kg에 달하는 대형 민물고기이다. 같은 속에 속하는 일본산 농어( ''L. japonicus'')와 가까운 종이며, 외모도 매우 흡사하다.

아프리카 열대 지역의 강, 염호, 기수역에 널리 서식하며, 세네갈 강, 니제르 강, 볼타 강, 차드 호, 나일 강 등 주요 강 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26]

수산 자원으로서 가치가 높아 원래 분포 지역을 넘어 아프리카 각지에 방류되어 정착하고 있다. 이는 1950년대 당시 종주국 영국에 의해 어획량 증대를 위해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방류된 수역에서는 외래종으로서 토착 생물 군집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빅토리아호의 사례는 심각하여, 나일퍼치 방류가 원인으로 고유종 시클리드 등 많은 담수어가 급감·멸종하고, 그것들을 먹이로 삼았던 미세조류가 이상 번식하여 적조가 발생하는 등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IUCN의 「세계 침입종 100선」에 선정되어 있다.[27] 이전에는 일본에도 관상어로 수입되어 유통되었지만, 2016년 10월 1일부터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살아있는 수입이 허가를 받은 것을 제외하고 금지되어 있다.[28] 다만, 식용으로 이미 사망한 상태의 것은 현재도 수입되고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영상 프로그램 『다윈의 악몽』은 빅토리아호에서의 양식에서 파생되는 여러 사회 문제를 주제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영화상을 수상한 반면, 사실 관계의 오류 지적이나 정치적 선전이라는 비판도 있어 찬반이 엇갈린다.

고대 이집트에서 미라로 만들어진 물고기로도 알려져 있다.

3. 1. 먹이

나일농어는 왕성한 식욕을 자랑하는 육식성 물고기이다. 어린 치어일 때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잡아먹지만, 다 자란 성어가 되면 갑각류와 수생 곤충도 먹으며 자신보다 몸집이 작은 다른 물고기나 동물을 먹이로 삼는다.[6] 골리앗타이거피시와 더불어 아프리카에서 최상위 포식자에 속하지만, 나일악어바다에서 으로 거슬러 올라온 황소상어한텐 잡아먹히는 먹이가 되기도 한다. 다른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떼를 지어 다닌다.[7][8]

3. 2. 서식지

나일강을 비롯하여 아프리카에서 지중해로 흘러들어가는 강이나 호수에 주로 서식한다. 눈볼개과의 다른 종들은 아프리카 하천수계,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하구연안에서도 발견된다.[4] 성체는 산소 농도가 충분한 호수의 모든 서식지에 서식하지만, 어린 개체는 얕은 연안 환경에 서식한다.[6]

4. 분포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열대 지역의 강, 염호, 기수역에 널리 서식하며, 세네갈 강, 니제르 강, 볼타 강, 차드 호, 나일 강 등 주요 강 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26]

5. 인간과의 관계

나일농어는 담백한 맛을 지닌 흰살 생선으로 식용 수요가 높아 전 세계로 수출된다.[29] 특히 유럽과 일본에 많이 수출되며, 일본에서는 '흰농어' 등의 이름으로 레스토랑이나 급식 등에서 흰살 생선 튀김용으로 사용된다.[29] 농어의 대용으로 회전초밥 재료나 소매점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그러나 2003년 일본의 JAS법 개정 이후 '농어', '흰농어' 등의 이름으로 소매점에서 판매하는 것은 금지되었지만, 외식이나 가공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나일농어는 빅토리아 호수 등 여러 지역에 도입되어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종으로 지정되었다.[9]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나일농어를 '세계 100대 침입종' 중 하나로 간주한다.[9] 특히 빅토리아호의 사례는 심각하여, 나일농어 방류로 인해 고유종 시클리드 등 많은 담수어가 급감·멸종하고, 그 결과 미세조류가 이상 번식하여 적조가 발생하는 등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27]

호주 퀸즐랜드 주에서는 토착종인 바라문디와 경쟁하는 나일농어를 살아있는 채로 소지하는 사람에게 막대한 벌금을 부과한다.[10]

고대 이집트에서는 나일농어가 네이트 여신 숭배 의식과 관련이 있었으며,[23] 미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23] 에스나 서쪽 지역에서는 수천 마리의 나일농어 미라가 발굴되었고,[24] 구롭에서도 나일농어 미라가 발견되었다.[24] 사이스에서는 네이트 신전과 관련된 나일농어 조각상이 발견되었다.[24]

5. 1. 상업적 가치

나일농어는 맛이 담백한 흰살 생선으로 식용 수요가 높아 전 세계에 수출된다.[29] 특히 유럽과 일본에 많이 수출되며, 일본에서는 레스토랑이나 급식 등에서 흰살 생선 튀김용으로 ‘흰농어’ 등의 이름으로 제공된다.[29] 농어(スズキ)의 대용 생선으로 회전초밥의 초밥 재료로 사용되거나 소매점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2003년 농림물자의 규격화 및 품질표시의 적정화에 관한 법률(JAS법) 개정 이후로는 ‘농어’, ‘흰농어’ 등의 이름으로 일본 내 소매점에서 판매하는 것은 금지되었지만, 외식이나 가공한 것은 제외된다.

2021년, 우간다 어류 가공 수출 협회(The Uganda Fish Processors and Exporters Association)는 수출 보호를 위해 나일농어의 국내 소비를 금지할 것을 의회에 촉구했다.[22]

5. 2. 식용

나일농어는 맛이 담백한 흰살 생선으로, 식용으로 수요가 높아 전 세계에 수출된다. 특히 유럽과 일본에 많이 수출된다.[29] 일본에서는 레스토랑이나 급식 등에서 흰살 생선 튀김용으로 ‘흰농어’ 등의 이름으로 제공된다.[29] 회전초밥 재료나 소매점 판매 등에 농어 대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2003년 농림물자의 규격화 및 품질표시의 적정화에 관한 법률(JAS법) 개정 이후로는 ‘농어’, ‘흰농어’ 등의 이름으로 소매점에서 판매하는 것은 금지되었지만, 외식이나 가공품은 제외된다.

5. 3. 외래종 문제

나일농어는 빅토리아 호수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 도입되어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종으로 지정되었다.[9]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나일농어를 '세계 100대 침입종' 중 하나로 간주한다. 특히 빅토리아호의 사례는 심각하여, 나일농어 방류가 원인으로 고유종 시클리드 등 많은 담수어가 급감·멸종하고, 그것들을 먹이로 삼았던 미세조류가 이상 번식하여 적조가 발생하는 등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27]

호주 퀸즐랜드 주에서는 토착종인 바라문디와 경쟁하는 나일농어를 살아있는 채로 소지하는 사람에게 막대한 벌금을 부과한다.[10] 바라문디는 나일농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나일농어가 최대 2m까지 자라는 반면 바라문디는 최대 1.5m까지 자란다.[10]

일본에서는 이전에는 관상어로 수입되어 유통되었지만, 2016년 10월 1일부터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살아있는 수입이 허가를 받은 것을 제외하고 금지되어 있다.[28] 다만, 식용으로 이미 사망한 상태는 현재도 수입되고 있다.

200

5. 3. 1. 빅토리아 호 유입

나일농어는 1950년대 동아프리카 빅토리아 호에 유입되었으며,[14][15] 그 이후로 상업적으로 어획되고 있다. 2003년 유럽 연합(EU)으로의 나일농어 판매액은 1.69억유로에 달했다. 우간다와 탄자니아 지역의 스포츠 낚시는 관광으로부터 추가적인 수입을 창출했다.

나일농어의 유입은 외래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자주 인용된다.[13] IUCN의 침입종 전문가 그룹은 ''L. niloticus''를 세계에서 가장 악성인 100대 침입종 중 하나로 간주한다.[9] 나일농어는 수백 종의 토착종 멸종 또는 멸종 위기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개체군은 상업 어업과 실제 나일농어 개체 수와 연관되어 변동을 보인다. 나일농어는 처음에는 토착 시클리드(cichlids)를 먹이로 삼았지만, 먹이의 가용성이 감소함에 따라 현재는 주로 작은 새우피라미를 먹는다.

토착 생태계의 변화는 호수 주변 지역 사회에 파괴적인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쳤다. 많은 지역 주민들은 전통적인 어업 활동에서 쫓겨나 현금 경제에 편입되었거나, 수출 지향적 어업이 정착되기 전에는 경제 난민이 되었다. 적어도 초기에는 성체 나일농어를 잡을 수 있을 만큼 강한 그물을 현지에서 생산할 수 없어 고가로 수입해야 했다.[16]

나일농어의 유입은 해안에도 추가적인 생태적 영향을 미쳤다. 토착 시클리드는 전통적으로 햇볕에 말렸지만, 나일농어는 시클리드보다 지방 함량이 높아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훈제해야 한다. 이로 인해 이미 산림 벌채, 토양 침식, 사막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 땔나무 수요가 증가했다.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허버트 자우퍼(Hubert Sauper)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다윈의 악몽''(프랑스-오스트리아-벨기에 합작, 2004)은 나일농어 유입으로 인한 피해, 유럽에서의 무기와 탄약 수송기 수입, 나일농어 수출에 사용되는 무기 등을 다루며 주변 지역의 갈등과 고통을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를 제기한다.[17]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18] 이 새로운 근접 최상위 포식자의 유입으로 빅토리아 호의 먹이 그물은 극도로 빈곤해진 것으로 보인다. 생태계가 새로운 평형 상태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전 상태나 빅토리아 호의 어업 상태를 쉽게 회복할 수는 없다.[19][20][21]

5. 3. 2. 다윈의 악몽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허버트 자우퍼(Hubert Sauper)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다윈의 악몽''(프랑스-오스트리아-벨기에 합작, 2004)은 나일농어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다룬다.[17] 이 영화는 유럽으로의 나일농어 수출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기 수입의 연관성을 제기하며, 이러한 상황이 주변 지역의 갈등과 고통을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를 지적한다.

영화 다윈의 악몽은 빅토리아호에서의 나일농어 양식에서 파생되는 여러 사회 문제를 주제로 다룬다. 이 작품은 영화상을 수상했지만, 사실 관계 오류 지적이나 정치적 선전이라는 비판도 있어 찬반양론이 엇갈린다.

5. 4. 위협

나일농어는 거대동물(megafauna) 종으로, 과도한 어획, 불법 어업 장비 사용, 그리고 침입종인 물옥잠 등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먹이 고갈 또한 나일농어의 크기를 줄이고 악어와 같은 더 큰 포식자에게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5. 5. 종교적 의미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농어는 네이트 여신 숭배 의식과 관련이 있었다.[23] 나일농어는 미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23] 네이트 신전이 있던 에스나 서쪽 지역에서는 수천 마리의 미라로 만들어진 나일농어가 발굴되었다.[24] 구롭에서도 미라로 만들어진 나일농어가 발견되었고, 사이스에서는 네이트 신전과 관련된 나일농어 조각상이 발견되었다.[24]

참조

[1] IUCN Lates niloticus 2024-04-08
[2]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3] 논문 Tropical fish in a warming world: thermal tolerance of Nile perchLates niloticus(L.) in Lake Nabugabo, Uganda 2016
[4] 논문 Catastrophic Change in Species-Rich Freshwater Ecosystems: The lessons of Lake Victoria
[5]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Sterling Pub Co Inc.
[6] 웹사이트 Lates niloticus (Victoria perch) https://animaldivers[...]
[7] 논문 Lates niloticus (Nile perch) https://www.cabi.org[...] 2022
[8] 웹사이트 Nile perch (Lates niloticus) - Species Profile https://nas.er.usgs.[...] 2021-06-02
[9] 백과사전 NILE PERCH https://pringle.prin[...] 2011
[10] 웹사이트 Invasive Species http://www.nationalg[...] 2021-06-02
[11] 웹사이트 Invasion Biology Introduced Species Summary Project - Columbia University http://www.columbia.[...] 2021-06-02
[12] 백과사전 Nile perch http://www.britannic[...] 2011-06-27
[13] 웹사이트 Impact of an Invasive Species https://education.na[...] 2023-06-07
[14] 논문 The origins of the Nile Perch in Lake Victoria
[15] 논문 The Nile Perch in Lake Victoria: local responses and adaptations 2005
[16] 웹사이트 RECENT DEVELOPMENTS IN LAKE VICTORIA FISHERIES: THE NILE PERCH http://www.fao.org/3[...] 2019-08-17
[17] 웹사이트 Socio-economic effects of the evolution of Nile perch fisheries in Lake Victoria: a review http://www.fao.org/3[...] 2021-06-02
[18] 서적 Fisheries Resource Utilization and Policy. Proc. World Fisheries Congress. Theme 2 Oxford & IBH Publ.Co.
[19] 논문 The Origins of the Nile Perch in Lake Victoria 2005
[20] 논문 The Nile Perch in Lake Victoria: Interactions Between Predation and Fisheries https://www.jstor.or[...] 1997
[21] 논문 The Nile Perch in Lake Victoria: Local Responses and Adaptations https://www.jstor.or[...] 2005
[22] 뉴스 Fish exporters seek ban on local consumption of Nile Perch https://www.independ[...] 2021-10-22
[23] 논문 Animal Mummies and Remains from the Necropolis of Elkab (Upper Egypt) https://revistas.uam[...] 2023-12-25
[24] 논문 The mummified fish of Esna: a case study in animal worship https://lirias.kuleu[...] 2023-12-25
[25] 보고서 輸入される外国産魚類の標準和名について(第20版) https://www.toyosu-m[...] 豊洲市場協会 2024-02-15
[26] 웹사이트 Lates niloticus https://fishbase.mnh[...]
[27] 웹사이트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https://www.iucngisd[...] 국제자연보전연맹 2013
[28] 웹사이트 外来生物法 https://www.env.go.j[...]
[29] 논문 ヴィクトリア湖岸の水産業 https://hdl.handle.n[...] アジア経済研究所 1994-03
[30] 웹사이트 나일농어 Lates nilotic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