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일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일어족은 나일강 유역과 관련된 어족으로, 오늘날 약 700만 명이 이 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이들은 콩고민주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 등지에 주로 거주하며, 조지프 그린버그의 분류에 따르면 동나일어파, 남나일어파, 서나일어파로 나뉜다. 각 어파는 다시 여러 하위 분류로 나뉘며, 언어별로 수사 체계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일어족 - 마사이어
마사이어는 케냐 남부와 탄자니아의 마사이족이 사용하는 성조 언어로, 삼부루어와 계통이 가깝고 설근 전진 모음 조화 체계를 지니며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고 VSO 어순을 가진다. - 나일어족 - 딩카어
딩카어는 남수단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20개의 자음과 13개의 단모음을 가지며 성조 언어이고, 모음의 길이와 발성, 형태론적 변화가 특징이며, 5개의 방언군으로 나뉘어 여러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나일어족 | |
---|---|
개요 | |
언어 종류 | 어족 |
사용 민족 | 나일족 |
주요 사용 지역 | 에티오피아 남서부, 남수단, 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 북동부, 우간다 북부, 케냐 서부, 탄자니아 북부 |
사용 인구 | 5,000만 명 |
어족 색상 | 나일사하라 |
계통 분류 | |
상위 어족 (미확정) | 나일사하라어족 |
어파 1 | 동수단어파 |
어파 2 | 키르-아바이아어파 |
하위 분류 | |
어파 1 | 동나일어파 |
어파 2 | 남나일어파 |
어파 3 | 서나일어파 |
언어 코드 | |
글롯토로그 | nilo1247 |
글롯토로그 명칭 | Nilotic |
지도 정보 | |
![]() |
2. 어원
"나일어족"은 나일강 또는 아프리카의 나일 지역과 관련이 있다는 의미이다.[2]
오늘날 약 7백만 명이 나일어족 언어를 사용한다. 나일계 민족들은 본디 나일강 상류 지역에서 기원했으며 오늘날 콩고민주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의 일부 지역에 살고 있다.[12] 나일족 원어민들은 원래 수단의 게지라 지역에서 이주해왔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수단,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 일부 지역에 거주한다.[3]
조지프 그린버그에 따르면 나일어족은 동나일어파, 남나일어파, 서나일어파의 세 어파로 나뉜다.[13] 과거에는 서나일어파만을 나일어족이라 칭하고, 나머지 두 어파는 '나일·함어족'이라 불렀다.[14]
3. 인구
4. 분류
로저 블렌치(2012)는 부룬어군이 나일어족의 독립된 분기군이라고 주장했지만,[15] 이전에는 루오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조지 스타로스틴 (2015)은 마반·부룬어군이 서나일어파에 속하지만 루오어군 바깥에 있다고 보았다.[16]
Hammarström ''et al.'' (2019)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어파 하위 언어 서나일어파 (하위 섹션 참조) 동나일어파 (하위 섹션 참조) 남나일어파
4. 1. 서나일어파
조지프 그린버그에 따르면 서나일어파에는 루오어, 누에르어, 딩카어 등이 속한다.[13] 그린버그 이전에는 나일어족이라는 이름이 서나일어파만을 가리켰으며, 다른 어파들은 ‘나일·함어족’이라고 불렸다.[14]
로저 블렌치(2012)는 부룬어군이 나일어족의 독립된 분기군이라고 주장한다.[15] 이전에는 부룬어군이 루오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조지 스타로스틴 (2015)은 마반·부룬어군이 서나일어파에 속하지만 루오어군 바깥에 있다고 보았다.[16]
Hammarström ''et al.'' (2019)에 따른 서나일어파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어군 | 하위 언어 |
---|---|
딩카-누에르어군(Dinka-Nuer) | |
루오-부룬어군(Luo-Burun) |
4. 2. 동나일어파
'''동나일어파'''는 조지프 그린버그가 분류한 나일어족의 한 어파이다.[13] 투르카나어, 마사이어 등이 여기에 속한다.[13]동나일어파는 크게 '''테소-로투고-마어어군'''과 '''바리-카크와-만다리어'''로 나뉜다.
- '''테소-로투고-마어어군'''(Teso-Lotuxo-Maa)
- 테소-투르카나어군(Teso-Turkana)
- 테소어
- 투르카나어군(Turkanic)
- 카라모종어(Karamojong)
- 투르카나어(Turkana)
- 토포사어(Toposa)
- 냥가톰어(Nyangatom)
- 로투고-마어어군(Lotuxo-Maa)
- 옹가모-마어어군(Ongamo-Maa)
- 옹가모어(Ongamo)
- 마어군(Nuclear Maa)
- 삼부루어
- 마사이어
- 로투고어군(Lotuxo)
- 동고토노어(Dongotono)
- 랑고어(Lango)
- 로코야어(Lokoya)
- 로투고어(Lotuxo)
- 로피트어(Lopit)
- '''바리-카크와-만다리어'''
- 카크와어
- 바리어(Bari)
- 만다리어
4. 3. 남나일어파
칼렌진어, 다토가어 등이 있다.[4]5. 재구
Dimmendaal (1988)은 나일조어 어근을 200개 이상 재구한 바 있다.[17][8] Dimmendaal은 원시 나일어족 자음을 다음과 같이 재구축했다.
6. 수사
분류 | 언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동부, 바리 | 바리어 | ɡɛ́lɛ̀ŋ | mʊ̀rɛ́k | mʊ̀sálà | ɪ́ŋwàn | mʊ̀kánàt | búkɛ̀r | búryò | búdö̀k | bʊ́ŋwàn | púwö̀k |
동부, 로투코-테소, 로투코-마, 로투코 | 로피트어 | F/ M nàbóìtóì / lòbóìtóì | lòhórìk, arik | lòhúnìk | lóŋwán | mìyét (litː < 손) | ile | hatarik (5 + 2) | hotohunɪk (5 + 3) | hotoŋwan (5 + 4) | tomon |
동부, 로투코-테소, 로투코-마, 로투코 | 로투호어 (1) | ábótè | áréhè | húníhe | áŋwàn | mìyyàt (litː < 손) | ɪ́lle | hàtmɪk (5 + 2) | hùtohunɪk (5 + 3) | hùtoŋwan (5 + 4) | tòmmòn |
로투호어 (2) | ʌ̀bóíté / âbotye | ʌ̀ríxèy / árrexai | xúnixòì / xunixoi | aŋwân | míèt < '손' | ɪ́llɛ́ | xáttàrɪ̀k (5 + 2) | xóttóxúnìk (5 + 3) | xɔ́ttɔ́ŋwàn (5 + 4) | tɔ́mɔ̀n | |
동부, 로투코-테소, 로투코-마, 오가모-마 | 마사이어 | nabô (여성), obô (남성), nebô (장소) | aré (여성), aàre/ɔáre (남성) | uní (여성), okúni (남성) | oŋwán (여성), oóŋwan (남성) | ímíêt | ílɛ̂ / íllɛ̂ | naápishana (여성), oópishana (남성) | ísíêt < 칼렌진어 | naáudo (여성), oódó (남성) | tɔ́mɔ̂n < 칼렌진어 |
동부, 로투코-테소, 로투코-마, 오가모-마 | 삼부루어 | naɓô (여성), oɓô (남성), noɓô (장소) | aré (여성), waáre (남성) | uní (여성), okúni (남성) | onɠwán (여성), oónɠwan (남성) | ímɟêt / ímʄêt | ílê | sápâ | ísɟêt / ísʄêt < 칼렌진어 | sâːl | tômôn < 칼렌진어 |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테소 | 테소어 (1) | ìdʸòpét | ìɑɾè | íwúní | íwóŋón | íkɑ̀ɲ | íkɑ̀ɲɑ̂pè (5 + 1) | íkɑ̀ɲɑ̂ɾè (5 + 2) | íkɑ̀ɲɑ̂wùní (5 + 3) | íkɑ̀ɲɑ̂wòŋòn (5 + 4) | ítòmòn |
테소어 (2) | -diope | -árèy | -(w)únì | -oŋôn | -kaɲ < '손' | kaɲ kape (5 + 1) | kaɲ karey (5 + 2) | kaɲ kauni (5 + 3) | kaɲ kaoŋon (5 + 4) | tɔ́mɔ̀n | |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투르카나 | 카라모종어(도도토) (1) | ɲípéí | ŋíááréí | ŋúúní | ŋóómwán | ŋííkan (< 손) | ŋíkan ka péí (5 + 1) | ŋíkan ka áréí (5 + 2) | ŋíkan ka úní (5 + 3) | ŋíkan ko ómwán (5 + 4) | ŋítomón |
카라모종어 (2) | ɛpei | ŋiarei | ŋiuni | ŋiomwɔn | ŋikan < 손 | ŋíkàn kà-pei (5 + 1) | ŋíkàn kà-arei (5 + 2) | ŋíkàn kà-uni (5 + 3) | ŋíkàn kà-omwɔn (5 + 4) | ŋítɔ̀mɔ́n | |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투르카나 | 냥가톰어 | a-péy ̀ | ŋa-áréy ̀ | ŋa-uní ̀ | ŋa-omwɔn ̀ | ŋa-kànɪ (litː 손) | ŋa-kanɪ̀ ka-pey (5 + 1) | ŋa-kanɪ̀ ka-arey (5 + 2) | ŋa-kanɪ ka-uni (5 + 3) | ŋa-kanɪ ka-omwɔn (5 + 4) | ŋa-tɔ̀mɔn |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투르카나 | 토포사어 | péì | áréì | ʊ́nì | ɔ́ŋwɔ́n | kànì̥ < 손 | kànì̥ kà-péì (5 + 1) | kànì̥ kà-àréì (5 + 2) | kànì̥ kà-ʊ́ní (5 + 3) | kànì̥ kà-ɔ́ŋwɔ́n (5 + 4) | tɔ̀mɔ́ní̥ |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투르카나 | 투르카나어 | a-péy ̀ | ŋa-áréy ̀ | ŋa-úní ̀ | ŋa-ómwɔ̀n ̀ | ŋa-kànɪ̥ < 손 | ŋa-kanɪ ka-péy (5 + 1) | ŋa-kanɪ ka-áréy (5 + 2) | ŋa-kanɪ ka-úní (5 + 3) | ŋa-kanɪ ka-ómwɔ̀n (5 + 4) | ŋa-tɔ̀mɔn |
남부, 칼렌진, 엘곤 | 쿠프사비니어 | aɡeenɡe [akɛ́ːŋkɛ] | äyëëny [ɑréːɲ] | sömök [sómok] | anɡʼwan [aŋwán] | müüt [múːt] | müüt äk aɡeenɡe [múːt ɑk akɛ́ːŋkɛ] | müüt äk äyëëny (5 + 2) | müüt äk sömök (5 + 3) | müüt äk anɡʼwan (5 + 4) | taman [támán] |
남부, 칼렌진, 엘곤 | 사바오트어(코니 방언) | akeenke [ aɡɛ́ːŋɡɛ] | āyēēnɡʼ [ɑyéːŋ] | sōmōk [sómok] | anɡʼwan [aŋwán] | mūūt / muut [múːt] | lo [lɑ] | tisab [tɪ́sap] | sisiit [sɪsɪ́ːt] | sokool [sɑ́kɑːl] | taman [támán] |
남부, 칼렌진, 난디-마르케타, 마르케타 | 체랑가니어 | àkɛ́ɛ́ŋkɛ̀ | ʌ́yíín | sómòk | áŋwaan | múút | lɔ̀ | tɪsáp | sìsít | sʌ́ɡʌ́l | támán |
남부, 칼렌진, 난디-마르케타, 마르케타 | 엔도어(마라케트) | ɒ́kɔ́ːŋɔ | ərèːɲ | sómók | ɒ́ŋwɒ̀n | mùːt | lɔ́ | tɪ́sɔ́p | sisíːt | sɔkɔ̀ːl | tɒmɒn |
남부, 칼렌진, 난디-마르케타, 난디 | 케이요어 | àkɛ́ŋɡɛ̂ / àɛ́ŋɡɛ̂ | aɛ́ːŋ /aɛ́ːɲ | sɔ̀mɔ̂k | àŋwàn | mʊ́ːt | lɔ̂ | tɪ̀sâp | sɪ̀sɪ́ːt | sɔ́kɔ́ːl | támán |
남부, 칼렌진, 난디-마르케타, 난디 | 투겐어 | àɣééɲɡé | àééɲ | sómók | àɲwán | múút | ló | tísáp | sìsíít | sóɣóòl | tàmán |
남부, 칼렌진, 오키크 | 아키어 | akɛɛnkɛ | ayen | somok | aŋwàn | mʊ́ʊ́t | ílɛ | nápíʃana | ísíêt | náúdo | taman |
남부, 칼렌진, 포코트 | 포코트어 | àkɔ́ɔ́ŋkɔ̀ | oɣë̀ë̀ŋ / òdë̀ë̀ŋ | sä́mä́k | àŋwân | múut | múut ŋɡɔ́ àkɔ́ɔ́ŋɔ̀ (5 + 1) | múut ŋɡɔ́ òdë̀ë̀ŋ (5 + 2) | múut ŋɡɔ́ sä́mä́k (5 + 3) | múut ŋɡɔ́ àŋwân (5 + 4) | támàn |
남부, 타토가 | 아심지그 다토가어 (1) | àkàlɛːlɛ̀ː / ák / (àqàlɛːlɛ̀ː) | íjèɲ | sàmòɡw | àŋwàn | mùːt | lá | ísːpò | sìs | ʃàɡàʃ | dàmàn |
다토가어 (2) | ɑ̀ɡi | íiyèeɲɑ | sɑ́mɑ̀ɡu | ɑ́ŋwɑ́n | mʊ̀ʊt | lɑ́ | íispɑ̀ | sís | ʃɑ́ɡɛ̀ɛʃ | dɑ̀mɑ́nɑ́mʊ́qʊ̀ʊʃ | |
다토가어 (3) | ʔàɡi | íyèeɲa | sàmàɡu | ʔàŋwàn | mùuti ~ bánàakta mùuti | làh | ìsbà ~ isbwà | sìss ~ sìs | ʃàɡèeʃʃ ~ ʃàɡèeʃ | dàmáná múqùuʃ | |
서부, 딩카-누에르, 딩카 | 딩카 아가르어 | ʈɔ́k | rɔ́ʷ | dʲák | ŋʊ̀ʷân | ðíɟ | ðɛ̀ʈem | ðɜ̀rʊ́ʷ | bɛ̀ʈ | ðɔ̀ŋʊ́ʷàn | t̪íʲàːr |
딩카 파당어 | tò̤k | ròw | dyá̤k | ŋwán | d̪yì̤c | d̪ètém | d̪ɔ̀rɔ́w | bɛ̤́t | d̪ɔ̀ŋwán | t̪yɛ́ɛ̀r | |
서부, 딩카-누에르, 누에르 | 누에르어 (1) | kɛ̀ːl | rɜ̀ʷ | dɪʲɔ̂k | ŋʊ́ʷǎn | ðɪ́ʲɛ̀ɟ | bakɛ̀l (5 + 1) | bàraʷ (5 + 2) | bɛ̀dak (5 + 3) | bɜ̀ŋʊ́ʷǎn (5 + 4) | wɜ́ːl |
누에르어 (2) | kɛ́ɛ̀l | rɛ̌w | dyɔ̌k | ŋwán | d̪yè̤c | bʌ̤́kɛ̀l (5 + 1) | bʌ̤rɔ̀w (5 + 2) | bʌ̤̀dá̤k (5 + 3) | bʌ̤́ŋwàn (5 + 4) | wá̤l | |
서부, 루오, 북부, 아누악 | 아누악어 (1) | àcíɛ̀l | àríyɔ̀ | àdʌ́k | àŋwɛ́ɛ́n | àbíc | àbícìɛ̀l (5+ 1) | àbíríyɔ̀ (5+ 2) | àbárà (5+ 3) | àbíŋwɛ̀ɛ̀n (5+ 4) | àpár |
아누악어 (2) | aciel / acíɛ̀l | ariio̤ / aríɪàw | ada̤k / adʌ́ɡ | aŋween / aŋwɛ́ɛn | abi̤i̤c / abíiɟ | abi̤ciel / abícíɛ̀l (5+ 1) | abi̤riio̤ /abíríɪàw (5+ 2) | aba̤ra / abʌ́rʌ́ (5+ 3) | abi̤ŋween / abíŋwɛ̀ɛn (5+ 4) | apaar / apáar | |
서부, 루오, 북부, 보르 | 벨란다 보르어 | ákɛɛ̂l | arɛ̂w | àdéɡ | àŋwɛ́n | àbíc | àbíc kúkɛ́l (5+ 1) | àbíc kúrɛ̂w (5+ 2) | àbíc kùdēēk (5+ 3) | àbíc kúŋwɛ̂n (5+ 4) | áfaàr |
서부, 루오, 북부, 유르 | 루오어 | áciɛ̄lɔ́ | á̟riɔ̄w | á̟dá̟ɡ | áŋwɛ̄ːn | àbī̟ːj | ábíciɛ̄l (5 + 1) | ábɛ́riɔ̄w (5 + 2) | á̟bɛ̟́dā̟ɡ (5 + 3) | ábɛ́ŋwɛ̄ːn (5 + 4) | āpāːr |
서부, 루오, 북부, 마반-부룬, 부룬 | 부룬어 | kɛɛl / kɛ̀ɛl | rɛɛ / rɛ̄ | ɖʌk /ɖʌ̄k | ŋan / ŋān | d̪oc / dōoc | ɖowk /ɖɔ́ùk | ŋat̪ukɛl / ŋàtúkɛ́l | ŋunu / ŋɔ̀nʊ́ | ɟucukɛl / ɲùcúkɛ́l | caac / cáac |
서부, 루오, 북부, 마반-부룬, 마반 | 마반어 | cyɛ́ɛlɔ̀ | yɛ́ɛwɔ̀ | ɗɔ́ɔ́ɡɔ́ | ŋáánɔ̀ | d̪ɔ́ɔ́yɔ̀ | d̪ɔ́ɔ́yɔ̀ wílin nè cyɛ́ɛlɔ̀ (5 + 1) | d̪ɔ́ɔ́yɔ̀ wítkɛ̀n nè yɛ́ɛwɔ̀ (5 + 2) | d̪ɔ́ɔ́yɔ̀ wítkɛ̀n nè ɗɔ́ɔ́ɡɔ́ (5 + 3) | d̪ɔ́ɔ́yɔ̀ wítkɛ̀n nè ŋáánɔ̀ (5 + 4) | ínyáákkɛ̀n (lit: 양손) |
서부, 루오, 북부, 쉴루크 | 쉴루크어 | àkjɛ̀l | áɾjɛ̀w | ádə̀k | áŋwɛ̀n | ábîc | ábîkjɛ̀l (5 + 1) | abìɾjɛ̀w (5 + 2) | àbîdèk (5 + 3) | ábîŋwɛ̀n (5 + 4) | pjáár |
서부, 루오, 북부, 투리 | 투리어 | ácîel | aríòw | ádeèk | àŋwɛɛ̀n | àbííc | abícbícèl (5+ 1) | àbícbə́riə́ɔ̀w (5+ 2) | àbícbídèk (5+ 3) | àbíc bə́ŋwɛ́ɛn (5+ 4) | ápaàr |
서부, 루오, 북부, 미분류 | 패리어 (1) | ácɛ̀lɔ́ | árìyɔ́ | ádòɡó | áŋwɛ̀nɔ́ | ábìd͡ʒɔ́ | àbícɛ̀lɔ́ (5+ 1) | àbírìyɔ́ (5+ 2) | ábʌ̄rà (5+ 3) | ábúŋwɛ̀nɔ́ (5+ 4) | ápàr |
패리어 (2) | acyelo, took | aryo, ireek | adöɡo, ɡala | aŋweno | abijo, kunat | abicyelo (5+ 1), bukel | abiryo (5+ 2), buryo | abidö̈ɡo, aböra (5+ 3), bodök | abuŋweno (5+ 4), buŋwan | apar | |
서부, 루오, 남부, 아돌라 | 아돌라어 (1) | ɑ́cêr | ɑ́rîo | ɑ́dêːk | ɑ́ŋʷên | ɑ́bîːc | ɑ̀ᵘcèr (5+ 1) | ɑ̀bírîo (5+ 2) | ɑ́bôːrò (5+ 3) | ɑ̀búŋʷèn (5+ 4) | ɑ́pɑ̂ːr |
아돌라어 (2) | àcíɛl | àríó | àdeék | àŋwɛɛ̂n | àbîc | àwúciɛ̄l (5+ 1) | àbíirò (5+ 2) | àbɔ́ɔ̀rò (5+ 3) | àbúŋwɛ́n (5+ 4) | ápāar | |
서부, 루오, 남부, 쿠맘 | 쿠맘어 | ɑ̀cɛ́l | ɑ̀ré | ɑ̀dēk | òŋwɔ́n | kɑ̄ɲ | kɑ́ɲ ɑ̀pé (5 + 1) | kɑ̄ɲ ɑ̀ré (5 + 2) | kɑ̄ɲ ɑ̀wūní (5 + 3) | kɑ̄ɲ ɑ̀ŋɔ́n (5 + 4) | tɔ̄mɔ́n |
서부, 루오, 남부, 루오-아촐리, 알루르-아촐리, 알루르 | 알루르어 | àcìɛ̄l | àríɔ̀ | àdék | àŋùén | àbîc | àbúcìɛ̀l (5+ 1) | àbírɔ́ (5+ 2) | àboônà (5+ 3) | àbúŋwɛ̄ɛ̄n (5+ 4) | àpáàr |
서부, 루오, 남부, 루오-아촐리, 알루르-아촐리, | 아촐리어 | àcíèl | àríò | àdék | àŋwɛ̂n | àbîc | àbícíèl (5+ 1) | àbíìrɔ́ (5+ 2) | àboôrà (5+ 3) | àbúŋwɛ́n (5+ 4) | àpáàr |
서부, 루오, 남부, 루오-아촐리, | 아촐리어 | àcɛ̂l | àryɔ̂ | àdêk | àŋwɛ̂n | àbîc | àbícɛ̀l (5 + 1) | àbíryɔ̀ (5 + 2) | àbórò (5 + 3) ?? | àbóŋwɛ̀n (5 + 4) | àpâr |
서부, 루오, 남부, 루오-아촐리, 루오 | 돌루오어 | àcìɛ̄l | àríɔ̀ | àdék | àŋùén | àbîc | àúcìɛ̀l (5+ 1) | àbíríɔ̀ (5+ 2) | àborô | ɔ́cíkɔ̀ | àpáàr |
참조
[1]
웹사이트
Nilotic; Ethnologue
https://www.ethnolog[...]
[2]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Nilotic
http://www.dictionar[...]
2016-10-26
[3]
웹사이트
Nilotic Family
http://pages.uoregon[...]
2016-10-26
[4]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6
[5]
서적
Methodology and Afric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UNESCO
1981
[6]
문서
Nilo-Saharan language list
http://rogerblench.i[...]
2012
[7]
문서
The Eastern Sudanic hypothesis tested through lexicostatistics: current state of affairs
https://www.academia[...]
2015
[8]
문서
"The lexical reconstruction of proto-Nilotic: a first reconnaissance."
1988
[9]
웹사이트
The Nilo-Saharan Language Phylum
https://lingweb.eva.[...]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
[10]
문서
稗田
1989
[11]
간행물
ダトーガ語(バジュータ方言)の子音体系について
[12]
웹인용
Nilotic Family
http://pages.uoregon[...]
2016-10-26
[13]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6
[14]
서적
Methodology and Afric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UNESCO
1981
[15]
문서
Nilo-Saharan language list
http://rogerblench.i[...]
2012
[16]
문서
The Eastern Sudanic hypothesis tested through lexicostatistics: current state of affairs
https://www.academia[...]
2015
[17]
문서
"The lexical reconstruction of proto-Nilotic: a first reconnaissance."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