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일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일어족은 나일강 유역과 관련된 어족으로, 오늘날 약 700만 명이 이 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이들은 콩고민주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 등지에 주로 거주하며, 조지프 그린버그의 분류에 따르면 동나일어파, 남나일어파, 서나일어파로 나뉜다. 각 어파는 다시 여러 하위 분류로 나뉘며, 언어별로 수사 체계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일어족 - 마사이어
    마사이어는 케냐 남부와 탄자니아의 마사이족이 사용하는 성조 언어로, 삼부루어와 계통이 가깝고 설근 전진 모음 조화 체계를 지니며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고 VSO 어순을 가진다.
  • 나일어족 - 딩카어
    딩카어는 남수단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20개의 자음과 13개의 단모음을 가지며 성조 언어이고, 모음의 길이와 발성, 형태론적 변화가 특징이며, 5개의 방언군으로 나뉘어 여러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나일어족
개요
언어 종류어족
사용 민족나일족
주요 사용 지역에티오피아 남서부, 남수단, 수단, 콩고 민주 공화국 북동부, 우간다 북부, 케냐 서부, 탄자니아 북부
사용 인구5,000만 명
어족 색상나일사하라
계통 분류
상위 어족 (미확정)나일사하라어족
어파 1동수단어파
어파 2키르-아바이아어파
하위 분류
어파 1동나일어파
어파 2남나일어파
어파 3서나일어파
언어 코드
글롯토로그nilo1247
글롯토로그 명칭Nilotic
지도 정보
나일어족 언어 사용 지역
나일어족 언어 사용 지역

2. 어원

"나일어족"은 나일강 또는 아프리카의 나일 지역과 관련이 있다는 의미이다.[2]

3. 인구

오늘날 약 7백만 명이 나일어족 언어를 사용한다. 나일계 민족들은 본디 나일강 상류 지역에서 기원했으며 오늘날 콩고민주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의 일부 지역에 살고 있다.[12] 나일족 원어민들은 원래 수단의 게지라 지역에서 이주해왔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수단,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 일부 지역에 거주한다.[3]

4. 분류

조지프 그린버그에 따르면 나일어족은 동나일어파, 남나일어파, 서나일어파의 세 어파로 나뉜다.[13] 과거에는 서나일어파만을 나일어족이라 칭하고, 나머지 두 어파는 '나일·함어족'이라 불렀다.[14]

로저 블렌치(2012)는 부룬어군이 나일어족의 독립된 분기군이라고 주장했지만,[15] 이전에는 루오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조지 스타로스틴 (2015)은 마반·부룬어군이 서나일어파에 속하지만 루오어군 바깥에 있다고 보았다.[16]

Hammarström ''et al.'' (2019)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어파하위 언어
서나일어파(하위 섹션 참조)
동나일어파(하위 섹션 참조)
남나일어파


4. 1. 서나일어파

조지프 그린버그에 따르면 서나일어파에는 루오어, 누에르어, 딩카어 등이 속한다.[13] 그린버그 이전에는 나일어족이라는 이름이 서나일어파만을 가리켰으며, 다른 어파들은 ‘나일·함어족’이라고 불렸다.[14]

로저 블렌치(2012)는 부룬어군이 나일어족의 독립된 분기군이라고 주장한다.[15] 이전에는 부룬어군이 루오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조지 스타로스틴 (2015)은 마반·부룬어군이 서나일어파에 속하지만 루오어군 바깥에 있다고 보았다.[16]

Hammarström ''et al.'' (2019)에 따른 서나일어파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어군하위 언어
딩카-누에르어군(Dinka-Nuer)
루오-부룬어군(Luo-Burun)


4. 2. 동나일어파

'''동나일어파'''는 조지프 그린버그가 분류한 나일어족의 한 어파이다.[13] 투르카나어, 마사이어 등이 여기에 속한다.[13]

동나일어파는 크게 '''테소-로투고-마어어군'''과 '''바리-카크와-만다리어'''로 나뉜다.

  • '''테소-로투고-마어어군'''(Teso-Lotuxo-Maa)
  • 테소-투르카나어군(Teso-Turkana)
  • 테소어
  • 투르카나어군(Turkanic)
  • 카라모종어(Karamojong)
  • 투르카나어(Turkana)
  • 토포사어(Toposa)
  • 냥가톰어(Nyangatom)
  • 로투고-마어어군(Lotuxo-Maa)
  • 옹가모-마어어군(Ongamo-Maa)
  • 옹가모어(Ongamo)
  • 마어군(Nuclear Maa)
  • 삼부루어
  • 마사이어
  • 로투고어군(Lotuxo)
  • 동고토노어(Dongotono)
  • 랑고어(Lango)
  • 로코야어(Lokoya)
  • 로투고어(Lotuxo)
  • 로피트어(Lopit)
  • '''바리-카크와-만다리어'''
  • 카크와어
  • 바리어(Bari)
  • 만다리어

4. 3. 남나일어파

칼렌진어, 다토가어 등이 있다.[4]

5. 재구

Dimmendaal (1988)은 나일조어 어근을 200개 이상 재구한 바 있다.[17][8] Dimmendaal은 원시 나일어족 자음을 다음과 같이 재구축했다.


6. 수사

분류언어12345678910
동부, 바리바리어ɡɛ́lɛ̀ŋmʊ̀rɛ́kmʊ̀sálàɪ́ŋwànmʊ̀kánàtbúkɛ̀rbúryòbúdö̀kbʊ́ŋwànpúwö̀k
동부, 로투코-테소, 로투코-마, 로투코로피트어F/ M nàbóìtóì / lòbóìtóìlòhórìk, ariklòhúnìklóŋwánmìyét (litː < )ilehatarik (5 + 2)hotohunɪk (5 + 3)hotoŋwan (5 + 4)tomon
동부, 로투코-테소, 로투코-마, 로투코로투호어 (1)ábótèáréhèhúníheáŋwànmìyyàt (litː < )ɪ́llehàtmɪk (5 + 2)hùtohunɪk (5 + 3)hùtoŋwan (5 + 4)tòmmòn
로투호어 (2)ʌ̀bóíté / âbotyeʌ̀ríxèy / árrexaixúnixòì / xunixoiaŋwânmíèt < '손'ɪ́llɛ́xáttàrɪ̀k (5 + 2)xóttóxúnìk (5 + 3)xɔ́ttɔ́ŋwàn (5 + 4)tɔ́mɔ̀n
동부, 로투코-테소, 로투코-마, 오가모-마마사이어nabô (여성), obô (남성), nebô (장소)aré (여성), aàre/ɔáre (남성)uní (여성), okúni (남성)oŋwán (여성), oóŋwan (남성)ímíêtílɛ̂ / íllɛ̂naápishana (여성), oópishana (남성)ísíêt < 칼렌진어naáudo (여성), oódó (남성)tɔ́mɔ̂n < 칼렌진어
동부, 로투코-테소, 로투코-마, 오가모-마삼부루어naɓô (여성), oɓô (남성), noɓô (장소)aré (여성), waáre (남성)uní (여성), okúni (남성)onɠwán (여성), oónɠwan (남성)ímɟêt / ímʄêtílêsápâísɟêt / ísʄêt < 칼렌진어sâːltômôn < 칼렌진어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테소테소어 (1)ìdʸòpétìɑɾèíwúnííwóŋóníkɑ̀ɲíkɑ̀ɲɑ̂pè (5 + 1)íkɑ̀ɲɑ̂ɾè (5 + 2)íkɑ̀ɲɑ̂wùní (5 + 3)íkɑ̀ɲɑ̂wòŋòn (5 + 4)ítòmòn
테소어 (2)-diope-árèy-(w)únì-oŋôn-kaɲ < '손'kaɲ kape (5 + 1)kaɲ karey (5 + 2)kaɲ kauni (5 + 3)kaɲ kaoŋon (5 + 4)tɔ́mɔ̀n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투르카나카라모종어(도도토) (1)ɲípéíŋíááréíŋúúníŋóómwánŋííkan (< 손)ŋíkan ka péí (5 + 1)ŋíkan ka áréí (5 + 2)ŋíkan ka úní (5 + 3)ŋíkan ko ómwán (5 + 4)ŋítomón
카라모종어 (2)ɛpeiŋiareiŋiuniŋiomwɔnŋikan < 손ŋíkàn kà-pei (5 + 1)ŋíkàn kà-arei (5 + 2)ŋíkàn kà-uni (5 + 3)ŋíkàn kà-omwɔn (5 + 4)ŋítɔ̀mɔ́n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투르카나냥가톰어a-péy ̀ŋa-áréy ̀ŋa-uní ̀ŋa-omwɔn ̀ŋa-kànɪ (litː )ŋa-kanɪ̀ ka-pey (5 + 1)ŋa-kanɪ̀ ka-arey (5 + 2)ŋa-kanɪ ka-uni (5 + 3)ŋa-kanɪ ka-omwɔn (5 + 4)ŋa-tɔ̀mɔn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투르카나토포사어péìáréìʊ́nìɔ́ŋwɔ́nkànì̥ < 손kànì̥ kà-péì (5 + 1)kànì̥ kà-àréì (5 + 2)kànì̥ kà-ʊ́ní (5 + 3)kànì̥ kà-ɔ́ŋwɔ́n (5 + 4)tɔ̀mɔ́ní̥
동부, 로투코-테소, 테소-투르카나, 투르카나투르카나어a-péy ̀ŋa-áréy ̀ŋa-úní ̀ŋa-ómwɔ̀n ̀ŋa-kànɪ̥ < 손ŋa-kanɪ ka-péy (5 + 1)ŋa-kanɪ ka-áréy (5 + 2)ŋa-kanɪ ka-úní (5 + 3)ŋa-kanɪ ka-ómwɔ̀n (5 + 4)ŋa-tɔ̀mɔn
남부, 칼렌진, 엘곤쿠프사비니어aɡeenɡe [akɛ́ːŋkɛ]äyëëny [ɑréːɲ]sömök [sómok]anɡʼwan [aŋwán]müüt [múːt]müüt äk aɡeenɡe [múːt ɑk akɛ́ːŋkɛ]müüt äk äyëëny (5 + 2)müüt äk sömök (5 + 3)müüt äk anɡʼwan (5 + 4)taman [támán]
남부, 칼렌진, 엘곤사바오트어(코니 방언)akeenke [ aɡɛ́ːŋɡɛ]āyēēnɡʼ [ɑyéːŋ]sōmōk [sómok]anɡʼwan [aŋwán]mūūt / muut [múːt]lo [lɑ]tisab [tɪ́sap]sisiit [sɪsɪ́ːt]sokool [sɑ́kɑːl]taman [támán]
남부, 칼렌진, 난디-마르케타, 마르케타체랑가니어àkɛ́ɛ́ŋkɛ̀ʌ́yíínsómòkáŋwaanmúútlɔ̀tɪsápsìsítsʌ́ɡʌ́ltámán
남부, 칼렌진, 난디-마르케타, 마르케타엔도어(마라케트)ɒ́kɔ́ːŋɔərèːɲsómókɒ́ŋwɒ̀nmùːtlɔ́tɪ́sɔ́psisíːtsɔkɔ̀ːltɒmɒn
남부, 칼렌진, 난디-마르케타, 난디케이요어àkɛ́ŋɡɛ̂ / àɛ́ŋɡɛ̂aɛ́ːŋ /aɛ́ːɲsɔ̀mɔ̂kàŋwànmʊ́ːtlɔ̂tɪ̀sâpsɪ̀sɪ́ːtsɔ́kɔ́ːltámán
남부, 칼렌진, 난디-마르케타, 난디투겐어àɣééɲɡéàééɲsómókàɲwánmúúttísápsìsíítsóɣóòltàmán
남부, 칼렌진, 오키크아키어akɛɛnkɛayensomokaŋwànmʊ́ʊ́tílɛnápíʃanaísíêtnáúdotaman
남부, 칼렌진, 포코트포코트어àkɔ́ɔ́ŋkɔ̀oɣë̀ë̀ŋ / òdë̀ë̀ŋsä́mä́kàŋwânmúutmúut ŋɡɔ́ àkɔ́ɔ́ŋɔ̀ (5 + 1)múut ŋɡɔ́ òdë̀ë̀ŋ (5 + 2)múut ŋɡɔ́ sä́mä́k (5 + 3)múut ŋɡɔ́ àŋwân (5 + 4)támàn
남부, 타토가아심지그 다토가어 (1)àkàlɛːlɛ̀ː / ák / (àqàlɛːlɛ̀ː)íjèɲsàmòɡwàŋwànmùːtísːpòsìsʃàɡàʃdàmàn
다토가어 (2)ɑ̀ɡiíiyèeɲɑsɑ́mɑ̀ɡuɑ́ŋwɑ́nmʊ̀ʊtlɑ́íispɑ̀sísʃɑ́ɡɛ̀ɛʃdɑ̀mɑ́nɑ́mʊ́qʊ̀ʊʃ
다토가어 (3)ʔàɡiíyèeɲasàmàɡuʔàŋwànmùuti ~ bánàakta mùutilàhìsbà ~ isbwàsìss ~ sìsʃàɡèeʃʃ ~ ʃàɡèeʃdàmáná múqùuʃ
서부, 딩카-누에르, 딩카딩카 아가르어ʈɔ́krɔ́ʷdʲákŋʊ̀ʷânðíɟðɛ̀ʈemðɜ̀rʊ́ʷbɛ̀ʈðɔ̀ŋʊ́ʷànt̪íʲàːr
딩카 파당어tò̤kròwdyá̤kŋwánd̪yì̤cd̪ètémd̪ɔ̀rɔ́wbɛ̤́td̪ɔ̀ŋwánt̪yɛ́ɛ̀r
서부, 딩카-누에르, 누에르누에르어 (1)kɛ̀ːlrɜ̀ʷdɪʲɔ̂kŋʊ́ʷǎnðɪ́ʲɛ̀ɟbakɛ̀l (5 + 1)bàraʷ (5 + 2)bɛ̀dak (5 + 3)bɜ̀ŋʊ́ʷǎn (5 + 4)wɜ́ːl
누에르어 (2)kɛ́ɛ̀lrɛ̌wdyɔ̌kŋwánd̪yè̤cbʌ̤́kɛ̀l (5 + 1)bʌ̤rɔ̀w (5 + 2)bʌ̤̀dá̤k (5 + 3)bʌ̤́ŋwàn (5 + 4)wá̤l
서부, 루오, 북부, 아누악아누악어 (1)àcíɛ̀làríyɔ̀àdʌ́kàŋwɛ́ɛ́nàbícàbícìɛ̀l (5+ 1)àbíríyɔ̀ (5+ 2)àbárà (5+ 3)àbíŋwɛ̀ɛ̀n (5+ 4)àpár
아누악어 (2)aciel / acíɛ̀lariio̤ / aríɪàwada̤k / adʌ́ɡaŋween / aŋwɛ́ɛnabi̤i̤c / abíiɟabi̤ciel / abícíɛ̀l (5+ 1)abi̤riio̤ /abíríɪàw (5+ 2)aba̤ra / abʌ́rʌ́ (5+ 3)abi̤ŋween / abíŋwɛ̀ɛn (5+ 4)apaar / apáar
서부, 루오, 북부, 보르벨란다 보르어ákɛɛ̂larɛ̂wàdéɡàŋwɛ́nàbícàbíc kúkɛ́l (5+ 1)àbíc kúrɛ̂w (5+ 2)àbíc kùdēēk (5+ 3)àbíc kúŋwɛ̂n (5+ 4)áfaàr
서부, 루오, 북부, 유르루오어áciɛ̄lɔ́á̟riɔ̄wá̟dá̟ɡáŋwɛ̄ːnàbī̟ːjábíciɛ̄l (5 + 1)ábɛ́riɔ̄w (5 + 2)á̟bɛ̟́dā̟ɡ (5 + 3)ábɛ́ŋwɛ̄ːn (5 + 4)āpāːr
서부, 루오, 북부, 마반-부룬, 부룬부룬어kɛɛl / kɛ̀ɛlrɛɛ / rɛ̄ɖʌk /ɖʌ̄kŋan / ŋānd̪oc / dōocɖowk /ɖɔ́ùkŋat̪ukɛl / ŋàtúkɛ́lŋunu / ŋɔ̀nʊ́ɟucukɛl / ɲùcúkɛ́lcaac / cáac
서부, 루오, 북부, 마반-부룬, 마반마반어cyɛ́ɛlɔ̀yɛ́ɛwɔ̀ɗɔ́ɔ́ɡɔ́ŋáánɔ̀d̪ɔ́ɔ́yɔ̀d̪ɔ́ɔ́yɔ̀ wílin nè cyɛ́ɛlɔ̀ (5 + 1)d̪ɔ́ɔ́yɔ̀ wítkɛ̀n nè yɛ́ɛwɔ̀ (5 + 2)d̪ɔ́ɔ́yɔ̀ wítkɛ̀n nè ɗɔ́ɔ́ɡɔ́ (5 + 3)d̪ɔ́ɔ́yɔ̀ wítkɛ̀n nè ŋáánɔ̀ (5 + 4)ínyáákkɛ̀n (lit: 양손)
서부, 루오, 북부, 쉴루크쉴루크어àkjɛ̀láɾjɛ̀wádə̀káŋwɛ̀nábîcábîkjɛ̀l (5 + 1)abìɾjɛ̀w (5 + 2)àbîdèk (5 + 3)ábîŋwɛ̀n (5 + 4)pjáár
서부, 루오, 북부, 투리투리어ácîelaríòwádeèkàŋwɛɛ̀nàbíícabícbícèl (5+ 1)àbícbə́riə́ɔ̀w (5+ 2)àbícbídèk (5+ 3)àbíc bə́ŋwɛ́ɛn (5+ 4)ápaàr
서부, 루오, 북부, 미분류패리어 (1)ácɛ̀lɔ́árìyɔ́ádòɡóáŋwɛ̀nɔ́ábìd͡ʒɔ́àbícɛ̀lɔ́ (5+ 1)àbírìyɔ́ (5+ 2)ábʌ̄rà (5+ 3)ábúŋwɛ̀nɔ́ (5+ 4)ápàr
패리어 (2)acyelo, tookaryo, ireekadöɡo, ɡalaaŋwenoabijo, kunatabicyelo (5+ 1), bukelabiryo (5+ 2), buryoabidö̈ɡo, aböra (5+ 3), bodökabuŋweno (5+ 4), buŋwanapar
서부, 루오, 남부, 아돌라아돌라어 (1)ɑ́cêrɑ́rîoɑ́dêːkɑ́ŋʷênɑ́bîːcɑ̀ᵘcèr (5+ 1)ɑ̀bírîo (5+ 2)ɑ́bôːrò (5+ 3)ɑ̀búŋʷèn (5+ 4)ɑ́pɑ̂ːr
아돌라어 (2)àcíɛlàríóàdeékàŋwɛɛ̂nàbîcàwúciɛ̄l (5+ 1)àbíirò (5+ 2)àbɔ́ɔ̀rò (5+ 3)àbúŋwɛ́n (5+ 4)ápāar
서부, 루오, 남부, 쿠맘쿠맘어ɑ̀cɛ́lɑ̀réɑ̀dēkòŋwɔ́nkɑ̄ɲkɑ́ɲ ɑ̀pé (5 + 1)kɑ̄ɲ ɑ̀ré (5 + 2)kɑ̄ɲ ɑ̀wūní (5 + 3)kɑ̄ɲ ɑ̀ŋɔ́n (5 + 4)tɔ̄mɔ́n
서부, 루오, 남부, 루오-아촐리, 알루르-아촐리, 알루르알루르어àcìɛ̄làríɔ̀àdékàŋùénàbîcàbúcìɛ̀l (5+ 1)àbírɔ́ (5+ 2)àboônà (5+ 3)àbúŋwɛ̄ɛ̄n (5+ 4)àpáàr
서부, 루오, 남부, 루오-아촐리, 알루르-아촐리,아촐리어àcíèlàríòàdékàŋwɛ̂nàbîcàbícíèl (5+ 1)àbíìrɔ́ (5+ 2)àboôrà (5+ 3)àbúŋwɛ́n (5+ 4)àpáàr
서부, 루오, 남부, 루오-아촐리,아촐리어àcɛ̂làryɔ̂àdêkàŋwɛ̂nàbîcàbícɛ̀l (5 + 1)àbíryɔ̀ (5 + 2)àbórò (5 + 3) ??àbóŋwɛ̀n (5 + 4)àpâr
서부, 루오, 남부, 루오-아촐리, 루오돌루오어àcìɛ̄làríɔ̀àdékàŋùénàbîcàúcìɛ̀l (5+ 1)àbíríɔ̀ (5+ 2)àborôɔ́cíkɔ̀àpáàr

[9]

참조

[1] 웹사이트 Nilotic; Ethnologue https://www.ethnolog[...]
[2]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Nilotic http://www.dictionar[...] 2016-10-26
[3] 웹사이트 Nilotic Family http://pages.uoregon[...] 2016-10-26
[4]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6
[5] 서적 Methodology and Afric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UNESCO 1981
[6] 문서 Nilo-Saharan language list http://rogerblench.i[...] 2012
[7] 문서 The Eastern Sudanic hypothesis tested through lexicostatistics: current state of affairs https://www.academia[...] 2015
[8] 문서 "The lexical reconstruction of proto-Nilotic: a first reconnaissance." 1988
[9] 웹사이트 The Nilo-Saharan Language Phylum https://lingweb.eva.[...]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
[10] 문서 稗田 1989
[11] 간행물 ダトーガ語(バジュータ方言)の子音体系について
[12] 웹인용 Nilotic Family http://pages.uoregon[...] 2016-10-26
[13]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6
[14] 서적 Methodology and African Prehistory https://books.google[...] UNESCO 1981
[15] 문서 Nilo-Saharan language list http://rogerblench.i[...] 2012
[16] 문서 The Eastern Sudanic hypothesis tested through lexicostatistics: current state of affairs https://www.academia[...] 2015
[17] 문서 "The lexical reconstruction of proto-Nilotic: a first reconnaissance."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