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NLF)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정부군과 미국에 맞서 싸운 반군 단체이자 인민전선 조직으로, '베트콩'으로도 불렸다. 1960년 12월 결성되어 게릴라전을 펼쳤으며, 북베트남의 지원을 받았다. 1968년 테트 공세 이후 세력이 약화되었고, 1975년 사이공 함락 후 남베트남이 멸망하면서 해체되었다. 베트콩은 민족 해방 운동 세력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전쟁 범죄와 관련된 논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 후에 대학살
    후에 대학살은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베트콩이 후에 시를 점령한 후 정부 관리, 군인, 경찰, 지식인, 민간인 등을 체포 및 처형한 대량 학살 사건으로, 학살 규모와 책임 소재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며 베트남 전쟁의 비극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 베트남 국민주의 - 호찌민 사상
    호찌민 사상은 마르크스-레닌주의, 베트남 전통 사상 등을 기반으로 민족 해방, 계급 해방, 인류 해방을 핵심으로 하며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한다.
  • 베트남의 공산주의 - 베트남의 트로츠키주의
    베트남의 트로츠키주의는 1930년대 안남 독립당 학생 청년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식민지 독립과 사회주의 혁명을 주장하며 활동했으나, 스탈린주의와의 갈등, 프랑스 식민 당국의 탄압, 베트민과의 경쟁 속에서 세력이 약화된 정치 운동이다.
  • 베트남의 공산주의 - 호치민 공산주의 청년 연합
    호치민 공산주의 청년 연합은 베트남 공산당의 지도 아래 공산주의 이념과 호치민 사상을 계승하며 청년들의 교육, 사회 참여, 권익 보호를 통해 베트남 발전에 기여하는 청년 대표 단체이다.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로마자 표기Mặt trận Dân tộc Giải phóng miền Nam Việt Nam
약칭비엣콩 (VC)
전선 (Mặt trận)
활동 기간1954년 (남부 비엣민 간부) - 1977년 2월 4일
이념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좌익 민족주의
반제국주의
혁명적 사회주의
위치인도차이나, 특히 남베트남
전신비엣민
후신베트남 조국전선
조직
주요 조직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남베트남 중앙 사무국
남베트남 해방군
민족, 민주 및 평화 세력 동맹
본부떠이닌 (1960년–1966년)
메못 (캄보디아) (1966년–1972년)
록닌 (남베트남) (1972년–1975년)
사이공 (1975년–1977년)
지도부
해방전선응우옌흐우토 (주석)
후인떤팟 (사무총장 겸 부주석)
풍반꿍 (부주석)
보찌꽁 (부주석)
해방군응우옌흐우쑤옌 (1961년–1963년)
쩐반짜 (1963년–1967년, 1973년–1975년)
호앙반타이 (1967년–1973년)
중앙 사무국응우옌반린 (1961년–1964년)
응우옌찌타인 (1964년–1967년)
팜훙 (1967년–1975년)
정부응우옌흐우토 (주석)
후인떤팟 (총리)
응우옌티빈 (외무장관)
쩐남쭝 (국방장관)
쯔엉느땅 (법무장관)
관련 정당
관련 정당베트남 조국전선
베트남 노동당 (중앙 사무국을 통해)
베트남 인민혁명당
동맹 및 적대 세력
동맹 국가북베트남
중화인민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북한
동독
쿠바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스웨덴 (주장)
동맹 단체크메르 루주 (1975년까지)
파테트라오
적대 국가남베트남
크메르 공화국
라오스 왕국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뉴질랜드
필리핀
중화민국
태국
미국
적대 단체억압 인종 해방을 위한 연합 전선 (FULRO)
주요 전투
주요 전투전투 목록 참고
기타 정보
기타 정보브링크 호텔 폭파

2. 이름

'''베트콩'''(Việt Cộng)은 남베트남과 그 연합군이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에 저항하는 반군 단체 및 인민전선 조직을 부르는 말이며, 남베트남 국민해방전선의 전투원을 지칭하는 뜻으로도 쓰였다. 베트콩이라는 용어는 "베트남 공산주의자"를 뜻하는 '비엣남 꽁산'(Việt Nam Cộng Sảnvi)에서 왔다.[8] "베트콩"(Việt Cộng)이라는 용어는 1956년부터 사이공 신문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8] 이는 베트남 공산주의자(Việt Nam cộng sản)의 축약어이다.[8]

베트남 공식 역사는 이 단체의 이름을 남베트남 해방군 또는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NLFSV; Mặt trận Dân tộc Giải phóng miền Nam Việt Namvi)이라고 한다.[10][11] 영어로는 "Liberation Army of South Vietnam영어", "National Liberation Front for South Vietnam영어", 또는 "the National Front for the Liberation of South Vietnam"[97]이며,[98] 약칭은 '''NLF'''('''N'''ational '''L'''iberation '''F'''ront영어)이다. 따라서 "남베트남'''민족 해방'''전선"이라는 한국어 표기도 사용되었다.[99]

'''베트콩(Việt Cộng)'''(Vietcong영어)이라는 명칭은 원래 미국과 베트남 공화국 측의 경멸적인 호칭이었으며, 베트남 공화국의 대통령이었던 응오딘지엠이 명명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도 보도 등을 통해 일반화되었다.

미군은 "Vietnamese Communist영어" (베트남 공산주의자)의 머리글자를 딴 '''V.C.영어'''(비시) 또는 V와 C의 NATO 음성 코드인 빅터 찰리의 후반부를 딴 '''찰리'''라고 불렀다.

3. 성립 배경과 역사

응오딘지엠이 이끄는 남베트남은 제네바 협정에 서명하지 않고, 1955년 7월 통일을 위한 예정된 선거를 치르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응오딘지엠 정권은 미국의 지원 아래 1956년 토지 개혁을 실시했으나, 소작제 폐지가 아닌 소작료 인하와 지주 토지 면적 제한 조치에 불과했다.[15] 지주는 경작지를 100 헥타르까지, 조상 제사용으로 15 헥타르를 추가로 보유할 수 있었고, 농민은 5 헥타르를 초과하여 토지를 매입할 수 없었다.

응오딘지엠 정권은 소작료를 최대 25%로 제한했지만, 베트민이 토지 개혁을 실시했던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소작료가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15] 대지주 소유 집중도는 낮아졌다고 선전되었지만, 실제로는 미미한 차이였고 농민 생활 수준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소작료 상한선은 지켜지지 않았고, 지역 공무원들은 뇌물을 받고 불법 행위를 눈감아 주었다.[15] 지엠 정권은 농민 운동을 강경 진압하고 농촌 통제 정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트남 농촌 지역의 소작 운동 규모는 커져만 갔다. 1960년 12월 20일, 소작 쟁의를 주도한 지방과 도시의 농민회와 공산주의자 소조직이 연합하여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결성하였고, 1962년 1월 1일에는 혁명 정당으로 인민혁명당이 결성되었다.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남하한 북베트남인 상당수가 합류했으며, 비(非)공산주의자들도 다수 참가했다.[15] 북베트남은 1960년대부터 민족해방전선에 무기와 보급품 등을 적극 지원하여 게릴라 활동을 도왔다.

"베트콩"(Việt Cộng)이라는 용어는 1956년부터 사이공 신문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베트남 공산주의자(Việt Nam cộng sản)의 축약어이다.[8] 미군 병사들은 베트콩을 빅터 찰리(Victor Charlie) 또는 VC라고 불렀다.[8]

호치민 루트(1959년)를 통해 남쪽으로 물자를 수송하는 병사들과 민간인들


1964년 초 남베트남의 공산군에 대한 미군 지도


upright


1967년 미국 육군에 의해 포로로 잡힌 베트콩 포로가 심문을 기다리고 있다.


1968년 동하, RVN 외부에서 미 해병대에 포로로 잡힌 베트콩 병사들

3. 1.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하 베트콩)은 주로 게릴라전 전술을 사용하여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 정부군과 미군에 맞섰다. 이들은 베트남 민주공화국(북베트남)으로부터 호찌민 루트를 통해 군사 지원을 받았다.[8]

1968년 뗏 공세는 베트콩의 대규모 공격이었으나, 이로 인해 베트콩 세력은 심각한 피해를 입고 캄보디아로 밀려났다. 이후 베트콩은 북베트남에 대한 의존이 강화되었고, 주요 공세는 북베트남 군대가 주도하게 되었다. 북베트남 내부에서는 쯔엉찐의 "북부 우선" 파벌과 레주언의 "남부 우선" 파벌 간의 대립이 있었으나, 1970년 레주언의 지위가 상승하면서 호찌민 루트가 재개되었다.

베트콩은 1964년 브링크스 호텔 폭격과 같이 테러를 표준 전술로 사용했다.[54] 훼 대학살에서는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 3,000명 이상을 학살했고,[57] 1965년 사이공의 미 칸 부유 식당 폭격으로 48명이 사망했으며,[57] 1967년 닥선 마을에서는 몬타냐르 252명을 학살했다.[58] 베트콩 처형대는 남베트남에서 최소 3만 7천 명의 민간인을 암살했다.[59]

브링크스 호텔, 사이공, 1964년 12월 24일 베트콩 폭격 이후. 미국 장교 2명이 사망했다.


미 공군 더글러스 스카이레이더가 1966년 남베트남 베트콩 진지에 백린탄을 투하하는 모습.


1973년 파리 평화 협정에도 불구하고 전투는 계속되었고,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은 종식되었다. 이후 남베트남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북베트남군에 있었다. 북베트남 지도층은 1975년 8월 당 회의에서 베트콩과의 협의 없이 조직 해산을 결정했고, 1976년 남베트남 합병 이후 1977년까지 조직은 해산되어 베트남 조국 전선으로 편입되었다.[91]

4. 강령

1960년 창립 당시 베트콩응오딘지엠 정권 타도, 민족민주연합정부 수립, 진보적 민주주의 실현, 토지 개혁, 평화적 중립 외교, 남북 관계 정상화와 평화적 통일 등 10개 항의 강령을 채택했다.[1] 1967년 8월 열린 임시전국대회에서는 창립 강령을 구체화한 새로운 정치 강령을 채택했다.[1]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1]


  • 응오딘지엠 정권 타도, 민족민주연합정부의 수립.[1]
  • 진보적 민주주의 실현.[1]
  •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경제의 건설.[1]
  • 소작료 경감과 점진적 토지개혁.[1]
  • 민족문화의 건설.[1]
  • 인민의 군대 건설[1]
  • 남녀동권, 민족평등, 재베트남 외인과 재외베트남인의 권리보장[1]
  • 평화적 중립적 외교정책[1]
  • 남 북 베트남의 관계정상화와 평화적 통일[1]
  • 세계평화 옹호[1]

5. 조직 구성

베트콩은 여러 정당과 단체들의 연합체였다. 주요 정당은 다음과 같다.[104][107]


  • 베트남 인민혁명당: 1962년 1월 1일에 결성된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이다. 북베트남의 베트남 노동당의 위장 정당으로 여겨진다. 의장은 호지민이었다.
  • 남베트남 급진사회당
  • 베트남 민주당: 1944년에 결성된 민족 부르주아와 소부르주아 정당이다. 의장은 후인떤팟이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대중 단체들이 참여했다.[104][107]

  • 해방노동자협회
  • 해방농민협회
  • 해방부녀연합회
  • 해방학생·제자연맹
  • 해방청년동맹
  • 인민혁명청년단
  • 해방작가예술가협회
  • 애국민주언론인협회
  • 구저항전사협회
  • 애국군인가족회
  • 해방적십자사


종교 단체로는 남베트남 불교회, 애국기독교도협회, 화호교 등이 참여했고,[104][107] 아시아·아프리카 연대 베트남 위원회, 민주법률가협회, 타이응웬 소수민족 자치운동 등 여러 파벌들도 참여했다.[104][107]

6. 징병제

베트콩은 지배 지역에서 징병제를 실시했으나, 장기간의 전쟁으로 징병 기피가 만연했다. 1965년부터는 징병 대상을 15세 이상 남녀로 확대하여 병력을 충원했다.[108]

7. 논란

베트콩은 전쟁 중 포로 학대, 민간인 학살(특히 후에 대학살)[57][58], 테러 등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는다.[59] 1968년 2월 12일 퐁니·퐁넛 학살 사건은 당초 베트콩의 소행으로 알려졌으나, 미군 조사 결과 한국 해병대에 의한 학살로 밝혀졌다.[102]

8. 평가

응오딘지엠이 명명했다고 알려진 "베트콩(Việt Cộng)"이라는 명칭은 원래 미국베트남 공화국 측에서 경멸적인 의미를 담아 사용하던 호칭이었다.[99] 한국에서도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이 용어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중국 공산당이 "중공"을 공식 약칭으로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베트남 노동당 및 베트남 공산당은 "베트콩"을 공식 약칭으로 사용한 적이 없다. 이들의 정치 조직 또는 통일 전선 조직으로서의 약칭은 "해방 전선"이며, 군사 부문은 "해방군"으로 불렸다.

미군은 베트콩을 Vietnamese Communist영어 (베트남 공산주의자)의 머리글자를 따서 "V.C.영어" 또는 V와 C의 NATO 음성 코드인 빅터 찰리의 뒷부분을 따서 '찰리'라고 불렀다.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Liberation Front (Viet Cong) https://www.fotw.inf[...]
[2] 서적 Discovering Kubrick's Symbolism: The Secrets of the Film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0-07-29
[3] 서적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Mitchell Lane 2020-02-04
[4] 간행물 Liberation Front: Formation of the NLF http://www.marxists.[...] International Publishers 1963
[5] 뉴스 Man in the News: Lt.-Gen. Tran Van Tra http://www.osaarchiv[...] 1973-02-02
[6] 웹사이트 Provisional Revolutionary Government of South Vietnam (1969–1975) http://facultystaff.[...] University of Richmond 2008-06-28
[7] 학술지 The Swedish-American Conflict over Vietnam
[8] 웹사이트 Origins of the Insurgency in South Vietnam, 1954–1960 http://www.mtholyoke[...] 2008-06-13
[9] 백과사전 Viet Cong
[10] 서적 Victory in Vietnam: The Official History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 1954–1975 University Press of Kansas
[11] 뉴스 Program of the National Liberation Front of South Viet-Nam https://books.google[...] Monthly Review Press 1961-01
[12] 일반
[13] 일반
[14] 뉴스 https://web.archive.[...]
[15] 서적
[16] 서적
[17] 웹사이트 The History Place — Vietnam War 1945–1960 http://www.historypl[...] 2008-06-11
[18] 서적 The Vietnam War from the Other Side https://books.google[...] RoutledgeCurzon
[19] 서적
[20] 서적 Where the Domino Fell: America and Vietnam, 1945–1990 St. Martin's Press
[21] 서적
[22] 서적 The Military Art of People's War: Selected Writings of General Vo Nguyen Giap
[23] 서적
[24] 웹사이트 The effects of just one month spent in a Viet Cong prison camp show on 23-year-old Le Van Than, who had defected from the Communist forces and joined the Government side, was recaptured by the Viet Cong and deliberately starved https://catalog.arch[...] 2020-08-14
[25] 서적 Argument Without End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Victory in Vietnam
[30] 서적 The Road South: The Ho Chi Minh Trail Osprey Publishing
[31] 일반
[32] 서적 Vietnam and America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33] 서적
[34] 서적 Soviet Military Policy: An International Security Reader https://books.google[...] MIT Press
[35] 서적
[36] 서적 undefined
[37] 서적 History of Special Forces in Vietnam, 1961–1971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8-05
[38] 서적 Saigon: A History 2011
[39] 서적 China and the Vietnam Wars, 1950–1975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00
[40] 서적 undefined
[41] 서적 undefined
[42] 서적 Victory in Vietnam
[43] 서적 undefined
[44] 웹사이트 North Vietnam's Master Plan http://www.historyne[...] 1999-08
[45] 서적 undefined
[46] 서적 undefined
[47] 서적 undefined
[48] 기타
[49] 서적 Victory in Vietnam
[50] 서적 undefined
[51] 웹사이트 1957–1975: The Vietnam War http://libcom.org/hi[...]
[52] 웹사이트 VC Tunnels http://www.diggerhis[...]
[53] 서적 Tank Sergeant Presidio Press 1986
[54] 서적 undefined
[55] 서적 undefined
[56] 간행물 The Human Cost of Communism in Vietnam https://babel.hathit[...] U.S. Senate Judiciary Committee 1972
[57] 웹사이트 The My Canh Restaurant bombing http://phulam.com/my[...] 2008-07-30
[58] 서적 The Last Battalion: Controversies and Casualties of the Battle of Hue; Massacre at Dak Son; On the Other Side: Terror as Policy; The Massacre of Dak Son http://www.vnafmamn.[...]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2008-07-17, 2008-06-15
[59] 서적 America in Vietnam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60] 서적 Root Causes of Suicide Terrorism: The Globalization of Martyrdom Taylor & Francis 2006
[61] 서적 undefined
[62] 서적 undefined
[63] 기타
[64] 서적 Vietnam and America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1995
[65] 서적 undefined
[66] 서적 Nineteen Sixty-Eight https://archive.org/[...] Boston Publishing Company 1983
[67] 웹사이트 Viet Cong Strategy of Terror http://www.kysales.c[...] 1969-10-31
[68] 학술지 Jungle Snafus...and Remedies Oregon Institute of Science and Medicine 1997
[69] 뉴스 A Dark Glimpse From Eddie Adams's Camera https://www.nytimes.[...] 2009-04-10
[70] 웹사이트 Walter Cronkite on the Tet Offensive http://www.alvernia.[...]
[71] 논문 Tet M.E. Sharpe
[72] 웹사이트 Comments on Tet '68 http://facultystaff.[...]
[73] 웹사이트 Vietnam Veterans for Academic Reform http://www.i-served.[...]
[74] 뉴스 The Tet Offensive and Iraq http://hnn.us/roundu[...] 2006-10-29
[75] 서적 Mysteries in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5-11-07
[76] 웹사이트 Failure of the Viet Cong to establish liberation committees http://library2.usas[...] 1991-02-22
[77] 서적 Victory in Vietnam: The Official History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 1954–1975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2-05
[78] 서적 Vietnam: The Politics of Bureaucratic Socialism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79] 웹사이트 Order of Battle Summary, 1 - 28 February 1970 https://vva.vietnam.[...] Combined Intelligence Center Vietnam 2024-05-30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웹사이트 The Vietcong http://www.vietnampi[...]
[86] 서적
[87] 웹사이트 Vietnam: History of the Bulwark B2 Theatre http://www-cgsc.army[...]
[88] 서적
[89] 서적
[90] 웹사이트 Victory in Vietnam: The Official History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 1954–1975 (book review) http://www.airpower.[...] 2003-06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Vietnam, 1930–75
[94] 서적 Vietnam: A history Penguin Books
[95] 웹사이트 Vietnam: History of the Bulwark B2 Theatre http://www.cgsc.edu/[...]
[96] 웹사이트 Who is Tran Van Tra? http://facultystaff.[...] 2009-04-07
[97] 웹사이트 Struggle For National Liberation {{!}} Embassy of Vietnam in South Africa https://www.vietnam.[...] 2024-08-07
[98] 웹사이트 南ベトナム解放民族戦線(みなみべとなむかいほうみんぞくせんせん)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8-07
[99] 웹사이트 民族(ミンゾク)とは? 意味や使い方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株式会社DIGITALIO 2024-08-07
[100] 서적
[101] 서적
[102] 뉴스 解放戦線の役割終結を宣言 朝日新聞 1977-01-27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논문
[107] 논문
[108] 뉴스 兵役忌避にあの手この手 政府側・ベトコン、徴兵に支障 日本経済新聞 1965-07-14 #昭和40年は1965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