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순환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부순환도로는 울산광역시의 주요 도로로, 울산 나들목에서 울산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시작하며, 옥현사거리와 감나무진사거리에서 국도 제31호선과 교차한다. 신선터널과 선암터널을 지나 명동삼거리에서 산업로와 직결되며, 울산대공원이 주요 시설 중 하나이다. 2001년 3월 22일 신복로터리에서 여천동까지 연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남구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울산 남구의 교통 -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4호선은 경상남도 거제시에서 시작하여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거쳐 경상북도 포항시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을 거쳐 김해, 창원, 거제 지역에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지정되었다. - 울산광역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울산광역시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AH6)은 부산에서 크라스닌스키군까지 이어지는 아시아 고속도로망의 일부로, 남북 관계 단절로 한국과 북한 구간은 연결되지 않았으며,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을 거쳐 1만km가 넘는 경로를 포함하지만, 여러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다. -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남부순환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종류 | 울산광역시도 |
노선명 | 남부순환도로 |
총 연장 | 9.080km |
기점 |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
종점 | 울산광역시 남구 선암동 |
2. 연혁
2001년 3월 22일: 기존 신복로터리~옥현사거리~명동부락 9.1km 구간에서 신복로터리~옥현사거리~여천동 10.61km 구간으로 연장, 울산광역시도 제20호선 부여[1]
2. 1. 2001년
2001년 3월 22일, 기존 신복로터리 ~ 옥현사거리 ~ 명동부락 9.1km 구간에서 신복로터리 ~ 옥현사거리 ~ 여천동 10.61km 구간으로 연장하고 울산광역시도 제20호선을 부여하였다.[1]3. 노선
고속국도 제16호선 울산고속도로에서 산업로로 이어지는 도로이다.
이름[2]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울산 나들목(신복로터리)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4호선(북부순환도로, 대학로), 삼호로 | 울산광역시 | 남구 | |
옥현주공아파트앞교차로 | 옥현로 | |||
옥현사거리(옥현지하차도) | 문수로 |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 | |||
윗갑티마을앞 | 남부순환도로293번길 | | | ||
대공원남문교차로(울산대공원) | | | |||
갈현마을 | 남부순환도로433번길 | | | ||
중간갈티마을앞 | 남부순환도로433번길 | | | ||
시립문수궁도장(시립문수궁도장공정원) | | | |||
감나무진사거리(감나무진고가교) | 국도 제31호선(두왕로) | 선암동 방면 진입 불가, 무거동 방면 진출 불가 | ||
신선터널 | | 연장 185m | |||
선암IC교 | 두왕로174번길 | | | ||
선암터널 | | 연장 137m | |||
영동교, 영동고가교 | | | |||
명동삼거리 | 산업로 | | |
3. 1. 주요 구간
삼호로무거동 방면 진출 불가
영동고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