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크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부크강은 우크라이나를 흐르는 강으로, 다양한 언어와 역사적 맥락에서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히파니스, 슬라브어로는 보흐, 오스만 제국에서는 악수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남부크강으로 통칭된다. 포돌리아 지방에서 발원하여 흑해의 드니프로부흐 석호로 흘러들어가며, 흐멜니츠키, 빈니차, 미콜라이우 등 여러 도시를 지난다. 이 강은 과거 튀르크 지배와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행정 구역 개편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관련 있으며, 2020년 잉어 방류와 같은 생태적 특징을 갖는다. 또한, 미콜라이우의 바르바리우스키 다리와 같은 교량 및 항해 시설이 존재하며, 곡물 운송을 위한 상업적 이용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니차주의 강 - 드네스트르강
드네스트르강은 우크라이나에서 발원하여 흑해로 흐르는 강으로, 우크라이나와 몰도바 국경의 일부를 이루며 몰도바 내에서는 트란스니스트리아를 구분하고, 고대 유럽 사르마티아의 주요 강이었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의 중심지였고 현재는 몰도바와 트란스니스트리아 간 분쟁 지역을 가로지르는 정치적 중요성을 지닌다.
남부크강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
![]() | |
지리 | |
국가 | 우크라이나 |
도시 | 흐멜니츠키 흐밀니크 빈니차 하이보론 페르보마이스크 보즈네센스크 미콜라이우 |
수원 | 흐멜니츠키주, 우크라이나 |
하구 | 부크 삼각강, 우크라이나 |
길이 | 806 km |
유역 면적 | 63,700 km2 |
평균 방류량 | 108 m3/s |
2. 명칭 및 어원
헤로도토스(기원전 484년~425년경)는 이 강을 고대 그리스어 이름인 히파니스(Hypanis)로 언급했다.[4] 요르다네스는 그의 저서 게티카에서 이 강을 '''보고소라'''라고 불렀다.[5][6]
이 강의 오랜 현지 슬라브어 이름인 ''Boh'' (키릴 문자: Бог, 보흐)[2]는 "굽다, 돌다, 물러나다"라는 뜻을 가진 인도유럽어 동사 어근 ''*bheug-''에서 유래했으며, "강의 굽이와 관련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7] 17세기 프랑스 군사 기술자이자 지리학자 기욤 르 바쇠르 드 보플랑은 이 강의 이름을 ''Bog''으로 기록했다.[8]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강의 강바닥이 굴곡이 많다고 하여 "기파니스강"(의역: "각강")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중세부터 근세에 걸쳐 슬라브계의 "보흐강"(의역: "곡강")이라는 이름이 정착되었다.[12] 동시대, 우크라이나 남부를 지배했던 오스만 제국에서는 이 강을 "아쿠스강"(의역: "백수강")이라고 불렀다. "남부크강"이라는 명칭은 18세기 이후 러시아 제국 시대에 일반화되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명칭이 사용되었다.
- Південний Буг|피우덴니 부흐uk
- Boh|보흐pl
- Bugul de Sud|부굴 데 수드ro 또는 Bug|부그ro
- Южный Буг|유즈니 부그ru
- Aksu|악수tr
3. 역사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우크라이나 남부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고, 식민지 개척자들은 이 강을 그들의 언어로 '아크수'(Aq-su)라고 명명했는데, 이는 "백색 강"을 의미한다. 17세기와 18세기에 폰토스 지역이 튀르크의 지배에서 정복된 후, 원주민 슬라브 지명이 다시 사용되었다.[12]
1918년 3월 6일,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는 우크라이나를 지역 지구로 나누는 "우크라이나의 행정-영토 분할"에 관한 법률을 채택했다. 그 중 하나인 포보지아(Pobozhia, Побожжя|포보жжяuk)는 '보흐강의 땅'이라는 뜻으로, 남부크강 상류 지역에 있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강의 강바닥이 굴곡이 많다고 하여 "기파니스강"(의역: "각강")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중세부터 근세에 걸쳐 슬라브계의 "보흐강"(의역: "곡강")이라는 이름이 정착되었다.[12] 오스만 제국에서는 이 강을 "아크수강"(의역: "백수강")이라고 불렀다. "남부크강"이라는 명칭은 18세기 이후 러시아 제국 시대에 일반화되었다.
4. 지리
남부크강은 포돌리아 지방의 습지대에서 시작하여 흐멜니츠키주, 빈니차주, 키로보흐라드주, 미콜라이우주의 초원 지대를 지나 흑해의 드니프로부흐 석호로 흘러든다. 이 지역에서는 우크라이나 순상지가 노출되어 있어 남부크강의 강바닥에서 여울이 많이 발견된다.
역사상 남부크강은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강의 강바닥이 굴곡이 많다고 하여 "기파니스강"(Ὑπανις|히파니스grc)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중세부터 근세에 걸쳐 슬라브계의 "보흐강"(Богъ|보흐cu)이라는 이름이 정착되었다[12]。동시대, 우크라이나 남부를 지배했던 오스만 제국에서는 이 강을 "아쿠스강"( آق سو|아크수ota)이라고 불렀다. "남부크강"이라는 명칭은 18세기 이후 러시아 제국 시대에 일반화되었다.
남부크강의 주요 지류와 연안의 도시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4. 1. 지류
좌안 지류 | 우안 지류 |
---|---|
| |
괄호 안의 숫자는 강의 길이를 나타낸다.
4. 2. 주요 도시
흐멜니츠키, 흐메르니크, 빈니차, 흐니반, 라디진, 사우란, 하이보론, 페르보마이스크, 유즈노우크라인스크, 보즈네센스크, 노바 오데사, 미콜라이우[12]5. 생태
2020년 10월, 흐멜니츠키에서 남부크강에 350kg의 헝가리 잉어와 50kg의 은잉어가 방류되었다.[9]
6. 교량 및 항해
미콜라이우의 남부크 강 위에 있는 바르바리우스키 다리는 도개교이며, 유럽에서 가장 긴 경간(134m)을 가지고 있다.[10] 이 다리는 강을 가로지르는 가장 남쪽에 있는 다리이다.
이 강은 하구에서 수십 킬로미터 상류까지 항해가 가능하며, 미콜라이우와 같은 몇몇 내륙 항구가 존재한다.
2011년에는 우크라이나에서 증가하는 곡물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미콜라이우 상류의 남부크 강에서 상업 화물 운송을 부활시키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11] 2018년 4월 현재, 화물 운송은 하구와 미콜라이우주 중심부 보즈네센스크 구의 프리부자니 마을에 새로 건설된 곡물 터미널 사이에서 재개되었다.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Southern Buh (River)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05-08
[2]
웹사이트
Boh River
http://www.encyclope[...]
[3]
간행물
Южный Буг
http://bse.sci-lib.c[...]
Great Soviet Encyclopedia
[4]
서적
The Histories
https://books.google[...]
Digireads.com
2009-01-30
[5]
웹사이트
Google search ("Bogossola" river Jordanes)
https://www.google.c[...]
[6]
웹사이트
Southern Bug (Южный Буг)
https://web.archive.[...]
[7]
서적
The Origins of the Slavs: A Linguist's View
https://archive.nyu.[...]
Slavica
[8]
서적
Description de l'Vkranie depvis les confins de la Moscovie jvsqu'avx limites de la Transylvanie
https://books.google[...]
J. Techener
[9]
웹사이트
У Південний Буг запустили 350 кілограмів угорського коропа
https://khmelnytskyi[...]
2020-10-26
[10]
웹사이트
History
http://kgt.ua/en/37/[...]
Kyivdiprotrans Institute
2013-08-19
[11]
뉴스
«НИБУЛОН» заложил основу собственного флота
http://delo.ua/busin[...]
[12]
문서
17世紀にフランス人のギヨム・デ・ボプランが著したウクライナの地図では、南ブーフ川は「ルーシのボーフ川」として登場し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