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오세아니아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오세아니아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한 갈래로, 바누아투, 뉴칼레도니아, 솔로몬 제도 등 남서 태평양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포괄한다. 린치(1995)는 뱅크스토레스어군, 북서산토어군, 남서산토어군 등 여러 하위 그룹으로 분류했으나, 이 분류는 다소 잠정적이다. Clark (2009)는 북부 및 중부 언어들을 다른 방식으로 분류했으며, Ross, Pawley, & Osmond (2016)은 북바누아투 연계, 중앙바누아투 연계, 남바누아투어군, 로열티 제도-뉴칼레도니아 연계 등으로 분류했다. 또한 일부 언어에서는 파푸아어의 영향이 관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어군 - 야프어
    야프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야프 섬에서 사용되는 오세아니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방출 마찰음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소멸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오세아니아어군 - 오세아니아조어
    오세아니아조어는 오세아니아어군의 공통 조상으로, 음운 체계와 어휘가 재구축되었으며, 어순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남오세아니아어군
언어 정보
이름남오세아니아어군
원어명Southern Oceanic languages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오세아니아어군
하위 어군중앙동오세아니아어군
조어프로토 남오세아니아어
사용 지역바누아투, 누벨칼레도니
하위 분류

2. 분류

린치 (1995), 클락 (2009), 로스, 폴리 & 오스몬드 (2016) 등 여러 학자들이 남오세아니아어군의 분류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다.[5][6][7]

Geraghty (2017)는 에스피리투산토, 말라쿨라, 남바누아투, 뉴칼레도니아 언어와, 암브림과 에파테의 일부 중앙바누아투어군 언어에서 파푸아 하부층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3] 반면, 과달카날, 말라이타, 마키라, 모타어, 라가어, 타맘보어를 포함한 동부 솔로몬 제도의 북바누아투어군 언어들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을 보인다.

클락(2009)와 ''글로토로그'' 4.0에 따르면, 남오세아니아어군은 바누아투 북중부어군, 바누아투 남부어군, 뉴칼레도니아어군의 세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바누아투 북중부어군은 연쇄이며, 다른 그룹들은 유전적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1][4]


  • 바누아투 북중부어군
  • 바누아투 남부어군
  • 뉴칼레도니아어군

2. 1. 린치 (Lynch, 1995)의 분류

린치 (1995)는 남오세아니아어군 언어들을 잠정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7]

  • 뱅크스토레스어군
  • 북서산토어군
  • 남서산토어군
  • 사카오어
  • 동산토어군
  • 암바에마에우오어군
  • 핵심 남오세아니아 연결체
  • * 중앙바누아투 연결체
  • ** 말레쿨라해안어군
  • ** 말레쿨라내륙어군
  • ** 펜테코스트어군
  • ** 암브림파마어군
  • * 에피에파테어군
  • ** 에피어군
  • ** 셰퍼드제도북에파테어군
  • * 남에파테남멜라네시아 연결체
  • ** 남에파테 방언연속체
  • ** 남멜라네시아어군

남바누아투어군
누벨칼레도니어군

이 분류는 다소 막연하다. 비핵심 분기군들은 북바누아투어군이라는 이름 아래에 포괄되어 있으나, 구별되는 특징 없이 나머지 언어들을 묶은 것에 불과하다.

2. 2. 클락 (Clark, 2009)의 분류

북중바누아투어군

  • 동산토어군
  • 말레쿨라내륙어군
  • 북동바누아투뱅크스제도어군
  • * 중앙바누아투어군
  • * 동바누아투어군
  • * 에피어군
  • * 말레쿨라해안어군
  • * 서산토어군


클락(2009)은 북바누아투어군과 중앙바누아투어군을 묶어 북중앙바누아투어군(NCV)으로 분류하고, *Proto-North-Central Vanuatu*를 재구성했지만,[1] 이는 린치 (2018)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 남바누아투어군 및 누벨칼레도니어군은 언급되지 않았다.

2. 3. 로스, 폴리, 오스몬드 (Ross, Pawley, & Osmond, 2016)의 분류

로스(Ross), 폴리(Pawley), 오스몬드(Osmond) (2016)는 남오세아니아어군에 대한 다음과 같은 내부 분류를 제안한다.[6]

  • 남오세아니아어군 연계
  • 북바누아투 연계
  • 핵심 남오세아니아어군 연계
  • 중앙바누아투 연계
  • 남바누아투어군
  • 로열티 제도-뉴칼레도니아 연계

3. 언어 목록

린치 (1995)는 남오세아니아어군의 언어들을 잠정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5]


  • 뱅크스-토레스 어족
  • 노스웨스트 산토 어족
  • 사우스웨스트 산토 어족
  • 사카오
  • 이스트 산토 어족
  • 암배-마에보 어족
  • 핵 남부 오세아니아어 연결
  • * 중앙 바누아투 연결
  • ** 말레쿨라 해안
  • ** 말레쿨라 내륙
  • ** 펜테코스트
  • ** 암브림-파아마
  • * 에피-에파테
  • ** 에피
  • ** 셰퍼드-노스 에파테
  • * 사우스 에파테 – 남부 멜라네시아어 연결
  • ** 사우스 에파테 방언 네트워크
  • ** 남부 멜라네시아어족

사우스 바누아투 어족
뉴칼레도니아 어족

핵이 아닌 분파들은 북부 바누아투에 포함된다.

Ross, Pawley, & Osmond (2016)는 남오세아니아어군에 대한 다음과 같은 내부 분류를 제안한다.[6]

  • 남오세아니아어군 연계
  • * 북바누아투 연계
  • * 핵심 남오세아니아어군 연계
  • ** 중앙바누아투 연계
  • ** 남바누아투어군
  • ** 로열티 제도-뉴칼레도니아 연계


클락(2009)과 ''글로토로그'' 4.0에 따르면, 남오세아니아어군은 세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바누아투 북중부어군, 바누아투 남부어군, 뉴칼레도니아어군이다. 첫 번째 그룹은 연쇄이며, 다른 그룹들은 유전적 하위 그룹을 형성한다.[1][4]

  • 바누아투 북중부어군
  • 바누아투 남부어군
  • 뉴칼레도니아어군

참조

[1] 서적 Leo Tuai: A comparative lexical study of North and Central Vanuatu languages http://hdl.handle.ne[...] Pacific Linguistics 2009
[2] 논문 Final Consonants and the Status of Proto-North-Central Vanuatu https://www.research[...] 2018
[3]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Areal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4] 웹사이트 Glottolog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9
[5] 문서 Lynch, Ross, & Crowley (2002:112)
[6] 서적 The lexicon of Proto Oceanic: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ancestral Oceanic society http://hdl.handle.ne[...] Asia-Pacific Linguistics (A-PL) 2016
[7] 문서 Lynch, Ross, & Crowley (2002: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