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도서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도서관은 경상남도 남해군에 위치한 도서관으로, 1972년 4월 25일 개관하였다. 199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경상남도교육감 지정 평생학습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어린이 자료실, 유아자료실,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 자유학습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자료실 및 자유학습실의 운영 시간과 휴관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설립된 도서관 - 보령도서관
보령도서관은 1973년 보령군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명칭 변경과 이전을 거쳐 현재 명칭으로 운영되며, 300석의 열람 좌석과 98,361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종합자료실과 열람실을 운영한다. - 1972년 설립된 도서관 - 충청남도교육청남부평생교육원
충청남도교육청남부평생교육원은 논산 지역 주민을 위해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및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며, 1972년 논산군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명칭을 변경하며 현재에 이른다. - 남해군 - 김만중문학상
김만중문학상은 소설, 시, 희곡 등 다양한 부문에서 우수한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문학상으로, 2010년 제1회 시상식을 시작으로 매년 우수 작품을 발굴하며 김주영의 《잘 가요 엄마》가 소설 부문 최초 수상작으로 기록되었다. - 남해군 - 노량 해전
노량 해전은 1598년 12월 16일 노량 해협에서 조선과 명나라 연합 함대가 임진왜란의 마지막 전투로서 일본 수군을 맞아 크게 승리한 해전으로, 일본군의 철수를 막으려는 조명 연합군과 철수를 돕고자 한 일본군의 목적이 충돌하며 발생했으며 이 전투에서 이순신은 전사했다. - 경상남도교육청 - 경상남도체육회
경상남도체육회는 1945년 경상남도체육협회로 설립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울산광역시체육회 분리 및 학교, 생활체육회를 흡수하고 회장, 사무처 등을 갖춘 조직으로 8개 시와 10개 군에 지부를 둔다. - 경상남도교육청 - 경상남도교육감
경상남도교육감은 경상남도 교육을 책임지는 직책으로, 1962년 관선 교육감 체제로 시작하여 여러 교육감을 거쳐 박종훈이 제16대 교육감으로 재임 중이다.
남해도서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남해도서관 |
전문 분야 | 공공도서관 |
장서 수 | 86,007권 |
개관 | 1972년 4월 25일 |
설립 주체 | 경상남도남해교육지원청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화전로43번길 11-3 |
홈페이지 | 남해도서관 |
2. 연혁
날짜 | 내용 |
---|---|
1972년 4월 24일 | 남해군립 도서관 설치 조례 공포(남해군 조례 제 195호) |
1972년 4월 25일 | 개관(현 남해교육청 과학자료실) |
1983년 10월 5일 | 도서관 이전 건립 추진위원회 발족, 유임두 위원장 선임 |
1984년 4월 20일 | 도서관 이전 공사 착공 |
1984년 5월 22일 | 남해군립도서관 설치조례 개정(남해군 조례 제844호) |
1991년 3월 25일 | 경상남도 도립도서관 설치조례 개정 - 남해도서관으로 명칭 변경 |
2001년 2월 19일 | 경상남도교육감 지정 평생학습관 운영 |
2002년 3월 28일 | 디지털 자료실 설치 |
2004년 2월 1일 | 전자책 VOD 서비스 개시 |
2014년 1월 1일 | 학교도서관 지원 제14센터 지정 |
2014년 5월 11일 | 도서관자동화(RFID) 기기 구축 |
2015년 12월 23일 | 도서관 외벽 공사 /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 통합 리모델링 |
2016년 9월 5일 | 유아자료실 증축 |
2017년 6월 13일 | 장애인 편의시설(승강기) 설치 |
2. 1. 개관 초기 (1972년~1983년)
1972년 4월 24일, 남해군은 군립 도서관 설치 조례(남해군 조례 제195호)를 공포하였다. 이튿날인 4월 25일, 현재 남해교육청 과학자료실로 사용되는 건물에서 도서관이 개관하였다.1983년 10월 5일, 도서관 이전 건립 추진위원회가 발족되었고, 유임두 위원장이 선임되었다.
2. 2. 도서관 이전 및 명칭 변경 (1984년~1991년)
날짜 | 내용 |
---|---|
1984년 4월 20일 | 도서관 이전 공사를 시작했다. |
1984년 5월 22일 | 남해군립도서관 설치 조례가 개정되었다( 남해군 조례 제844호). |
1991년 3월 25일 | 경상남도 도립도서관 설치 조례가 개정되면서 남해도서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2. 3. 평생학습관 지정 및 시설 확충 (2001년~현재)
날짜 | 내용 |
---|---|
2001년 2월 19일 | 경상남도교육감 지정 평생학습관 운영 |
2002년 3월 28일 | 디지털 자료실 설치 |
2004년 2월 1일 | 전자책 VOD 서비스 개시 |
2014년 1월 1일 | 학교도서관 지원 제14센터 지정 |
2014년 5월 11일 | 도서관자동화(RFID) 기기 구축 |
2015년 12월 23일 | 도서관 외벽 공사 및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 통합 리모델링 |
2016년 9월 5일 | 유아자료실 증축 |
2017년 6월 13일 | 장애인 편의시설(승강기) 설치 |
남해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1374.43m2이다. 어린이자료실, 유아자료실,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 자유학습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각 시설별 상세 현황은 다음과 같다.
남해도서관의 각 자료실은 이용 시간이 다르다. 어린이 자료실과 종합자료실은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디지털자료실은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이용할 수 있다. 자유학습실은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월요일은 오후 6시까지) 이용 가능하다. 휴관일은 자료실마다 다르다. 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은 매주 월요일, 국경일, 관장이 지정한 날에 휴관하며, 자유학습실은 국경일과 관장이 지정한 날에 휴관한다.
3. 시설 현황
층별 시설명 면적(㎡) 좌석 수 비고 지하 1층 지하실 73.1 각종 물품 보관 1층 어린이자료실 129.3 24 어린이 자료 대출 및 열람 유아자료실 44 20 유아 자료 대출 및 열람 관장실/행정실 51.84 서고실 51.84 북카페 15 4 화장실 25.92 장애인용 설치 창고 3.2 로비 36.84 기타 154.13 중앙계단실, 서편계단실, 승강기, 복도 2층 종합자료실 278.87 5 각종 자료 대출 및 열람, 복사 디지털자료실 51.84 16 이용자 학습 공간 화장실 25.92 기타 55.92 중앙계단실, 서편계단실 3층 강좌실1 51.84 21 강좌실2 129.56 80 자유학습실 51.84 34 서버실 14.1 문서고 10.2 물품관리실 10.8 기타 144.21 복도, 화장실, 중앙계단실, 서편계단실, 승강기
4. 이용 안내
4. 1. 이용 시간
구분 | 이용 시간 |
---|---|
어린이 자료실/종합자료실 | 화~일요일 09:00 ~ 18:00 |
디지털자료실 | 화~일요일 09:00 ~ 17:30 |
자유학습실 | 화~일요일 09:00 ~ 21:00 (월요일 09:00 ~ 18:00) |
4. 2. 휴관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