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당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당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행정 구역이다. 조선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현재는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구서부경찰서, 학교, 금융 기관 등 다양한 기관이 위치해 있다. 주거 시설로는 아파트 단지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서구의 법정동 - 비산동 (대구)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비산동은 조선시대 대구부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를 거쳐 서구에 편입, 분동되었고 현재는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과 여러 교육 및 금융 기관이 위치한 지역이다. - 대구 서구의 법정동 - 평리동 (대구)
평리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하며 과거 들말평야로 불렸고 현재는 관공서, 금융기관, 교육기관, 재래시장과 아파트 단지들이 위치하며 평리뉴타운 사업으로 주거 환경이 변화하는 지역이다. - 대구 서구의 행정 구역 - 상중이동
상중이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1910년 대구부 달서면 일부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8년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이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렀으며, 대구의료원, 서부경찰서 이현지구대, 서대구역, 대구중리초등학교, 계성고등학교, 롯데캐슬, 상리그린빌 등 주요 기관, 학교, 주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서구의 행정 구역 - 서구 (대구광역시)
대구 서구는 대구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하며 섬유, 염색, 기계공업 중심의 경제 지역이고 대구 도시철도 2, 3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한국폴리텍6대학 본부대학이 위치한 곳이다. - 1965년 폐지 - 그리피스 스타디움
1911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 워싱턴 D.C.에 존재했던 그리피스 스타디움은 워싱턴 세네터스의 구단주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기, 미식축구 경기, 권투 시합 등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열렸으나 1965년에 철거되어 현재는 하워드 대학교 병원이 들어서 있다. - 1965년 폐지 - 가정동 (인천)
가정동은 인천 서구에 위치한 동으로, 과거 가신동에서 분리되었으며, 조선시대 정자가 많았던 것에서 유래되었고, 현재 루원시티 개발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개통으로 변화하고 있다.
내당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동 이름 | 내당1동 |
한자 표기 | 內唐1洞 |
영문 표기 | Naedang 1(il)-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서구 |
면적 | 0.47 |
세대 | 4,925 |
세대 조사 | 2023.11 |
인구 | 9881 |
인구 조사 | 2023년 11월 |
법정동 | 내당동 |
통 | 18 |
반 | 119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4길 35 |
홈페이지 | 내당1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동 이름 | 내당2.3동 |
한자 표기 | 內唐2.3洞 |
영문 표기 | Naedang 2(i), 3(sam)-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서구 |
면적 | 0.65 |
세대 | 4,731 |
세대 조사 | 2023.11 |
인구 | 8755 |
인구 조사 | 2023년 11월 |
법정동 | 내당동 |
통 | 20 |
반 | 146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서구 큰장로15길 11-1 |
홈페이지 | 내당 2 . 3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동 이름 | 내당4동 |
한자 표기 | 內唐4洞 |
영문 표기 | Naedang 4(sa)-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서구 |
면적 | 0.76 |
세대 | 7,833 |
세대 조사 | 2023.11 |
인구 | 15389 |
인구 조사 | 2023년 11월 |
법정동 | 내당동 |
통 | 30 |
반 | 179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3길 46 |
홈페이지 | 내당4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내당동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지역으로, 조선시대에는 내당동/외당동으로 불렸다.
1938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내당동이 되었고, 같은 해 11월 2일 서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광복 이후의 행정 구역 변화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대구군 달서면 내당동/외당동이 되었다.[1]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대구군 달서면 내당동/외당동이 되었다.[2]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달서면 내당동/외당동이 되었다.[3]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내당동이 되었다.[4]
2. 2. 광복 이후 ~ 현재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내당동(서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6]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내당동이 되었다.[7] 1965년 2월 1일에는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으로 분동되었다.[8] 1970년 7월 1일 내당3동을 내당5동으로 분동하였다.[9]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서구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내당5동이 되었다.[10] 1982년 9월 1일 내당1동을 내당6동으로 분동하였고,[11] 1985년 12월 1일에는 내당6동을 내당7동으로 분동하였다.[12]
1988년 1월 1일 내당4동, 내당5동, 내당6동을 신설된 달서구 두류동에 편입하고,[13] 내당7동을 내당4동으로 개칭하였다.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서구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이 되었고, 1997년 1월 1일 내당2동과 내당3동을 내당2·3동으로 합동하였다.[14]
3. 주요 기관
내당동에는 관공서, 교육기관, 금융기관 등 다양한 기관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3. 1. 관공서
- 대구서부경찰서 내당1동파출소 (내당1동)
- 대구서구종합사회복지관 (내당1동)
- 대구서구고용안정센터 (내당1동)
- 대구내당1동우체국 (내당1동)
- 대구서부경찰서 내당2동파출소 (내당2·3동)
- 서문우체국 (내당2·3동)
- 대구서부경찰서 내당4동 치안센터 (내당4동)
- 내당소방파출소 (내당4동)
- 내당4동우편취급소 (내당4동)
- 대구북부고용지원센터 (내당4동)
3. 2. 교육 기관
학교명 | 소재지 |
---|---|
대구두류초등학교 | 내당1동 |
대구내서초등학교 | 내당2·3동 |
대구경운초등학교 | 내당4동 |
대구서도초등학교 | 내당1동 |
경운중학교 | 내당4동 |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 | 내당4동 |
대구서부교육지원청 | 내당4동 |
달성고등학교 | 내당4동 |
3. 3. 금융 기관
금융기관명 | 위치 |
---|---|
새마을금고 (본점) | 내당1동 |
우리은행 내당동지점 | 내당1동 |
국민은행 내당동지점 | 내당1동 |
iM뱅크 황제지점 | 내당1동 |
NH농협은행 두류지점 | 내당1동 |
대구축산기업조합 | 내당1동 |
대구 국민상호신용금고 | 내당1동 |
하나증권 | 내당1동 |
미래에셋생명보험 | 내당1동 |
메트라이프생명보험 | 내당1동 |
삼성생명 대구법인지국 | 내당1동 |
한화생명 서대구영업국 | 내당1동 |
흥국화재 중앙지점 | 내당1동 |
NH투자증권 서대구지점 | 내당1동 |
현대캐피탈 대구지점 | 내당1동 |
내당2동 새마을금고 | 내당2·3동 |
내당새마을금고분소 | 내당2·3동 |
iM뱅크 서문시장지점 | 내당2·3동 |
iM뱅크 내당지점 | 내당2·3동 |
서대구농협 내당지소 | 내당2·3동 |
내당천주교회 신용협동조합 | 내당2·3동 |
와룡새마을금고 내당지점 | 내당4동 |
iM뱅크 광장지점 | 내당4동 |
대구축협 내당지소 | 내당4동 |
통불교 신용협동조합 | 내당4동 |
대구경북 양돈축협 | 내당4동 |
광장신용협동조합 | 내당4동 |
DB손해보험 남부지점 | 내당4동 |
4. 주거 시설
아파트명 | 준공 시기 | 동수 |
---|---|---|
e편한세상 두류역 | 2022년 6월 | 1동 |
두류역 자이아파트 | 2025년 8월 예정 | 1동 |
두류역 스타힐스 | 2025년 4월 예정 | 1동 |
보성 황제맨션 | 1988년 2월 | 1동 |
보성 홍실2차타운 | 1988년 4월 | 1동 |
삼익뉴타운 | 1980년 9월 | 4동 |
삼익맨션 | 1979년 11월 | 4동 |
코오롱아파트 | 1985년 12월 | 4동 |
내당 광명아파트 | 1981년 4월 | 4동 |
참조
[1]
칙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
칙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10-01
[4]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5]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6]
법률
법률 제32호
1949-07-04
[7]
법률
법률 제1174호
1962-11-21
[8]
시조례
시조례 제387호
1965-01-27
[9]
시조례
시조례 제610호
1970-07-01
[10]
법률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11]
시조례
시조례 제1589호
1982-07-24
[12]
시조례
시조례 제1911호
1985-10-03
[13]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4]
구조례
구조례 제391호
1996-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