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은 이미지의 내용, 즉 색상, 질감, 모양 등의 시각적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검색하는 기술이다. 1992년 가토 토시카즈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통계, 패턴 인식, 컴퓨터 비전 등의 기술을 활용한다. 초기에는 IBM의 QBIC과 같은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VisualRank와 같은 알고리즘도 등장했다. CBIR은 메타데이터 기반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발전해 왔으며, 예시 기반 질의, 의미 기반 검색, 관련 피드백, 기계 학습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두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미지 거리 측정이 사용되며, 색상, 질감, 모양 등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다. CBIR은 적대적 공격에 취약하며, 정밀도와 재현율을 평가 척도로 사용한다. 건축, 미술, 범죄 예방, 의료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QBIC, Virage, VisualSEEk 등이 상용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미지 검색 - 구글 이미지
    구글 이미지는 2001년 7월에 출시된 구글의 이미지 검색 서비스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시각적으로 유사하거나 일치하는 이미지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며, 텍스트 기반 검색의 한계 극복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검열 논란과 사용자 편의성 저하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이미지 검색 - 구글 이미지 레이블러
    구글 이미지 레이블러는 구글 이미지 검색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 사용자들이 이미지에 레이블을 지정하는 게임으로, ESP 게임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사용자 간의 레이블 일치 여부에 따라 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 인공지능의 응용 - 가상 비서
    가상 비서는 음성 또는 텍스트 입력을 해석하여 정보 제공, 일정 관리, 기기 제어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로서, 시리, 알렉사, 구글 어시스턴트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기반 가상 비서의 등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지만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과제도 존재한다.
  • 인공지능의 응용 - 질의 응답
    질의응답 시스템은 자연어 질문을 이해하고 답변을 생성하며, 질문 유형과 사용 기술에 따라 분류되고, 읽기 이해 기반 또는 사전 지식 기반으로 작동하며, 대규모 언어 모델과 다양한 아키텍처 발전에 힘입어 복잡한 질문에 대한 답변과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해졌다.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예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예시
개요
유형이미지 검색 기술
설명이미지의 시각적 내용을 기반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검색하는 기술
약자CBIR
다른 이름쿼리별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QBIC)
시각 정보 검색 (VIR)
내용 주도 검색
내용 기반 시각 정보 검색
작동 방식
특징 추출이미지에서 색상, 질감, 모양 등의 시각적 특징을 추출
특징 벡터추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특징 벡터 생성
유사성 측정쿼리 이미지의 특징 벡터와 데이터베이스 이미지의 특징 벡터 간의 유사성 측정
검색 결과유사성이 높은 순서대로 이미지 검색 결과 반환
특징
색상색상 히스토그램, 색상 모멘트, 색상 코릴로그램 등
질감텍스처 필터, 웨이블릿 변환, Gabor 필터 등
모양윤곽선 기반 방법, 영역 기반 방법 등
장점
텍스트 기반 검색의 한계 극복이미지에 대한 텍스트 설명이 없거나 불완전한 경우에도 이미지 검색 가능
주관적인 텍스트 설명의 영향 감소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텍스트 설명 없이 객관적인 시각적 특징 기반으로 검색
단점
의미론적 간극저수준 시각적 특징과 고수준 의미론적 의미 사이의 간극 존재
계산 복잡성특징 추출 및 유사성 측정 과정에서 높은 계산 비용 발생 가능
응용 분야
이미지 검색 엔진구글 이미지 검색
빙 이미지 검색
야후 이미지 검색
의료 영상 분석질병 진단
종양 감지
감시 시스템객체 추적
이상 행동 감지
디지털 도서관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검색
전자 상거래유사 상품 추천
추가 정보
관련 기술컴퓨터 비전
기계 학습
데이터 마이닝

2. 역사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이라는 용어는 1992년 일본 전기 기술 연구소의 가토 토시카즈 엔지니어가 색상과 모양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미지를 자동 검색하는 실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2][3] 이후 이 용어는 구문 이미지 특징을 기반으로 대규모 컬렉션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사용되는 기술, 도구 및 알고리즘은 통계, 패턴 인식, 신호 처리 및 컴퓨터 비전과 같은 분야에서 유래한다.[1]

2. 1. 초기 연구 및 용어의 등장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이라는 용어는 1992년 일본 전기 기술 연구소의 엔지니어 가토 토시카즈가 색상과 모양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미지를 자동 검색하는 실험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2][3] 이후 이 용어는 구문 이미지 특징을 기반으로 대규모 컬렉션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사용되는 기술, 도구 및 알고리즘은 통계, 패턴 인식, 신호 처리 및 컴퓨터 비전과 같은 분야에서 유래한다.[1]

2. 2. QBIC (Query By Image Content)

IBM에서 개발한 최초의 상용 CBIR 시스템은 '''QBIC''' ('''Q'''uery '''B'''y '''I'''mage '''C'''ontent, 이미지 내용 기반 쿼리)이었다.[4][5]

여러 이미지를 단일 개체의 일부로 저장하는 것은 BLOB ('''B'''inary '''L'''arge '''OB'''ject, 바이너리 대용량 객체)라는 용어보다 먼저 있었지만,[7] 설명이 아닌 내용 전체를 기준으로 검색하는 기능은 IBM의 QBIC에서 처음으로 가능해졌다.[8]

3. 기술 발전

이미지 메타 검색은 사람이 직접 이미지에 주석을 달아 키워드나 메타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미지 설명에 필요한 키워드를 모두 담지 못할 수 있다. 키워드 이미지 검색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은 주관적이며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 시스템도 성공을 정의하는 데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2] 키워드는 쿼리 범위를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 제한하며, 내용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신뢰성이 떨어진다.[8]

메타데이터 기반 시스템의 근본적인 한계와 효율적인 이미지 검색의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 때문에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미지에 대한 텍스트 정보는 기존 기술로 쉽게 검색할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의 각 이미지를 사람이 직접 설명해야 한다. 이는 매우 큰 데이터베이스나 감시 카메라에서 생성된 이미지처럼 자동으로 생성되는 이미지에는 비현실적일 수 있다. 또한 설명에 다른 동의어를 사용하는 이미지를 놓칠 수도 있다. "동물"의 하위 클래스로 "고양이"와 같은 의미론적 클래스로 이미지를 분류하는 시스템은 오분류 문제를 피할 수 있지만, "고양이"일 수 있지만 "동물"로만 분류된 이미지를 찾기 위해 사용자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해 많은 표준이 개발되었지만, 모든 표준은 여전히 확장성과 오분류 문제에 직면해 있다.[2]

초기 CBIR 시스템은 이미지의 색상, 질감, 모양 속성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이 개발된 후,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따라서 CBIR 분야의 노력은 검색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인간 중심 설계가 포함되기 시작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설명적 의미론을 허용할 수 있는 쿼리 방법, 사용자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는 쿼리, 기계 학습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사용자 만족도 수준을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한다.[1]

4. 기술

이미지 메타 검색은 사람이 직접 이미지에 키워드메타데이터를 입력해야 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원하는 키워드를 모두 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2]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은 이러한 메타데이터 기반 시스템의 한계와 효율적인 이미지 검색의 필요성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미지에 대한 텍스트 정보는 기존 기술로 쉽게 검색할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이미지를 사람이 직접 설명하는 것은 매우 큰 데이터베이스나 감시 카메라처럼 자동으로 생성되는 이미지에는 비현실적이다. 또한, 설명에 사용된 단어와 다른 동의어를 사용하는 이미지는 놓칠 수도 있다.[2]

초기 CBIR 시스템은 이미지의 색상, 질감, 모양 같은 속성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도록 개발되었다. 이후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CBIR 분야는 사용자의 요구를 고려한 인간 중심 설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설명적인 의미를 담을 수 있는 질의 방법,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는 질의, 기계 학습을 활용하는 시스템, 그리고 사용자 만족도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1]

하지만 2006년 기준으로 픽셀 콘텐츠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검색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다.[1] CBIR 시스템은 다양한 질의 기법과 구현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4. 1. 예시 기반 질의 (Query By Example, QBE)

많은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 시스템이 개발되었지만, 픽셀 콘텐츠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검색하는 문제는 대체로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1]

다양한 질의 기법과 CBIR 구현은 서로 다른 유형의 사용자 질의를 활용한다.

'''예시 기반 질의'''('''Q'''uery '''B'''y '''E'''xample, QBE)는 CBIR 시스템에 검색의 기반이 될 예시 이미지를 제공하는 질의 기법이다.[9] 기반 검색 알고리즘은 응용 분야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결과 이미지들은 제공된 예시와 공통 요소를 공유해야 한다.[10]

시스템에 예시 이미지를 제공하는 옵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기존 이미지를 사용자가 제공하거나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찾고 있는 이미지의 대략적인 형태, 예를 들어 색상 덩어리나 일반적인 모양을 그린다.[10]


이 질의 기법은 단어로 이미지를 설명하려고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제거한다.

4. 2. 의미 기반 검색 (Semantic Retrieval)

의미 기반 검색은 사용자가 "에이브러햄 링컨의 사진을 찾아줘"와 같이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개방형 작업은 컴퓨터가 수행하기 매우 어렵다. 링컨이 항상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보거나 같은 자세를 취하고 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5]

따라서 많은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 시스템은 질감, 색상, 모양과 같은 하위 수준의 특징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기준을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결합되거나, 특징(얼굴, 지문, 모양 매칭 등)을 매칭하도록 이미 훈련된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미지 검색은 더 높은 수준의 개념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피드백이 필요하다.[5]

4. 3. 관련 피드백 (Relevance Feedback)

이미지 메타 검색은 사람이 수동으로 이미지를 주석 처리하여 키워드메타데이터를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미지 설명에 원하는 키워드를 담아내지 못할 수 있다. 키워드 이미지 검색의 효과 평가는 주관적이며 잘 정의되지 않았다. 이와 마찬가지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 시스템도 성공을 정의하는 데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2]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메타데이터 기반 시스템의 내재적 한계와 효율적인 이미지 검색의 광범위한 사용 가능성 때문이다. 이미지에 대한 텍스트 정보는 기존 기술을 사용하여 쉽게 검색할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의 각 이미지를 사람이 수동으로 설명해야 한다. 이는 매우 큰 데이터베이스나 감시 카메라에서 생성된 이미지와 같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이미지의 경우 비실용적일 수 있다. 또한 설명에 다른 동의어를 사용하는 이미지를 놓칠 수도 있다.[2]

초기 CBIR 시스템은 이미지의 색상, 질감 및 모양 속성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이 개발된 후,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따라서 CBIR 분야의 노력은 검색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인간 중심 설계가 포함되기 시작했다.

CBIR 시스템은 사용자가 검색 결과의 이미지를 "관련됨", "관련 없음" 또는 "중립"으로 표시하여 검색 결과를 점진적으로 개선하고, 새로운 정보를 가지고 검색을 반복하는 '''관련 피드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인터페이스의 예가 개발되었다.[23]

4. 4. 반복/기계 학습 (Iterative/Machine Learning)

기계 학습과 반복적 기법은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에서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12] 초기 CBIR 시스템은 이미지의 색상, 질감, 모양 속성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도록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이 개발된 후,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명확해졌다. 따라서 CBIR 분야의 노력은 검색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인간 중심 설계를 포함하기 시작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설명적 의미론을 허용할 수 있는 쿼리 방법, 사용자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는 쿼리, 기계 학습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사용자 만족도 수준을 이해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한다.[1]

4. 5. 기타 질의 방법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 시스템 구현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질의 유형을 고려해야 한다. 사용되는 질의 기법으로는 예시 이미지 검색, 맞춤형/계층적 범주 탐색, 이미지 영역별 검색(전체 이미지 대신), 여러 예시 이미지 검색, 시각적 스케치 검색, 이미지 특징 직접 지정 검색, 다중 모드 검색(예: 터치, 음성 등 결합) 등이 있다.[13]

5. 내용 비교: 이미지 거리 측정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에서 두 이미지를 비교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이미지 거리 측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미지 거리 측정은 색상, 질감, 모양 등 다양한 차원에서 두 이미지의 유사성을 비교한다. 거리가 0이면 고려된 차원에서 쿼리와 정확히 일치함을, 0보다 큰 값은 이미지 간의 다양한 유사성 정도를 나타낸다. 검색 결과는 쿼리된 이미지와의 거리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10] 많은 이미지 거리 측정(유사성 모델)이 개발되었다.[14]

5. 1. 색상 (Color)

콘텐츠 기반 이미지 검색에서 두 이미지를 비교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이미지 거리 측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미지 거리 측정은 색상, 질감, 모양 등 다양한 차원에서 두 이미지의 유사성을 비교한다. 예를 들어, 거리가 0이면 고려된 차원에서 쿼리와 정확히 일치함을 나타낸다. 0보다 큰 값은 이미지 간의 다양한 유사성 정도를 나타낸다. 그런 다음 검색 결과는 쿼리된 이미지와의 거리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10] 많은 이미지 거리 측정(유사성 모델)이 개발되었다.[14]

색상 유사성을 기반으로 거리 측정을 계산하기 위해 각 이미지에 대한 색상 히스토그램을 계산하여 각 이미지의 특정 값을 갖는 픽셀의 비율을 식별한다.[2] 이미지가 포함하는 색상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검사하는 것은 이미지 크기나 방향에 관계없이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5] 그러나 여러 색상 영역 간의 영역별 색상 비율과 공간적 관계를 세분화하려는 시도도 있었다.[13]

5. 2. 질감 (Texture)

텍스처 측정은 이미지의 시각적 패턴과 그 패턴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정의되는지를 찾는다. 텍스처는 텍셀로 표현되며, 이미지에서 감지된 텍스처의 수에 따라 여러 세트로 배치된다. 이러한 세트는 텍스처를 정의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 내에서 텍스처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도 정의한다.[10]

텍스처는 표현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이미지에서 특정 텍스처를 식별하는 것은 주로 텍스처를 2차원 회색조 레벨 변화로 모델링하여 수행된다. 픽셀 쌍의 상대적인 밝기를 계산하여 대비, 규칙성, 거칠기 및 방향성의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5][15] 문제는 픽셀 간의 변화 패턴을 식별하고 이를 '부드러운' 또는 '거친'과 같은 특정 텍스처 클래스와 연결하는 것이다.

텍스처를 분류하는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동시 발생 행렬
  • Laws 텍스처 에너지
  • 웨이블릿 변환
  • 직교 변환 (이산 체비쇼프 모멘트)

5. 3. 모양 (Shape)

모양은 이미지의 모양이 아니라 찾고 있는 특정 영역의 모양을 의미한다. 모양은 종종 이미지에 분할 또는 가장자리 감지를 먼저 적용하여 결정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이미지의 특정 모양을 식별하기 위해 모양 필터를 사용한다.[16] 모양 설명자는 이동, 회전 및 크기에 불변해야 할 수도 있다.[5]

일부 모양 설명자에는 다음이 포함된다.[5]

6. 취약성, 공격 및 방어

다른 컴퓨터 비전 작업과 마찬가지로, 인식 및 탐지와 같은 최근의 신경망 기반 검색 알고리즘은 후보 및 쿼리 공격 모두에 적대적 공격에 취약하다.[17] 인간에게 감지할 수 없는 작은 교란만으로도 검색된 순위가 크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모델에 구애받지 않는 전이 가능한 적대적 예시도 가능하며, 이는 기본 구현에 접근할 필요 없이 딥 랭킹 시스템에 대한 블랙 박스 적대적 공격을 가능하게 한다.[17][18]

반대로, 이러한 공격에 대한 저항은 Madry 방어와 같은 적대적 방어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19]

7. 이미지 검색 평가

정밀도와 재현율의 관점에서 이미지 검색의 척도를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방법들도 고려되고 있다.[20]

8. CBIR 시스템의 다양한 기술 동시 활용

CBIR 시스템에서 여러 기법, 예를 들어 픽셀 클러스터 인덱싱, 히스토그램 교차 및 이산 웨이블릿 변환 방법을 동시에 채택하여 이미지를 검색한다.[21]

9. 응용 분야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 기술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2]


  • 건축 및 엔지니어링 설계
  • 미술품 컬렉션
  • 범죄 예방
  • 지리 정보 및 원격 감지 시스템
  • 지적 재산
  • 의료 진단
  • 군사
  • 사진 보관소
  • 소매 카탈로그
  • 노출 감지 필터[22]
  • 얼굴 찾기
  • 섬유 산업[23]


다음은 개발된 상업 시스템들이다.[2]

시스템 이름개발사
QBICIBM
VIR 이미지 엔진Virage
Image RetrievalWareExcalibur
VisualSEEk 및 WebSEEk
Netra
MARS
Vhoto
Pixolution



다음은 실험적인 시스템들이다.[2]

시스템 이름개발 기관
PhotobookMIT
WebSEEk컬럼비아 대학교
Informedia카네기 멜론 대학교
iSearch - PICT


10. 관련 연구 및 상용 시스템

최초의 상용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CBIR) 시스템은 IBM에서 개발한 QBIC (Query By Image Content, 이미지 내용 기반 쿼리)이다.[4][5]

CBIR의 잠재적 사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2]


  • 건축 및 엔지니어링 설계
  • 미술품 컬렉션
  • 범죄 예방
  • 지리 정보 및 원격 감지 시스템
  • 지적 재산
  • 의료 진단
  • 군사
  • 사진 보관소
  • 소매 카탈로그
  • 노출 감지 필터[22]
  • 얼굴 찾기
  • 섬유 산업[23]


개발된 상용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2]

  • IBM의 QBIC
  • Virage의 VIR 이미지 엔진
  • Excalibur의 Image RetrievalWare
  • VisualSEEk 및 WebSEEk
  • Netra
  • MARS
  • Vhoto
  • Pixolution


실험적인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2]

  • MIT의 Photobook
  • 컬럼비아 대학교의 WebSEEk
  •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Informedia
  • iSearch - PICT


관련 연구 논문은 다음과 같다.

연도저자논문 제목 및 링크
1995Flickner 외이미지 및 비디오 콘텐츠로 질의: QBIC 시스템 (http://doi.ieeecomputersociety.org/10.1109/2.410146)
1996Fleck 외나체 사진 찾기 (http://www.cs.hmc.edu/~fleck/naked-people.ps.gz)
1997HampapurVirage 비디오 엔진 (http://spiedl.aip.org/getabs/servlet/GetabsServlet?prog=normal&id=PSISDG003022000001000188000001&idtype=cvips&gifs=yes)
1997Vasconcelos & Lippman라이브러리 기반 코딩: 효율적인 비디오 압축 및 검색을 위한 표현 (http://www.cs.hmc.edu/~fleck/naked-people.ps.gz)
1998Wang 외거부할 수 있는 이미지 필터링 시스템 (http://www-db.stanford.edu/~wangz/project/imscreen/JCC98/)
1999Eakins & Graham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JISC 기술 응용 프로그램 보고서 39) (https://web.archive.org/web/20120205153636/http://www.jisc.ac.uk/uploaded_documents/jtap-039.doc)
1999Ardizzoni, Bartolini, and PatellaWindsurf: 웨이블릿을 사용한 영역 기반 이미지 검색 (http://www-db.deis.unibo.it/research/papers/IWOSS99.ABP.pdf)
2000Vasconcelos & Lippman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한 확률적 아키텍처 (http://www.svcl.ucsd.edu/publications/conference/2000/cvpr00/cvpr00.pdf)
2000Vasconcelos & Lippman이미지 유사성의 통합적인 관점 (http://www.svcl.ucsd.edu/publications/conference/2000/icpr00/icpr00.pdf)
2000Lew시각적 콘텐츠를 위한 차세대 웹 검색 (https://web.archive.org/web/20070928040304/http://www.liacs.nl/home/mlew/comp2000.pdf)
2001Vasconcelos혼합 계층을 사용한 이미지 인덱싱 (http://www.svcl.ucsd.edu/publications/conference/2001/cvpr01/cvpr01.pdf)
2001Wang, Li, and WiederholdSIMPLIcity: 사진 라이브러리를 위한 의미 기반 통합 매칭 (http://www-db.stanford.edu/~wangz/project/imsearch/SIMPLIcity/TPAMI/)
2002Ruiz-del-Solar 외FACERET: 자기 조직화 맵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얼굴 검색 시스템 (https://doi.org/10.1007%2F3-540-45479-9_17)
2003Li and Wang통계적 모델링 접근 방식을 통한 사진의 자동 언어 인덱싱 (http://www-db.stanford.edu/~wangz/project/imsearch/ALIP/PAMI03/)
2003Sivic & Zisserman비디오 구글: 비디오에서 객체 매칭에 대한 텍스트 검색 접근 방식 (https://ieeexplore.ieee.org/stamp/stamp.jsp?arnumber=1238663)
2004Vasconcelos오류 최소 확률 이미지 검색 (http://www.svcl.ucsd.edu/publications/journal/2004/sp04/sp04.pdf)
2004Vasconcelos이미지 검색을 위한 확률적 유사성 함수의 효율적인 평가에 대해 (http://www.svcl.ucsd.edu/publications/journal/2004/it04/it04.pdf)
2004Hove모양에 대한 시소러스를 사용하여 이미지 검색 시스템 확장 (http://www.nik.no/2004/bidrag/Hove.pdf)
2004Berg 외뉴스에 나오는 이름과 얼굴 (http://www1.cs.columbia.edu/CAVE/NSF-ITR/research/publications/Berkeley/miller_cvpr_04.pdf)
2004Quack 외Cortina: 대규모 내용 기반 웹 이미지 검색 시스템 (http://portal.acm.org/citation.cfm?id=1027650)
2004Eidenberger시각 정보 검색에 대한 새로운 관점 (https://web.archive.org/web/20090617093824/http://www.ims.tuwien.ac.at/~hme/papers/ei2004-vir.pdf)
2004Town and Sinclair확장 가능한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컬렉션의 언어 기반 질의 (http://www.cl.cam.ac.uk/~cpt23/papers/TownIVC2004.pdf)
2004Bartolini, Ciaccia, and PatellaPIBE 개인화 가능한 이미지 브라우징 엔진 (http://dl.acm.org/citation.cfm?doid=1039470.1039482)
2005Jaffre의상: 자동 비디오 콘텐츠 인덱싱을 위한 새로운 기능 (https://web.archive.org/web/20050427132346/http://www.irit.fr/~Gael.Jaffre/RECHERCHE/thesis.html)
2005Arandjelovic & Zisserman장편 영화에서 영화 캐릭터 검색을 위한 자동 얼굴 인식 (https://web.archive.org/web/20170808170105/http://mi.eng.cam.ac.uk/~oa214/academic/publications/2005_CVPR_paper2.pdf)
2005Rouw의미 있는 이미지 공간 (http://photoindex.thingsdesigner.com/pdf/photoindex_mathesis_matthijsrouw.pdf)
2006Lew et al.내용 기반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 최신 기술 및 과제 (https://web.archive.org/web/20110125105642/http://www.liacs.nl/~mlew/mir.survey16b.pdf)
2006Bartolini, Ciaccia, and PatellaPIBE를 사용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적응적 검색 (https://doi.org/10.1007%2Fs11042-006-0044-0)
Jacobs, Finkelstein, SalesinRetrievr(Flickr 검색) 및 imgSeek의 기반이 되는 알고리즘 (http://grail.cs.washington.edu/projects/query/)
2007Bartolini and Ciaccia상상력: 정확한 이미지 주석을 위해 링크 분석 활용 (https://doi.org/10.1007%2F978-3-540-79860-6_3)
2007Hove시각 질의 지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사용 평가 (https://web.archive.org/web/20110724185212/http://caim.uib.no/publications/NOKOBIT07_ljh.pdf)
2007Vasconcelos픽셀에서 의미 공간으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의 발전 (http://www.svcl.ucsd.edu/publications/journal/2007/computer/computer07.pdf)
2007Maree 외무작위 트리를 사용한 무작위 서브윈도우 인덱싱을 통한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http://www.montefiore.ulg.ac.be/services/stochastic/pubs/2007/MGW07b/)
2008Datta 외이미지 검색: 새로운 시대의 아이디어, 영향 및 트렌드 (http://infolab.stanford.edu/~wangz/project/imsearch/review/JOUR/datta.pdf)
2008Li and Wang그림의 실시간 컴퓨터화된 주석 (http://infolab.stanford.edu/~wangz/project/imsearch/ALIP/PAMI08/)
2008Popescu and Grefenstette웹 이미지 검색을 위한 개념적 접근 (https://web.archive.org/web/20160108002525/http://comupedia.org/adrian/articles/Popescu_Grefenstette_Olive.pdf)
2010Bartolini, Ciaccia, and Patella영역 기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질의 처리 문제 (https://doi.org/10.1007%2Fs10115-009-0257-4)
2010Bartolini, Patella, and RomaniShiatsu: 컷을 사용하여 분할을 통한 비디오의 의미 기반 계층적 자동 태깅 (http://dl.acm.org/citation.cfm?doid=1862344.1862364)
2010Bartolini and Romani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유사성 기반 비디오 검색 (http://dl.acm.org/citation.cfm?doid=1862344.1862371)
2010Bartolini and Ciaccia다차원 키워드 기반 이미지 주석 및 검색 (http://dl.acm.org/citation.cfm?doid=1868366.1868371)
2011Bartolini, Patella, and Stromei효율적인 멀티미디어 계층적 데이터 검색을 위한 Windsurf 라이브러리 (http://www-db.deis.unibo.it/research/papers/SIGMAP11.pdf)
Joly, Alexis 외Pl@ntNet: 소셜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식물 식별 (https://web.archive.org/web/20141129085237/http://identify.plantnet-project.org/en/)
2013Moise, Shestakov, Gudmundsson, and AmsalegMap-Reduce를 사용하여 1억 개의 이미지 인덱싱 및 검색 (https://dx.doi.org/10.1145/2461466.2461470)
2014Luo, Zhang, Huang, Gao, TianSuperimage: 인덱싱 및 검색을 위한 의미 관련 이미지 팩 (https://dx.doi.org/10.1145/2578726.2578741)
2017Tyagi Vipin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https://link.springer.com/book/10.1007%2F978-981-10-6759-4)


참조

[1] 기타 Content-based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State of the Art and Challenges http://www.ugmode.co[...]
[2] 웹사이트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http://www.jisc.ac.u[...] University of Northumbria at Newcastle 2014-03-10
[3] 논문 Database architecture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1992-04
[4] 논문 Query by image and video content: the QBIC system
[5] 논문 Image Retrieval: Current Techniques, Promising Directions, and Open Issues 1999
[6] 논문 Using complex networks towards information retrieval and diagnostics in multidimensional imaging 2015
[7]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BLOBs http://www.cvalde.ne[...]
[8] 간행물 Search Images / Object Design Inc - Bargain of the year Stock Discussion Forums (Aug. 6, 1996) https://www.siliconi[...] 1996-04-29
[9] 웹사이트 Query-by-Example https://www.ibm.com/[...]
[10] 서적 Computer Vision Prentice Hall
[11] 논문 Image Retrieval: Ideas, Influences, and Trends of the New Age http://infolab.stanf[...]
[12] 웹사이트 Iterative Technique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Multiple SVM Ensembles http://iris.sel.eesc[...] Federal University of Parana(Brazil) 2014-03-11
[13] 웹사이트 Image Retrieval Using Visual Attention http://mayron.net/li[...] Mayron.net 2012-10-18
[14] 서적 Fundamental Media Understanding
[15] 논문 Textural Features Corresponding to Visual Perception
[16] 서적 Advances in Multilingual and Multimodal Information Retrieval https://pure.rug.nl/[...]
[17] arXiv Adversarial Ranking Attack and Defense
[18] arXiv Universal Perturbation Attack Against Image Retrieval
[19] arXiv Towards Deep Learning Models Resistant to Adversarial Attacks 2017-06-19
[20] 웹사이트 Features for Image Retrieval: An Experimental Comparison http://thomas.desela[...] RWTH Aachen University 2014-03-11
[21] 웹사이트 Integrating Pixel Cluster Indexing, Histogram Intersection and Discrete Wavelet Transform Methods for Color Images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System http://www.ijcee.org[...] 2010
[22] 논문 System for Screening Objectionable Images
[23] conference User interfaces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IET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