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의 옛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의 옛 국가, 즉 ''Wien Neêrlands bloed''는 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 수립 후 국가로 채택되었으나, 1932년 ''빌헬뮈스''로 대체되었다. 이 곡은 헨드릭 톨렌스가 작사하고 요한 빌헬름 빌름스가 작곡했으며,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찬가를 찾고 남부 네덜란드 가톨릭 주민들에게도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1898년 빌헬미나 여왕의 즉위식에 맞춰 가사가 수정되었으며, "외국의 오점으로부터 자유"라는 구절이 삭제되고 언어가 현대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노래 - 네덜란드의 국가
네덜란드의 국가인 "빌헬뮈스"는 16세기 독립 전쟁 시기에 만들어져 1932년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으며, 윌리엄 1세를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고 네덜란드 국민들에게 자긍심과 정체성을 부여하는 상징이다. - 네덜란드의 상징 - 네덜란드의 국기
네덜란드의 국기는 용기, 평화, 충성심을 상징하는 빨강, 흰색, 파랑의 삼색기로, 오라녜 공 빌럼 1세의 '프린스 플래그'에서 유래하여 러시아와 프랑스 국기 디자인 및 네덜란드 식민지 깃발에 영향을 주었다. - 네덜란드의 상징 - 네덜란드의 국장
네덜란드의 국장은 청색 방패 안의 금색 사자가 금색 왕관을 쓰고 은색 칼과 일곱 개의 은색 화살을 쥐고 있는 형상으로, "Je Maintiendrai" 모토를 포함하며 왕실, 정부, 의회 등에서 사용되는 네덜란드의 공식 문장이다. - 가장조 작품 - 교향곡 7번 (베토벤)
베토벤 교향곡 7번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작곡되어 1813년 초연 후 바그너에게 극찬을 받았지만 비판도 있었으며, 특히 2악장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4악장 구성의 교향곡이다. - 가장조 작품 - 엘살바도르의 국가
엘살바도르의 국가는 1879년 대통령의 주도로 작사 및 작곡되었으며, 쿠데타 시기를 제외하고 1953년 의회의 승인을 받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스페인어 가사의 곡이다.
네덜란드의 옛 국가 | |
---|---|
일반 정보 | |
제목 | Wien Neêrlands bloed (빈, 네덜란드의 피) |
종류 | 국가 |
국가 | 네덜란드 |
작사 | 헨드릭 톨렌스 |
작사일 | 알 수 없음 |
작곡 | 요한 빌헬름 빌름스 |
작곡일 | 알 수 없음 |
채택 | 1815년 |
폐지 | 1932년 |
2. 역사
1815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이 건국되면서 국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오늘날 국가인 "빌헬뮈스"는 이미 네덜란드 공화국 시대에 널리 알려져 있었으나, 국가적인 찬가라기보다는 오라녜-나사우 왕가와 관련된 정당이나 파벌의 찬가에 가까웠다. 특히 빌헬뮈스는 애국당에게 인기가 없었다.
나폴레옹 몰락 후, 오라녜-나사우 왕가는 이전에는 없었던 군주 지위를 얻게 되자,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찬가를 채택하려 했다. 또한, 새로운 찬가는 1815년 네덜란드와 통합하여 네덜란드 연합 왕국을 형성한 남부 네덜란드의 가톨릭 주민들에게도 받아들여질 수 있어야 했다. ''빌헬뮈스''는 칼뱅주의적 정서를 표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얀 헨드릭 판 킨스베르겐 제독이 주최한 공모전이 열렸고, 네덜란드 시인 헨드릭 톨렌스 (1780–1856)가 그의 시 ''Wien Neerlandsch bloed ...''로 우승했다. 이 시는 암스테르담에 거주하는 네덜란드-독일 망명자인 요한 빌헬름 빌름스 (1772–1847)에 의해 곡이 붙여졌다.
두 가지 버전이 있었는데, 원본과 빌헬미나 여왕의 통치를 위해 만들어진 변경된 버전이 있었다. 후자는 언어를 현대화하고, 왕 대신 여왕이 있다는 사실에 맞게 텍스트를 수정했으며, 논란이 많은 두 번째 줄 "van vreemde smetten vrij" ("외국의 오점으로부터 자유")를 대체했다.
새로운 국가의 채택에도 불구하고, ''빌헬뮈스''는 여전히 인기를 누렸고 1898년 빌헬미나 여왕의 즉위식에서 연주되었다.
''Wien Neêrlands bloed''는 1932년 5월 10일 공식적으로 ''빌헬뮈스''로 대체되었지만, 네덜란드 왕립 해군과 네덜란드 왕립 육군에서는 1939년까지 사용되었다. 이 대체는 1815년의 "새로운" 국가가 "빌헬뮈스"보다 더 논란이 되었으며 사회주의자들이 이 곡을 부르기를 거부했다는 사실과도 관련이 깊었다.
2. 1. 국가 제정 과정
2. 2. 빌헬뮈스로의 대체
3. 가사
3. 1. 1815년 원본 가사
1815년에 만들어진 네덜란드의 옛 국가의 가사는 네덜란드인의 피, 조국과 국왕에 대한 충성, 신에 대한 경외심 등을 노래한다.[1] 가사 중 "외국의 오점으로부터 자유"라는 구절은 논란의 소지가 있었다.[1]가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1]
:Wien Neerlandsch bloed in de aders vloeit,
:Van vreemde smetten vrij,
:Wiens hart voor land en koning gloeit,
:Verheff' den zang als wij:
:그 누구든 네덜란드의 피가 핏줄 속에 흐르고,
:외국의 오점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조국과 국왕을 향한 마음으로 불타오르는 이여,
:우리처럼 노래를 높이 부르세:
:Hij stell' met ons, vereend van zin,
:Met onbeklemde borst,
:Het godgevallig feestlied in
:Voor vaderland en vorst.
:그는 우리와 뜻을 모아,
:거침없이 가슴을 열고,
:신께 기쁨을 드리는 이 축가를 부르세
:조국과 국왕을 위해.
:De Godheid, op haar hemeltroon,
:Bezongen en vereerd,
:Houdt gunstig ook naar onzen toon
:Het heilig oor gekeerd:
:하늘 보좌에 앉은 신께서는,
:찬미와 존경을 받으시며,
:우리 노래에 자비로운 마음으로
:거룩한 귀를 기울이시네:
:Zij geeft het eerst, na 't zalig koor,
:Dat hooger snaren spant,
:Het rond en hartig lied gehoor
:Voor vorst en vaderland.
:저 높은 음역의 행복한 합창단 다음으로,
:이 웅장하고 진심 어린 노래를 들으시니,
:국왕과 조국을 위한 노래를 말일세.
:Stort uit dan, broeders, eens van zin,
:Dien hoogverhoorden kreet;
:Hij telt bij God een deugd te min,
:Die land en vorst vergeet;
:자, 형제들이여, 한 마음으로 쏟아내세,
:높이 울려 퍼지는 이 외침을;
:신께서는 조국과 국왕을 잊는 자에게
:덕을 덜 주시네;
:Hij gloeit voor mensch en broeder niet
:In de onbewogen borst,
:Die koel blijft bij gebed en lied
:Voor vaderland en vorst.
:그는 인간과 형제를 위해 불타오르지 않네
:무감각한 가슴 속에서,
:조국과 국왕을 위한 기도와 노래에
:무관심한 자 말일세.
:Ons klopt het hart, ons zwelt het bloed,
:Bij 't rijzen van dien toon:
:Geen ander klinkt ons vol gemoed,
:Ons kloppend hart zoo schoon:
:이 노래가 울려 퍼질 때
:우리 가슴은 뛰고 피가 끓어오르네:
:그 어떤 다른 소리도 우리의 마음을 채우지 못하네,
:우리 심장을 이토록 아름답게 뛰게 하는 소리 말일세:
:Hier smelt het eerst, het dierst belang
:Van allen staat en stand
:Tot één gevoel in d'eigen zang
:Voor vorst en vaderland.
:여기서 모든 신분과 계층의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 가치가
:국왕과 조국을 위한 이 노래 안에서
:하나의 감정으로 녹아드네.
:Bescherm, o God! bewaak den grond,
:Waarop onze adem gaat;
:De plek, waar onze wieg op stond,
:Waar eens ons graf op staat.
:오, 신이여! 우리가 숨 쉬는 이 땅을 보호하시고 지켜주소서;
:우리의 요람이 있던 곳,
:언젠가 우리의 무덤이 설 곳을 말입니다.
:Wij smeeken van uw vaderhand,
:Met diep geroerde borst,
:Behoud voor 't lieve vaderland,
:Voor vaderland en vorst.
:저희는 깊이 감동한 가슴으로
:아버지의 손길에 간청합니다.
:사랑하는 조국을 보호해주시기를,
:조국과 국왕을 위해.
:Bescherm hem, God! bewaak zijn troon,
:Op duurzaam regt gebouwd;
:Blink' altoos in ons oog zijn kroon
:Nog meer door deugd dan goud!
:신이시여, 그를 보호하시고, 그의 왕좌를 지켜주소서,
:영원한 정의 위에 세워진 왕좌를 말입니다;
:그의 왕관이 우리 눈에 영원히 빛나게 하소서,
:금보다 덕으로 더욱 빛나게 하소서!
:Steun Gij den scepter, dien hij torscht,
:Bestier hem in zijn hand;
:Beziel, o God! bewaar den vorst,
:Den vorst en 't vaderland.
:그가 든 홀을 지탱해주시고,
:그의 손으로 이끌어주소서;
:오, 신이여! 국왕에게 영감을 주시고, 보호해주소서,
:국왕과 조국을 위해.
:Van hier, van hier wat wenschen smeedt
:Voor een van beide alleen:
:Voor ons gevoel, in lief en leed,
:Zijn land en koning één.
:여기, 여기에서 그 중 하나만을 위한 소원을 만들지 말게:
:우리의 감정으로는, 기쁨과 슬픔 속에서,
:조국과 국왕은 하나일세.
:Verhoor, o God! zijn aanroep niet,
:Wie ooit hen scheiden dorst,
:Maar hoor het één, het eigen lied
:Voor vaderland en vorst.
:오, 신이여! 그들을 분리하려는 자의
:부름에는 귀 기울이지 마시고,
:조국과 국왕을 위한 하나 된 이 노래를 들어주소서.
:Dring' luid, van uit ons feestgedruisch,
:Die beê uw hemel in:
:Bewaar den vorst, bewaar zijn huis
:En ons, zijn huisgezin.
:우리 축제의 소란 속에서,
:이 간구를 당신의 하늘로 힘차게 올려 보내소서:
:국왕을 지켜주시고, 그의 가정을 지켜주소서
:그리고 우리, 그의 백성을 지켜주소서.
:Doe nog ons laatst, ons jongst gezang
:Dien eigen wensch gestand:
:Bewaar, o God! den koning lang
:En 't lieve vaderland.
:우리의 마지막, 우리의 가장 젊은 노래가
:그 소원을 이루게 해주소서:
:오, 신이여! 국왕을 오래도록,
:그리고 사랑하는 조국을 보호해주소서.
3. 2. 1898년 개정된 가사
1898년 빌헬미나 여왕의 즉위에 맞춰 국가 가사가 수정되었다. 왕 대신 여왕을 언급하고, "외국의 오점으로부터 자유"라는 구절이 삭제되었다. 또한 언어가 현대화되었다. J. W. 판 달프센이 수정한 가사는 다음과 같다.:Wien Neêrlands bloed in de aadren vloeit
: Wien ’t hart klopt fier en vrij
:Wie voor zijn volk van liefde gloeit
: Verheff’ de zang als wij:
:Hij roem’ met allen, welgezind
: Den onverbreekb’ren band
:Die Neerland en Oranje bindt
: Vorstin en vaderland (2x)
:Bescherm, o God, bewaakt den grond
: Waarop onze adem gaat
:De plek waar onze wieg op stond
: Wellicht ons sterfuur slaat
:Wij smeken van Uw vaderhand
: Met blijden kinderzin
:Behoud voor ’t lieve vaderland
: Voor land en koningin (2x)
:Dring’ luid, vanuit ons feestgedruis
: De beê den hemel in:
:Blijf met ons oud Oranjehuis
: Het volk steeds één gezin
:Vorstin en prins prijze ons gezang
: En ’t klinke aan allen kant:
:Bewaar het vorstelijk stamhuis lang
: En ’t lieve vaderland (2x)
:누구든 네덜란드인의 피가 혈관에 흐르고/Wien Neêrlands bloed in de aadren vloeitnd
:누구든 그 심장이 자랑스럽고 자유롭게 뛰며/Wien 't hart klopt fier en vrijnd
:누구든 조국을 향한 사랑으로 타오르는 자/Wie voor zijn volk van liefde gloeitnd
:우리처럼 노래하며 기뻐하라!/Verheff' de zang als wij:nd
:모두와 함께, 호의적으로 그는 칭송하네/Hij roem' met allen, welgezindnd
:깨뜨릴 수 없는 유대를/Den onverbreekb'ren bandnd
:네덜란드를 오라녜와 묶는/Die Neerland en Oranje bindtnd
:여왕과 조국 (2x)/Vorstin en vaderland (2x)nd
:오 주여, 보호하소서, 땅을 보호하소서/Bescherm, o God, bewaakt den grondnd
:우리가 숨 쉬는 곳/Waarop onze adem gaatnd
:우리의 요람이 놓여 있던 이 곳/De plek waar onze wieg op stondnd
:아마도 우리의 죽음의 시간이 올 곳/Wellicht ons sterfuur slaatnd
:우리는 아버지의 손에 간청하네/Wij smeken van Uw vaderhandnd
:기쁨에 찬 어린아이의 마음으로/Met blijden kinderzinnd
:사랑하는 조국을 보호하소서/Behoud voor 't lieve vaderlandnd
:여왕과 조국을 위해 (2x)/Voor land en koningin (2x)nd
:우리의 축제 소란 속에서 크게 울리며 퍼져나가라/Dring' luid, vanuit ons feestgedruisnd
:이 기도를 하늘로:/De beê den hemel in:nd
:우리 오라녜 왕가를 지켜주소서/Blijf met ons oud Oranjehuisnd
:국민은 영원히 한 가족이 되게 하소서/Het volk steeds één gezinnd
:여왕과 왕자는 우리의 노래를 칭찬하며/Vorstin en prins prijze ons gezangnd
:사방에 울려 퍼지게 하소서/En 't klinke aan allen kant:nd
:왕가를 영원히 보호하소서/Bewaar het vorstelijk stamhuis langnd
:그리고 사랑하는 조국을 (2x)/En 't lieve vaderland (2x)nd
3. 3. 한국어 번역
1815년 헨드릭 톨렌스가 작사한 원본 가사는 왕을 기리기 위해 쓰여졌다.[1] 1898년 J. W. 판 달프센이 수정한 가사는 빌헬미나 여왕을 기리기 위해 다시 쓰였다.'''1815년 원본 가사:'''
:네덜란드의 피가 핏줄 속에 흐르는 자,
:외국의 오점으로부터 자유로운 자;
:조국과 국왕을 위해 마음이 불타오르는 자여,
:우리처럼 노래를 기뻐하라!
:그는 우리와 함께, 목적을 통일하여,
:자신의 목소리로
:이 신성한 노래, 신에게 기쁨을 드리는,
:조국과 국왕을 위해 (2x)
'''1898년 개정 가사:'''
:누구든 네덜란드인의 피가 혈관에 흐르고,
:누구든 그 심장이 자랑스럽고 자유롭게 뛰며,
:누구든 조국을 향한 사랑으로 타오르는 자,
:우리처럼 노래하며 기뻐하라!
:모두와 함께, 호의적으로 그는 칭송하네,
:깨뜨릴 수 없는 유대를
:네덜란드를 오라녜와 묶는
:여왕과 조국 (2x)
4. 평가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Gedichten – Eerste deel
https://books.google[...]
G. T. N. Suringar
[2]
웹사이트
Neêrlands Volkslied
http://www.dbnl.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