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는 로마의 명문 귀족 가문 출신으로, 아우구스투스의 의붓아들이자 티베리우스의 동생이다. 그는 갈리아 총독을 역임하며 게르만족 정벌을 이끌었고, 라인강에서 엘베강까지 진격하는 등 뛰어난 군사적 업적을 세웠다. 기원전 9년 원정 중 낙마 사고로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에는 '게르마니쿠스'라는 칭호가 수여되었다. 그는 클라우디우스, 칼리굴라, 네로 등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황제들의 조상이며, 그의 죽음은 로마 제국의 게르마니아 정복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8년 출생 - 유리명왕
유리명왕은 고구려의 제2대 왕으로, 선비족 정벌과 국내성 천도 등 고구려의 기틀을 다지는 데 힘썼으며 황조가를 지은 왕으로 알려져 있으나, 왕위 계승 과정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 로마 제국의 장군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로마 제국의 장군 - 아리아노스
아리아노스는 로마 제국의 역사가이자 철학자, 군인으로,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의 제자였으며, 《알렉산드로스 원정기》를 저술했고, 로마 제국의 총독을 역임하며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데키무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또는 데키무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
사후 이름 |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게르마니쿠스 |
출생일 | 기원전 38년 1월 14일 |
출생지 | 로마, 로마 공화국 |
사망일 | 기원전 9년 |
사망 장소 | 마그나 게르마니아 |
매장지 | 아우구스투스 영묘 |
배우자 | 소 안토니아 |
자녀 | 게르마니쿠스 리빌라 황제 클라우디우스 |
가문 |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
아버지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
어머니 | 리비아 드루실라 |
경력 | |
직업 | 로마 장군 및 정치가 |
집정관 | 역임 |
2. 가계 및 초기 생애
드루수스는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와 리비아 드루실라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클라우디우스 씨족 출신이다. 리비아의 의붓아들이자 훗날 로마 황제가 되는 티베리우스는 그의 형이다. 드루수스는 소 안토니아(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아우구스투스의 누이 소 옥타비아의 딸)와 결혼하여 게르마니쿠스, 리빌라, 클라우디우스 등의 자녀를 두었다.
드루수스가 태어난 직후, 리비아는 전 남편과 이혼하고 기원전 38년 1월 17일에 아우구스투스와 결혼했다. 이 때문에 드루수스의 친아버지가 아우구스투스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그러나 리비아가 드루수스를 임신했을 당시에는 아우구스투스와 만날 기회가 없었고, 아우구스투스와 리비아가 결혼할 때 전 남편 클라우디우스 네로가 드루수스를 자신의 아들로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후대의 역사가들은 이 설을 부정했다.[37]
드루수스의 원래 이름은 '데키무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였으나, 후에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로 바뀌었다. 기원전 33년 친아버지 클라우디우스 네로가 사망할 때까지, 드루수스는 형 티베리우스와 함께 자랐으며, 그 덕분에 형제는 평생 동안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2. 1. 가계
드루수스는 리비아 드루실라와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아들이다. 리비아는 드루수스를 임신한 상태에서 티베리우스 네로와 이혼하고 아우구스투스와 결혼했다.[36] 이 때문에 아우구스투스가 드루수스의 친아버지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지만, 현대 역사학자들은 리비아가 드루수스를 임신했을 당시에는 아우구스투스와 만난 적이 없었다는 점을 들어 이 소문을 부정한다.[37]드루수스는 법적 아버지인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가 사망할 때까지 그의 집에서 형 티베리우스와 함께 자랐다. 두 형제는 평생 동안 매우 각별한 우애를 나누었는데, 티베리우스는 맏아들의 이름을 동생의 이름을 따서 지었고, 드루수스는 둘째 아들(훗날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이름을 티베리우스의 이름을 따서 지을 정도였다.
드루수스는 의붓아버지 아우구스투스의 외조카이자 고모 소 옥타비아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딸인 소 안토니아와 결혼했다. 부부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으며, 게르마니쿠스, 리빌라, 클라우디우스 등 2남 1녀를 두었다.[38] 드루수스가 죽은 후에도 안토니아는 약 50여 년 동안 재혼하지 않았다.
2. 2. 출생과 이름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드루수스는 원래 고유명으로 '데키무스'라는 이름을 받았지만, 나중에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로 개명되었다.[4] 이 개명이 언제, 왜 이루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당시에는 이 이름들이 흔하지 않았는데, 리비아는 남편의 이름을 사용하는 대신, 친정 아버지의 코그노멘을 사용하여 어머니 쪽 혈통을 강조했다. 또한, 원래 이름에 고유명 '데키무스'를 사용하는 것은 공화정 말기 지배 가문, 특히 귀족 가문에서는 이례적인 일이었다.[6] 아버지의 코그노멘인 '네로'를 고유명으로 사용하는 것 역시 매우 관습에 어긋나는 일이었다.[4]그의 ''디에스 루스트리쿠스''에서 주어진 전체 이름은 일반적으로 '데키무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로 추정되지만, 앤드루 페팅거, 피에르 그리말, T. P. 와이즈먼, 그렉 로우, 바바라 레빅, 에릭 D. 헌츠맨 같은 일부 역사가들은 '데키무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데키무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드루수스', 또는 '데키무스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네로'였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13][7][8][9][10][11][12]
리비아가 친정 아버지의 코그노멘을 아들에게 물려준 이유는 양형제인 마르쿠스 리비우스 드루수스 리보 외에는 그 이름을 물려줄 사람이 없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13] 1988년 C.J. 심슨은 이름 변경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는 세 가지 역사적 순간을 제시했다.
- 형 티베리우스가 마르쿠스 갈리우스에게 입양되었을 때
- 아버지 기원전 33년에 사망했을 때
- 토가 비릴리스를 착용했을 때
심슨은 형의 입양 시기는 드루수스가 태어나기 전일 수도 있다고 보았고, 아버지의 사망 시점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선전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는 리비아가 옥타비아누스와 결혼한 후 전 남편과의 연관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키무스와 드루수스라는 이름을 선택했지만, 몇 년 후 아들의 형과의 연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토가 비릴리스를 착용할 때 이름을 변경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15] 레빅은 티베리우스의 입양으로 드루수스가 네로네스의 이름을 사용해야 했다고 주장했다.[16]
진 모터스헤드는 수에토니우스의 ''디우스 클라우디우스''에 대한 해설에서 드루수스의 ''고유명''이 그의 아버지의 모계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마도 "데키무스"라는 고유명을 사용한 유니이 또는 라엘리이 가문일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녀는 또한 이름 변경이 그의 아버지가 사망하고 그가 옥타비아누스의 집으로 들어갔을 때 일어났다고 보았다.[18] 클라우스 셔버리히는 모터스헤드의 제안에 대해 비판적인데, 클라우디우스 네로네스처럼 보수적인 귀족 가문이 모계 조상으로부터 완전히 새로운 고유명을 채택한 사례가 없으며, 특히 해당 가문이 비귀족일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고 주장한다.[19]
린제이 파월은 드루수스가 개인적으로 아버지의 죽음 직후 그의 기억을 보존하고 존경하기 위해 그의 이름을 바꿨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고대 사비니어에서 "강한" 또는 "용감한"을 의미하는 ''네로''라는 이름이 저명한 씨족의 소년에게 적합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2. 3. 유년 시절
드루수스는 리비아 드루실라와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아들이다. 법적으로는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가 그의 아버지였으나, 리비아와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는 이혼하였다. 드루수스는 기원전 38년 3월 중순에서 4월 중순 사이에 태어났는데, 이는 리비아가 아우구스투스와 기원전 38년 1월 17일에 결혼한 지 3개월 후였다.[2] 이 때문에 아우구스투스가 드루수스의 친아버지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리비아가 미래의 남편인 아우구스투스를 만났을 때 이미 임신한 상태였기 때문에 이는 불가능했다.[3]드루수스는 법적인 아버지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가 기원전 33년에 사망할 때까지 그의 집에서 형 티베리우스와 함께 자랐다. 두 형제는 평생 동안 지속될 정도로 매우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티베리우스는 맏아들의 이름을 형의 이름을 따서 지었으며, 드루수스는 둘째 아들의 이름을 티베리우스의 이름을 따서 지을 정도였다.
3. 결혼과 자녀
안토니아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아우구스투스의 누이인 옥타비아의 딸로, 드루수스는 의붓아버지 아우구스투스의 외조카이자 고모의 딸인 안토니아와 결혼했다. 드루수스는 안토니아에게 헌신적이었으며, 부부는 금슬이 매우 좋았다.[20][38] 둘 사이에는 게르마니쿠스, 클라우디우스, 리빌라를 포함하여 2남 1녀와 그 외에 어린 시절에 사망한 최소 두 명의 자녀가 있었다.[21][38] 드루수스 사후 안토니아는 재혼하지 않고 약 50여 년간 남편을 기리며 살았다.[38]
4. 공직 경력
드루수스는 아우구스투스의 총애를 받으며 젊은 나이에 여러 공직을 역임했다. 기원전 19년, 법정 최소 연령보다 5세나 어린 나이에 모든 공직을 수행할 수 있는 특권을 얻었다.[1]
기원전 16년, 퀘스토르(재무관)에 임명되어 알프스 지역의 라에티족을 토벌했다. 그러나 완전히 분쇄하지는 못하여 형 티베리우스의 지원을 받아 알프스 지역 부족들을 제압했다.[1]
기원전 13년, 갈리아 총독으로 파견되어 현지 반란을 진압했다.[1] 이듬해부터는 게르만족을 평정하기 위한 군사 작전에 참가하여 라인강 부근에서 진격했다.[1] 갈리아 총독으로서 뤼그두눔(현재의 리옹)에 본부를 두었고, 기원전 14년에서 12년 사이에 '갈리아 속주 의회'를 설립했다.[1]
기원전 16년, 형 티베리우스가 프라에토르 직책으로 이탈리아를 떠나자, 드루수스는 퀘스토르 직에 임명되었다.[1]
기원전 13년, 갈리아에서 선임 통치자에 대한 폭동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 그 사이에 동방 게르마니아에서 게르만족이 갈리아로 침입하여 로마인 거주자를 위협하게 되었다. 드루수스는 군단을 이끌고 라인강을 건너 게르마니아 깊숙이 침공했다. 그리고 해로로 북해를 건너 1년 안에 프리지족의 영토를 제압했다.[1]
기원전 12년에는 북해를 통해 엠스강 중류에 상륙하여 베저강 부근까지, 기원전 11년에는 라인강을 건너 베저강에 도달하였다.[1] 기원전 10년에는 엘베강에 도달하였고, 이러한 공로로 기원전 10년에 이듬해의 집정관으로 선출되었다.[1]
기원전 11년, 프라에토르 직에 선출되었지만, 관직을 위해 로마로 돌아가지 않고 다시 게르마니아를 공격하여 겨울이 될 때까지 게르만족을 몰아냈다.[1] 로마 제국 영토로 돌아올 때 게르만족의 공격을 받았지만, 적을 격파하고 군단으로부터 절대적인 지지를 받아 개선식을 거행했다.[1]
기원전 10년, 샤티족과 시캄브리족의 공격을 패주 시켰다.[1] 그 후 의붓아버지 아우구스투스와 형 티베리우스를 만나기 위해 루그두눔(현재 리옹)으로, 그리고 로마로 향했다. 기원전 9년에는 집정관 직에 당선되었지만, 관직에 취임하지 않고 전선으로 가서 샤티족을 격파하고, 마르코만니족을 상대로 전쟁을 벌였다.[1]
5. 게르마니아 원정
기원전 14년부터 드루수스는 라인강을 따라 일련의 군사 기지를 건설했다. 플로루스에 따르면 50개에 달했으며, 바타비족과 동맹을 맺어 게르마니아 리베라에서 군사 행동을 준비했다.[22] 그는 아마도 일곱 개 군단을 지휘했을 것이다.[22]
드루수스는 게르마니아 원정(기원전 12–9년) 중에 여러 게르만 족장(최소 세 명)을 찾아 그들과 "눈부신 일대일 결투"를 벌였다.[25] 출처는 모호하지만, 그가 게르만 왕으로부터 ''스폴리아 오피마''를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25] 드루수스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아우구스투스는 유피테르 페레트리우스 신전에 그의 ''파스케스''에서 월계관을 안치했다. 이는 드루수스의 기억에 대한 확신으로 행해졌다고 추정된다.[26]
기원전 11–10년 겨울 동안 게르마니아 내 여러 곳에 주둔하여 지배력을 과시했는데, 그중 하나는 헤센주에 있었고,[24] 또 하나는 케루스키족 영토, 아마도 할테른의 캠프 또는 베르크카멘-오버아덴의 캠프였다.[24] 두 곳 모두 오늘날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해 있었다.
그는 가족이 로마로 돌아가기 전 잠시 루그두눔에서 아내 안토니아와 두 자녀와 재회했고, 드루수스는 아우구스투스에게 보고했다.[24] 드루수스는 오바치오의 영예를 얻었고, 아우구스투스는 세 번째로 야누스 신전의 문을 닫았는데, 이는 로마 세계 전체가 평화로운 상태임을 의미했다.[24]
5. 1. 초기 원정 (기원전 12년 ~ 기원전 11년)
드루수스는 갈리아 총독으로 재임하면서 게르마니아 원정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겼다. 기원전 14년부터 라인강을 따라 군사 기지를 건설했는데, 플로루스에 따르면 50개에 달했으며, 바타비족과 동맹을 맺어 게르마니아 리베라에서 군사 행동을 준비했다.[22] 그는 아마도 일곱 개 군단을 지휘했을 것이다.[22]
기원전 12년 봄, 드루수스는 원정 부대를 이끌고 네이메헨 인근에서 출항하여 엠스강 어귀로 항해, 차우치족 영토로 침투했다.[22] 차우치족은 로마와 조약을 체결하고 동맹 관계를 맺었다.[22] 엠스강을 거슬러 올라가던 로마군은 브룩테리족의 공격을 받았으나, 드루수스의 군대는 이들을 격파했다.[22] 이후 프리지족과의 동맹을 통해 북해의 어려운 상황을 헤쳐나가며 겨울 숙영지로 복귀했다.[22]
기원전 12년 원정의 성공으로 드루수스는 기원전 11년 겨울 로마에서 ''도시 프라에토르''로 임명되었다.[22] 그의 업적은 로마에서 큰 화제가 되었고, 동전에 기념될 정도였다.[22]
''도시 프라에토르'' 임기가 시작되는 봄, 드루수스는 다시 게르만 국경으로 향했다. 그는 베테라에서 출발하여 리페강을 거슬러 올라갔고, 텐크테리족과 우시페테스족을 격파했다.[23] 베라강 계곡에 도착한 후, 겨울이 다가오고 보급품이 부족해지자 회군을 결정했다.[23] 돌아오는 길에 케루스키족이 매복 공격을 해왔으나, 로마군은 이를 격파하고 드루수스에게 ''임페라토르''(개선 장군) 칭호를 부여했다.[23]
5. 2. 중기 원정 (기원전 10년)
기원전 10년, 카티족은 시캄브리족과 합세하여 드루수스의 캠프를 공격했지만 격퇴되었다.[24] 드루수스는 그들을 추격하여 오늘날 마인츠와 뢰트겐의 지점에서 출발하여 보급 기지를 설치하고 헤데뮌덴으로 진격하여 강력한 새로운 캠프를 세웠다.[24] 이때 영리한 마르코만니족 왕 마로보두스는 로마의 침략에 대응하여 자신의 백성을 대규모로 보헤미아로 이주했다.[24]기원전 10년 여름, 드루수스는 루그두눔으로 돌아가기 위해 전장을 떠났고, 8월 1일에 콘다테에서 세 갈리아 속주의 성소를 낙성했다.[24] 아우구스투스와 티베리우스가 이 행사를 위해 루그두눔에 있었고 (드루수스의 막내아들 클라우디우스가 태어났을 때), 그 후 드루수스는 그들을 따라 로마로 돌아갔다.[24]
드루수스는 이듬해 집정관 선거에서 쉽게 승리했다.[24] 그는 다시 임기를 시작하기 전에 도시를 떠났다. 그의 집정관직은 드루수스에게 로마의 가장 높고 희귀한 군사적 영예인 ''스폴리아 오피마''를 얻을 기회를 부여했다.[24]
5. 3. 마지막 원정 (기원전 9년)
기원전 9년, 드루수스는 집정관에 선출되었지만, 취임하지 않고 곧바로 게르마니아로 돌아가 마지막 원정을 시작했다.[25][26] 그는 마르시족과 케루스키족 영토를 지나 엘베강까지 진격했다.[22] 이 과정에서 여러 게르만 족장들과 "눈부신 일대일 결투"를 벌였다고 전해진다.엘베강에 도착했을 때, 드루수스는 게르만 여인의 환영을 보았는데, 그녀는 그에게 더 이상 진격하지 말라고 경고하며 죽음이 가까이 왔다고 말했다. 이에 드루수스는 회군을 결정하고, 엘베강 도달을 기념하는 기념비를 세웠다.
귀환 도중, 드루수스는 낙마 사고를 당하여 부상을 입었다.[22]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형 티베리우스가 소식을 듣고 달려와 드루수스의 임종을 지켰다고 한다. 드루수스는 부상 후 한 달 만인 기원전 9년에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로마로 운반되어 화장된 후 황제 묘에 안치되었다.
6. 죽음과 유산
기원전 9년 겨울, 드루수스는 행군 중 낙마 사고로 위독해졌다. 이 소식을 들은 티베리우스는 급히 달려왔으나, 드루수스는 얼마 뒤 숨을 거두었다. 티베리우스는 동생의 유해를 로마로 운구했다.[39] 드루수스의 유해는 화장되어 아우구스투스 영묘에 안치되었다.
원로원은 드루수스의 업적을 기려 '게르마니쿠스'라는 칭호를 헌정했으며, 이 칭호는 그의 큰 아들에게 계승되었다.[26] 또한 아피아 가도에 그의 업적을 기리는 아치를 세웠다.
군단병들은 드루수스를 기리기 위해 모곤티아쿰(현재의 마인츠)에 드루수스슈타인이라는 기념비를 세웠다.[27]
드루수스는 군사적 능력뿐만 아니라, 소 안토니아와의 애틋한 부부 관계, 백성과 군단병에 대한 헌신으로 칭송받았다. 소 안토니아는 드루수스 사후에도 재혼하지 않고 평생 독신을 지켰다. 아우구스투스는 드루수스를 아꼈으며, 그의 사후에도 그를 기리는 정책을 펼쳤다. 클라우디우스는 황제가 된 후, 아버지 드루수스를 기리는 기념 사업을 추진했다.[29]
역사가들은 드루수스를 게르마니아 정복을 시도한 로마 장군 중 가장 유능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한다. 그의 죽음은 로마의 게르마니아 확장을 둔화시켰고, 이후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와 같은 재앙으로 이어졌다.[29]
7. 대중문화 속 드루수스
-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역사 소설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에서 조연으로 등장하며, 같은 제목의 BBC 드라마에서는 이안 오길비가 연기했다.
- 드루수스의 죽음을 기념하는 연례 축제는 Codex Regius(2006–2014)의 ''the Romanike series''의 두 번째 권의 주요 플롯 요소이다.
- 그는 알라릭 롱워드(2016)의 ''Hrabam Chronicles''에서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 드루수스는 또한 2021년 SFX TV 시리즈 ''도미나''에 등장하며, 어린 십 대 시절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 드루수스의 흉상은 2018년 텍사스의 굿윌 매장에서 34.99USD에 구매되었으며, 이후 진품 골동품으로 확인되었다. 이 흉상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군인들이 독일 아샤펜부르크에서 가져간 것으로 추정되며, 2023년에 반환될 예정이다.[34]
참조
[1]
문서
The Twelve Caesars
[2]
서적
Suetonius: Divus Claudi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문서
At Divus Claudius
Cassius Dio
[4]
간행물
The Change in "Praenomen" of Drusus Germanicus
https://www.jstor.or[...]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1988
[5]
웹사이트
Claudius patrician
http://www.strachan.[...]
[6]
간행물
The Change in "Praenomen" of Drusus Germanicus
https://www.jstor.or[...]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1988
[7]
서적
The Civilization of Rome
Allen & Unwin
[8]
서적
Roman Studies: Literary and Historical
F. Cairns
[9]
서적
Princes and Political Cultures: The New Tiberian Senatorial Decre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
서적
Tiberius the Politician
Taylor & Francis
[11]
간행물
Livia before Octavian
https://www.jstor.or[...]
2009
[12]
서적
Germanicus
J.B. Wolters
[13]
서적
The Republic in Danger: Drusus Libo and the Succession of Tiberius
OUP Oxford
[14]
간행물
The Change in "Praenomen" of Drusus Germanicus
https://www.jstor.or[...]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1988
[15]
간행물
The Change in 'Praenomen' of Drusus Germanicus
https://www.jstor.or[...]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1988
[16]
서적
Tiberius the Politician
Taylor & Francis
[17]
간행물
Tiberius' adoption by M. Gallius and the elder Drusus' change in praenomen
John Pinsent
1993
[18]
서적
Suetonius: Claudius
Bristol Classical Press
[19]
서적
Untersuchungen zur vita Claudii des Sueton
Universität zu Köln
[20]
문서
Factorum ac dictorum memorabilium libri IX
https://penelope.uch[...]
[21]
서적
Antonia Augusta: Portrait of a Great Roman Lady
Psychology Press
[22]
문서
Legiones I Germanica
[23]
문서
I Germanica
[24]
문서
Women, Children, and Priests on the Ara Pacis Augustae
[25]
문서
Claudius
[26]
간행물
Drusus and the Spolia Opima
2020-08-10
[27]
서적
Mainz – tours on foot
Bayerische Verlagsanstalt
[28]
서적
Claudiu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9]
서적
Teutoburg Forest, AD 9 : the destruction of Varus and his legions
https://www.worldcat[...]
Osprey Publishing
2011
[30]
문서
Tiberius
[31]
문서
Claudius
[32]
간행물
Review of Consolatio ad Liviam by Arnold Witlox
1935
[33]
문서
Res Gestae Divi Augusti
http://classics.mit.[...]
[34]
뉴스
A woman bought a statue for $34.99 at a Goodwill in Texas. It turned out to be an ancient Roman artifact – and likely looted
https://www.cbsnews.[...]
2022-05-05
[35]
서적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36]
서적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37]
서적
아우구스투스
다른세상
[38]
서적
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한길사
[39]
서적
풍속으로 본 12인의 로마 황제
풀빛미디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