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명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리명왕은 고구려의 제2대 왕으로, 동명성왕과 예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 주몽을 찾아 고구려로 돌아와 왕태자가 되었고, 주몽 사후 왕위를 계승했다. 유리명왕은 선비족 토벌, 국내성 천도, 신나라와의 대립 등 치세를 펼쳤으며, 잦은 사냥을 통해 정치적 기반을 다졌다. 왕비 송씨 사후 후궁 화희와 치희를 맞이했으나, 두 사람의 갈등으로 치희가 떠나자 황조가를 지어 그리움을 표현했다. 일각에서는 유리명왕이 왕위를 찬탈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지만, 뚜렷한 증거는 부족하다. 그의 자녀로는 도절, 해명, 무휼, 여진, 해색주, 재사 등이 있으며, 드라마 주몽, 바람의 나라, 근초고왕 등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8년 출생 -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는 리비아 드루실라와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사이에서 태어난 로마 제국의 귀족이자 장군으로, 티베리우스의 동생이며 아우구스투스의 총애를 받아 알프스와 게르마니아에서 군사적 성공을 거두어 "게르마니쿠스" 칭호를 받았고, 그의 자손들은 로마 황제가 되었다. - 18년 사망 - 여모
여모는 신나라 말기 아들의 복수를 위해 반란을 일으킨 중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반군 지도자로, 재산을 털어 군대를 일으켜 현령을 처단하며 왕망 정권에 대한 저항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고, 비록 병사했지만 그녀의 추종자들은 후한 건국에 기여했다. - 18년 사망 - 헤로데 아르켈라오스
헤로데 아르켈라오스는 헤로데 대왕의 아들로 유대, 사마리아, 이두매 지역을 통치했으나, 폭동 진압과 잔혹한 통치로 인해 폐위되어 갈리아로 추방되었다. - 온조왕 - 소서노
소서노는 졸본 부여 또는 연타발의 딸로, 북부여 우태와 혼인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았으며, 고구려 동명성왕과 혼인하여 고구려 건국을 돕고 두 아들과 함께 백제를 건국한 인물이다. - 온조왕 - 위례성
위례성은 백제의 초기 수도로, 하남 위례성과 하북 위례성으로 나뉘며, 하남 위례성은 현재의 서울 지역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하고, 명칭 유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유리명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유리명 (瑠璃明) |
왕호 | 유리왕 (瑠璃王) 또는 유리명왕 (瑠璃明王) |
휘 | 유리 (類利), 유류 (孺留), 유류 (儒留), 누리 (累利), 여달 (閭達), 여해 (閭諧) |
신상 정보 | |
출생 | 기원전 38년 |
사망 | 기원후 18년 10월 (56세) |
출생지 | 북부여 또는 동부여 |
사망지 | 고구려 두곡의 이궁 (豆谷 離宮) |
능묘 | 두곡 동원 (豆谷 東原) |
가족 관계 | |
부친 | 동명성왕 |
모친 | 예씨 부인 |
형제자매 | 비류, 온조왕 |
배우자 | 왕후 송씨, 화희, 치희 |
자녀 | 태자 도절, 태자 해명, 무휼(대무신왕), 여진, 해색주(민중왕), 재사, 공주 |
왕위 정보 | |
재위 기간 | 기원전 19년 9월 ~ 기원후 18년 10월 (음력) (37년간) |
즉위일 | 기원전 19년 9월 |
전임자 | 동명성왕 |
후임자 | 대무신왕 |
태자 정보 | |
태자 책봉 기간 | 기원전 19년 4월 ~ 기원전 19년 9월 (음력) |
전임 태자 | 최초의 태자 |
후임 태자 | 도절 |
시호 | |
시호 | 유리명 (瑠璃明) |
2. 탄생과 즉위
동명성왕의 맏아들 유리명왕은 동부여 출신 예씨부인의 소생으로, 기원전 38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8] 동명성왕이 동부여에서 졸본부여로 망명한 이후에 태어났으며, 뜻이 크고 기이한 절개가 있었다고 한다.[19] 동부여에서 성장한 후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와서 기원전 19년 음력 4월에 왕태자로 책봉되었다. 동명성왕에게서 부러진 칼 조각을 징표로 받아 왕태자가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삼국지 위서 고구려전에는 그의 본명이 여달이었는데, 아버지를 찾아 고구려로 온 뒤 주몽왕에게서 친자로 인정받고 이름을 여해로 고쳤다고 한다. 광개토대왕릉비에는 유류 세자라 하여 주몽왕의 명으로 태자에 책봉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구려에 돌아와 왕태자에 책봉된 유리는, 석 달간 대리청정을 지낸 후 기원전 19년 음력 9월에 주몽왕이 서거하자 왕위를 이어받았다. 이때 비류와 온조는 유리가 태자로 책봉된 이후 백성들을 이끌고 남하하여 백제를 건국하였다.
2. 1. 유리왕 설화
《삼국사기(三國史記)》 유리왕조(瑠璃王條)에 실려 있는 고구려 동명왕(東明王)의 아들 유리(類利)에 관한 설화 혹은 고구려 시조 추모왕(雛牟王)의 아들 유리에 관한 설화가 신화로 전해진다.유리명왕은 아버지 주몽이 부여에 있을 때 예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주몽이 부여에서 졸본으로 망명했기 때문에 유리는 자신의 아버지를 알지 못했다. 어린 시절, 길에서 참새를 쏘며 놀다가 실수로 물을 길러온 부인의 물동이를 깨뜨렸다. 부인이 욕하며 "이 아이는 아비가 없어서 이렇게 괄괄한가 보다"라고 하자, 유리는 부끄러워하며 집에 돌아와 어머니에게 "제 아버지는 누구시고 지금 어디에 계십니까?"라고 물었다. 어머니는 "네 아버지는 보통 사람이 아니란다. 이 나라에 용납되지 않아 남쪽으로 도망쳐 나라를 세워 왕이 되셨다. 도망칠 때 나에게 '네가 만약 아들을 낳으면, 내가 (주몽) 어떤 물건을 칠각형 돌 위의 소나무 아래에 숨겨두었으니, 그것을 찾아내면 그 아이가 바로 내 아들이다'라고 말해주라고 하셨다"라고 대답했다.
유리는 여기저기를 찾았지만, 어느 날 아침 집에 있는데 기둥의 초석 사이에서 소리가 나는 것을 듣고, 그것을 따라 찾아보니 초석이 칠각형이었다. 기둥 아래를 찾아보니 검 조각을 얻었다. 그래서 그 조각을 가지고 야지, 구추, 도조 등 3명과 함께 졸본으로 가서 아버지인 동명성왕에게 바쳤다. 왕이 가지고 있던 검의 일부와 맞춰보니 이어져 하나의 검이 되었으므로, 왕은 이를 만족하여 유리를 태자로 삼았다. 왕이 죽은 후 유리는 왕위를 계승했다.
이 이야기의 "유리왕의 검"은 동명성왕(주몽)의 "나팔과 북", 대무신왕(무휼)의 "정"과 함께 한국 신화의 삼종 신기가 되었다.
3. 치세
기원전 9년, 부분노의 계책을 활용하여 선비족을 복속시켰다.[2][7] 기원전 6년, 부여 대소왕의 인질 요구를 거절하고, 부여의 침공을 막아냈다. 서기 3년, 수도를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겨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이는 이반한 민심에서 벗어나 정권을 장악하고 북부여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함이었다는 견해가 있다.[21]
서기 12년, 신나라 왕망의 흉노 정벌 요구를 거절하고, 오히려 신나라를 공격했다.[3] 서기 13년에는 부여의 침공을 막아내고, 서기 14년에는 양맥을 정복하고 현도군의 고구려현을 빼앗았다.
서기 18년, 두곡(豆谷)의 별궁에서 죽었으며 두곡의 동원(東原)에 장사지냈다.
3. 1. 잦은 사냥과 관련된 정치적 행보
유리명왕은 치세 전반에 걸쳐 매우 많은 사냥을 했다. 총 5번에 걸친 사냥 기록은 유리명왕이 사냥을 통해 고구려 내에서의 정치적 기반을 다지려는 목적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유리명왕은 사냥을 통해 서기 2년에 위사물을 등용하고, 서기 5년에 우씨(羽氏)를 등용하는 등 충실한 정치적 기반을 다졌으며, 서기 3년에는 개국공신 중 하나인 협보의 관직을 빼앗는 등 확고한 기반을 다지는 데 사냥을 이용하였다.[21]3. 2. 황조가
유리명왕 3년(기원전 17년), 왕비 송씨가 사망하고, 유리명왕은 홀본의 화희와 한인의 지희를 각각 후처로 맞이했다.[9] 두 사람은 총애를 다투며 사이가 좋지 않았기에, 왕은 두 사람을 따로 살게 했다. 어느 날 왕이 기산으로 사냥을 갔을 때 두 사람은 다투었고, 화희가 지희를 꾸짖어 "너는 한인의 종인데, 어찌 이리 무례하냐"라고 말했기에, 지희는 부끄럽고 원망하여 친정으로 돌아가 버렸다. 왕은 이 말을 듣고 말을 달려 지희를 쫓았지만, 지희는 노하여 돌아오지 않았다. 어느 날 왕은 꾀꼬리가 모여 나는 것을 보고 지희를 그리워하며 다음과 같은 노래를 지어 탄식했다.이를 황조가라 하며, 구지가·해가가와 함께 한국 고대 시가 중 가장 오래된 시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0]
4. 왕위 찬탈설 및 반박
일부 역사학자들은 유리명왕이 주몽의 아들이 아니라 왕위를 찬탈한 인물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하지만 뚜렷한 증거가 부족하여 이는 추측에 불과하다.[1]
유리명왕의 성은 해(解)씨였고, 주몽의 성은 고(高)씨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주몽은 부여에서 해모수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이후 주몽은 부여를 떠나 고구려를 건국하기 전에 유리명왕을 남겨두고 떠났다고 한다. 주몽은 부여를 떠난 후 고구려를 건국하면서 성을 해씨에서 고씨로 바꿨지만, 유리명왕은 해씨 성을 유지했다. 그러나 다른 이론에서는 유리명왕이 다른 가문 출신의 찬탈자였고, 위의 이야기는 사후에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1]
주몽의 측근이자 가장 신뢰받던 신하 중 한 명인 협보가 유리명왕에 의해 파면된 기록이 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협보가 유리명왕이 궁궐을 자주 비우고 사냥을 다니는 것에 대해 반대하며, 국정에 집중할 것을 촉구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에 분노한 유리명왕은 협보(陜父)를 강제로 파면했고, 협보는 이후 고구려를 떠났다. 찬탈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이 사건을 유리명왕이 주몽의 충신들을 제거한 것으로 해석한다. 하지만, 주몽의 모든 신하가 제거된 것은 아니었다. 부분노와 오이 장군은 유리명왕 재위 기간 대부분을 고구려에서 봉사했으며, 왕국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찬탈설과 관련된 또 다른 증거는 주몽의 부러진 칼 이야기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유리명왕은 주몽의 부러진 칼 조각을 찾아 주몽에게 보여주고 태자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주몽의 부러진 칼을 소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주몽에 대한 승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또한, 주몽은 유리명왕이 도착한 직후 비교적 젊은 나이인 40세에 사망했다.[1]
2대부터 5대 고구려 왕들은 해(解)씨 성을 유지했지만, 6대 태조대왕은 이후 다시 고(高)씨 성을 사용했다. 유리명왕이 왕위를 찬탈했다고 의심하는 사람들에게 이것은 고씨 가문의 복귀를 증명하는 증거가 된다. 그러나 또 다른 일반적인 가설은 고구려 왕실의 성이 단어였고, 해(解)는 그 단어의 고구려어 발음을 한자로 음차한 것이며, 고(高)는 그 단어의 의미를 한자로 음차한 것이라는 것이다.[1]
5. 가족 관계
- 아버지: 동명성왕
- 어머니: 예씨 부인
- 왕비: 왕후 송씨(다물후 송양의 딸)
- 후궁: 화희(禾姬) - 기원전 17년에 맞아들인 후궁으로, 골천(鶻川) 사람의 딸이다.
- 후궁: 치희(雉姬) - 기원전 17년에 맞아들인 후궁으로, 한나라 출신이다. 화희가 치희를 천하게 여겨 자주 다투자 수치심을 느껴 궁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갔다.[4]
이름 | 생몰년 | 비고 |
---|---|---|
도절 | ? - 1년 | 첫번째 태자 |
해명 | 기원전 12년 - 9년 | 두번째 태자 |
대무신왕 (무휼) | 4년 - 44년 | 제3대 국왕 |
여진 | ? - 18년 | |
민중왕 (해색주) | ? - 48년 | 제4대 국왕 |
재사 | 미상 | 제6대 국왕 태조대왕의 아버지 |
미상 | 미상 | 우씨의 부인 |
6. 평가 및 등장 작품
유리명왕은 기원전 9년 부분노의 도움을 받아 선비족을 정복하고, 기원전 3년 수도를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기는 등 강력하고 군사적으로 성공한 왕으로 묘사된다.[2] 12년 왕망이 흉노 정벌을 위해 군대를 요청했으나, 유리는 이를 거절하고 신나라를 공격했다.[3]
그러나 왕위 찬탈 의혹, 아들 해명을 죽게 한 점, 잦은 사냥과 장기간 궁궐을 비워 국정 운영에 문제를 일으켰다는 점은 부정적으로 평가받는다.
12년 왕망이 흉노 정벌을 위해 고구려에 원군을 요청했을 때, 유리명왕(혹은 동명성왕으로 추정되는 '추')은 이를 거부했다. 그러나 왕망은 협박하여 고구려군을 징발했고, 고구려군은 도망쳤다. 왕망은 책임을 물어 추를 처형하고 고구려를 하구려로 개명했다. 이는 한나라와의 불화를 유발하고 외교적 고립을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기원전 9년 부분노의 계략을 이용하여 선비를 속국으로 삼고,기원전 6년 부여 대소왕의 침입을 폭설로 물리쳤다.[7] 이후에도 부여와 대립하여 13년 부여의 공격을 받았으나, 무휼이 격퇴하였다. 14년 무휼을 태자로 삼아 군사 및 국정을 위임하고, 같은 해 양맥국을 멸망시키고 전한 현토군 고구려현을 탈취했다.
3년 도읍을 오녀산성에서 국내성(지린성 지안시)으로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았다.
;등장 작품
- 2006년~2007년 MBC 드라마 《주몽》 (배우: 안용준, 정윤석)
- 2008년~2009년 KBS 드라마 《바람의 나라》 (배우: 정진영)
- 2010년~2011년 KBS 드라마 《근초고왕》 (배우: 박정우)
6. 1. 긍정적 평가
기원전 9년 부분노의 계략을 이용하여 선비를 쳐서 속국으로 삼았다.[7] 기원전 6년 부여 대소왕이 국교를 맺고 인질을 교환할 것을 요청했으나, 태자 도절이 두려워하여 가지 않았다. 이에 대소왕이 5만 명의 병사를 이끌고 침입해 왔으나, 폭설 때문에 부여군은 물러갔다. 이후에도 부여와 대립하여 13년 부여의 공격을 받았으나, 무휼이 격퇴하였다. 14년 1월 무휼을 태자로 삼아 군사 및 국정을 위임했다. 같은 해 8월, 오이(烏伊)와 마려(摩離)에게 명하여 양맥국을 멸망시키고, 전한 현토군 고구려현을 탈취했다.3년 10월 도읍을 오녀산성에서 국내성(지린성 지안시)으로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았다.
유리명왕은 강력하고 군사적으로 성공한 왕으로 묘사된다. 기원전 9년 부분노의 도움을 받아 선비족을 정복했다.[2] 기원전 3년 수도를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겼다. 전한은 왕망에 의해 멸망했고, 왕망은 신나라를 세웠다. 12년 왕망은 흉노 정벌을 위해 고구려에 군대를 요청했으나, 유리는 이를 거절하고 신나라를 공격했다.[3]
6. 2. 부정적 평가
유리명왕은 왕위 찬탈 의혹을 받고 있는데, 주몽의 아들이 아닐 가능성이 제기된다. 유리명왕의 성은 해(解)씨였던 반면, 주몽은 고(高)씨였다는 점, 주몽의 신하였던 협보가 파면당한 점, 주몽의 부러진 칼 조각을 유리명왕이 소지하고 있었다는 점 등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 하지만 뚜렷한 증거가 부족하여 이는 추측에 불과하다.[7]아들 해명을 죽게 한 점도 부정적으로 평가받는다. 기원전 6년 부여의 대소왕이 인질을 요구했을 때, 해명이 두려워하여 응하지 않자, 대소왕이 침입하기도 했다.
유리명왕은 잦은 사냥과 장기간 궁궐을 비우는 것으로 인해 국정 운영에 문제를 일으켰다는 비판을 받는다. 《삼국사기》에는 협보가 유리명왕에게 국정에 집중할 것을 촉구했다가 파면당했다는 기록이 있다.
12년 신의 왕망이 흉노 정벌을 위해 고구려에 원군을 요청했을 때, 유리명왕(혹은 동명성왕으로 추정되는 '추')은 이를 거부했다. 그러나 왕망은 협박하여 고구려군을 징발했고, 고구려군은 도망쳤다. 왕망은 책임을 물어 추를 처형하고 고구려를 하구려로 개명했다. 이는 한나라와의 불화를 유발하고 외교적 고립을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6. 3. 등장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dynasties
https://www.sizes.co[...]
2019-11-14
[2]
문서
삼국사기, 13권 내용 발췌
[3]
문서
삼국사기 내용 발췌
[4]
문서
서기 18년 여름 익사 사건
[5]
문서
유리왕의 부친에 대한 기록 상의 차이
[6]
문서
琉璃王 호칭에 대한井上秀雄의 논의
[7]
문서
삼국사기 기록에 대한 고찰
[8]
문서
고구려의 10월 제천 의식
[9]
서적
치희(雉姬)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07-08
[10]
서적
치희 雉姬
https://www.doopedia[...]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22-07-08
[11]
서적
삼국사기
[12]
문서
광개토왕릉비
[13]
서적
삼국유사
[14]
서적
위서 (역사서)
[15]
문서
광개토왕릉비
[16]
웹사이트
삼국사기
https://db.history.g[...]
[17]
웹사이트
琉璃明王의 黃鳥歌 硏究 ― 작품 속에 드러난 情調를 중심으로 ―
https://www.dbpia.co[...]
[18]
웹사이트
<황조가(黃鳥歌)>의 새로운 해석
https://s-space.snu.[...]
[19]
웹사이트
동명왕편
https://db.itkc.or.k[...]
[20]
논문
고구려 유리왕 고
[21]
서적
고구려의 발견
바다출판사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