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벨스코이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벨스코이 해협은 사할린 섬과 동아시아 대륙 사이의 타타르 해협 내에 위치한 해협으로, 일본해와 오호츠크해를 연결한다. 길이는 56km이며, 가장 좁은 곳의 폭은 7.3km이다. 러시아의 영토이며, 하바롭스크 지방과 사할린주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다. 1849년 러시아의 군인 겐나디 네벨스코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과거 소련 시기에는 사할린 터널 건설이 시도되었고, 현재는 교량 건설도 검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태평양 연안 - 러시아 태평양 함대
    러시아 태평양 함대는 러시아 해군의 태평양 지역 관할 함대로, 블라디보스토크를 주요 기지로 극동 지역 해상 방어를 담당하며, 다양한 함종과 해군 항공대, 해병대, 해안 방어 부대 등을 예하에 두고 있다.
  • 러시아의 태평양 연안 - 표트르 대제만
    표트르 대제만은 러시아 극동의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위치한 만으로, 러시아 태평양 함대의 모항인 블라디보스토크를 포함한 주요 도시와 섬들이 있으며, 러시아의 태평양 진출을 위한 핵심적인 군사 및 교통 거점이다.
  • 사할린주의 지형 - 오호츠크해
    오호츠크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 태평양 북서부에 위치한 주변부 해역으로 러시아, 일본, 사할린, 쿠릴 열도에 걸쳐 있으며 풍부한 수산 자원과 석유, 천연가스 매장량, 겨울철 해빙, 오호츠크 환류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사할린주의 지형 - 쿠릴-캄차카 해구
    쿠릴-캄차카 해구는 태평양판이 오호츠크판 아래로 섭입하며 형성된 해구로, 환태평양 조산대의 일부로서 지진과 쓰나미 발생 위험이 높아 주변 지역의 연구 및 대비가 필요한 곳이다.
  • 러시아의 해협 - 베링 해협
    베링 해협은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 위치하며, 좁은 폭이 약 82km, 수심이 90m 정도이고, 국제 날짜 변경선이 지나가며, 과거 육교로 존재했고, 비투스 베링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횡단 시도와 다양한 건설 구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 러시아의 해협 - 케르치 해협
    케르치 해협은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고대 보스포루스 왕국부터 근대 러시아-튀르키예, 2차 세계 대전, 그리고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2018년 크림 대교 건설 이후 잦은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네벨스코이 해협
개요
명칭네벨스코이 해협
러시아어 명칭Пролив Невельско́го (Proliv Nevel'skogo)
일본어 명칭間宮海峡 (Mamiya Kaikyō, 마미야 해협)
지리
위치러시아 본토와 사할린 섬 사이
연결 수역동해 (타타르 해협) 와 오호츠크해 (아무르 리만) 연결
최소 너비약 7.3 km (가장 좁은 지점)
깊이수심 8m (가장 얕은 지점)
중요성사할린 섬이 섬이 아닌 반도라는 잘못된 가정의 원인. 매우 얕은 수심 때문에, 19세기 중반까지 배가 다닐 수 없다고 생각함.
역사
이름의 유래겐나디 네벨스코이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그는 1849년에 이 해협이 실제로 존재하고 배가 다닐 수 있음을 증명함.
일본에서의 명칭 유래마미야 린조의 이름을 따서 마미야 해협이라고도 불림. 그는 에도 시대에 이 지역을 탐험함.
기타 역사적 중요성러일 전쟁 이후 일본은 사할린 섬의 절반을 얻었지만, 러시아 본토와 사할린을 연결하는 가장 좁은 해협을 통제할 수 없었음.
기타
로마자 표기Proliv Nevel'skogo

2. 지리

네벨스코이 해협은 타타르 해협 내에 위치한 "해협 속의 해협"으로, 사할린 섬과 동아시아 대륙 사이의 일본해와 오호츠크해를 연결한다. 네벨스코이 해협은 타타르 해협 남부 본류와 아무르강하구인 북부 아무르 리만을 연결한다.[1] 사할린과 아시아 대륙 사이의 가장 좁은 지점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작은 을 포함한다. 가장 큰 곶인 라자레프 곶은 포기비 곶을 향해 뻗어 있으며 네벨스코이 해협의 가장 좁은 구간을 형성한다.

정치적으로 네벨스코이 해협은 러시아의 영토이며, 하바롭스크 지방과 사할린주 사이의 경계에 위치한 러시아 극동 지역에 속한다. 인구 밀도가 낮으며, 해협 반대편 라자레프 곶에 위치한 포기비와 라자레프가 유일한 주요 정착지이다.

길이너비항로 수심
56km7.3km7.2m



총 길이는 56km이며, 폭은 가장 좁은 곳이 7.3km, 항로의 수심은 7.2m이다. 겨울에는 얼어붙어 걸어서 건널 수 있다. 러시아 침략 전에는 우리치 등의 선주민이 해협을 건너 산단 무역을 했으며, 주변은 옛날부터 니브흐 (아이누는 그들을 스메렌쿠르라고 불렀다)의 거주지였다. 또한, 이 해협은 검토 중인 사할린 터널의 예정지이기도 하다.

3. 역사

1849년 러시아의 군인이자 항해자였던 겐나디 네벨스코이의 이름을 따서 해협의 이름을 지었다. 네벨스코이는 마미야 해협이 아무르강 하구와 연결되어 있어 만이 아닌 해협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했으며, 사할린이 아시아 본토와 연결되지 않은 섬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3]

일본에서는 이 해협에 대해 여러가지 명칭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유라시아 대륙과 사할린 사이의 해협 전체를 마미야 해협(타타르 해협)이라고 부르고, 그 중 가장 좁은 부분을 쿠로류 수도[3] 또는 네벨스코이 해협[4]이라고 부른다. 혹은 전체를 타타르 해협이라고 부르고 좁은 부분을 마미야 해협이라고 부르며, 마미야 해협의 러시아 명칭을 네벨스코이 해협이라고 부르는 경우[5]도 있다.

3. 1. 초기 역사와 원주민

총 길이는 56 km이며, 폭은 가장 좁은 곳이 7.3 km, 항로의 깊이는 7.2 m이다. 겨울에는 얼어붙어 걸어서 건널 수 있다. 러시아의 침략 전에는 우리치 등의 선주민이 해협을 건너 산단 무역을 했으며, 주변은 옛날부터 니브흐(아이누는 그들을 스메렌쿠르라고 불렀다)의 거주지였다.

3. 2. 겐나디 네벨스코이의 탐험 (19세기)

1849년 러시아의 군인이자 항해자였던 겐나디 네벨스코이는 마미야 해협이 아무르강 하구와 연결되어 있어 만이 아닌 해협임을 최종적으로 확인했다.[3] 그는 또한 사할린이 아시아 본토와 연결되지 않은 섬이라는 것을 증명한 세 번째 인물이기도 했다.

3. 3. 사할린 연결 프로젝트 (20세기 ~ 현재)

네벨스코이 해협의 전략적 위치 때문에 사할린과 본토를 연결하는 여러 프로젝트가 제안되었다.[1] 1950년 소련은 해협 아래에 사할린 터널 건설을 시작했으나,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후 공사가 연기되어 사실상 중단되었다.[1]

2018년 7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사할린행 교량 건설 제안에 대한 분석을 지시했다.[1] 푸틴 대통령은 이 프로젝트가 사할린 주민들에게 매우 중요하며, 사람들이 이 지역에 머물도록 장려하고 인접한 하바롭스크 지방의 개발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1]

3. 3. 1. 사할린 터널

소련은 1950년 사할린 터널 건설을 시작했으나, 이오시프 스탈린이 1953년 사망하면서 공사가 연기된 후 사실상 중단되었다.[1] 2018년 7월,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사할린으로 가는 교량 건설 제안에 대한 분석을 지시하면서, 이 프로젝트가 사할린 주민들에게 매우 중요하며 하바롭스크 지방의 개발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1] 또한, 정부에 이 문제, 특히 경제적 측면에 대한 분석을 지시했다고 밝혔다.[1]

이 해협은 현재 검토 중인 사할린 터널의 예정지이기도 하다.[1]

3. 3. 2. 사할린 교량

소련은 1950년 해협 아래에 사할린 터널 건설을 시작했으나, 이오시프 스탈린이 1953년 사망하면서 공사가 연기된 후 사실상 중단되었다.[1] 2018년 7월,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사할린으로 가는 교량 건설 제안에 대한 분석을 지시했다.[1] 푸틴은 이 프로젝트가 사할린 주민들에게 매우 중요하며, 사람들이 이 지역에 머물도록 장려하고 인접한 하바롭스크 지방의 개발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1] 그는 정부에 이 문제, 특히 경제적 측면에 대한 분석을 지시했다고 밝혔다.[1]

참조

[1] 웹사이트 A navigable strait between Sakhalin and the mainland was discovered https://www.prlib.ru[...] 2023-12-09
[2] 웹사이트 Russia moves forward with plan for bridge to Sakhalin Island https://www.bridgewe[...] 2018-07-25
[3] 문서 高橋盛孝『樺太ギリヤク語』朝日新聞社(大東亜語学叢書:羽田亨監修)1942年(昭和17年) http://www.cscd.osak[...]
[4] 서적 平凡社アトラス世界地図帳 平凡社
[5] 웹사이트 タタール海峡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2-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