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호츠크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호츠크해는 유라시아 대륙, 쿠릴 열도, 사할린, 홋카이도에 둘러싸인 해역이다. 오호츠크해라는 이름은 러시아 식민 도시 오호츠크에서 유래되었으며, 면적은 약 152.8만km²이고 평균 수심은 838m이다. 겨울에는 유빙이 형성되어 항해가 어려워지며, 아무르 강의 담수 유입으로 염분 농도가 낮아져 해빙이 발생한다. 이 해역에는 청어, 연어, 명태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어업 자원이 풍부하다. 역사적으로는 러시아 탐험가들이 처음 방문했으며, 19세기에는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상업적 항해를 독점했다. 오호츠크해는 석유 및 천연가스 자원이 매장되어 있으며, 1983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이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또한, 오호츠크해 중앙에 위치했던 공해역인 피넛 홀은 러시아의 대륙붕으로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차카 변경주의 지형 - 베링해
    베링해는 북태평양의 큰 주변해로 북극해,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캄차카 반도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은 면적과 다양한 해저 지형, 풍부한 해양 생물을 보유하고, 빙하기에는 육지 다리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중요한 어장이지만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캄차카 변경주의 지형 - 캄차카반도
    캄차카 반도는 캄차카 지방의 일부를 형성하며, 화산 활동이 활발하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관광지로 개발되었다.
  • 러시아 극동의 지리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러시아 극동의 지리 - 동해
    동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의 반폐쇄성 해역으로, 깊은 수심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가 접하고 있지만, "일본해" 명칭 분쟁, 환경 문제, 영토 분쟁 등의 현안이 존재한다.
오호츠크해
지도
기본 정보
위치북아시아 및 동아시아
유형바다
면적1,583,000 km²
평균 깊이859 m
최대 깊이3,372 m
유역 국가일본, 러시아
명칭
한국어오호츠크해
러시아어Охотское море (Okhotskoye more)
로마자 표기Okhotskoye more
일본어オホーツク海 (Ohōtsuku-kai)
역사적 명칭 (러시아어)Ламутское море (Lamutskoye more), Камчатское море (Kamchatskoye more)
문화어오호쯔끄해
추가 정보
참고 자료Carbon and Nutrient Fluxes in Continental Margins: A Global Synthesis

2. 어원

오호츠크해라는 이름은 이 해역에 최초로 건설된 러시아의 식민지 도시였던 오호츠크에서 유래하였다. 오호츠크는 오호타 강 하구에 위치하며, 오호타는 "넓은 강"을 의미한다.[3]

3. 지리

오호츠크해 전체 지도


오호츠크해 해저 지형


오호츠크해는 삼면이 유라시아 대륙에 둘러싸여 있으며, 남쪽으로 쿠릴 열도를 통해 태평양과 연결되어 있다. 해역 중앙부에는 작은 섬들이 없으며, 주요 섬으로는 쿠릴 열도 외에 남서부에 사할린과 홋카이도가 있다. 서부에는 러시아령 샨타르스키예 제도가 있다.

오호츠크해의 표면 면적은 약 152.8만km2이고, 평균 수심은 838m이다. 최심부는 쿠릴 열도 근처로, 수심 3,658m이다. 북부 대륙사면이 넓게 퍼져 있고,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진다. 중앙부에는 수심 1,000m ~ 1,600m의 분지가 있고, 남쪽에 가장 깊은 곳인 쿠릴 분지가 위치한다.

일본해와는 사할린 양쪽으로 연결되는데, 서쪽은 사할린 만과 타타르 해협을 통해, 남쪽은 라페루즈 해협을 통해 연결된다.

국제수로기구는 오호츠크해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7]

오호츠크해의 대부분의 섬은 무인도이며, 바다표범류, 바다사자, 바닷새 및 기타 해양 섬 동물의 이상적인 번식지가 된다. 많은 댕기뿔쇠오리 무리가 오호츠크해를 번식지로 이용한다.

3. 1. 해류

오호츠크해 표층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는 오호츠크 환류가 있다. 캄차카반도로부터 쿠릴 열도 북부 해협을 통해 캄차카 해류(넓게 보면 쿠릴 해류로 보기도 한다)의 일부가 유입된다. 이들의 일부가 쿠릴 열도의 해협에서 나와 쿠릴 열도의 태평양 측을 남하하는 동캄차카 해류와 서로 섞여 쿠릴 해류를 형성한다. 사할린 동부에는 동사할린 해류가 흐르고, 소야 해협에서 쓰시마 난류의 속류인 소야 난류가 유입되어 홋카이도 연안을 흐른다. 일본해와는 아무르강 하구가 존재하기 때문에 해수의 교환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시레토코 반도 북쪽 해안 캄차카 핫 스프링 폭포 부근 오호츠크해

3. 2. 유빙

아무르강의 담수 유입으로 인해 염분 농도가 낮아지고, 겨울철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해빙이 형성된다. 12월부터 결빙이 시작되어 2월에는 오호츠크해의 70~80%가 얼음으로 덮인다.[3] 오호츠크해는 북반구 해빙 분포 지역 중 가장 저위도에 위치한다. 바람과 해류에 의해 해빙이 유빙으로 떠다니며, 사할린 동쪽을 따라 남하하여 때로는 태평양 연안의 일본 구시로시까지 도달한다.[4]

오호츠크해의 계절: 겨울과 여름

4. 생물

오호츠크해에는 청어, 연어, 송어, 명태, 대구, 무당게, 갈치, 바다표범, 물개, 참고래, 흰고래, 북극고래, 보리고래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3] 오호츠크해는 어업 자원의 보고이며, 대한민국은 이곳에서 명태, 연어 등을 수입한다.

오호츠크해는 활발한 해양 표층 수직 혼합, 해빙, 연안에서 운반되는 쇄설물 등의 영향으로 영양염류가 풍부하여 식물 플랑크톤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다. 이러한 이유로 연어, 송어, 대구, 청어, 꽁치, , 단새우, 보리새우, 가리비, 다시마, 등 다양한 어종이 잡힌다.[24] 특히 사할린 부근의 굴은 해저 전면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공기는 오호츠크해 북서부에 해빙을 형성하는데, 해빙이 형성되면 염분이 깊은 곳으로 배출된다. 이 무거운 물은 동쪽의 태평양으로 흘러가면서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하여 풍부한 해양 생물을 떠받친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오호츠크해 일부 지역은 지구 평균 온난화 속도의 세 배에 달하는 섭씨 3도까지 온난화되었다. 이러한 온난화는 해빙 형성을 저해하고 어족 자원을 북쪽으로 이동시킨다. 그 예로, 일본 북부 해안의 연어 어획량은 지난 15년간 70% 감소한 반면, 러시아의 연어(chum salmon) 어획량은 4배 증가했다.[5]

대왕고래는 1847년에 처음으로 포획되었으며, 1852년부터 1860년대 후반까지 어획량을 지배했다.[12] 1850년부터 1853년까지 대부분의 함대는 대왕고래를 사냥하기 위해 베링 해협 지역으로 갔지만, 치열한 경쟁, 열악한 얼음 조건 및 어획량 감소로 인해 함대는 오호츠크해로 돌아왔다. 1854년부터 1856년까지 매년 평균 160척 이상의 선박이 이 해역을 항해했다. 1858년부터 1860년 사이에 어획량이 감소함에 따라 함대는 다시 베링 해협 지역으로 이동했다.[13]

한편, 러시아 군사 해양 포유류 프로그램은 오호츠크해에서 일부 동물을 조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5. 역사

1640년대 러시아 탐험가 바실리 포야르코프(1639년)와 이반 모스크비틴(1645년)이 오호츠크해[9]를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이었다. 1643년 네덜란드 선장 마르텐 게리츠 프리스는 남동쪽에서 오호츠크해로 진입하여 사할린 해안과 쿠릴 열도 일부를 해도에 담았지만, 사할린이나 홋카이도가 섬이라는 사실은 알아채지 못했다. 이 시기 오호츠크해는 캄차카 해[11]로 알려지기도 했다.

1792년경 오호츠크해의 대부분이 지도에 잘 표시되어 있었다(사할린 제외).


해안에 세워진 최초이자 가장 중요한 러시아 정착지는 오호츠크 항구였는데, 1840년대에 아얀에 상업적 우위를 내주었다. 19세기 전반에는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이 바다의 상업적 항해를 거의 독점했다.

비투스 베링이 이끄는 제2차 캄차카 탐험대는 1733년부터 오호츠크해 전체 해안을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장프랑수아 드 갈로 드 라페루즈 백작과 윌리엄 로버트 브로턴은 프리스를 제외하고 이 해역을 통과한 최초의 비(非)러시아계 유럽 항해사였다. 1805년 이반 크루젠슈테른은 사할린 동해안을 탐험했다. 마미야 린조와 게나디 네벨스코이는 사할린이 좁은 해협으로 본토와 분리된 섬임을 확인했다. 스테판 마카로프는 1894년 오호츠크해 수문학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요약을 발표했다.

1907년부터 1949년까지 사할린 남부는 일본에 의해 가라후토 현으로 관리되었다. 쿠릴 열도는 1855년과 1875년부터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일본 영토였다가 소련에 점령되었다.

소련 태평양 함대는 오호츠크해를 탄도 미사일 잠수함의 요새로 사용했으며,[15] 러시아는 이 전략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일본은 오호츠크해와 가깝지만, 일본어에 고유한 어원이 없다. ''''(''オホーツク海|italic=no일본어'')는 러시아어 이름을 음역한 것이다. 이는 오호츠크해에 면한 홋카이도의 오호츠크 지청 이름에도 반영되어 있다.

5. 1.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냉전 기간 동안 오호츠크해는 소련 해군의 해저 통신 케이블을 도청하기 위한 미국 해군의 아이비 벨 작전을 포함한 여러 작전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곳이다. 이러한 작전들은 1998년에 출판된 ''눈먼 사람의 허세: 미국 잠수함 정보전의 비하인드 스토리'' 책에 기록되어 있다. 1983년 대한항공 007편소련 방공군에 의해 격추된 사건 역시 이 해역(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했다.[15]

6. 석유 및 천연가스 자원

오호츠크해 대륙붕 연안에는 석유와 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는 29개 지역이 확인되었다. 총 매장량은 석유환산량으로 35억 톤으로 추산되며, 석유 12억 톤, 가스 15억 입방미터가 포함된다.[16]

사할린 주변 대륙붕 지하에는 풍부한 원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다. 사할린 프로젝트를 통해 해저 유전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일본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7. 항구

Магадан|마가단ru, 마가단, 러시아[6]

Палана|팔라나ru, 캄차카, 러시아[6]

網走市|아바시리시일본어, 홋카이도, 일본[6]

紋別市|몬베쓰시일본어, 홋카이도, 일본[6]

稚内市|왓카나이시일본어, 홋카이도, 일본[6]

Ю́жно-Сахали́нск|유즈노사할린스크ru, 사할린, 러시아[6]

8. 피넛 홀

피넛 홀(그 모양 때문에 붙여진 이름)은 오호츠크해 중앙에 위치한 약 55km 너비, 480km 길이의 공해역이었다.[1] 러시아 배타적경제수역(EEZ)으로 둘러싸여 있었지만, 피넛 홀 자체는 러시아 EEZ에 속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국가라도 그곳에서 조업할 수 있었다.[1] 1991년부터 일부 국가들이 대규모로 조업을 시작했고, 1992년에는 1000000ton에 달하는 명태를 어획하기도 했다.[1] 러시아 연방은 이를 자국 어족 자원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는데, 명태가 피넛 홀과 러시아 EEZ를 오가며 이동하는 중첩자원이었기 때문이다.[1]

러시아 연방은 피넛 홀을 러시아의 대륙붕으로 선언해 줄 것을 유엔에 요청했다.[1] 2013년 11월, 유엔 소위원회가 러시아의 주장을 받아들였고, 2014년 3월 유엔 대륙붕한계위원회는 러시아 연방의 손을 들어주었다.[1]

참조

[1] 서적 Carbon and Nutrient Fluxes in Continental Margins: A Global Synthesi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11-29
[2] 서적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Place Na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3] 웹사이트 Sea of Okhotsk - Economic aspects https://www.britanni[...] 2019-11-14
[4] 학술지 Thermohaline effects of the seasonal sea ice cover in the Sea of Okhotsk 2004
[5] 뉴스 How climate change is triggering a chain reaction that threatens the heart of the Pacific https://www.washingt[...] 2019-11-15
[6] 학술지 A Historical Reevaluation of America's Role in the Kuril Islands Dispute 1999
[7] 학술지 Limits of Oceans and Seas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06-15
[8] 웹사이트 ウェブマガジン カムイミンタラ ~北海道の風土・文化誌 :オホーツク文化人とモヨロ貝塚 網走 流氷とともにやってきた古代民族の謎とロマンに魅せられた父子三代と研究者たち http://kamuimintara.[...] 2019-07-10
[9] 서적 Sea of Okhotsk https://books.google[...] 1940
[10] 서적 Sakhalin: a history Clarendon Press
[11] 백과사전 Encyclopaedia Britannica Colin Macfarquhar 1771
[12] 서적 Historical survey of the European whaling industry University of Groningen
[13] 서적 Whales, Ice, & Men: The History of Whaling in the Western Arctic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4] 뉴스 The Whale Who Went AWOL https://www.nytimes.[...] 2024-01-04
[15] 학술지 The United States Versus the USSR in the Pacific: Trends in the Military Balanc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88-03-01
[16] 웹사이트 Magadan Region https://web.archive.[...] Kommersant, Russia's Daily Online 2007-01-22
[17] 웹사이트 Technical details of the rig http://www.amngr.ru/[...]
[18] 웹사이트 Rig Data: Kolskaya https://web.archive.[...] 2011-12-19
[19] 웹사이트 Russian oil rig sinks, leaving many missing http://edition.cnn.c[...] CNN 2011-12-18
[20] 웹사이트 Kolskaya Sinks Offshore Russia http://www.rigzone.c[...] Rigzone 2012-08-13
[21] 웹사이트 Blog Archive » Rig Kolskaya Lost http://www.shipwreck[...] Shipwreck Log 2011-12-18
[22] 서적 知床・北方四島 カラー版 流氷が育む自然遺産 岩波書店
[23] 웹사이트 オホーツク海の海氷の平年値・極値(気象庁) https://www.data.jma[...]
[24] 방송 진상보도 반키샤! 2008-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