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위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오위즈는 199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게임 회사로, PC, 모바일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을 주 사업으로 한다. 1998년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 '원클릭'을 시작으로, 웹 기반 채팅 서비스 세이클럽을 운영하며 코스닥에 상장했다. 2003년 게임 포털 피망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FPS 게임 스페셜포스를 출시하고 EA와 FIFA 온라인 시리즈를 공동 개발했다. 2007년 게임 전문 자회사 네오위즈게임즈(현 네오위즈)를 설립하고, 일본 게임 회사 게임온을 인수하며 해외 진출을 본격화했다. 이후 모바일 게임 시장에도 진출하여 다양한 게임을 서비스했으며, 2022년 블록체인 사업을 시작하여 웹3 게임 플랫폼 인텔라 X를 개발하고 있다. 네오위즈는 P의 거짓, 브라운더스트, 디제이맥스 시리즈 등 자체 개발 게임과 스컬, 산나비 등 인디 게임 퍼블리싱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하이디어, 파우게임즈 등 자회사를 통해 개발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설립된 비디오 게임 기업 - 애벌랜치 소프트웨어
애벌랜치 소프트웨어는 1995년에 설립된 비디오 게임 개발사로, 디즈니 프랜차이즈 게임을 개발했으며, 2017년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에 인수되어 2023년 《호그와트 레거시》를 출시했다. - 2017년 설립된 비디오 게임 기업 - 투 쿄 게임스
투 쿄 게임스는 2017년 코다카 카즈타카가 설립한 회사이며, 단간론파 시리즈의 핵심 멤버들과 함께 어드벤처, 추리, 액션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과 애니메이션을 제작한다. - 2007년 설립된 비디오 게임 기업 - 크래프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시리즈의 성공을 기반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기업이자 지주회사로, 여러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게임을 개발 및 서비스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2007년 설립된 비디오 게임 기업 - 오토메이트
아이디어 팩토리와 디자인 팩토리의 협업 브랜드인 오토메이트는 여성향 게임 개발 및 유통을 주 사업으로 하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게임을 발매하고 남성 주인공 게임 발매, CD 레이블 설립, 인터넷 라디오 방송 제작 등 미디어 활동을 전개한다. - 2017년 해체된 기업 - 서울메트로
서울메트로는 1981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로 설립되어 2005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운영 기관으로, 서울 지하철 1~4호선과 9호선 일부 구간을 운영하며 서울 대중교통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했다. - 2017년 해체된 기업 - 매일유업
매일유업은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유제품 기업으로, 매일우유를 비롯한 다양한 유제품과 음료를 생산하며, 상하목장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외식 사업과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품질 관리 문제와 해외 시장 진출의 어려움도 겪었다.
네오위즈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네오위즈 |
원어 | NEOWIZ |
![]() |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2007년 4월 26일 |
장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45번길 14 (삼평동, 네오위즈판교타워)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김승철, 배태근(공동대표이사) |
매출액 | 2,946억 원(2022) |
영업 이익 | 196억 원(2022) |
웹사이트 | 네오위즈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97년 5월, ㈜네오위즈(현 네오위즈홀딩스)가 설립되었다. 1998년에는 클릭 한 번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 '원클릭'을 선보였다. 이후 웹 기반 채팅 서비스 '세이클럽'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00년 6월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2003년 8월, 게임 포털 '피망'(www.Pmang.com)을 오픈하며 본격적인 게임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4년에는 FPS 게임 '스페셜포스'를 출시하고, 글로벌 게임 기업 EA(Electronic Arts)와 공동 개발 및 퍼블리싱 계약을 맺고 FIFA 온라인 1, 2 서비스를 진행했다.
2007년 4월, ㈜네오위즈(현 네오위즈홀딩스)의 기업 분할을 통해 게임 전문 자회사 ㈜네오위즈게임즈(현 네오위즈)가 설립되었으며, 2007년 7월 2일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같은 해 일본 게임 회사 '게임온'을 인수하였고, '아바(A.V.A)', '크로스파이어', 'S4리그' 등 퍼블리싱 게임들을 중국, 동남아, 북미, 유럽 시장에 선보이며 해외 진출을 본격화했다.
2010년에는 온라인 게임 개발사 ㈜씨알스페이스(현 네오위즈씨알에스)를 인수하였다. 이를 통해 2015년 '애스커'를 선보였으며, 자체 개발한 '블레스'도 2016년 정식 출시했다. 이외에도 '디젤', '청풍명월', '레이더즈', '킹덤언더파이어:에이지오브스톰', '코어마스터즈', '블랙스쿼드', '아이언사이트' 등 다양한 온라인 게임을 국내외에 서비스했다.
2013년부터는 모바일 게임 사업에도 진출하여, '마성의 플러스', '마왕전', '핑거나이츠', '슬러거 모바일', ‘RIO 2016 Olympic Games’, '탭소닉TOP', '점프 아레나', '라바매치', '킹덤 오브 히어로', '기억의 저편', '삼국대난투', '위드 히어로즈' 등 다양한 모바일 게임을 서비스했다. 네이버 웹툰과 제휴를 맺고 '마음의 소리', '신의 탑' 시즌2, '노블레스' 등의 게임도 선보였다.
2016년 MBC플러스와 제휴를 맺고 아이돌 앱 서비스 '아이돌챔프' 앱 서비스를 시작했다. 2021년 자회사로 편입된 티앤케이팩토리로 서비스 이관되어 트로트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하는 '셀럽챔프'도 함께 서비스 중이다.
2017년, ㈜네오위즈로 사명을 변경했다. 같은 해 3월과 7월에 모바일 게임 브라운더스트와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PS4 버전을 발매했으며, 2019년에는 PC버전인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가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에 출시했다.
2019년 인디게임 '스컬' 퍼블리싱 계약을 시작으로 다양한 인디게임들을 '스팀'과 콘솔 플랫폼으로 선보이고 있다. 2020년부터는 인디게임들의 홍보를 지원하고자 온라인 인디 게임 페스티벌 '방구석 인디 게임쇼(BIGS)'를 시작했다. 콘솔게임에 대한 도전을 이어나가 2020년에는 MMOPRG 블레스 언리쉬드를 글로벌 출시했다. 2021년에는 PC버전도 스팀을 통해 선보였다.
2021년 모바일 게임 개발사 '스티키핸즈', '겜플리트', '하이디어'를, 2023년에는 모바일 MMORPG 전문 개발사 '파우게임즈'를 인수했다.
2022년 8월 글로벌 블록체인 업체인 '폴리곤'과 파트너십을 맺고 블록체인 사업을 시작했으며, 여러 파트너사들과 협력하며 게임 플랫폼 '인텔라 X'를 준비 중에 있다.
2. 1. 설립 초기 (1997년 ~ 2007년)
1997년 5월, ㈜네오위즈(현 네오위즈홀딩스)가 설립되었다. 1998년에는 클릭 한 번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 '원클릭'을 선보였다. 이후 웹 기반 채팅 서비스 '세이클럽'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00년 6월 코스닥에 상장되었다.2003년 8월, 게임 포털 '피망'(www.Pmang.com)을 오픈하며 본격적인 게임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4년에는 FPS 게임 '스페셜포스'를 출시하고, 글로벌 게임 기업 EA(Electronic Arts)와 공동 개발 및 퍼블리싱 계약을 맺고 FIFA 온라인 1, 2 서비스를 진행했다.
2. 2. 분사 및 성장 (2007년 ~ 2016년)
2007년 4월, ㈜네오위즈(현 네오위즈홀딩스)의 기업 분할을 통해 게임 전문 자회사 ㈜네오위즈게임즈(현 네오위즈)가 설립되었으며, 2007년 7월 2일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같은 해 일본 게임 회사 '게임온'을 인수하였고, '아바(A.V.A)', '크로스파이어', 'S4리그' 등 퍼블리싱 게임들을 중국, 동남아, 북미, 유럽 시장에 선보이며 해외 진출을 본격화했다.2010년에는 온라인 게임 개발사 ㈜씨알스페이스(현 네오위즈씨알에스)를 인수하였다. 이를 통해 2015년 '애스커'를 선보였으며, 자체 개발한 '블레스'도 2016년 정식 출시했다. 이외에도 '디젤', '청풍명월', '레이더즈', '킹덤언더파이어:에이지오브스톰', '코어마스터즈', '블랙스쿼드', '아이언사이트' 등 다양한 온라인 게임을 국내외에 서비스했다.
2013년부터는 모바일 게임 사업에도 진출하여, '마성의 플러스', '마왕전', '핑거나이츠', '슬러거 모바일', ‘RIO 2016 Olympic Games’, '탭소닉TOP', '점프 아레나', '라바매치', '킹덤 오브 히어로', '기억의 저편', '삼국대난투', '위드 히어로즈' 등 다양한 모바일 게임을 서비스했다. 네이버 웹툰과 제휴를 맺고 '마음의 소리', '신의 탑' 시즌2, '노블레스' 등의 게임도 선보였다.
2. 3. 변화와 도전 (2017년 ~ 현재)
2017년, ㈜네오위즈로 사명을 변경했다. 같은 해 3월과 7월에 모바일 게임 브라운더스트와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PS4 버전을 발매했으며, 2019년에는 PC버전인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가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에 출시했다.2019년 인디게임 '스컬' 퍼블리싱 계약을 시작으로 다양한 인디게임들을 '스팀'과 콘솔 플랫폼으로 선보이고 있다. 2020년부터는 인디게임들의 홍보를 지원하고자 온라인 인디 게임 페스티벌 '방구석 인디 게임쇼(BIGS)'를 시작했다. 콘솔게임에 대한 도전을 이어나가 2020년에는 MMOPRG 블레스 언리쉬드를 글로벌 출시했다. 2021년에는 PC버전도 스팀을 통해 선보였다.
2021년 모바일 게임 개발사 '스티키핸즈', '겜플리트', '하이디어'를, 2023년에는 모바일 MMORPG 전문 개발사 '파우게임즈'를 인수했다.
2022년 8월 글로벌 블록체인 업체인 '폴리곤'과 파트너십을 맺고 블록체인 사업을 시작했으며, 여러 파트너사들과 협력하며 게임 플랫폼 '인텔라 X'를 준비 중에 있다.
3. 사업 영역
네오위즈는 게임 개발 및 PC/모바일 게임 퍼블리싱 핵심사업을 주축으로 하는 국내 게임사다. 최근 블록체인 신기술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 게임 개발
네오위즈는 자체 지식재산권(IP)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PC, 모바일, 콘솔 게임을 제작하는 데 집중해왔다.
2016년부터 개발사로서 체질 개선을 시작하여 P의 거짓(Lies of P), 브라운더스트(BrownDust), 디제이맥스 시리즈, ‘마스터 오브 나이츠’, ‘기타소녀’ 등 자체 제작 게임들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꾸준한 투자 및 인수를 통해 자체 개발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0년 모바일 게임 개발사인 ‘퀘스트게임즈’와 ‘슈퍼플렉스’를 자회사로 편입했고, 2021년에는 스티키핸즈, 겜플리트에 이어 하이디어까지 인수·합병하며 경쟁력 있는 새로운 IP를 확보했다. 특히, 하이디어가 개발한 모바일 힐링 게임 고양이와 스프(Cats & Soup)는 2023년 4월 기준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4,000만 건, 일일 이용자 수(DAU) 120만 명을 돌파했다. 2023년 5월에는 모바일 MMORPG 전문 개발사 파우게임즈를 인수했다.
자체 IP를 활용한 결과, 국내에서 콘솔 게임시장에서 성과를 거뒀다. 네오위즈 산하 스튜디오 ‘라운드8’이 개발한 소울라이크 액션 RPG P의 거짓이 대표적이다. ‘라운드8’은 2020년 초부터 이탈리아의 유명 동화 ‘피노키오’를 잔혹 동화로 재해석한 P의 거짓 개발을 시작했다. 네오위즈가 자체 개발한 콘솔 타이틀이자, 국내 이용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소울라이크’ 장르라는 점이 게임의 화제성을 높였다. 실제로, 독일 ‘게임스컴 2022’에서 ‘가장 기대되는 플레이스테이션(PS) 게임’, 최고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최고의 롤플레잉 게임'을 모두 수상하며 한국 게임사 최초로 3관왕을 거머쥐었다. 2023년 9월 19일 글로벌 출시를 앞두고 데모 버전을 공개, 사흘 만에 플랫폼 총 누적 다운로드 수 100만 건을 돌파했다.
; PC/모바일 게임 퍼블리싱
네오위즈는 글로벌 이용자들의 다양한 기호에 맞춘 개성 강한 IP를 적극 발굴하고 육성하는 퍼블리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개발사가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게임 서비스, 홍보 및 마케팅, 영상 제작 지원, 회계 등을 적극 지원한다. 국내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MS), 소니, 밸브, 스팀 등 다양한 글로벌 회사와 밀접하게 소통하며 탄탄한 네트워크도 갖추고 있다.
2023년 6월 기준 ‘스컬(Skul)’, ‘메탈유닛(Metal Unit)’, ‘블레이드 어썰트(Blade Assault)’, ‘사망여각(8Doors)’, ‘댄디 에이스(Dandy Ace)’, ‘산나비’, ‘언소울드(Unsouled)’ 등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인디게임을 발굴해 퍼블리싱하고 있다. '스컬'은 한국 인디게임 최초 판매량 100만 장을 돌파했고, ‘고양이와 스프’는 2023년 4월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4,000만을 돌파하는 한편 한국 게임 최초 넷플릭스에 입점했다. ‘산나비’는 2022년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인디게임상을 수상했다. ‘아카’ 또한 '게임스컴 2022'에서 인디 아레나 부스 어워드에서 2관왕을 기록했다.
창립 이후부터 이어온 퍼블리싱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인디 게임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부터 매년 온라인 인디 게임 페스티벌 ‘방구석 인디 게임쇼(BIGS)’를 개최하고 있다. 2년 동안 400여 개의 특색 있고 다양한 장르의 국내 게임사가 참여하며 큰 호응을 얻었고, 국내 대표 인디게임 페스티벌로 자리매김했다.
; 블록체인 사업
네오위즈는 웹3 블록체인 게임 시장 진출을 위해 폴리곤(Polygon) 네트워크 기반의 웹3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인텔라 X(Intella X)'를 개발하고 있다. 2022년 4월 설립된 싱가포르 법인 '인텔라 X(Intella Pte. Ltd.)'가 개발을 총괄하며, 유저 친화적인 플랫폼을 지향한다. 인텔라 X는 웹3 게임, 블록체인 네트워크, 보안, NFT 마켓, NFT 런치패드, 탈중앙화 거래소(DEX)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으며, 2023년 6월에는 안드로이드 및 웹 버전의 '인텔라 X 월렛(IX Wallet)'을 소프트 런칭했다.
글로벌 웹3 게임 생태계 구축을 위해 폴리곤, 애니모카, 매직에덴 등 30여 개의 투자사 및 파트너사와 협력하고 있으며, 게임, 플랫폼, 보안, 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과 서비스 품질, 사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3년 3월에는 폴리곤의 '플래그십 파트너사(Flagship Partner, 주력 파트너사)' 자격으로 'GDC 2023'에 참가하여 인텔라 X 온보딩 예정 게임 라인업을 전시했다. 또, 2023년 6월에는 'IVS 크립토 2023 교토'에 참가하여 '웹 3로 진출하는 대형 웹 2 게임 개발사'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에 참여하여 인텔라 X의 가치와 비전을 알렸다.
3. 1. 게임 개발
네오위즈는 자체 지식재산권(IP)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PC, 모바일, 콘솔 게임을 제작하는 데 집중해왔다.2016년부터 개발사로서 체질 개선을 시작하여 P의 거짓(Lies of P), 브라운더스트(BrownDust), 디제이맥스 시리즈, ‘마스터 오브 나이츠’, ‘기타소녀’ 등 자체 제작 게임들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꾸준한 투자 및 인수를 통해 자체 개발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0년 모바일 게임 개발사인 ‘퀘스트게임즈’와 ‘슈퍼플렉스’를 자회사로 편입했고, 2021년에는 스티키핸즈, 겜플리트에 이어 하이디어까지 인수·합병하며 경쟁력 있는 새로운 IP를 확보했다. 특히, 하이디어가 개발한 모바일 힐링 게임 고양이와 스프(Cats & Soup)는 2023년 4월 기준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4,000만 건, 일일 이용자 수(DAU) 120만 명을 돌파했다. 2023년 5월에는 모바일 MMORPG 전문 개발사 파우게임즈를 인수했다.
자체 IP를 활용한 결과, 국내에서 콘솔 게임시장에서 성과를 거뒀다. 네오위즈 산하 스튜디오 ‘라운드8’이 개발한 소울라이크 액션 RPG P의 거짓이 대표적이다. ‘라운드8’은 2020년 초부터 이탈리아의 유명 동화 ‘피노키오’를 잔혹 동화로 재해석한 P의 거짓 개발을 시작했다. 네오위즈가 자체 개발한 콘솔 타이틀이자, 국내 이용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소울라이크’ 장르라는 점이 게임의 화제성을 높였다. 실제로, 독일 ‘게임스컴 2022’에서 ‘가장 기대되는 플레이스테이션(PS) 게임’, 최고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최고의 롤플레잉 게임'을 모두 수상하며 한국 게임사 최초로 3관왕을 거머쥐었다. 2023년 9월 19일 글로벌 출시를 앞두고 데모 버전을 공개, 사흘 만에 플랫폼 총 누적 다운로드 수 100만 건을 돌파했다.
3. 2. PC/모바일 게임 퍼블리싱
네오위즈는 글로벌 이용자들의 다양한 기호에 맞춘 개성 강한 IP를 적극 발굴하고 육성하는 퍼블리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개발사가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게임 서비스, 홍보 및 마케팅, 영상 제작 지원, 회계 등을 적극 지원한다. 국내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MS), 소니, 밸브, 스팀 등 다양한 글로벌 회사와 밀접하게 소통하며 탄탄한 네트워크도 갖추고 있다.2023년 6월 기준 ‘스컬(Skul)’, ‘메탈유닛(Metal Unit)’, ‘블레이드 어썰트(Blade Assault)’, ‘사망여각(8Doors)’, ‘댄디 에이스(Dandy Ace)’, ‘산나비’, ‘언소울드(Unsouled)’ 등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인디게임을 발굴해 퍼블리싱하고 있다. '스컬'은 한국 인디게임 최초 판매량 100만 장을 돌파했고, ‘고양이와 스프’는 2023년 4월 글로벌 누적 다운로드 4,000만을 돌파하는 한편 한국 게임 최초 넷플릭스에 입점했다. ‘산나비’는 2022년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인디게임상을 수상했다. ‘아카’ 또한 '게임스컴 2022'에서 인디 아레나 부스 어워드에서 2관왕을 기록했다.
창립 이후부터 이어온 퍼블리싱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인디 게임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부터 매년 온라인 인디 게임 페스티벌 ‘방구석 인디 게임쇼(BIGS)’를 개최하고 있다. 2년 동안 400여 개의 특색 있고 다양한 장르의 국내 게임사가 참여하며 큰 호응을 얻었고, 국내 대표 인디게임 페스티벌로 자리매김했다.
3. 3. 블록체인 사업
네오위즈는 웹3 블록체인 게임 시장 진출을 위해 폴리곤(Polygon) 네트워크 기반의 웹3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인텔라 X(Intella X)'를 개발하고 있다. 2022년 4월 설립된 싱가포르 법인 '인텔라 X(Intella Pte. Ltd.)'가 개발을 총괄하며, 유저 친화적인 플랫폼을 지향한다. 인텔라 X는 웹3 게임, 블록체인 네트워크, 보안, NFT 마켓, NFT 런치패드, 탈중앙화 거래소(DEX)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으며, 2023년 6월에는 안드로이드 및 웹 버전의 '인텔라 X 월렛(IX Wallet)'을 소프트 런칭했다.글로벌 웹3 게임 생태계 구축을 위해 폴리곤, 애니모카, 매직에덴 등 30여 개의 투자사 및 파트너사와 협력하고 있으며, 게임, 플랫폼, 보안, 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과 서비스 품질, 사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3년 3월에는 폴리곤의 '플래그십 파트너사(Flagship Partner, 주력 파트너사)' 자격으로 'GDC 2023'에 참가하여 인텔라 X 온보딩 예정 게임 라인업을 전시했다. 또, 2023년 6월에는 'IVS 크립토 2023 교토'에 참가하여 '웹 3로 진출하는 대형 웹 2 게임 개발사'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에 참여하여 인텔라 X의 가치와 비전을 알렸다.
4. 자회사
하이디어, 파우게임즈, 스티키핸즈, 네오위즈스포츠, 티앤케이팩토리, 네오팝, 슈퍼플렉스, 겜플리트, 게임온(일본), NEOWIZ Santa Monica(북미) 등이 네오위즈의 주요 자회사이다.
5. 주요 게임
5. 1. PC/콘솔 게임
네오위즈는 다양한 PC/콘솔 게임을 개발 및 서비스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P의 거짓, DJMAX RESPECT V, 아바(Alliance of Valiant Arms), 슬러거(Slugger), 신 천상비 등이 있다. 이외에도 스컬(Skul: The Hero Slayer), SANABI, AKA, Unsouled, Dandy Ace, Blade Assault, Metal Unit, 8Doors: Arum's Afterlife Adventure, Plebby Quest: The Crusades 등의 게임을 서비스한다.5. 2. 모바일 게임
네오위즈는 다양한 장르의 모바일 게임을 출시했다. 힐링 방치형 게임 고양이와 스프, 전략 역할수행게임(RPG) 브라운더스트와 그 후속작 브라운더스트2가 있다. 비주얼 노벨 RPG 브라운더스트 스토리와 수집형 RPG 마석기사단도 서비스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일본 애니메이션 원작의 아이돌리 프라이드, 턴제 전략 RPG 마스터 오브 나이츠, 방치형 RPG 기타소녀, 실시간 스포츠 게임 골프 임팩트와 베이스볼 PVP를 출시했다. 킹덤: 전쟁의 불씨, 프리스톤테일M, 머지 서바이벌, 카드 전략 게임 트리플 판타지, 천계 패러독스 등 다양한 게임을 서비스 중이다.
또한, 피망 뉴맞고, 피망 포커: 카지노 로얄, 피망 섯다와 같은 웹보드 게임과 피망 뉴베가스: 슬롯, 바카라, 블랙잭 등의 소셜 카지노 게임도 제공하고 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네오위즈, 액션 로그라이트 ‘셰이프 오브 드림즈’ 스팀 출시 – 바이라인네트워크
신작 경쟁 불붙은 K-게임 ‘눈도장’…게임스컴 2025 드디어 개막
“CEO·오너보다 보수 더 높다”...대박난 게임 개발자 대우 역시 달라
네오위즈, ‘P의 거짓’ 잘나가네…2분기 실적 껑충 – 바이라인네트워크
[MK 골든크로스 돌파종목 : 네오위즈(095660) & 헬릭스미스(084990)]
‘나전칠기-고양이-여성’ 게임 IP 확장, 고민 뜨겁네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오위즈, 인디게임 3종 앞세워 ‘비트서밋 2025’ 참가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오위즈, ‘브라운더스트2’ 팬덤 업고 대만·홍콩 매출 1위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오위즈, ‘P의 거짓’ 300만장 돌파 쾌거…개발진에 화끈 보상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오위즈, ‘브라운더스트2’ 2주년 대규모 현장 행사 개최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오위즈, 탐정 어드벤처 ‘킬 더 섀도우(Kill the Shadow)’ 잡았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2025년 1분기 코스닥 상장사 결산실적 1/4
[핫겜BN] 진격의 크래프톤, 1분기도 주인공 – 바이라인네트워크
네오위즈, ‘1분기 숨고르기’ 매출 890억원 영업익 102억원 – 바이라인네트워크
‘인디게임과 함께’ 네오위즈, 내러티브 앞세워 글로벌 공략 – 바이라인네트워크
"법정기금 벤처투자 확대를"
2024년 사업연도 코스닥 상장사 결산 실적 1/5
2000명 유저들과 ‘벨 에포크 시대’로 모험
[가보니]게임과 클래식의 만남 현장엔 ‘벨에포크’ 전사들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