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트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메트로는 1981년 설립되어 서울 지하철 1, 2, 3, 4호선을 운영했던 기관이다. 1970년 지하철 건설본부 발족을 시작으로, 1974년 1호선 개통, 1980년대 2, 3, 4호선 개통을 거치며 서울의 도시 철도망을 구축했다. 2005년 서울메트로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2017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했다. 서울메트로는 1호선 일부, 2, 3, 4호선 전 구간을 운영했으며, 9호선의 일부 구간을 위탁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교통공사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1994년 설립되어 서울 지하철 5, 6, 7, 8호선을 운영하며 서울 시민의 교통 편의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메트로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하기 전 안전, 노조, 경영 비효율성 등의 문제에 직면했던 대한민국의 지방 공기업이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철도 기업 - 의정부경전철 (기업)
의정부경전철 주식회사는 2005년에 설립되어 2012년부터 의정부 경전철을 운영했지만 2017년에 파산했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철도 기업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1994년 설립되어 서울 지하철 5, 6, 7, 8호선을 운영하며 서울 시민의 교통 편의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메트로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하기 전 안전, 노조, 경영 비효율성 등의 문제에 직면했던 대한민국의 지방 공기업이다.
서울메트로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명 | 서울 메트로 |
영문 회사명 | Seoul Metro Corporation |
유형 | 공기업 |
설립일 | 1970년 6월 8일 (재설립 1981년 9월 1일) |
해체일 | 2017년 5월 31일 |
후신 | 서울교통공사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
주요 인물 | 김태호 (사장, 2016–2017) |
산업 | 도시 철도 |
제품 | 지하철 |
모기업 | 서울특별시청 |
직원 수 | 10,128명 (2006년) |
홈페이지 | 서울메트로 홈페이지 |
재정 정보 (2005년 기준) | |
영업 수익 | 6,593,770,000,000 (KRW) |
순이익 | -81,718,477,562 (KRW) |
재정 정보 (2006년 기준) | |
자본금 | 761,473,950,232원 |
매출액 | 448,925,427,513원 |
총 자산 | 3,674,157,138,940원 |
재정 정보 (2016년 기준) | |
자본금 | 8조 4,743억 3,783만원 |
매출액 | 1조 2,492억 5,979만원 |
영업 이익 | -509억 6,438만원 |
당기순이익 | -1,426억 5,894만원 |
자산 총액 | 6조 3,709억 6,954만원 |
주요 주주 및 자회사 | |
주요 주주 | 서울특별시청 |
자회사 | 부산-김해경전철운영 서울메트로환경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
2. 연혁
- 1970년 6월 8일: 지하철건설본부 발족
- 1971년 4월 12일: 1호선 (서울역앞 (現 서울역) - 청량리 9.54km) 착공
- 1974년 4월 15일: 지하철본부로 기관명칭 변경
- 1974년 8월 15일: 1호선 개통, 경원선·경인선·경부선 직결 열차 운행 개시 (당시 운행 구간 성북 - 인천·수원)
- 1974년 10월: 군자차량사업소 건설공사 착공
- 1977년 10월: 2호선 건설계획 발표
- 1978년 3월 9일: 2호선 강남구간 (30km) 착공
- 1979년 2월: 3호선·4호선 건설 확정
- 1979년 3월: 2호선 강북구간 (성동 - 왕십리 3.1km) 착공
- 1980년 2월: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 설립등기인 총회
- 1980년 2월 29일: 3호선·4호선 동시 착공
- 1980년 3월 1일: 지하철 건설과 운영분야 분리, 지하철운영사업소 발족
- 1980년 8월 31일: 서울지하철건설주식회사 해산
- 1980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설립[14]
- 1982년 12월 23일: 공사 심볼마크 변경
- 1983년 8월 1일: 사당동 청사 완공 및 입주
- 1983년 12월: 지하철 기구 통합, 공사설치조례 개정 공포
- 1984년 1월: 지하철운영사업소,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에 통합
- 1984년 5월 22일: 2호선 전 구간 개통 (순환선 54.2km)
- 1985년 10월 18일: 3호선·4호선 전구간 개통
- 1986년 9월: 역무자동화 실시
- 1987년 8월 12일: 노동조합 설립
- 1990년 7월 13일: 3호선 연장 구간 (구파발역 ~ 지축역 9km) 개통
- 1992년 5월 22일: 2호선 연장 구간 (신도림역 ~ 양천구청역 2.7km) 개통
- 1993년 4월 21일: 4호선 연장 구간 (상계역 ~ 당고개역 3.4km) 개통
- 1993년 10월 30일: 3호선 연장 구간 (양재역 ~ 수서역 9km) 개통
- 1994년 4월 1일: 4호선 연장 구간 (사당역 ~ 남태령역 3.4km) 개통
- 1996년 3월 20일: 2호선 신정지선 (신도림역 ~ 까치산역 6km) 개통
- 1997년 1월 1일: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2호선 당산철교 재시공 공사 개시. 당산역 ~ 합정역 구간 임시셔틀버스 운행.[15]
- 1999년 11월 22일: 2호선 당산철교 재개통, 당산역 ~ 합정역 구간 임시셔틀버스 운행 중지.[16]
- 2000년 12월: 수도권 전철 1, 2, 3, 4호선 명칭 통합 및 흰색 안내판 교체
- 2002년 12월: 지하철 1시간 연장 운행 실시
- 2004년 7월 1일: 교통카드시스템 및 서울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 이동구간제에서 거리비례제로 운임 징수방식 변경
- 2005년 10월 20일: 2호선 용두역 개통
- 2005년 10월 27일: CI 개정, 사명 변경 (서울메트로)[17]
- 2005년 11월 4일: 사당역에 승강장 스크린도어(PSD) 최초 설치
- 2005년 12월 21일: 1호선 동묘앞역 개통
- 2006년 1월 20일: 7개 역에 고객안내센터 최초 설치
- 2006년 6월 5일: 2호선 운행 2억km 달성
- 2006년 11월: 심볼 개정
- 2007년 5월 22일: 이용 승객 300억명 돌파
- 2009년 5월 1일: 1회용 교통카드 도입
- 2009년 8월 1일: ERP 시스템 개통
- 2010년 2월 2일: 부산-김해경전철 전 구간 위탁 운영하는 부산-김해경전철운영 설립
- 2010년 2월 18일: 3호선 연장 구간 (수서역 - 오금역 간 3개역, 3km) 개통
- 2011년 7월 1일: 서울메트로와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전 노선에 접근 멜로디 도입
-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경전철 전 구간 (사상역 ↔ 가야대역 간 21개역, 23.9km) 개통
- 2014년 2월 26일: 수송인원 400억명 돌파
- 2014년 3월 26일: 김포도시철도 착공 (한강신도시 - 김포공항, 9역)[18]
- 2015년 3월 28일: 9호선 2단계 연장 구간 (신논현역 ~ 종합운동장역 간 6개역, 4.3km) 개통
- 2015년 4월 2일: 9호선 2단계 연장 구간 위탁운영하는 서울메트로9호선운영[19] 설립
- 2016년 11월 23일: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와 통합 확정
- 2017년 4월 30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 해체
2. 1.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 시절
1970년 6월 8일 서울특별시에서 지하철건설본부를 발족하였다.[4] 요도호 납치 사건을 계기로, 백선엽 교통부 장관의 요청에 따라 일본으로부터 ODA와 기술 협력을 받아, 일본 지하철에서 볼 수 있는 직류 1500V · 가공전차선 방식으로 건설이 추진되었다.[4]1971년 4월 12일에는 1호선 (서울역앞 (現 서울역) - 청량리, 9.54km) 구간이 착공되었다.[4] 1974년 4월 15일 지하철건설본부는 지하철본부로 기관 명칭을 변경하였고, 같은 해 8월 15일 1호선이 개통되면서 경원선·경인선·경부선 직결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당시 운행 구간 성북 - 인천·수원)[4] 1974년 10월에는 군자차량사업소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다.
1977년 10월에는 2호선 건설 계획이 발표되었고, 1978년 3월 9일 2호선 강남구간(30km)이 착공되었다. 1979년 2월에는 3호선과 4호선 건설이 확정되었으며, 같은 해 3월에는 2호선 강북구간(성동 - 왕십리 3.1km)이 착공되었다. 1980년 2월 29일에는 3호선과 4호선이 동시에 착공되었다.
2. 2.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시절
1980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설립.[14] 1974년 일본으로부터 ODA와 기술협력을 얻어, 일본 지하철에서 볼 수 있는 직류 1500V · 가공전차선 방식으로 1호선이 개통[4]되었으며, 철도청(현·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과의 상호직통 운행도 시작되었다.날짜 | 내용 |
---|---|
1982년 12월 23일 | 공사 심볼마크 변경 |
1983년 8월 1일 | 사당동 청사 완공 및 입주 |
1983년 12월 | 지하철 기구 통합에 따른 공사설치조례 개정 공포 |
1984년 1월 | 지하철운영사업소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에 통합 |
1984년 5월 22일 | 2호선 전 구간 개통 (순환선 54.2km) |
1985년 10월 18일 | 3, 4호선 전구간 개통 |
1986년 9월 | 역무자동화 실시 |
1987년 8월 12일 | 노동조합 설립 |
1990년 7월 13일 | 3호선 연장 구간 개통 (구파발역 ~ 지축역 9km) |
1992년 5월 22일 | 2호선 연장 구간 개통 (신도림역 ~ 양천구청역 2.7km) |
1993년 4월 21일 | 4호선 연장 구간 개통 (상계역 ~ 당고개역 3.4km) |
1993년 10월 30일 | 3호선 연장 구간 개통 (양재역 ~ 수서역 9km) |
1994년 4월 1일 | 4호선 연장 구간 개통 (사당역 ~ 남태령역 3.4km) |
1996년 3월 20일 | 2호선 신정지선 개통 (신도림역 ~ 까치산역 6km) |
1997년 1월 1일 |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붕괴 위험성 측정 결과, 붕괴 위험 수준에 노출되어 2호선 당산철교 재시공 공사 개시. 교통대책으로 당산역 ~ 합정역 구간 임시셔틀버스 운행.[15] |
1999년 11월 22일 | 2호선 당산철교 재개통으로 당산역 ~ 합정역 구간 임시셔틀버스 운행중지.[16] |
2000년 12월 | 수도권 전철 1, 2, 3, 4호선 명칭통합 및 흰색 안내판 교체 |
2002년 12월 | 지하철 1시간 연장 운행 실시 |
2004년 7월 1일 | 교통카드시스템 및 서울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동시에 이동구간제에서 거리비례제로 운임 징수방식 변경 |
2005년 10월 20일 | 2호선 용두역 개통 |
2. 3. 서울메트로 시절
- 2005년 10월 27일: CI 개정, 사명 변경 (서울메트로)[17]
- 2005년 11월 4일: 사당역에 승강장 스크린도어(PSD) 최초 설치
- 2005년 12월 21일: 1호선 동묘앞역 개통
- 2006년 1월 20일: 7개 역에 고객안내센터 최초 설치
- 2006년 6월 5일: 2호선 운행 2억km 달성
- 2006년 11월: 심볼 개정
- 2007년 5월 22일: 이용 승객 300억명 돌파
- 2009년 5월 1일: 1회용 교통카드 도입
- 2009년 8월 1일: ERP 시스템 개통
- 2010년 2월 2일: 자회사 부산-김해경전철운영 설립 (\부산-김해경전철 전 구간 위탁 운영)
- 2010년 2월 18일: 3호선 연장 구간 수서역 - 오금역 간 (3개역, 3km) 개통
- 2011년 7월 1일: 서울메트로와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전 노선에 접근 멜로디 도입
-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경전철 전 구간 사상역 ↔ 가야대역 간 (21개역, 23.9km) 개통
- 2014년 2월 26일: 수송인원 400억명 돌파
- 2014년 3월 26일: 김포도시철도 착공(한강신도시 - 김포공항, 9역)[18]
- 2015년 3월 28일: 9호선 2단계 연장 구간 신논현역 ~ 종합운동장역 간 (6개역, 4.3km) 개통
- 2015년 4월 2일: 자회사 서울메트로9호선운영[19] 설립 (9호선 2단계 연장 구간 위탁운영)
- 2016년 11월 23일: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와 통합 확정
- 2017년 4월 30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으로 해체
3. 노선
서울메트로는 서울특별시 산하의 공기업으로, 서울 지하철의 1~4호선과 9호선 일부 구간을 운영하였다. 1974년 요도호 납치 사건을 계기로, 백선엽 당시 교통부 장관의 요청에 따라 일본의 기술 협력과 ODA를 받아 1호선이 개통되었다.[4] 가공전차선 방식의 직류 1500V 전력을 사용하며, 한국철도공사(구 철도청) 광역전철과 상호직통 운행을 시작하였다.
현재는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 향후 1인 운전이 시행될 예정이다.
서울메트로는 1~4호선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5~8호선을 운영했으나, 2017년 5월 31일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되었다.[7][8] 통합 후에도 영어 명칭은 "Seoul Metro"를 그대로 사용한다.[6]
3. 1. 운영 노선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일부 구간과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전체 구간을 운영한다. 1, 3, 4호선의 경우 한국철도공사가 공동으로 운영에 참여한다. 서울교통공사는 서울특별시 소유의 철도와 역사를 관리한다.노선색 | 노선명 | 구간 | 영업 거리 |
---|---|---|---|
style="background-color: #0d3692;" | | 1호선 | 청량리역 - 서울역 | 7.8km |
style="background-color: #33a23d;" rowspan="3" | | 2호선 | 순환선: 서울시청역 - 서울시청역 | 60.2km |
성수지선: 성수역 - 신설동역 | |||
신정지선: 신도림역 - 까치산역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 | 3호선 | 지축역 - 오금역 | 38.2km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 | 4호선 | 당고개역 - 남태령역 | 31.7km |
style="background-color: #aa9872;" | | 9호선 | 신논현역 - 종합운동장역 | 4.3km |
- 9호선은 운영을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주식회사"에 위탁하고 있다.
3. 2. 직통 운행 구간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일부 구간을 한국철도공사와 함께 운영한다. 각 노선별 직통 운행 구간은 다음과 같다.4. 조직
- 조직 형태: 지방공기업 (지방공기업법 제49조 및 동법 시행령 제47조)
- 설립 목적: 서울 지하철 건설·운영 및 부대사업, 도시교통 발전과 시민복리 증진
- 본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5 (방배동) (사당역 인근)
- 별관: 대림별관 (대림역 인근), 신답별관 (신답역 인근), 동대문별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인근)
구분 | 구성 |
---|---|
본사 | 사장, 감사, 5본부, 1실, 18처 |
현업 | 2원, 24소, 17센터 |
5. 차량
차량 종류 | 설명 |
---|---|
1000호대 전동차 | 2세대 전동차 |
구 1000호대 전동차 | 1세대 전동차 |
2000호대 전동차 | 2세대 전동차 |
구 2000호대 전동차 | 1세대 전동차 |
3000호대 전동차 | 2세대, 3세대, 4세대 전동차 (3000호대 전동차는 여러 세대에 걸쳐 도입됨) |
4000호대 전동차 | 2세대 전동차 |
6. 차량기지
7. 운임
서울메트로는 거리비례제를 അടിസ്ഥാന으로 운임을 징수한다. 수도권 전철 전 구간에서 최단 거리 기준으로 운임이 계산된다. 교통카드 (T-money) 사용 시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청소년 25%, 어린이 50% 할인)
2007년 4월 1일 기준 성인 일반 운임은 다음과 같다. 어린이는 반값이다.
거리(km) | 교통카드 | 일반 운임 |
---|---|---|
초기 10km | 900KRW | 1000KRW |
11 - 15km | 1000KRW | 1100KRW |
16 - 20km | 1100KRW | 1200KRW |
21 - 25km | 1200KRW | 1300KRW |
26 - 30km | 1300KRW | 1400KRW |
31 - 35km | 1400KRW | 1500KRW |
36 - 40km | 1500KRW | 1600KRW |
41 - 50km | 1600KRW | 1700KRW |
51 - 60km | 1700KRW | 1800KRW |
61 - 70km | 1800KRW | 1900KRW |
71 - 80km | 1900KRW | 2000KRW |
81 - 90km | 2000KRW | 2100KRW |
91 - 100km | 2100KRW | 2200KRW |
101 - 110km | 2200KRW | 2300KRW |
111 - 120km | 2300KRW | 2400KRW |
121 - 130km | 2400KRW | 2500KRW |
131 - 140km | 2500KRW | 2600KRW |
141 - 150km | 2600KRW | 2700KRW |
151 - 160km | 2700KRW | 2800KRW |
161 - 170km | 2800KRW | 2900KRW |
171 - 180km | 2900KRW | 3000KRW |
181 - 190km | 3000KRW | 3100KRW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외 구간을 연속하여 승차하는 경우에는, 승차 거리에 따라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거리(km) | 요금 |
---|---|
1 - 4km | 100KRW |
5 - 8km | 200KRW |
9 - 12km | 300KRW |
13 - 16km | 400KRW |
17 - 20km | 500KRW |
8. 로고
참조
[1]
웹사이트
개요 및 연혁
http://www.seoulmetr[...]
Seoul Metro
2015-09-01
[2]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사장에 이정원 現 경영지원본부장 임명
http://www.asiae.co.[...]
Asiae
2014-08-22
[3]
웹사이트
Seoul Metro operators merge
https://www.railjour[...]
Rail Journal
2017-06-06
[4]
일반
[5]
뉴스
ソウルメトロと都市鉄道公社が統合へ
http://world.kbs.co.[...]
2014-12-11
[6]
뉴스
서울 지하철 통합공사 이름은 '서울교통공사'(Seoul Metro)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6-12-01
[7]
뉴스
서울시의회 임시회 폐회…'서울교통공사 조례' 통과 5월께 서울지하철 양공사 통합기관 출범
http://news1.kr/arti[...]
news1
2017-03-03
[8]
뉴스
지하철 1∼8호선 23년 만에 통합…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7-05-31
[9]
뉴스
서울메트로, 부산-김해 경전철사업자로 선정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9-12-21
[10]
웹사이트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
http://www.saramin.c[...]
사라민
[11]
뉴스
今度はソウルで地下鉄追突事故…240人負傷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14-05-03
[12]
뉴스
ソウル・メトロ、ウイルス感染に3年間気付かず
http://www.chosunonl[...]
2016-02-13
[13]
뉴스
부산·김해경전철 3社 통합 직영 '뉴 BGL' 출범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7-04-17
[14]
뉴스인용
지하철공사 발족
https://www.joongang[...]
1981-09-01
[15]
뉴스인용
당산철교 폐쇄...31일밤 마지막 열차 통과
https://n.news.naver[...]
1996-12-31
[16]
뉴스인용
당산철교, 재공사 3년만에 재개통
https://news.kbs.co.[...]
1999-11-22
[17]
뉴스인용
서울지하철공사 이름 바꿔요
https://n.news.naver[...]
2005-02-15
[18]
일반
[19]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