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덴스는 켈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어부, 사냥꾼, 치유와 관련된 신으로 여겨진다. 이름은 원시 켈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일랜드 신화의 누아다, 웨일스 신화의 루드와 관련이 있다. 잉글랜드 글로스터셔의 리드니 공원과 랭커셔의 코커샌드 모스 등에서 노덴스를 숭배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마르스와 동일시되었다. 노덴스는 J.R.R. 톨킨의 작품과 H.P. 러브크래프트의 크툴루 신화, 크리스토퍼 파올리니의 소설 등 현대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2. 이름과 기원

테오님 *''노덴스''(Nodens) 또는 *''노돈스''(Nodons)는 원시 켈트어 어간 ''*Nowdont-''에서 파생되었으며, 중세 아일랜드어 ''누아두''(Nuada)''와 중세 웨일스어 ''누드''(Nudd)(이는 ''루드''(Lludd)로 변함)와 관련이 있다.[1] 아일랜드어 속격 ''노도트''(nodot)와 ''누아다(i)t''(núada(i)t) (아마도 '손, 손목 또는 팔')[2] 또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브리튼어군 언어에서 ''-ō-''에서 ''-ū-''로의 변화는 서기 3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브르타뉴어 이름 ''노덴트''(Nodent)(현대 ''누즈''(Nuz)) 또한 동족어에 추가될 수 있지만, 모음은 음운론적 어려움을 야기한다.[1]

이름의 기원은 여전히 불분명하며, 학자 존 캐리는 "지금까지 제안된 어떤 어원도 완전히 확신을 가지고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1] 웨일스어 명사 ''누드''(nudd)는 '안개, 흐릿함, 옅은 안개'를 의미하며, ''루드''(Lludd)와 ''누아두''(Nuadu) 모두 '[은의] 손/팔'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는데, 이는 추정되는 원시 켈트어 어간 *''snowdo-''(‘안개, 흐릿함’)를 이끌 수 있으며,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snewdh''- ('안개, 구름'; 라틴어 ''nūbēs'' '구름'과 비교)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1] 그러나 사운드 시프트 ''sn''- > ''n''-은 골어에서는 다른 곳에서 증명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 -''sn''- > -''n''-은 알려져 있지만) 원시 브리튼어에서는 정당화하기 어렵다.[1]

학자들은 또한 켈트어 이름을 어간 *''néud-''(고트어 ''니우탄''(niutan) '잡다, 획득하다, 얻다'와 ''누타''(nuta) '포수, 어부', 리투아니아어 ''나우다''(naudà) '재산'과 비교)와 연결하여, ''*Nowdont-''를 리드니 유적의 낚시 (그리고 아마도 사냥) 모티프와 누아두와 루드의 은 팔과 연관시켰다.[1] 그러나 이 어간은 켈트어에서는 다른 곳에서 증명되지 않으며, 아마도 인도유럽어 이전 언어에서 기원했을 것이다.[1] 세 번째 대안은 원시 인도유럽어 어간 *''neh2u''-''t-''(고트어 ''나우스''(nauþs) '필요, 강제, 고통', 고대 프로이센어 ''나우틴''(nautin) '필요'와 비교)인데, 이는 원시 켈트어 *''nāwito''- ('필요'; 고대 아일랜드어 ''네오이트''(neóit), 중세 웨일스어 ''네우드''(neued)와 비교)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언어학자 랑코 마타소비치는 그 관계가 설명하기 "형식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생각한다.

누드의 아들 ''귄'' (웨일스 다른 세계)의 통치자)의 이름은 '하얀'을 의미하며, 이는 아일랜드어 이름 ''핀''(Finn)의 정확한 동족어로, 누아두 넥트 또는 핀 막 우마일의 증손자로 묘사된다.[1] 그 연관성의 기원을 설명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지만, 캐리는 노돈스가 "다면적이지만 일관된 성격을 가진 신: 자연, 사회 및 다른 세계(물, 전쟁, 아논의 악마)에서 혼돈을 관장하는 빛나는 왕족 전사"로 여겨질 수 있다고 썼다.[1] 이러한 관점에서, 중세 아일랜드어 ''누아다''(núada), ''누아두''(núadu) ('영웅, 챔피언, 왕 [시적]?')는 에우헤메리즘화된 켈트 신의 이름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의미 변화는 원시 게르만어 '*balþaz'' > ''*Balðraz''(‘하얀, 빛나는’ > ‘강한, 용감한, 대담한’ > ‘영웅, 왕자’; 고대 노르웨이어 ''발드르(Baldr)'' '용감한, 반항적인, 군주, 왕자'와 고대 영어 ''발데그''(Bældæg) '빛나는 날'과 비교)에서 추측된 것과 유사하다.

아서 버나드 쿡에 따르면, 지명 "리드니(Lydney)"는 고대 영어 *''Lydan-eġ'', "루드(Lludd)의 섬"에서 유래하며, 이는 노덴스와 연결될 수 있다.[4] 그러나 리드니의 다른 어원들이 다른 자료에서 제공된다. A. D. Mills는 "선원 또는 *리다라는 이름의 사람의 섬 또는 강변 초원"을 제안하며, 853년경의 "리데네그"(Lideneg)와 1086년 둠즈데이 북의 "레데네이"(Ledenei) 형태를 인용했다.[5]

노덴스라는 이름은 "어부", "사냥꾼", "붙잡는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노덴스 신앙을 나타내는 석비 등이 랭커셔의 코커샌드 모스와 글로스터셔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노덴스 신앙지에서는 청동으로 만든 팔의 조상이나 안과의사의 인상 등이 봉헌되었으며, 이는 노덴스가 의신이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개의 조상도 다수 봉헌된 것으로 보아 노덴스의 성수는 개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개는 상처를 핥아 치유해 준다는 신앙이 있었으며, 이는 노덴스의 의신으로서의 성질을 나타낸다.

노덴스가 아일랜드로 전해진 것이 누아자, 웨일스로 전해진 것이 시스 사우엘레인트로 여겨진다. 또한,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어부 왕은 어부로서의 노덴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

3. 신화적 유사성

테오님 *''노덴스''(Nodens) 또는 *''노돈스''(Nodons)는 원시 켈트어 어간 ''*Nowdont-''에서 파생되었으며, 중세 아일랜드어 ''누아두(Nuada)''와 중세 웨일스어 ''누드''(Nudd) (''루드'')와 관련이 있다.[1]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학자 존 캐리는 "지금까지 제안된 어떤 어원도 완전히 확신을 가지고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1]

학자들은 켈트어 이름을 어간 *''néud-''(고트어 ''니우탄''(niutan) '잡다, 획득하다, 얻다'와 ''누타''(nuta) '포수, 어부', 리투아니아어 ''나우다''(naudà) '재산'과 비교)와 연결하여, ''*Nowdont-''를 리드니 유적의 낚시 (그리고 아마도 사냥) 모티프와 누아두와 루드의 은 팔과 연관시켰다.[1] 그러나 이 어간은 켈트어에서는 다른 곳에서 증명되지 않으며, 아마도 인도유럽어 이전 언어에서 기원했을 것이다.[1]

아서 버나드 쿡(Arthur Bernard Cook) (1906)에 따르면, 지명 "리드니(Lydney)"는 고대 영어 *''Lydan-eġ'', "루드(Lludd)의 섬"에서 유래하며, 이는 노덴스와 연결될 수 있다.[4] 그러나 A. D. Mills는 리드니의 다른 어원으로 "선원 또는 *리다라는 이름의 사람의 섬 또는 강변 초원"을 제안하며, 853년경의 "리데네그"(Lideneg)와 1086년 둠즈데이 북(Domesday Book)의 "레데네이"(Ledenei) 형태를 인용했다.[5]

노덴스 신앙을 나타내는 석비 등이 랭커셔의 코커샌드 모스와 글로스터셔의 리드니 공원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노덴스 신앙지에서는 청동으로 만든 팔 조상이나 안과의사의 인장 등이 봉헌되었으며, 이는 노덴스가 의신(醫神)이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개의 조상도 다수 봉헌된 것으로 보아 노덴스의 성수(聖獸)는 개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개는 상처를 핥아 치유해 준다는 신앙이 있었으며, 이는 노덴스의 의신으로서의 성질을 나타낸다.

Interpretatio Romana에서 노덴스는 마르스와 동일시된다.

3. 1. 아일랜드 신화의 누아다

테오님 *''노덴스''(Nodens) 또는 *''노돈스''(Nodons)는 원시 켈트어 어간 ''*Nowdont-''에서 파생되었으며, 중세 아일랜드어 ''누아두(Nuada)''와 관련이 있다.[1] 아일랜드어 속격 ''노도트''(nodot)와 ''누아다(i)t''(núada(i)t) (아마도 '손, 손목 또는 팔')[2] 또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름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학자 존 캐리는 "지금까지 제안된 어떤 어원도 완전히 확신을 가지고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1] ''누아두''(Nuadu)는 '[은의] 손/팔'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는데, 이는 추정되는 원시 켈트어 어간 *''snowdo-''(‘안개, 흐릿함’)를 이끌 수 있으며,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snewdh''- ('안개, 구름'; 라틴어 ''nūbēs'' '구름'과 비교)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1] 그러나 ''sn''- > ''n''- 음운 변화는 골어에서는 다른 곳에서 증명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 -''sn''- > -''n''-은 알려져 있지만) 원시 브리튼어에서는 정당화하기 어렵다.[1]

학자들은 또한 켈트어 이름을 어간 *''néud-''(고트어 ''니우탄''(niutan) '잡다, 획득하다, 얻다'와 ''누타''(nuta) '포수, 어부', 리투아니아어 ''나우다''(naudà) '재산'과 비교)와 연결하여, ''*Nowdont-''를 누아두의 은 팔과 연관시켰다.[1] 그러나 이 어간은 켈트어에서는 다른 곳에서 증명되지 않으며, 아마도 인도유럽어 이전 언어에서 기원했을 것이다.[1]

투아하 데 다난의 첫 번째 왕 누아다 아르겍라임은 전투에서 손(또는 팔)을 잃은 후 왕위에서 물러났지만, 의사 디안 케흐트와 목수 크레이드네가 작동하는 은색 손을 만들어 주어 복위되었고 (''아르겍라임'' 즉 '은색 손'이라는 별칭을 얻음), 나중에는 디안 케흐트의 아들 미아크가 살과 피로 된 손을 만들어 주었다.

노덴스라는 이름은 "어부", "사냥꾼", "붙잡는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이어는 고트어의 "nuitan"(획득하다, 손에 넣다)와 "nuta"(붙잡는 자, 어부)를 언급하고 있다.

노덴스가 아일랜드로 전해진 것이 누아자로 여겨진다.[26][27]

3. 2. 웨일스 신화의 루드

중세 웨일스어 ''누드''(Nudd)는 두운 동화로 인해 ''루드''(Lludd)로 변했다.[1] 이는 원시 켈트어 어간 ''*Nowdont-''에서 파생되었으며, 중세 아일랜드어 ''누아두(Nuada)''와 같은 기원을 가진다.[1]

웨일스어 명사 ''누드''(nudd)는 '안개, 흐릿함, 옅은 안개'를 뜻하며, ''루드''(Lludd)와 ''누아두''(Nuadu)는 모두 '[은의] 손/팔'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1]

전설적인 웨일스 영웅 누드는 삼경에서 Rhydderch Hael과 Mordaf Hael과 함께 웨일스에서 가장 관대한 세 명 중 한 명으로 나온다. 그의 두 아들은 Edern ap Nudd와 Gwyn ap Nudd이다. 누드는 ''키프랑크 루드 아 레펠리스''에 나오는 벨리 마우르의 아들 Lludd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1]

3. 3. 아서 왕 전설의 어부왕

아서 왕 전설의 어부 왕은 어부로서의 노덴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27]

4. 유적과 비문

글로스터셔의 리드니 공원(Lydney Park)[27]과 랭커셔 코커샌드 모스[26]에서 노덴스 신앙을 나타내는 유물과 비문이 발견되었다. 리드니 공원에서는 청동 팔 조각상[28], 안과의사 인장 등이 봉헌되어 노덴스가 치유의 신이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개의 조각상이 다수 봉헌된 것은 노덴스의 신성한 동물이 개였음을 시사한다. 개는 상처를 핥아 치유한다는 믿음이 있었고, 이는 노덴스의 치유 능력과 관련이 있다.[7]

4. 1. 리드니 공원

리드니 공원(Lydney Park) 사원 단지 내 목욕탕


세번 강 어귀가 내려다보이는 가파른 절벽에 위치한 리드니 공원(Lydney Park) 사원 단지는 직사각형이며, 72by 크기이고, 중앙 켈라(cella)는 29by 크기이며, 북서쪽 끝은 깊이 6.3m의 3개의 방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 웅장한 로마-켈트 사원 건물은 아픈 순례자들이 잠을 자고 꿈에서 신의 현현을 경험하는 ''incubatio''(인큐베이션) 또는 침실로 해석되어 왔다. 이 부지는 세번 강(River Severn)이 세번 보어(Severn Bore)가 시작되는 지점 근처를 뚜렷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을 수도 있다. 이전 철기 시대 요새 내의 위치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6]

이 사원 단지는 1805년 찰스 바서스트에 의해 처음 발굴되었고, 1928~1929년 모티머 휠러 경과 테사 휠러에 의해 재발굴되었으며, 현장에서의 발견에 대한 광범위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신의 의인화 묘사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개 조각상 12개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개와 관련된 치유 상징주의로 인해 순례자들이 신전에 바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조각상 중 하나가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어 신 자체가 동물의 형태로 인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철분 결핍으로 고통받는 사람의 특징인 숟가락 모양의 손톱이 있는 청동 팔은 노덴스의 치유 속성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현장에서 발견된 유물로는 해양 신, 어부, 트리톤을 묘사한 청동 부조, 여성의 청동 명판, 약 320개의 핀, 거의 300개의 팔찌, 8,000개 이상의 동전이 있다. 또한 고대 갈로-로마 치유 성소에서와 같이 안약 막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 안과의의 도장도 있었다. 이 신은 로마 갈리아의 다른 치료 성소와 유사하게 수중 및 태양 이미지와 더 연관되었다.

노덴스에게 바쳐진 몇 개의 비문이 발견되었는데, 납으로 만든 저주 태블릿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Devo Nodenti Silvianus anilum perdedit demediam partem donavit Nodenti inter quibus nomen Seniciani nollis petmittas sanitatem donec perfera(t) usque templum [No]dentis신 노덴스에게: 실비아누스는 그의 반지를 잃어버렸고 그 가치의 절반을 노덴스에게 주었다. 세니시아누스라고 불리는 사람들 중 그가 노덴스의 사원에 가져올 때까지 건강을 허락하지 마십시오.



다른 비문은 다양한 철자로 노덴스를 로마 신 마르스와 동일시한다.

신 마르스 노덴스에게, 티투스 플라비우스 세닐리스, 숭배의 감독은 빅토리누스 통역사의 도움을 받아 헌물에서 (이 모자이크)를 놓았다.[14]



노덴스라는 이름은 "어부", "사냥꾼", "붙잡는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노덴스 신앙을 나타내는 석비 등이 랭커셔의 코커샌드 모스와 글로스터셔의 리드니 공원(Lydney Park)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노덴스 신앙지에서는 청동으로 만든 팔의 조상이나 안과의사의 인상 등이 봉헌되었으며, 이는 노덴스가 의신이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개의 조상도 다수 봉헌된 것으로 보아 노덴스의 성수는 개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개는 상처를 핥아 치유해 준다는 신앙이 있었으며, 이는 노덴스의 의신으로서의 성질을 나타낸다.

로마의 해석에서 노덴스는 마르스와 동일시된다.

4. 2. 코커샌드 모스

1718년 랭커셔주 코커샌드 모스에서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유실된 은제 조각상의 받침대에는 다음과 같은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26]

D(eo) M(arti) N(odonti) Lucianus colleg(ae) Aprili Viatoris v(otum) s(olvit)신 마르스 노덴스에게, 루키아누스는 동료 아프릴리우스 비아토르의 서약을 이행했다.



Deo Marti Nodonti Aurelius ...cinus sig(illum)신 마르스 노덴스에게, 아우렐리우스 ...키누스는 이 조각상을 세웠다.


5. 현대 문화에 미친 영향

J. R. R. 톨킨은 리드니 공원의 라틴어 비문 조사를 요청받아 노덴스와 아일랜드 영웅 '누아다 아르게틀람'(은손의 누아다)을 연결했다.[19] 톰 쉬피는 이것이 신, 영웅, 반지, 드워프, 은손을 묶어 "톨킨의 중간계 창조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21]

H. P. 러브크래프트크툴루 신화에서 노덴스는 신으로 등장한다.[1] 1926년 소설 ''미지의 카다스를 찾아서''에서 처음 등장하는 노덴스는 나이트-고트를 부리는 "고대의" 신으로, 다소 자비로우며 끔찍한 니알라토텝에 맞서는 존재로 묘사된다.[3]

크리스토퍼 파올리니의 소설 ''에라곤''에서 '아르게트람'(Argetlam, 은색 손)은 '게드웨이 이그나시아'(gedwëy ignasia, 빛나는 손바닥)의 또 다른 이름이며, 아일랜드어 단어 ''Airgetlam''에서 유래했다.[24]

5. 1. J. R. R. 톨킨

J. R. R. 톨킨은 리드니 공원의 라틴어 비문을 조사하도록 초청받았으며, 노덴스를 아일랜드 영웅 ''누아다 아르게틀람''(은손의 누아다)과 연결했다.[19] 톨킨 학자 톰 쉬피는 이것이 신, 영웅, 반지, 드워프, 은손을 결합하여 "톨킨의 중간계 창조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다.[21] 매튜 라이언스는 "[드워프의 언덕]의 광산 갱도 구멍의 호빗 같은 모습"을 언급했으며, 리드니 큐레이터 실비아 존스에 따르면 톨킨은 그곳에 머무는 동안 언덕의 민속에 매우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21][20] 헬렌 암스트롱은 그 장소가 톨킨의 "켈레브림보르와 모리아와 에레기온의 몰락한 왕국"에 영감을 주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21][22] ''실마릴리온''에서 반지를 만든 엘프 대장장이 켈레브림보르의 이름은 톨킨의 창조된 엘프어인 신다린어로 "은손"을 의미한다. 많은 광산 갱도가 있는 드워프의 언덕은 ''호빗''의 외로운 산과 ''반지의 제왕''의 모리아 광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23]

5. 2. H. P. 러브크래프트

노덴스는 H. P. 러브크래프트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신이다.[1] 그의 외형과 행동은 켈트 신화, 로마 신화, 그리고 아서 매켄의 소설 ''위대한 판 신''에 등장하는 신의 모습이 혼합된 것을 바탕으로 한다.[2] 노덴스는 러브크래프트의 1926년 소설 ''미지의 카다스를 찾아서''에 처음 등장하며, 여기에서 그는 나이트-고트들이 섬기는 "고대의" 신으로 묘사된다. 그는 다소 자비로운 존재로 묘사되며, 끔찍한 니알라토텝에 대항하는 것으로 묘사된다.[3] 노덴스는 또한 러브크래프트의 단편 소설 "안개 속 기묘한 높은 집"에도 등장하는데, 이 작품 역시 1926년에 쓰여졌다. 주인공 토마스 올니가 동명의 집에 들어가자 그는 "위대한 심연의 군주, 원초적인 노덴스"가 돌고래들이 끄는 커다란 조개 껍데기를 타고 있는 것을 본다.[4]

5. 3. 기타

크리스토퍼 파올리니의 소설 ''에라곤''에서 '아르게트람'(Argetlam, lit: 은색 손)은 파올리니가 이 시리즈를 위해 만든 가상의 '고대어'에서 ''게드웨이 이그나시아''(gedwëy ignasia, lit: "빛나는 손바닥")의 또 다른 이름이며, 아일랜드어 단어 ''Airgetlam''에서 유래되었다.[24]

참조

[1] 서적 Nodons, Nudd and Nuadu Airgetlám 2004
[2] 웹사이트 '? núada(i)t,' http://www.dil.ie/33[...]
[3] 웹사이트 'núada, ? núadu,' http://www.dil.ie/33[...]
[4] 논문 IV. The Celts 1906-03-25
[5] 서적 A Dictionary of English Place-Names Oxford 1993
[6] 서적 Exploring the World of the Druids Thames & Hudson
[7] 서적 Roman Dress Accessories Shire Publications
[8] 웹사이트 RIB 306. Curse upon Senicianus https://romaninscrip[...]
[9] 문서 CIL 07, 00140 = RIB-01, 00306 (301–410 AD)
[10] 웹사이트 RIB 305. Dedication to Mars Nodons https://romaninscrip[...]
[11] 문서 CIL 07, 00138 = RIB-01, 00305 (301–410 AD)
[12] 웹사이트 RIB 307. Dedication to Nudens Mars https://romaninscrip[...]
[13] 문서 CIL 07, 00139 = RIB-01, 00307 (301–410 AD)
[14] 문서 CIL 07, 00137 = RIB-02-04, 02448,03 (371–400 AD)
[15] 웹사이트 RIB 617. Dedication to Mars Nodons https://romaninscrip[...]
[16] 문서 RIB-01, 00617 = AE 1958, 00095b (71–300 AD)
[17] 웹사이트 RIB 616. Dedication to Mars Nodons https://romaninscrip[...]
[18] 문서 RIB-01, 00616 = AE 1958, 00095a (71–300 AD)
[19] 간행물 "The Name Nodens", Appendix to "Report on the excavation of the prehistoric, Roman and post-Roman site in [[Lydney Park]], Gloucestershire" Reports of the Research Committee of the Society of Antiquaries of London 1932
[20] 서적 There and Back Again: In the Footsteps of J. R. R. Tolkien Cadogan Guides 2004
[21] 백과사전 Report on the Excavation of the Prehistoric, Roman and Post-Roman Site in Lydney Park, Gloucestershire Routledge
[22] 논문 And Have an Eye to That Dwarf 1997-05
[23] 서적 Tolkien's Lost Chauc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24] 서적 The Significant Other: a Literary History of Elves https://orca.cardiff[...] Cardiff University (PhD Thesis) 2011
[25] 문서 「近寄りがたい」という意味。アバドンに入る前に身を清める必要があったことを意味している。
[26] 인용
[27] 인용
[28] 문서 腕に怪我などを負った者が治癒を祈願して捧げたと考えられている。
[29]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1998
[30] 웹인용 Nudd/Lludd/Nodons http://www.celtnet.o[...] 2005-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