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트어는 현재 남아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언어 재구성이 어려운 동게르만어의 일종이다. 4세기 아리우스파 주교 울필라스가 그리스어 성경을 번역하면서 기록되었으며, 신약성경의 4분의 3과 구약성경 일부가 남아있다. 현존하는 주요 문서로는 6세기에 제작된 은색 고문서, 암브로시아누스 고문서, 기센 고문서 등이 있다. 고트어는 울필라스가 창안한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그리스어, 룬 문자, 라틴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 고트어는 다른 게르만어와 비교하여 원시 게르만어의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일부 단어는 슬라브어, 로망스어군에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이후 톨킨 등 여러 언어학자들이 창작 언어로 활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게르만어군 - 반달어
    반달어는 동게르만어에 속하며, 과거 반달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언어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고트어 방언이었다는 설 등이 존재하며, 현재는 단편적인 구절을 통해서만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동게르만어군 - 크림 고트어
    크림 고트어는 3세기부터 크림 반도에 거주한 고트족이 사용했던 동게르만어군 언어로, 16세기 기록된 단어와 차용어, 지명을 통해 흔적을 찾을 수 있으며 동서 게르만어 특징을 보이나 18세기 말 사멸한 것으로 추정된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고트어
언어 정보
이름고트어
원어 이름*Gutisko razda
IPA/ˈɡuˌtʰisk/
지역오이움, 다키아, 판노니아, 달마티아, 이탈리아,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갈리아 아퀴타니아, 히스파니아, 크림, 북캅카스
사용 시기기원후 3세기–10세기 (크림 고트어는 크림에서 18세기까지 생존)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게르만어파
어군동게르만어군
방언크림 고트어 †
게피트? †
동고트어 †
서고트어 †
문자고트 문자
ISO 639-1없음
ISO 639-2got
ISO 639-3got
Linguist Listgot
Glottologgoth1244
Glottolog 이름Gothic

2. 역사

고트어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동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기록이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게르만어이지만 직계 후손 언어 없이 사어가 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트어 문서는 4세기 울필라스 주교가 번역한 성경으로, 이 번역본은 주로 6세기에 필사된 형태로 남아있다.

고트어는 한때 서고트족과 동고트족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으나, 6세기 중반부터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고트족이 프랑크족에게 군사적으로 패배하고, 동고트 왕국이 멸망하면서 이탈리아 반도에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배제되었으며, 고트족들이 점차 라틴어를 사용하는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자신들의 언어 사용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아리우스파 신앙을 유지했던 고트족에 대한 탄압 과정에서 고트어 문서들이 소실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고트어는 일부 지역에서 명맥을 유지했다. 이베리아 반도(현재의 스페인포르투갈)에서는 8세기경까지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프랑크족 신학자 왈라프리트 스트라보의 기록에 따르면 9세기 중반까지도 도나우강 하류 지역과 크림 반도의 고립된 산악 지대에서는 고트어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2015년 크림 반도 망구프에서 발견된 9세기 중반의 고트어 낙서는 이러한 기록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여겨진다.[5] 하지만 9세기 후기 이후에 발견된 고트어로 추정되는 자료들은 실제 고트어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도 있다.

언어의 원래 이름은 전해지지 않으며, '*gutiska razda*'라는 이름은 후대에 재구성된 것이다. 이는 역사가 요르다네스가 언급한 'Gothiscandza'(고트족의 땅)라는 지명에 기반하며, 'razda'는 고트어로 '말' 또는 '언어'를 의미한다.

고트어는 비록 사어가 되었지만, 초기 게르만어의 모습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서 자료를 남기고 있어 비교언어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언어로 평가받는다.

2. 1. 고문서군

''암브로시아누스 고문서 B''의 한 페이지


고트어는 언어를 완전히 재구성할 만큼 충분한 문서가 남아있지 않다. 현존하는 고트어 자료는 대부분 그리스어 등 다른 언어의 번역이나 주석이기 때문에, 원문의 언어적 요소가 고트어 텍스트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현존하는 가장 방대한 문서군은 주로 6세기에 만들어진 다양한 고문서들로, 아리우스파 주교 울필라스(Wulfila, 311–382)가 의뢰한 성경 번역본을 필사한 것이다. 울필라스는 로마 제국의 모에시아(오늘날의 세르비아, 불가리아/루마니아)에 거주하던 서고트 기독교 공동체의 지도자였다. 그는 그리스어 성경을 고트어로 번역하도록 했으며, 이 번역본 중 신약성경의 약 4분의 3과 구약성경의 일부 조각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현존하는 번역 텍스트는 다음 고문서 및 비문에 수집되어 있다.

고문서명연대/장소 (추정)내용특징/비고
은색 고문서 (Codex Argenteus) 및 슈파이어 단편(Speyer fragment)6세기, 북이탈리아4복음서 상당 부분가장 잘 보존된 고트어 필사본. 동고트족이 보존/전승. 그리스어 차용어 및 용법 다수 포함. 문법은 그리스어 영향 강함. 총 188쪽.
암브로시아누스 고문서 (Codex Ambrosianus) 및 토리노 고문서 (Codex Taurinensis)6세기신약성경 산재 구절 (복음서, 서신 포함), 구약성경 (느헤미야기), 스케이렌스 (Skeireins, 고트어 주석)5개 부분, 총 193쪽. 필사자에 의한 수정 가능성 있음.
기센 고문서 (Codex Gissensis)?누가복음 23–24장 단편 (1쪽)고트어-라틴어 대역본. 1907년 이집트 아르시노에에서 발굴. 1945년 수해로 파괴됨 (사본 제작 후).
카롤리누스 고문서 (Codex Carolinus)?로마서 11–15장 단편 (4쪽)고트어-라틴어 대역본. 볼펜뷔텔 소재.
바티카누스 라티누스 고문서 5750 (Codex Vaticanus Latinus 5750)?스케이렌스 3쪽 (57–58, 59–60, 61–62)암브로시아누스 E 고문서의 단편. 바티칸 시국 소재.
고티카 보로넨시아 (Gothica Bononiensia)?설교 추정 2쪽 (팔림세스트)볼로냐 단편이라고도 함. 2009년 발견. 비성경적 텍스트 외 울필라스 번역 성경 인용/암시 포함 (시편, 창세기 등 이전 미증명 부분 포함).[4]
판노니아 단편 (Pannonian Fragments)?복음서 구절 단편Hács-Béndekpuszta 단편, Tabella Hungarica라고도 함. 두께 1mm 납판 조각.
망구프 낙서 (Mangup inscriptions)9세기 중반고트어 문자 비문 5개 (시편 76편 인용, 기도문 등)2015년 크림반도 망구프 바실리카 교회에서 발견. 가장 최근의 고트어 문자 증거. 이탈리아/판노니아 외 유일 발견. 울필라스 언어와 큰 차이 없음.[5]



이 외에도 흩어져 있는 옛 문서들이 존재한다. 여기에는 두 개의 증서(''나폴리''와 ''아레초'' 증서, 파피루스 기록), 알파벳(''고티카 빈도보넨시아''와 ''고티카 파리지나''), 달력(''암브로시아누스 A 고문서''), 여러 필사본에서 발견된 주석, 그리고 룬 문자 비문 (3개에서 13개로 추정되나, 일부 학자들은 이 비문들이 고트어가 아니라고 보기도 함[6]) 등이 포함된다. 크라우스는 인도 비문의 몇몇 이름이 고트어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7]

울필라스 성경의 다른 부분이 발견되었다는 보고도 있었으나 입증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하인리히 메이는 1968년에 잉글랜드에서 마태복음 일부가 포함된 팔림세스트 12페이지를 발견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고트어 성경 번역은 발칸 지역에서 그리스 기독교 문화와 밀접하게 접촉했던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성경은 서고트족이 오키타니아에서 세력을 잃은 6세기 초까지[8] 사용되었고, 이베리아에서는 약 700년까지, 그리고 이탈리아, 발칸, 우크라이나 지역에서는 적어도 9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리우스파에 대한 탄압 과정에서, 삼위일체파 기독교인들이 고트어 텍스트 위에 다른 내용을 덧씌워 팔림세스트로 만들거나, 고트어 문서를 수집하여 불태웠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종교적 억압에도 불구하고, 성경 텍스트 외에 고트어로 원작성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긴 문서는 요한 복음서에 대한 주석인 ''스케이렌스''이다.

약 800년 이후 중세 시대의 2차 자료에서 고트어에 대한 언급은 드물다. 프랑크족 수도사 발라프리트 스트라보는 9세기 중반(840–842년) 저술에서, 스키티아 (도브루자)의 특정 민족, 특히 토미스 주변 사람들이 "sermo Theotiscus"(게르만어)인 고트어 성경 번역본의 언어를 사용하며 이러한 전례를 따른다고 보고한 수도사 그룹에 대해 기록했다.[9]

중세 시대 텍스트에서 고트족을 언급할 때, 많은 저자들이 동유럽의 모든 게르만 민족(예: 바랑기아인)을 포괄하는 의미로 '고트족'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으며, 심지어 슬라브족을 '고트족'으로 지칭하는 경우도 있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고트어"라는 용어는 울필라스 시대의 언어를 지칭하지만, 현존하는 증거 자체는 울필라스 사후인 6세기에 주로 기록된 것이다.

3. 문자

유럽 전역에서 몇 개의 고딕 룬 문자 비문이 발견되었지만, 고트족의 초기 기독교화 과정에서 룬 문자는 새롭게 발명된 고딕 문자로 점차 대체되었다.

오늘날 남아있는 고트어 문서, 예를 들어 《스키레이스》(Skeireinsgot) 등은 대부분 4세기경 울필라스(Ulfilas)가 성경 번역을 위해 고안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유한 문자로 기록되었다. 이 문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갈린다. 일부 학자(브라우네 등)는 그리스 문자만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룬 문자나 라틴 문자의 영향도 받았다고 본다.[34]

고트 문자는 중세 유럽에서 사용된 라틴 문자 서체 스타일인 블랙레터(Blackletter)와는 다르다. 블랙레터는 '고딕 서체'(Gothic script)라고도 불리지만, 울필라스의 고트 문자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후대에 독일어를 표기하는 프락투어(Fraktur) 등으로 발전했다.

3. 1. 알파벳과 음역

또는 이중 자음로마자
대응"정규화된"
음역음성일반적인 발생 환경
(고유 단어에서)다른 환경에서
교대하는 음성원시 게르만어 기원𐌰aa/a/모든 곳—/ɑ/ā/aː//h/, /hʷ/ 앞발생하지 않음/ãː/ (/h/ 앞)𐌰𐌹ai/ɛ//h/, /hʷ/, /r/ 앞i /i//e/, /i/ai/ɛː/모음 앞ē /eː//ɛː/, /eː/ái/ɛː/모음 앞이 아님aj /aj//ɑi/𐌰𐌿au/ɔ//h/, /hʷ/, /r/ 앞u /u//u/au/ɔː/모음 앞ō /oː//ɔː/áu/ɔː/모음 앞이 아님aw /aw//ɑu/𐌴eē/eː/모음 앞이 아님ai /ɛː//ɛː/, /eː/𐌴𐌹eiei/iː/모든 곳—/iː/; /ĩː/ (/h/ 앞)𐌹ii/i//h/, /hʷ/, /r/ 앞 제외 모든 곳 /ɛ//e/, /i/𐌹𐌿iuiu/iu/모음 앞이 아님iw /iw//eu/ (및 그 동음이의어 [iu])𐍉oō/oː/모음 앞이 아님au /ɔː//ɔː/𐌿uu/u//h/, /hʷ/, /r/ 앞 제외 모든 곳 /ɔ//u/ū/uː/모든 곳—/uː/; /ũː/ (/h/ 앞)



참고:



다음 표는 자음의 철자와 음성 간의 대응 관계를 보여준다.

고딕 문자로마자음성 (음소)음성 (이음)발생 환경다른 환경에서 교대하는 음성원시 게르만어 기원
𐌱b/b/[b]단어 시작; 자음 뒤/b/
[β]모음 뒤, 유성음 앞/ɸ/ (모음 뒤, 무성음 앞)
𐌳d/d/[d]단어 시작; 자음 뒤/d/
[ð]모음 뒤, 유성음 앞/θ/ (모음 뒤, 무성음 앞)
𐍆f/ɸ/[ɸ]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b/ [β]/ɸ/; /b/
𐌲g/ɡ/[ɡ]단어 시작; 자음 뒤/ɡ/
[ɣ]모음 뒤, 유성음 앞/ɡ/ [x] (모음 뒤, 유성음 앞이 아님)
[x]모음 뒤, 유성음 앞이 아님/ɡ/ [ɣ] (모음 뒤, 유성음 앞)
/n/[ŋ]k /k/, g /ɡ/ [ɡ], gw /ɡʷ/ 앞
(이러한 사용은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았다, 감마 비교)
/n/
gw/ɡʷ/[ɡʷ]g /n/ [ŋ] 뒤/ɡʷ/
𐌷h/h/[h]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ɡ/ [ɣ]/x/
𐍈ƕ/ʍ/ 또는 /hʷ/[ʍ] 또는 [hʷ]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xʷ/
𐌾j/j/[j]모든 곳/j/
𐌺k/k/[k]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k/
𐌻l/l/[l]모든 곳/l/
𐌼m/m/[m]모든 곳/m/
𐌽n/n/[n]모든 곳/n/
𐍀p/p/[p]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p/
𐌵q/kʷ/[kʷ]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kʷ/
𐍂r/r/[r]모든 곳/r/
𐍃s/s/[s]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z//s/; /z/
𐍄t/t/[t]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t/
𐌸þ/θ/[θ]유성 자음 앞을 제외한 모든 곳/d/ [ð]/θ/; /d/
𐍅w/w/[w]모든 곳/w/
𐌶z/z/[z]모음 뒤, 유성음 앞/s//z/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순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m/ n /n/ g, n /ŋ/  
파열음p /p/b /b/ t /t/d /d/ddj /ɟː/?k /k/g /ɡ/q /kʷ/gw /ɡʷ/ 
마찰음f /ɸ/b /β/þ /θ/d /ð/s /s/z /z/ g, h /x/g /ɣ/ h /h/
접근음  l /l/j /j/ ƕ /ʍ/w /w/
전동음  r /r/    



일반적으로 고트어 자음은 단어의 끝에서 무성음화된다. 고트어는 그림의 법칙베르너의 법칙에 설명된 과정에서 파생된, 게르만어파의 특징인 마찰 자음이 풍부하다(비록 그들 중 많은 수가 접근음이었을 수 있지만, 둘을 구분하기는 어렵다). 고트어는 게르만어파 중에서 로타시즘을 통해 /r/이 되지 않은 /z/ 음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또한 모음 사이의 쓰인 자음의 중복은 고트어가 장자음과 단자음, 즉 겹자음을 구별했음을 시사한다. ''atta'' [atːa] "아버지", ''kunnan'' [kunːan] "알다"(네덜란드어 ''kennen'', 독일어 ''kennen'' "알다", 아이슬란드어 ''kunna'')

주로 비교언어학적인 음성 재구 방법론을 통해 울필라 시대의 고트어가 어떻게 발음되었는지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울필라가 번역을 수행할 때, 가능한 한 원본 그리스어 텍스트에 따르도록 노력했기 때문에, 그가 현대 그리스어와 동일한 표기법을 사용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그 기간의 그리스어 고문서는 상당히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번역문으로부터 고트어 텍스트의 많은 부분을 재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그리스어 기원이 아닌 이름들이 그리스어 성경에서 전사된 것은 연구상 매우 유익하다.

4. 음운론

비교 음성 재구성 방법을 통해 울필라스 시대의 고트어 발음을 상당히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울필라스는 성경 번역 시 원본 그리스어 텍스트를 최대한 따르려 했기 때문에, 당시 그리스어와 동일한 표기 방식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16] 당시 그리스어 기록이 잘 남아 있어, 번역된 텍스트를 통해 고트어 발음의 많은 부분을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리스어 성경과 울필라스의 성경에서 그리스어가 아닌 이름을 표기하는 방식도 발음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고트어 자음은 단어 끝에서 무성음이 되는 경향이 있다. 고트어는 그림의 법칙베르너의 법칙과 같은 게르만어파의 특징적인 음운 변화를 거치면서 다양한 마찰음을 가지게 되었다.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과 달리, 로타시즘을 거치지 않은 /z/ 음소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모음 사이의 이중 자음은 단음과 구별되어 길게 발음(장음 또는 배음)되었다. 예를 들어, ''atta'' ("아버지"), ''kunnan'' ("알다") 등이 있다.

4. 1. 모음

{|

|

단모음
전설 모음후설 모음
폐모음/i/ (/y/)/u/
반개모음/ɛ//ɔ/
개모음/a/



|

장모음
전설 모음후설 모음
폐모음/iː//uː/
반폐모음/eː//oː/
반개모음/ɛː//ɔː/
개모음/aː/



|}

4. 2. 자음

일반적으로 고트어 자음은 단어의 끝에서 무성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고트어는 그림의 법칙베르너의 법칙에 설명된 음운 변화 과정을 거치면서 게르만어파 언어의 특징인 다양한 마찰음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과 달리, 로타시즘을 통해 /r/ 음으로 변하지 않은 /z/ 음소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고트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순음화 연구개음성문음
비음m n g, n ([ŋ])  
/m/ /n/ (/ŋ/)  
파열음pb tdttj?ddj?kgqgw 
/p//b/ /t//d//cː/?/ɟː/?/k//ɡ//kʷ//ɡʷ/ 
마찰음fbþdsz g, hg h
/ɸ//β//θ//ð//s//z/ /x//ɣ/ /h/
접근음  lj ƕw
  /l//j/ /ʍ//w/
전동음  r    
  /r/    



고트어에는 무성 파열음(/p/, /t/, /k/, /kʷ/)과 유성 파열음(/b/, /d/, /ɡ/, /ɡʷ/)이 존재하며, 특정 환경에서는 유성 파열음이 마찰음([β], [ð], [ɣ])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마찰음 역시 풍부하여 무성 마찰음(/ɸ/, /θ/, /s/, /h/, /x/, /ʍ/)과 유성 마찰음(/β/, /ð/, /ɣ/, /z/)이 사용되었다. 비음으로는 /m/, /n/과 이들의 변이음인 [ŋ]이 있으며, 뒤따르는 자음의 조음 위치에 동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접근음유음으로는 /l/, /r/, /j/, /w/가 있으며, 특정 환경에서는 /l/, /m/, /n/, /r/이 음절 자음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각 자음의 구체적인 특징과 음운 변화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2. 1. 파열음

무성 파열음 /p/, /t/, /k/는 보통 ''p'', ''t'', ''k''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paska'' /paska/ (영어: Easter, πάσχα|파스카el "부활절"), ''tuggo'' /tuŋgoː/ (영어: tongue ""), ''kalbo'' /kalboː/ (영어: calf "송아지")와 같다. 이 파열음들은 아마도 현대 게르만어파 언어들처럼 기식음 [pʰ], [tʰ], [kʰ]으로 발음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고지 독일어의 제2차 자음 추이 이전의 음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문자 ''q''는 라틴어의 ''qu''와 유사하게 순음화무성 연구개 파열음 /kʷ/ (아마도 기식음 [kʷʰ])를 나타냈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qiman'' /kʷiman/ (영어: come "오다")이 있다. 후기 게르만어파 언어들에서는 이 음이 무성 연구개 파열음과 양순 연구개 접근음의 결합(/kw/)으로 변하거나, 단순한 무성 연구개 파열음(/k/)으로 변했다.

유성 파열음 /b/, /d/, /ɡ/는 각각 ''b'', ''d'', ''g'' 문자로 표기된다.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과 달리, 고트어에서는 이 음들이 주로 단어 첫머리나 비음 뒤에 나타났다. 다른 위치에서는 이 음들이 마찰음 이음([β], [ð], [ɣ])으로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단어 끝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는 이 유성 파열음들도 무성음화되어 [p], [t], [k]처럼 발음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blinds'' /blints/ (영어: blind "눈 먼"), ''lamb'' /lamp/ (영어: lamb "어린 양")가 있다.

순음화유성 연구개 파열음 /ɡʷ/도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이중자음 ''gw''로 표기되었다. 이 음은 주로 비음 뒤에 나타났다. 예를 들어 ''saggws'' /saŋgʷs/ (영어: song "노래")가 있다. 또한, 게르만조어의 *ww에서 유래하여 길게 발음되는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triggws'' /triɡʷːs/ (영어: true, 독일어: treu, 스웨덴어: trygg "진실한" 또는 "충실한")가 있다.

마찬가지로, 게르만조어의 *jj에서 유래한 이중자음 ''ddj''는 유성 경구개 파열음 [ɟː]를 나타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waddjus'' /waɟːus/ (영어: wall, 스웨덴어: vägg ""), ''twaddje'' /twaɟːeː/ (영어: of two "둘의 (소유격)")가 있다.

4. 2. 2. 마찰음

/s/와 /z/는 일반적으로 ''s''와 ''z''로 표기된다. 이 중 /z/는 게르만조어의 *z에 해당하며, 다른 게르만어에서는 ''r'' 또는 묵음으로 변한 소리이다. /z/는 단어 끝에 올 경우 규칙적으로 무성음화되어 ''s''(/s/)로 발음되고 표기된다. 예를 들어, '6'을 뜻하는 ''saíhs''(/sɛhs/)는 '더 많은'을 뜻하는 ''máiza''(/mɛːza/)와 비교했을 때, 후자의 비교급 형태인 ''máis''(/mɛːs/)에서 어말의 ''s''가 무성음화된 것을 볼 수 있다.

/ɸ/와 /θ/는 각각 무성 양순 마찰음무성 치 마찰음으로, 보통 ''f''와 ''þ''로 표기된다. 이 소리들은 각각 유성 파열음 ''b''와 ''d''가 단어 끝에서 무성음화된 것이다. 예를 들어, '주다'의 명령형인 ''gif''(/giɸ/)는 부정사 ''giban''과 비교할 수 있고, '함께'를 뜻하는 ''miþ''(/miθ/)가 있다. /ɸ/의 발음은 불안정하여 /f/로 변하는 경향이 있었을 수 있다.

/h/는 ''h''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가지다'를 뜻하는 ''haban''이 있다. 단어 끝에 오는 ''h''도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예'를 뜻하는 ''jah''(/jah/)가 있다. 다른 자음 앞에서는 이음 /x/로 발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6'을 뜻하는 ''saíhs''(/sɛhs/ 또는 /sɛxs/)나 '8'을 뜻하는 ''ahtau''(/ahtɔː/ 또는 /axtɔː/)와 같은 단어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x/는 무성 연구개 마찰음으로, /ɡ/가 단어 끝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 나타나는 이음이다. 표기는 항상 ''g''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날'을 뜻하는 ''dags''는 /daxs/로 발음된다. 그리스어에서 온 차용어에서는 그리스 문자 χel를 표기하기 위해 ''x''를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그리스도'를 뜻하는 ''Xristus''(/xristus/, 그리스어: Χριστόςel)가 있다. 이 경우에는 /k/ 소리를 나타냈을 수도 있다.

/β/, /ð/, /ɣ/는 유성 마찰음으로, 모음 사이에서만 나타난다. 이들은 각각 유성 파열음 /b/, /d/, /g/의 이음이며, 표기상으로는 구별되지 않는다. /β/는 좀 더 안정적인 순치음 /v/로 발음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게르만어 연구에서는 이 음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보통 ''ƀ'', ''đ'', ''ǥ''로 표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가지다'를 뜻하는 ''haban''(/haβan/), '사람들'을 뜻하는 ''þiuda''(/θiu̯ða/), '눈'을 뜻하는 ''áugo''(/auγoː/) 등이 있다.

''ƕ'' (때로는 ''hw'' 또는 ''hv''로 표기)는 /x/에 대응하는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으로, 인도유럽조어의 /kʷ/에서 유래했다. 이 소리는 아마도 /ʍ/(무성 /w/)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영어의 여러 방언에서 나타나는 ''wh''(/wh/) 발음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언제'를 뜻하는 ''ƕan''(/ʍan/), '어디서'를 뜻하는 ''ƕar''(/ʍar/), '흰색'을 뜻하는 ''ƕeits''(/ʍiːts/) 등이 있다.

4. 2. 3. 비음, 접근음 및 기타 음소

고트어는 3개의 비음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하나는 다른 자음의 상호 보완적 분포에 있는 변이음이다. 대부분의 다른 언어처럼 고트어의 비음은 뒤따르는 자음과 같은 조음 위치에서 발음되는 음운 동화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md]` 나 `[nb]` 와 같은 자음군은 나타날 수 없다.

고트어의 접근음과 유음은 다음과 같다.

또한, 공명음인 `/l/`, `/m/`, `/n/`, `/r/`은 특정 환경에서 음절 자음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소리 강도가 낮은 다른 두 자음 사이나, 소리 강도가 낮은 자음 뒤 어말 위치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자음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음절의 핵 역할을 하게 된다. 예: ''tagl'' `[taɣl̩]` 또는 `[taɣl]` ("머리카락"), ''máiþms'' `[mɛːθm̩s]` 또는 `[mɛːθms]` ("선물"), ''táikns'' `[tɛːkn̩s]` 또는 `[tɛːkns]` ("표시, 토큰"), ''tagr'' `[taɣr̩]` 또는 `[taɣr]` ("눈물").

4. 3. 강세와 억양

고트어의 강세는 음성학적 비교, 그림의 법칙베르너의 법칙을 통해 재구성할 수 있다. 고트어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고저 강세 대신 강세 악센트(강세 강세)를 사용했다. 이는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 장모음 [eː]와 [oː]가 짧아지고, 마지막 음절의 단모음 [a]와 [i]가 사라지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던 강세는 고트어의 단순한 단어에서는 첫 번째 음절에 고정되었다. 단어가 굴절될 때도 강세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복합어에서 강세 위치는 복합어를 이루는 요소의 품사에 따라 결정된다.

'''예시''' (현대 게르만어 단어와 비교)

5. 문법

고트어 문법은 인도유럽조어의 복잡한 굴절 체계를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대 게르만어파 언어들에서는 사라진 고대 문법 요소들이 많이 남아있다. 주요 문법적 특징은 형태론통사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형태론에서는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등 주요 품사가 , 문법적 성, 문법적 수, 시제, 서법, 태 등 다양한 문법 범주에 따라 복잡하게 굴절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대명사의 쌍수 보존이나 동사의 강변화와 약변화 구분 등이 주목할 만하다.

통사론에서는 단어의 순서, 즉 어순과 문장에 특정 의미를 더하는 약어 입자의 사용이 중요한 특징이다. 비록 현존하는 자료가 주로 그리스어 번역본이라 원본 언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기본적인 어순과 특정 구문에서의 변화, 그리고 와케르나겔의 법칙을 따르는 입자 사용 등을 통해 고트어 문장 구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5. 1. 형태론

고트어는 인도유럽조어의 복잡한 굴절 체계를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언어이다. 현대 게르만어파 언어들에서는 사라진 특징들이 많이 남아있다. 주요 품사인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는 다양한 문법 범주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명사형용사(주격, 대격, 속격, 여격), 문법적 성(남성, 여성, 중성), 문법적 수(단수, 복수)에 따라 굴절한다. 특히 형용사는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의 강변화/약변화와 유사한 불확정/확정 구분이 존재한다.

대명사 체계에서는 1인칭과 2인칭에서 '둘'을 나타내는 쌍수 형태가 보존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는 명사나 형용사에는 없는 고트어 대명사와 동사만의 특징이다.

동사는 모음 교체(압라우트)나 중복을 이용하는 강변화 동사와 특정 접미사를 사용하는 약변화 동사로 나뉜다. 또한, 능동태와 중간태, 다양한 시제서법을 구분하여 표현하며, 고대 완료 시제가 현재 의미로 쓰이는 과거 현재 동사도 존재한다.

5. 1. 1. 명사와 형용사

고트어는 현대 게르만어파 언어에서는 사라진 고대 인도유럽조어의 특징들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데, 특히 풍부한 활용 체계가 잘 보존되어 있다. 명사와 형용사는 주격, 대격, 속격, 여격의 네 가지 으로 활용되었으며, 때로는 주격이나 대격과 형태가 같았던 호격의 흔적도 남아있다. 문법적 성은 인도유럽조어에 있었던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문법적 성을 모두 유지했다. 또한 명사와 형용사는 단수복수의 두 가지 문법적 수에 따라 굴절했다.

명사는 어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활용형으로 나뉜다. 주요 어간 유형으로는 ''a'', ''ō'', ''i'', ''u'', ''an'', ''ōn'', ''ein'', ''r'' 등이 있다.

형용사는 '불확정(indefinite)'과 '확정(definite)'이라는 두 가지 주요 활용 변형을 가진다. 이는 다른 많은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강변화(strong)'와 '약변화(weak)'로 불리는 구분과 유사하다. 확정(약) 형용사는 주로 정관사와 같은 확정 지시사(예: ''sa''/''þata''/''sō'')와 함께 쓰이며, 불확정(강) 형용사는 그 외의 상황, 예를 들어 부정관사와 함께 쓰이거나 관사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때 쓰인다.[17][18] 일반적으로 불확정 형용사는 ''a'' 어간과 ''ō'' 어간 명사의 어미를 따르고, 확정 형용사는 ''an'' 어간과 ''ōn'' 어간 명사의 어미를 따른다. 고트어는 다른 게르만어보다 인도유럽어의 특징을 더 많이 보존하고 있어 '강/약' 구분이 다른 언어만큼 뚜렷하지는 않다. 소위 '약변화'(n-어간 활용)가 반드시 '강변화'(모음 어간 활용)보다 어미 수가 적어 약하다고 보기는 어렵고, '강변화'가 '약변화'와 명확히 구분되는 일관된 부류를 형성하지도 않는다.

현대 독일어에서도 형용사의 강/약 변화 규칙을 찾아볼 수 있다.

고트어의 서술 형용사(최상급을 나타내는 ''-ist'', ''-ost'' 어미나 과거 분사)는 확정 및 불확정 형태를 모두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일부 형용사는 특정 변형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sama''("같은", 영어 "same"), ''unƕeila''("끊임없이", 어근 ''ƕeila''는 "시간"을 의미하며 영어 "while"과 관련됨), 비교급 형용사, 현재 분사 등은 확정(약) 형태로만 쓰인다. 반면, ''áins''("어떤", 영어 "some")와 같은 형용사는 불확정(강) 형태로만 쓰인다.

아래 표는 고트어 형용사 ''blind''("눈먼", 영어 "blind")의 활용을 확정(약) 변화를 따르는 ''an'' 어간 명사 ''guma''("남자, 인간")와 불확정(강) 변화를 따르는 ''a'' 어간 명사 ''dags''("날", 영어 "day")와 비교하여 보여준다.

확정 / an 어간 (약변화)불확정 / a 어간 (강변화)
명사형용사명사형용사
어근남성중성여성어근남성중성여성
단수주격gumablind--a-odagsblind--s— / -ata-a
대격guman-an-o-ondag-ana— / -ata-a
여격gumin-indaga-amma-ái
속격gumins-ins-onsdagis-isáizos
복수주격gumans-ans-onadagos-ái-a-os
대격dagans-ans
여격gumam-am-omdagam-áim
속격gumane-ane-onodage-áize-áizo



이 표는 완전한 것은 아니다. (여기에 설명되지 않은 다양한 종류의 이차적 굴절이 있다.) 고트어 명사와 형용사의 주요 활용 유형은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고트어 형용사는 기본적으로 명사 활용 체계를 따르며 같은 종류의 굴절 어미를 사용한다.

5. 1. 2. 대명사

고트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다양한 대명사를 물려받았다. 여기에는 인칭 대명사(세 문법적 인칭 각각에 대한 재귀 대명사 포함), 소유 대명사, 단순 및 복합 지시 대명사, 관계 대명사, 의문 대명사, 부정 대명사가 포함된다. 각 대명사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처럼 특정 굴절 패턴을 따르며, 이는 명사의 변화 양상을 일부 반영한다.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두 사람' 또는 '두 사물'을 가리키는 쌍수가 보존되었다는 점이다. 쌍수는 둘 이상의 수를 나타내는 복수와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우리 둘"은 witgot로, "우리 (셋 이상)"는 weisgot로 다르게 표현했다. 원시 인도유럽어는 수를 나타내는 모든 문법 범주에 쌍수를 사용했지만(고대 그리스어산스크리트어처럼), 고트어는 대명사와 동사 활용에만 쌍수 표시가 남아 있다는 점에서 다른 고대 게르만어와 구별된다. 명사나 형용사에는 쌍수 구분이 없다.

단순 지시 대명사인 남성형 sagot, 중성형 þatagot, 여성형 sogot는 관사처럼 사용될 수 있었다. 이 대명사들은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so'', ''*seh2'', ''*tod''에서 유래했으며, 그리스어 정관사 ὁ, ἡ, τόel나 라틴어 istudla와 같은 계통이다. 이 지시 대명사를 이용해 "정관사 + 약한 형용사 + 명사"와 같은 구조를 만들 수 있었다.

의문 대명사는 모두 ƕ-got로 시작한다.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의 의문 관련 단어에 나타나는 자음 ''*kʷ''에서 파생된 것이다. 이 형태는 다른 많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의문사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영어의 wh-영어, 독일어의 w-de, 덴마크어의 hv-da, 라틴어의 qu-la(현대 로망스어군에도 남아 있음), 그리스어의 τ-el 또는 π-el, 슬라브어군 및 인도아리아어군의 k-sa 등이 같은 어원에서 비롯되었다.

5. 1. 3. 동사

고트어 동사의 대부분은 재구된 인도유럽조어 음소 "*e*" 또는 "*o*"에서 파생된 모음을 어근과 굴절 접미사 사이에 삽입하는 테마 동사 활용 유형을 따른다. 이는 라틴어고대 그리스어에서도 나타나는 패턴이다.

반면, 접미사가 어근에 직접 추가되는 비테마 동사 활용은 고트어에서 비생산적인 잔존 형태로만 존재하며, 이는 라틴어나 그리스어와 유사하다. 가장 중요한 예는 동사 "be"로, 여러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비테마 동사이다.

고트어 동사는 명사나 형용사처럼 강변화 동사약변화 동사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현대 게르만어파 언어에도 남아 있다.

} || habáida|got || habáiþs|got || giban|got || gaf|got

|-

| 영어 || (to) have|eng || had|eng || had|eng || (to) give|eng || gave|eng

|-

| 독일어 || haben|deu || hatte|deu || gehabt|deu || geben|deu || gab|deu

|-

| 아이슬란드어 || hafa|isl || hafði|isl || haft|isl || gefa|isl || gaf|isl

|-

| 네덜란드어 || hebben|nld || had|nld || gehad|nld || geven|nld || gaf|nld

|-

| 스웨덴어 || ha(va)|swe || hade|swe || haft|swe (수핀) || giva|swe (ge|swe) || gav|swe

|}

고트어 동사의 활용 체계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한다.

모든 시제와 인칭이 모든 태와 법으로 표현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활용형은 조동사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과거 현재 동사라는 특별한 동사군이 있다. 이들은 고대 인도유럽어의 완료 시제가 현재 시제의 의미로 재해석된 형태이다. 예를 들어, 고트어 단어 wáit|got ("나는 안다")는 인도유럽조어 ''*woid-h₂e'' ("(완료 시제로) 보다")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산스크리트어 véda|san와 그리스어 ϝοἶδα|grc와 정확히 일치한다. 이 단어들은 어원적으로는 "나는 보았다" (완료)를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나는 안다" (현재)는 의미로 사용된다. 라틴어 nōuī|lat ("나는 배웠다", 그리고 "나는 안다")도 비슷한 예이다. 다른 과거 현재 동사로는 áigan|got ("소유하다"), kunnan|got ("알다") 등이 있다.

5. 2. 통사론

고트어의 문장 구조, 즉 통사론은 어순과 특수한 입자 사용에서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보여준다.

고트어는 굴절어의 특성상 단어 순서가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고트어 자료 대부분이 그리스어 성경 번역본이기 때문에, 그리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반적으로는 객체-동사 어순(OV)이 기본적인 어순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명령문이나 부정문, 의문사 의문문 등 특정 상황에서는 어순이 달라지기도 한다.[19][20]

또한, 고트어에는 문장의 두 번째 위치에 붙는 두 가지 종류의 약어 입자가 있다. 이는 와케르나겔의 법칙을 따르는 현상으로, 하나는 의문문을 만드는 '-''u''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고'의 의미를 더하는 '-''uh''이다.[21] 이러한 약어들은 앞선 단어의 발음에도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5. 2. 1. 어순

고트어의 어순은 다른 굴절어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자유롭다. 고트어의 자연스러운 어순은 다른 고대 게르만어와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존하는 고트어 텍스트는 거의 모두 그리스어 원본을 번역한 것이며 그리스어 구문에 큰 영향을 받았다.

때로는 원어인 그리스어에서 한 단어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 고트어 번역에서는 동사와 보어로 표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διωχθήσονται|디오크스테손타이grc("그들은 박해를 받을 것이다")는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

언어약변화 동사 ("가지다")강변화 동사 ("주다")
부정사과거 시제과거 분사부정사과거 시제
고트어{{lang|got|haban|}
고트어의미출처
wrakos박해 (복수 대격)(디모데후서 3:12)
winnand고통받다 (3인칭 복수)
"그들은 박해를 받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그리스어 명사구의 고트어 번역은 동사와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동사가 보어 뒤에 위치하며, 이는 고트어의 기본 어순이 객체-동사(OV)라는 이론[19]을 뒷받침한다. 이는 다른 초기 게르만어에 대해 알려진 바와 일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패턴은 명령문과 부정문에서는 반전된다.[20]

:

고트어의미출처
waírþ되다 (명령법)(마태 8:3, 마가 1:42, 누가 5:13)
hráins깨끗한
"깨끗하게 되어라!"



:

고트어의미출처
ni아니다(갈라디아서 4:30)
nimiþ취하다 (3인칭 단수)
arbi상속
"그는 상속자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에서는 동사가 질문 단어 바로 뒤에 온다.[20]

:

고트어의미출처
ƕa무엇(누가복음 1:66)
skuli~해야 한다 (3인칭 단수 선택법)
þata그 (중성)
barn아이
waírþan되다 (부정사)
"그 아이는 무엇이 될까?"


5. 2. 2. 약어

고트어에는 와케르나겔의 법칙에 따라 문장의 두 번째 위치에 오는 두 개의 약어 입자가 있다.

첫 번째 약어 입자는 '-''u''이다. 이는 라틴어의 -''ne''와 비슷하게 예/아니오 질문이나 간접 질문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누가복음 17:17 예시
고트어i-u'taíhunþáigahráinidáiwaúrþun?
분석아니다-(질문 입자)그 (남성 복수)정화하다 (과거 분사, 남성 복수)되다 (3인칭 복수 과거)
번역"정화된 열 사람이 없었느냐?"



마태복음 27:49 예시
고트어eisaíƕamimái-u'Heliasnasjanina
분석그것보다 (1인칭 복수)오다 (3인칭 단수 선택법)-(질문 입자)엘리야구원하다 (부정사)그 (대격)
번역"엘리야가 와서 그를 구원할지 어떨지를 우리가 보게 하자"



약어 '-''u''는 앞선 단어의 발음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전치사구 ''af þus silbin''("네 자신으로부터")는 '-''u''가 붙으면 ''af þu-s silbin''이 되는데, 이는 원래 단어 끝에서 무성음화되었던 유성 마찰음(/f/ 앞의 /b/ -> /f/)이 약어 첨가로 인해 다시 유성음(/b/)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보여준다. 또 다른 예로, ''wileiþ''("너희(복수)가 원한다")는 '-''u''가 붙어 ''wileid-u''("너희(복수)가 원하는가?")가 된다. 만약 첫 단어가 선행 동사를 포함하고 있다면, 약어 '-''u''는 선행 동사와 본동사 사이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galáubjats''("너희 둘이 믿는다")는 ''ga-u-láubjats''("너희 둘이 믿는가?")가 된다.

두 번째 약어 입자는 '-''uh''이며, "그리고"라는 뜻을 가진다. 이 약어는 앞 단어가 모음으로 끝날 경우 '-''h''로 줄어든다. 예를 들어, ''gamēlida''("그가 썼다")는 ''ga-h-mēlida''("그리고 그가 썼다")가 되고, 명령형 ''nim''("가져가라")은 ''nim-uh''("일어나서 가져가라!")가 된다. 하지만 '-''uh''는 ''iþ''("그러나"), ''sums''("어떤"), ''anþar''("또 다른")을 제외한 불확정 명사 뒤에는 올 수 없다. 이는 해당 불확정 결정사 구가 절의 앞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라틴어의 -''que''와 달리, '-''uh''는 둘 이상의 주요 절을 연결할 때만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jah''("그리고")라는 단어가 사용되며, ''jah''는 주요 절 연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단어에 두 약어가 함께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issat''("그가 붙잡았다")는 ''diz-uh-þan-sat ijōs''("그리고 나서 그가 그들(여성)을 붙잡았다")가 되는데, 여기서도 ''diz-''의 유성음화 현상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gasēƕi''("그가 보았다")는 ''ga-u-ƕa-sēƕi''("그가 무언가를 보았는지")가 된다.[21]

6. 다른 게르만어와의 비교

대부분의 경우, 고트어는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보다 원시 게르만어에 훨씬 더 가깝다고 알려져 있다. 고트어는 이후에 증명된 모든 게르만어에서 공유되는 여러 혁신적인 변화를 겪지 않았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예: 고트어 diusgot (야생 동물), 소유격 단수 diuzisgot고대 영어 dēorang, 소유격 단수 dēoresang (현대 영어 ''deer'')

또한 고트어는 다른 초기 게르만어에서는 대부분 사라진 많은 고대적인 특징들을 보존하고 있다.

6. 1. 분류

고트어는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들보다 원시 게르만어에 더 가깝다고 여겨지며, (비록 증명된 자료는 적지만) 원시 노르드어 룬 문자와 함께 원시 게르만어를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실제로 고트어는 원시 게르만어 재구성에 있어 주요 기반이 되며, 재구성된 원시 게르만어 형태는 다른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고트어 형태가 후대에 변화한 것이라는 명확한 증거가 있을 경우에만 고트어와 다르게 설정된다.

고트어는 인도유럽어족에서 유래한 형태론적 수동태를 보존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다른 모든 게르만어파 언어에서는 거의 사라지고 고대 영어의 ''hātte''나 400년경 룬 문자 북유럽어의 ''haitē''("불리다")와 같이 일부 단어에 화석화된 형태로만 남아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 단어들은 원시 게르만어 ''*haitaną''("부르다, 명령하다")에서 파생되었다. 북게르만어군 언어(예: 스웨덴어 ''gör'' "하다", ''görs'' "되어지다")에서 보이는 형태론적 수동태는 고대 노르드어의 중간태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도유럽어족에서 물려받은 것이 아닌 후대의 혁신이다.

게르만어파 언어의 기원에 대한 표준적인 이론은 이들을 세 그룹으로 분류한다:

때때로 고트어가 가장 먼저 분기했다는 가설을 반영하여, 북게르만어군과 서게르만어군을 묶어 북서게르만어군이라는 추가 그룹을 설정하기도 한다.

소수의견인 이른바 고토-노르딕 가설은 북게르만어군과 동게르만어군을 하나로 묶는다. 이 가설은 부분적으로 역사적 주장에 근거하는데, 예를 들어 6세기 역사가 요르다네스는 고트족이 스칸디나비아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고트어와 고대 노르드어는 서게르만어군과 구별되는 몇 가지 중요한 언어학적 특징을 공유한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홀츠만 법칙으로 알려진 현상으로, 원시 게르만어의 *''-jj-''와 *''-ww-''가 고트어에서는 ''ddj''(고트어 이전 ''ggj''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와 ''ggw''로, 고대 노르드어에서는 ''ggj''와 ''ggv''로 발전한 반면, 서게르만어군에서는 반모음으로 유지되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현대 영어 ''true'', 독일어 ''treu''와 고트어 ''triggws'', 고대 노르드어 ''tryggr''를 비교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실제로는 두 개의 분리되고 관련 없는 변화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22] 고트어 ''ga-waknan'', 고대 노르드어 ''vakna''와 같이 ''-na''로 끝나는 다수의 시작 동사 존재, ''j'' 앞에서 이중 자음이 없거나(고대 노르드어의 경우 ''j'' 앞에서 'g'만 이중 자음화됨. 예: 원시 게르만어 *''kunją'' > 고트어 ''kuni''(친족), 고대 노르드어 ''kyn'', vs. 고대 영어 ''cynn'', 고대 고지 독일어 ''kunni'') 등의 다른 유사점도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유사성은 언어 그룹화의 유효한 근거가 되기 어려운 공유된 보존(shared retention)을 나타낼 뿐이다. 즉, 조상 언어가 세 자매 언어 A, B, C로 나뉘었을 때, C가 특정 부분에서 혁신을 일으키고 A와 B는 변화하지 않았다면, A와 B는 C와 대립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A와 B가 공유하는 보존적 특징이 반드시 두 언어 간의 특별한 관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고대 고트어(Gutniska)와 고대 아이슬란드어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주장 역시 공유된 혁신보다는 공유된 보존에 기반한다는 비판이 있다.

또 다른 흔한 예시는 고트어와 고대 노르드어 동사의 2인칭 단수 과거 직설법 어미가 ''-t''로 끝나는 반면, 서게르만어군은 ''-i''를 가진다는 점이다. ''-t'' 어미는 원시 인도유럽어 완료형 어미 ''*-th₂e''에서 규칙적으로 파생될 수 있는 반면, 서게르만어군의 ''-i'' 어미(이는 ''-t'' 어미와 달리 단수형에서처럼 복수형에서도 예상치 않게 근의 영급(zero-grade)과 결합함)의 기원은 불분명하여, 이것이 어떤 종류의 혁신, 아마도 가정법(optative)에서 가져온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른 가능성은 이것이 원시 언어에 존재했던 이중형(doublet)에서 각 그룹이 독립적으로 선택한 결과라는 것이다. 즉, 원시 게르만어는 자유 변이 또는 방언 차이에 따라 ''-t'' 또는 ''-i''를 어미로 사용했을 수 있으며, 세 자매 언어가 각각 두 어미 중 하나를 독립적으로 표준화했고, 우연히 고트어와 고대 노르드어가 같은 어미를 선택했을 수 있다.

다른 동어 고립선들은 학자들이 동게르만어군과 북서게르만어군 사이에 초기 분열이 있었다고 제안하게 만들었다. 또한, 게르만어의 두 분파가 공유하는 특징이 반드시 세 번째 분파를 제외한 원시 언어의 가정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데, 초기 게르만어들은 발전 초기 단계에서 모두 방언 연속체의 일부였으며, 세 게르만어 분파 간의 언어 접촉이 광범위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폴란드 언어학자 비톨트 마인차크는 고트어가 스칸디나비아 언어들보다 독일어(특히 상부 독일어)에 더 가깝다고 주장하며, 고트족의 조상 고향이 스칸디나비아가 아니라 현재의 오스트리아에 가까운 게르만 영토의 최남단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프레데릭 코르틀란트는 마인차크의 가설에 동의하며, 요르다네스가 주장한 고트족의 스칸디나비아 기원설이라는 고전적인 견해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7. 영향

재구축된 원시 슬라브어는 동게르만어(아마도 고트어)에서 빌려온 것으로 보이는 여러 단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원시 슬라브어의 '*xlěbъ*'("빵")은 고트어 hlaifsgot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23]

로망스어군 언어들에도 고트어에서 빌려온 차용어가 남아 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8. 현대의 사용

고트어는 여러 언어학자들에 의해 창작 언어로 활용되었다. 가장 유명한 예시는 J. R. R. 톨킨의 "Bagme Bloma"(나무의 꽃)로, 톨킨의 저서인 ''언어학자들을 위한 노래''의 일부이다. 이 작품은 1936년 톨킨과 그의 동료 E. V. 고든에게 개인적으로 출판되었다.[24]

톨킨이 고트어를 사용했다는 사실은 1965년 질라 셰링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확인된다. 셰링은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사본에서 발견한 고트어 글귀에 대해 톨킨에게 문의했다. 톨킨은 답장에서 hundaigot를 hundagot로, þizo bokogot("그 책들의")를 þizos bokosgot(“이 책의”)로 수정하는 등 텍스트의 오류를 바로잡고, 의미상 부적절한 단어 사용(ussiggwangot 대신 lisangot 사용)을 지적했다. 또한 자신의 이름에 대한 고트어 차용어로 Ruginwaldus Dwalakoneisgot를 제안하기도 했다.[25]

고트어는 톨킨의 창작 언어인 탈리스카[26]의 주요 영감이 되기도 했다. 톨킨의 전승집에 따르면 탈리스카는 제1시대 동안 인간 종족이 사용하던 언어였으나, 이후 톨킨의 다른 창작 언어인 아두나이어로 대체되었다. 톨킨의 탈리스카 문법은 아직 출판되지 않았다.

톨킨 외에도 고트어가 현대에 활용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9. 예시

주님의 기도 고트어 버전은 다음과 같다.

고트 문자라틴 전사IPA 발음한국어 번역
𐌰𐍄𐍄𐌰 𐌿𐌽𐍃𐌰𐍂 𐌸𐌿 𐌹𐌽 𐌷𐌹𐌼𐌹𐌽𐌰𐌼atta unsar þu in himinam/ˈatːa ˈunsar θuː in ˈhiminam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𐍅𐌴𐌹𐌷𐌽𐌰𐌹 𐌽𐌰𐌼𐍉 𐌸𐌴𐌹𐌽weihnai namo þeinˈwiːhnɛː ˈnamoː θiːn당신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며,
𐌵𐌹𐌼𐌰𐌹 𐌸𐌹𐌿𐌳𐌹𐌽𐌰𐍃𐍃𐌿𐍃 𐌸𐌴𐌹𐌽𐍃qimai þiudinassus þeinsˈkʷimɛː ˈθiu̯ðinasːus θiːns당신의 왕국이 임하시며,
𐍅𐌰𐌹𐍂𐌸𐌰𐌹 𐍅𐌹𐌻𐌾𐌰 𐌸𐌴𐌹𐌽𐍃 𐍃𐍅𐌴 𐌹𐌽 𐌷𐌹𐌼𐌹𐌽𐌰 𐌾𐌰𐌷 𐌰𐌽𐌰 𐌰𐌹𐍂𐌸𐌰𐌹wairþai wilja þeins swe in himina jah ana airþaiˈwɛrθɛː ˈwilja θiːns sweː in ˈhimina jah ana ˈɛrθɛː당신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𐌷𐌻𐌰𐌹𐍆 𐌿𐌽𐍃𐌰𐍂𐌰𐌽𐌰 𐌸𐌰𐌽𐌰 𐍃𐌹𐌽𐍄𐌴𐌹𐌽𐌰𐌽 𐌲𐌹𐍆 𐌿𐌽𐍃 𐌷𐌹𐌼𐌼𐌰 𐌳𐌰𐌲𐌰hlaif unsarana þana sinteinan gif uns himma dagahlɛːɸ ˈunsarana ˈθana ˈsinˌtiːnan ɡiɸ uns ˈhimːa ˈdaɣa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𐌾𐌰𐌷 𐌰𐍆𐌻𐌴𐍄 𐌿𐌽𐍃 𐌸𐌰𐍄𐌴𐌹 𐍃𐌺𐌿𐌻𐌰𐌽𐍃 𐍃𐌹𐌾𐌰𐌹𐌼𐌰 𐍃𐍅𐌰𐍃𐍅𐌴 𐌾𐌰𐌷 𐍅𐌴𐌹𐍃 𐌰𐍆𐌻𐌴𐍄𐌰𐌼 𐌸𐌰𐌹𐌼 𐍃𐌺𐌿𐌻𐌰𐌼 𐌿𐌽𐍃𐌰𐍂𐌰𐌹𐌼jah aflet uns þatei skulans sijaima swaswe jah weis afletam þaim skulam unsaraimjah aɸˈleːt uns ˈθatiː ˈskulans ˈsijɛːma ˈswasweː jah ˈwiːs aɸˈleːtam θɛːm ˈskulam ˈunsarɛːm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용서한 것 같이 우리의 죄를 용서해 주시고,
𐌾𐌰𐌷 𐌽𐌹 𐌱𐍂𐌹𐌲𐌲𐌰𐌹𐍃 𐌿𐌽𐍃 𐌹𐌽 𐍆𐍂𐌰𐌹𐍃𐍄𐌿𐌱𐌽𐌾𐌰𐌹jah ni briggais uns in fraistubnjaijah ni ˈbriŋɡɛːs uns in ˈɸrɛːstuβnijɛː우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𐌰𐌺 𐌻𐌰𐌿𐍃𐌴𐌹 𐌿𐌽𐍃 𐌰𐍆 𐌸𐌰𐌼𐌼𐌰 𐌿𐌱𐌹𐌻𐌹𐌽ak lausei uns af þamma ubilinak ˈlɔːsiː uns aɸ ˈθamːa ˈuβilin악에서 구하소서.
𐌿𐌽𐍄𐌴 𐌸𐌴𐌹𐌽𐌰 𐌹𐍃𐍄 𐌸𐌹𐌿𐌳𐌰𐌽𐌲𐌰𐍂𐌳𐌹 𐌾𐌰𐌷 𐌼𐌰𐌷𐍄𐍃 𐌾𐌰𐌷 𐍅𐌿𐌻𐌸𐌿𐍃 𐌹𐌽 𐌰𐌹𐍅𐌹𐌽𐍃unte þeina ist þiudangardi jah mahts jah wulþus in aiwinsˈunteː ˈθiːna ist ˈθiu̯ðanˌɡardi jah mahts jah ˈwulθus in ˈɛːwins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영원히 당신의 것입니다.



울필라 시대의 고트어 문서, 즉 스케이렌스(Skeireins) 및 기타 문서들은 울필라가 성경 번역을 위해 고안한 고트 문자를 사용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 문자가 그리스 문자에만 기원을 둔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언어학자들은 룬 문자 및 라틴 문자 등 여러 문자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34]

주의할 점은, 이 고트 문자(Gothic alphabet)가 영어에서 '고딕 서체(Gothic script)'라고도 불리는 블랙레터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블랙레터는 12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라틴 문자를 쓰는 데 사용된 서체이며, 이후 독일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 프락투어 서체로 발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othic http://multitree.org[...] 2024-11-18
[2] 서적 Strategies of Distinction: Construction of Ethnic Communities, 300–800 Transformation of the Roman World
[3] 서적 Germanische Rest- und Trümmersprachen Berlin/New York
[4] 간행물 Zum gotischen Fragment aus Bologna II: Berichtigungen und neue Lesungen
[5] 논문 Gothic graffiti from the Mangup basilica https://www.academia[...]
[6] 서적 Gotische Grammatik Tübingen
[7] 서적 Handbuch des Gotischen Niemeyer
[8] 간행물 Traces of Wulfila's Bible Translation in Visigothic Gaul
[9] 서적 Walahfrid Strabo's libellus de exordiis et incrementis quarundam in observationibus ecclesiasticis rerum. A translation and liturgical commentary Brill
[10] 서적 Prokosch
[11] 서적 Wright
[12] 서적 Germanic Dialects: Linguistic and Philological Investigations Benjamins
[13]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the Gothic Short/Lax Subsystem
[14] 간행물 The Enfants Terribles of Gothic "Breaking": hiri, aiþþau, etc.
[15] 간행물 The Reduplicating Syllable and Internal Open Juncture in Gothic
[16] 논문 Gothic https://bibliotekana[...]
[17] 논문 Weak adjectives need not be definite 2018-08-01
[18] 논문 This is not the same: the ambiguity of a Gothic adjective 2018-10-25
[19] 서적 Studies in Comparative Germanic Syntax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 서적 Studies in Comparative Germanic Syntax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서적 Studies in Comparative Germanic Syntax Kluwer Academic Publishers
[22] 서적 Early Germanic Grammar Academic Press
[23] 논문 Germanische Lehnwörter im Urslavischen: Methodologisches zu ihrer Identifizierung https://books.google[...]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14-01-07
[24] 서적 The road to Middle-earth: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25] 웹사이트 Apostil to Thucydides http://www.jrrvf.com[...]
[26] 서적 Parma Eldalamberon
[27] 웹사이트 Gelehrte Anzeigen https://archive.org/[...] Bayerisch Akademie für Wissenschaften
[28] 웹사이트 Thunravalds Sunau http://arkivet.thorv[...]
[29] 웹사이트 'Das gothische Gaudeamus' – Digitalisat | MDZ https://www.digitale[...]
[30] 웹사이트 qimandau triggwai http://rootsofeurope[...] 2016-09-29
[31] 웹사이트 Fleurs du Mal Magazine » BERT BEVERS: OVERVLOED (TRANSLATION 6) http://fleursdumal.n[...]
[32] 웹사이트 The Mad Challenge of Translating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https://www.smithson[...]
[33] 웹사이트 Lewis Carroll's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 in Gothic http://evertype.com/[...]
[34] 간행물 The Elaboration of the Gothic Alphabet and Orthograph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