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태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태강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및 외교관이다. 1983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을 시작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국장 재직 당시 최순실 측근 관련 보고서를 작성한 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좌천되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및 특별검사 조사에 참여했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을 역임하고 주 스위스 대사를 지냈다. 현재는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천병규
    천병규는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금융인, 관료, 정치인,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한국은행 부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6.10 통화 개혁을 주도하며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내다 사망했다.
  • 스위스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이동원 (1926년)
    이동원(1926년)은 대한민국 외교관, 정치인으로, 연세대학교 졸업 후 박정희 정권에서 외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한일 기본 조약 조인에 참여했으며, 국회의원과 교육 사업에도 헌신했다.
  •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 김대기 (1956년)
    김대기는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경제기획원, 기획예산처 등에서 근무하고 이명박 정부와 윤석열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의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을 졸업했다.
  •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 김장실
    김장실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행정관료, 기관단체인으로, 문화공보부, 청와대, 문화관광부 등에서 근무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예술의전당 사장, 제19대 국회의원을 거쳐 한국관광공사 사장을 역임했다.
  • 경북대학교 대학원 동문 - 정희용
    정희용은 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을 지역구로 둔 대한민국 제21대 및 제22대 국회의원으로, 국회의원 보좌진과 경상북도지사 경제특별보좌관을 거쳐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민의힘 당직을 역임하고 상임위원회 및 특별위원회 활동을 수행하며 재선에 성공, 현재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 및 해양수산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나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관련 논란도 있다.
  • 경북대학교 대학원 동문 - 이상희 (1932년)
    대한민국의 관료 출신 정치인인 이상희는 산림청장, 대구직할시장, 경상북도지사, 내무부 장관, 건설부 장관 등 주요 요직을 역임했으며, 지방재정 및 한국문화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노태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노태강
국가대한민국
직책제8대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임기2017년 6월 10일~2019년 12월 19일
대통령문재인
총리이낙연
전임유동훈
후임최윤희
출생일1960년 4월 8일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본관광주(光州)
정당무소속
경력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국장
소속주 스위스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형제노태악(동생)
군 경력

2. 생애

노태강은 1983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을 시작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공직에서 물러났다가, 2017년 6월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으로 발탁되었다. 청와대는 "체육 분야에 정통한 관료 출신으로, 평창 동계 올림픽을 차질없이 준비할 적임자"라고 설명하였다.[2] 이후 2020년 11월 주 스위스 대사에 임명되었다.

2. 1. 공직 입문과 체육 정책

1983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을 시작했다.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국장이 되었고, 승마협회 감사 보고서에 최순실의 측근인 박원오 승마협회 전무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을 담았다. 2013년 태권도 선수 아버지 자살사건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으로 좌천되었다. 2016년 3월 박근혜가 "그 사람이 아직까지 있느냐"고 지적하여 공직을 그만두었다.[1]

2. 2.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좌천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국장이 되었고, 승마협회 감사 보고서에 최순실의 측근인 박원오 승마협회 전무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을 담았다. 2013년 태권도 선수 아버지 자살사건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으로 좌천되었다. 2016년 3월 박근혜가 "그 사람이 아직까지 있느냐"고 지적하여 공직을 그만두었다.[1]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드러난 이후 2016년 12월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 출석하여 증언하였으며,[1] 2017년 1월 특별검사의 조사에도 참고인으로 출석하였다. 노태강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최순실 게이트의 전말이 조금씩 드러나고, 특검팀 조사를 받게 되면서 조금씩 퍼즐이 맞춰졌다"고 밝혔다.[1]

2. 3. 국정조사 증언과 특별검사 조사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드러난 이후 2016년 12월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 출석하여 증언하였으며,[1] 2017년 1월에는 특별검사의 조사에도 참고인으로 출석하였다. 노태강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최순실 게이트의 전말이 조금씩 드러나고, 특검팀 조사를 받게 되면서 조금씩 퍼즐이 맞춰졌다"라고 밝혔다.

2. 4. 문재인 정부 발탁과 2차관 임명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드러난 이후 2016년 12월에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 출석하여 증언하였으며,[1] 2017년 1월에는 특별검사의 조사에도 참고인으로 출석하였다. 노태강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최순실 게이트의 전말이 조금씩 드러나고, 특검팀 조사를 받게 되면서 조금씩 퍼즐이 맞춰졌다"고 밝혔다.

2017년 6월 문재인 대통령은 노태강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으로 발탁하였고 청와대는 “체육 분야에 정통한 관료 출신으로, 평창 동계 올림픽을 차질없이 준비할 적임자”라고 설명하였다.[2] 2020년 11월 주 스위스 대사에 임명되었다.

2. 5. 주 스위스 대사 임명

2020년 11월 주 스위스 대사에 임명되었다.[1]

3. 경력

기간직책
1983년 10월제27회 행정고시 합격
2003년 7월 ~ 2005년 8월문화관광부 국제체육과장
2005년 8월 ~ 2006년 2월문화관광부 문화정책국 국제문화협력과장
2006년 3월 ~ 2010년 2월독일 문화원 원장
2011년 3월 ~ 2012년 2월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장
2012년 2월 ~ 2013년 8월문화체육관광부 체육정책국장
2013년 10월 ~ 2016년 5월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
2016년 6월 ~ 2017년 6월스포츠안전재단 사무총장
2017년 6월 ~ 2019년 12월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2020년 11월 ~ 2022년 10월주 스위스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초빙교수


참조

[1] 뉴스 [국회 2차 청문회] 노태강" 김종 발탁, 김기춘 개입설 있었다… 공무원들 의아해해"(속보) http://moneys.mt.co.[...] MoneyS 2017-06-13
[2] 뉴스 박근혜에 ‘참 나쁜사람’ 찍혔던 노태강, 문체부 2차관에 http://www.hani.co.k[...] 2017-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