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하크 품사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하크 품사반은 라오스의 정치인으로, 1910년 또는 1914년에 태어나 2008년에 사망했다. 그는 라오스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라오스 저항 정부 재무장관, 라오 인민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라오스 내전 기간 동안 당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75년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수립 이후 부총리 겸 재무장관, 최고인민의회 의장, 헌법 초안 작성 위원장 등을 거쳐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라오스 국가주석을 지냈다. 1998년 은퇴 후에도 지방 시찰 등 활동을 이어갔으며, 여러 국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계 라오스인 - 카이손 폼비한
    카이손 폼비한은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의 초대 총리이자 국가주석으로,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파텟 라오 운동에 참여하여 라오 인민 해방군을 창설하고 라오스 인민혁명당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75년 라오스 왕국 붕괴 후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추진하고 베트남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경제 개혁을 추진했다.
  • 라오스의 주석 - 수파누봉
    수파누봉은 라오스의 정치인이자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프랑스 식민 통치 시대에 토목 기사로 일하며 라오스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라오스 자유전선 의장을 역임했으며, 공산당 집권 후 초대 대통령으로 1991년까지 재임했다.
  • 라오스의 주석 - 분냥 보라치트
    분냥 보라치트는 라오스의 정치인으로, 사바나켓 주지사, 재무장관, 총리를 거쳐 라오스 인민혁명당 서기장 겸 국가주석으로서 라오스의 최고 지도자를 역임하며 라오스의 사회주의 발전과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누하크 품사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누하크 품사반
직책
임기 시작1992년 11월 25일
임기 종료1998년 2월 24일
총리캄타이 시판돈
부주석시사왓 케오분판
전임자카이손 폼비한
후임자캄타이 시판돈
임기 시작1989년 6월 1일
임기 종료1992년 11월 25일
전임자시솜폰 로반사이 (대행)
후임자사만 비야켓
임기 시작1975년 12월 2일
임기 종료1982년 1월
같이 역임푸미 봉비칫, 푼 시파세웃, 캄타이 시판돈
임기 시작1975년 12월 2일
임기 종료1983년
전임자신설
후임자야오 폰반타
총서기카이손 폼비한
임기 시작1964년
임기 종료1972년
전임자시솜폰 로반사이
후임자시솜폰 로반사이
개인 정보
출생일1910년 4월 9일
출생지묵다한, 라타나코신 왕국
사망일2008년 9월 9일
사망지비엔티안, 라오스
정당라오인민혁명당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Nūhāk Phūmsavanh
라오어ໜູຮັກ ພູມສະຫວັນ
태국어หนูฮัก พูมสะหวัน

2. 초기 생애 및 가족

누하크는 공식 자료[3]에 따르면 1910년 무크다한주 반팔루카에서 당시 시암(현재 태국) 영토에서 태어났으나, 1914년에 태어났다는 기록도 있다.[2] 그의 가계는 베트남에 뿌리를 두고 있다.[10]

누하크는 1933년 첫 번째 부인 찬토메와 결혼하여 푸톤, 폰사반, 칸케오와 아들 등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후 첫 부인과 사별하고 1944년 베트남계 여성인 부네마와 재혼하였다.[10]

3. 정치 경력

1941년경 라오스와 베트남 간 수송 업무에 종사하며 베트민에 협력하였다. 1945년 일본 제국 점령 하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던 라오스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다시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자, 반프랑스 운동이 고조되면서 라오 이사라(라오스 자유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 운동에 투신했다. 라오 이사라의 하노이 대표를 지냈으며, 1949년에는 동부 라오스 저항위원회 위원장으로서 라오스-베트남 국경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지휘했다.

1950년 노선 대립으로 라오 이사라가 분열되고 좌파를 중심으로 네오 라오 이사라(라오스 자유 전선)가 결성되자, 누하크는 네오 라오 이사라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이 되어 항전 정부의 경제·재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55년에는 인도차이나 공산당원이었던 카이손 폼비한 등과 함께 라오 인민당(이후 라오 인민혁명당(LPRP)으로 개명) 창당에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라오 인민당 창당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어 카이손 폼비한 서기장 다음의 당내 서열 2위가 되었다.[3] 이후 수도 비엔티안의 라오 인민당 당 세포 서기를 맡았다.

1958년 국민의회 의원 보궐선거에서, 네오 라오 이사라가 개편되어 성립된 네오 라오 하크사트(라오스 애국 전선)의 일원으로 사바나켓주에서 출마하여 수파누봉 등과 함께 당선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59년 7월, 친미 우파 성향의 푸이 사나니콘 정권에 의해 체포되어[3] 수파누봉과 함께 비엔티안 감옥에서 1년간 수감 생활을 했다. 1960년 5월에 탈옥하여[2] 항카이의 당 세포 서기가 되었으며, 라오스 내전이 진행되는 동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당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72년 2월, 제2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어 경제 문제를 담당하게 되었다.[3] 이 대회에서 라오스 인민당은 라오스 인민혁명당으로 개편되었고, 누하크는 정치국원 겸 서기국원으로 선출되어 계속해서 당내 서열 2위를 유지하였다.

3. 1.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수립 이후

1975년 12월 2일 파테트 라오가 집권하여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이 수립되자,[2] 누하크는 부총리[3] 겸 재무장관으로 임명되었다.[3][2] 그는 수년간 총리 카이손 폼비한 아래에서 정권의 2인자로 여겨졌다.[2]

1982년 4월 장관회의 제1부의장으로 선출되었고,[3] 같은 해 9월 내각 개편에서는 제1부수상으로 승격되어 경제 분야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재무장관 겸임은 해제되었다. 1986년 11월에는 경제 담당 장관회의 상임위원이 되었다.[3] 같은 해 11월 제4차 당 대회에서 경제 자유화와 개방을 골자로 하는 친타나칸 마이(새로운 사고) 정책이 발표되었는데,[11] 누하크는 기존의 사회주의 노선을 선호하여 개혁을 추진한 카이손 폼비한과 노선 갈등이 있었다고 전해진다.[11]

1989년 최고인민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최고인민의회 의장에 취임하였다.[4] 또한 1989년에는 새로운 헌법 초안 작성을 위한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며,[3] 그가 주도하여 제정한 공화국 최초의 헌법은 1991년 8월 최고인민의회 제2기 제6차 회의에서 공포되었다. 이 헌법의 채택으로 카이손은 의례적인 직책에서 집행적인 직책으로 변모된 대통령직을 맡게 되었다.

1992년 11월 21일 카이손 폼비한 국가주석이 사망하자,[2] 11월 25일 최고인민의회 특별 회의에서 누하크가 후임 국가주석으로 선출되었다.[3] 당시 주석직은 헌법 개정으로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가졌지만, 라오 인민혁명당 서기장을 겸한 총리 캄타이 시판돈이 실질적인 권력자로 평가되었다. 누하크는 당 의장직은 캄타이 시판돈에게 넘기고 자신은 당 정치국원(서열 2위)에 머물렀다.

1996년 3월 제6차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에서 물러나 당 중앙위원회 고문이 되었으며,[3] 1998년 2월 24일, 캄타이 시판돈이 총리직에서 국가주석직으로 옮기기로 결정했을 때, 당시 세계에서 가장 나이 많은 국가원수 중 한 명이었던 누하크는 은퇴했고, 국가주석직을 사임하였다.[3] 그는 2001년 제7차 당대회에서도 중앙위원회 고문으로 임명되었다.[3]

은퇴 후에도 건강을 유지하며 2007년까지 지방 시찰을 계속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고 한다.[2] 2008년 9월 9일, 9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유해는 화장되었다.

4. 은퇴 이후 및 사망

1996년 3월 라오 인민혁명당 제6차 당 대회에서 정치국원을 사임하고 당 중앙위원회 고문이 되었다.[11] 1998년 2월 24일, 국가주석직을 사임하고 공식적으로 은퇴하였다.

은퇴 후에도 지방 시찰을 계속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2008년 9월 9일, 9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5][6] 라오스 국영 통신사는 그의 사망 원인을 "노령"으로 발표하며, 라오스 국내외에서 치료를 받았다고 덧붙였다.[5] 당시 주석이었던 주말리 사이야손을 포함한 주요 당 및 국가 인사 26명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장례식을 준비했으며, 9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이 선포되어 모든 오락 활동이 금지되었다.[7] 그의 유해는 9월 14일 비엔티안에서 화장되었다.[5]

2011년 그의 출생지인 태국 묵다한 주에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8]

5. 훈장

수훈 연도국가훈장명
1984소비에트 연방10월 혁명 훈장
1995스페인시민공훈 훈장 대십자훈장
1995태국백상 훈장 특별대십자훈장
1996아르헨티나해방자 산마르틴 훈장 대십자훈장
1997노르웨이올라프 성인 훈장 대십자훈장


참조

[1] 웹사이트 ທ່ານ ໜູຮັກ ພູມສະຫວັນ http://po.gov.la/lo/[...] 2022-08-04
[2] 뉴스 Lao former president Nouhak Phoumsavanh dies at 94 http://www.earthtime[...] DPA 2008-09-10
[3] 웹사이트 Biography of Comrade Nouhak Phoumsavanh http://www.kplnet.ne[...]
[4] 문서 Speakers http://www.na.gov.la[...]
[5] 뉴스 Former President Nouhak Phoumsavanh passes away http://www.kplnet.ne[...] Lao News Agency
[6] 뉴스 Nouhak Phoumsavanh, Former President of Laos, Dies at 98 https://mobile.nytim[...] 2008-09-12
[7] 뉴스 National mourning for Mr. Nouhak Phoumsavah http://www.kplnet.ne[...] Lao News Agency
[8] 뉴스 ลาวข้ามโขงสร้างอนุสรณ์ "หนูฮัก พูมสะหวัน" ในมุกดาหารบ้านเกิด https://mgronline.co[...] 2011-09-07
[9] 웹사이트 Biography of Comrade Nouhak Phoumsavanh http://www.kplnet.ne[...]
[10] 서적 プーミー 2010
[11] 서적 山田 20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