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손 폼비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손 폼비한은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의 초대 수상(1975-1991)이자,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서기장(1955-1992)을 역임한 라오스의 정치 지도자이다. 그는 베트남인 아버지와 라오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하노이 대학교에서 공부하며 혁명 운동에 참여했으며, 인도차이나 공산당 및 라오스 인민당을 창립했다. 라오스 내전에서 공산군을 승리로 이끌고 라오스 왕국을 폐지한 후,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을 수립하고 초대 수상으로 취임했다. 이후 사회주의 경제 정책의 실패를 겪고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했으며, 1991년 당 의장, 국가 주석을 역임했다. 그는 라오스에서 혁명의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그의 초상은 지폐에 사용되고 동상이 건립되는 등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계 라오스인 - 누하크 품사반
누하크 품사반은 라오스의 정치인으로, 라오스 독립 운동에 참여하고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수립 후 국가주석을 역임했다. - 베트남 전쟁 관련자 - 토머스 머턴
토머스 머턴은 《칠층산》 자서전으로 유명한 미국의 트라피스트회 수도사이자 작가, 시인, 사회 운동가로서 수도 생활, 신비주의, 종교 간 대화, 사회 정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글을 통해 20세기 가톨릭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베트남 전쟁 관련자 - 시소와스 시릭 마탁
시소와스 시릭 마탁은 캄보디아의 정치인이자 시소와스 왕가의 일원으로, 론 놀과 쿠데타를 주도하여 시아누크를 축출하고 크메르 공화국 수립에 기여했으나 크메르 루주 점령 후 처형되었다.
카이손 폼비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카이손 폼비한 |
원어 이름 | ໄກສອນ ພົມວິຫານ |
로마자 표기 | Kaisôn Phomvihane |
출생일 | 1920년 12월 13일 |
출생지 | 사완나켓,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사망일 | 1992년 11월 21일 |
사망지 | 비엔티안, 라오스 |
배우자 | 통빈 폼비한 |
자녀 | 싸이솜폰 폼비한 통사반 폼비한 |
정치 경력 | |
직책 | 라오 인민혁명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
임기 시작 | 1955년 3월 22일 |
임기 종료 | 1992년 11월 21일 |
후임 | 캄타이 시판돈 |
직책 2 | 라오스 국가주석 |
임기 시작 2 | 1991년 8월 15일 |
임기 종료 2 | 1992년 11월 21일 |
총리 2 | 캄타이 시판돈 |
전임 2 | 푸미 봉비치트(대행) |
후임 2 | 누학 품사완 |
직책 3 | 라오스 총리 |
대통령 3 | 수파누봉, 푸미 봉비치트(대행) |
임기 시작 3 | 1975년 12월 8일 |
임기 종료 3 | 1991년 8월 15일 |
전임 3 | 수반나 푸마 |
후임 3 | 캄타이 시판돈 |
소속 정당 | |
정당 | 라오 인민혁명당 |
정당 (1955년 ~ 1972년) | 라오인민당 |
정당 (1972년 ~ 1992년) | 라오 인민혁명당 |
기타 정보 | |
본명 | 응우옌 카이 송 |
2. 생애
카이손 폼비한은 1920년 12월 13일 라오스 까타불리 구 나셍 마을(지금의 사반나케트 주 까이손폼위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응우옌찌로안은 베트남인이었고 어머니 낭독은 라오인이었다.[3] 1930년대에는 '''응우옌 찌 므우'''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2]
하노이의 인도차이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지만, 프랑스 식민주의에 맞서 싸우기 위해 중퇴하고 파텟 라오 운동에 합류했다. 1940년대 하노이에서 공부하는 동안 혁명가가 되었으며, 1949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입당했다. 1949년 1월 20일 라오 인민 해방군(LPLA)을 창설하고 1950년부터 저항 정부(네오 라오 이사라)의 국방장관이 되었다. 1948년 중반에는 라오스 북동부 베트남 국경 지역에서 선전 활동을 담당하는 “상라오스 돌격대” 대장으로 발탁되었다.[8]
1955년 북부 쌈네아에서 라오 인민 혁명당(LPRP)을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후 파텟 라오 지도자가 되었다. 수년 동안 수판누봉 왕자가 파텟 라오의 대표 인물로 활동하는 동안, 카이손은 주로 배후에서 활동했다. 이후 라오스 왕국과 미군에 맞서 공산주의군을 이끌었다.
1975년 12월, 파텟 라오가 비엔티안을 점령하고 국가를 장악하면서 카이손은 전면에 등장했다. 그는 인민 대표 전국 회의에서 군주제 폐지와 공화국 수립을 선포하고, 시사왕 와타나 국왕의 퇴위를 받아들여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을 수립했다. 카이손은 수파누봉을 초대 대통령으로 지명하고 자신은 총리가 되었으며, 1991년 대통령이 될 때까지 총리직을 유지했다.
카이손의 집권하에 라오스와 베트남 국경을 획정하는 과정이 1977년에 시작되어 2007년에 완료되었다.[4]
카이손은 1992년 11월 21일 비엔티안에서 사망했다. 사후 라오스 정부는 그의 명예를 기리는 박물관을 건립했다.[4] 2012년 그의 유골은 원래 안치되었던 장소에서 새로 건설된 국가 묘지로 이장되었다.[5]
2. 1. 젊은 시절
카이손 폼위한은 1920년 12월 13일 라오스 까타불리 구 나셍 마을(지금의 사반나케트 주 까이손폼위한)에서 베트남인 아버지 응우옌찌로안과 라오스인 어머니 낭독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날 때 이름은 '응우옌까이송'(Nguyen Cai Song/阮該雙/완해쌍)이었다.[19] 1930년대에는 '응우옌 찌 므우'(Nguyễn Trí Mưu)라는 이름을 잠시 사용하기도 했다. 누이로는 낭수반통(태국 거주)과 낭꽁마니(미국 거주)가 있었다.[20]하노이 대학교 법학과에 진학하였으나, 프랑스 식민주의에 맞서 싸우기 위해 누하크 품사반과 함께 자퇴하였다. 1940년대 하노이에서 공부하던 시기에 혁명가가 되었으며, 1949년 1월 20일 라오 인민 해방군(LPLA)을 창설하고, 1950년부터 저항 정부(네오 라오 이사라)의 국방장관을 역임했다.[8] 1949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입당했다. 1948년 중반, 라오스 북동부 베트남 국경 지역에서 선전 활동을 담당하는 “상라오스 돌격대” 대장으로 발탁되었다.
2. 2. 라오 인민혁명당 창당과 내전
1955년 3월 22일, 인도차이나 공산당 라오스 지방위원회가 개편되어 라오스 인민당이 성립되자, 카이손은 제1차 당대회에서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9] 1956년 1월, 네오 라오 이사라는 라오스 인민당 지도하의 좌파 대중 조직인 네오 라오 핵사트(라오스 애국전선)로 개편되었고, 카이손은 당 서기장으로서 네오 라오 핵사트 중앙위원회 부의장에 취임했다. 네오 라오 핵사트 의장은 수파누봉이었지만, 네오 라오 핵사트는 라오스 인민당의 지도를 받았기 때문에 카이손이 실질적으로 네오 라오 핵사트의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9]1957년 좌파를 포함한 연립 정부 수립 후 비엔티안에서 활동했지만, 우파의 압력으로 연립 정부가 유명무실해지자 1959년 하노이 근교의 “근거지”로 철수했다.[9] 라오스 내전이 격화되는 가운데, 카이손은 네오 라오 핵사트 및 그 군사 조직인 파테트 라오를 이끌고 게릴라전을 전개했다. 카이손의 지도 아래 파테트 라오 군의 세력이 확장되어, 1972년 라오스 평화 회담이 시작될 당시 국토의 약 3분의 2와 인구의 절반을 장악했다.[10] 1972년 2월 제2차 당대회에서 라오스 인민당은 라오스 인민혁명당으로 개칭되었고, 카이손이 당 서기장으로 재선되었다.
2. 3. 정부 수립과 통치
라오스 내전에서 공산군이 승리한 후, 1975년 12월 2일 라오스 왕국이 폐지되고 라오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카이손 폼비한은 초대 정부 수상이 되었다.[2] 1975년 12월 1일에 개막한 인민 대표 전국 회의에서 카이손은 군주제 폐지와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4] 다음 날, 의장 카이손의 제안에 따라 전국 회의는 시사왕 와타나 국왕의 퇴위를 받아들이고 군주제를 폐지하며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을 선포했다. 카이손은 수파누봉을 초대 대통령으로 지명했다.[4]사회주의 체제가 된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에서는 라오스 인민혁명당이 국가 기구를 지도하는 정치 구조가 되었고, 건국 초기 국가 기구에서는 수상에게 권한이 집중되었기 때문에, 당 서기장 겸 수상인 카이손이 최고 지도자가 되었다.
카이손은 통빈 폼비한과 결혼하였다.
카이손은 라오스와 베트남 국경 획정 작업에 힘을 쏟아, 1977년부터 2007년까지 국경선 설정 작업을 마무리하였다.[4] 서구 언론에 따르면 이 국경선은 1945년 라오스와 안남 사이의 프랑스 설정 국경과 '매우 근접'하다.[4] 바타나 폴세나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동남아시아학과 교수는 카이손 폼위한을 라오스의 최고 정책 담당자이자 실세로 평가했다.[4]
2. 4. 경제 정책
카이손이 이끄는 라오스 인민혁명당은 건국 후 급격한 사회주의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러한 급진적인 사회주의화는 경제 파탄을 초래했다. 그래서 1979년부터 시장 경제 원리를 부분적으로 도입했다. 그러나 이때의 경제 개혁은 1982년 4월 제3차 당대회에서 사회주의 노선에 따른 사회·경제 개발이 강조되어 경제 자유화가 보류되는[10] 등 미흡한 것이었다.그 후 경제 상황이 더욱 침체되자, 카이손은 본격적인 경제 개혁에 착수했다. 1986년 11월 제4차 당대회에서 "친타나칸 마이(新思考)" 정책을 제창하여 개혁·개방을 당규약에 명시하고, 사회주의 틀 안에서 경제 자유화·개방화에 나섰다.[11]
2. 5. 국가 주석 취임과 사망
1991년 3월 제5차 당대회에서 총서기 및 서기국이 폐지되면서, 카이손은 중앙위원회의 일상 업무를 지도, 감독하는 주석직에 오르게 되었다. 같은 해 8월에 개최된 제2기 제6회 국회에서는 라오스 공화국 최초의 헌법이 제정되어 지금까지 의례적인 직책에 불과했던 국가주석의 권한이 강화되었다.[13] 1991년 8월 15일 카이손은 라오스 국가주석에 취임하였다.국가주석이 된 카이손은 당과 국가의 최고 직책을 독점하며 권한을 강화했고, 경제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권력을 장악하고자 했지만 1992년 11월 21일에 사망했다.[21] 1992년 11월 28일 장례식이 거행되었으며, 시신은 화장되었다.[21]
3. 정치적 입장과 평가
카이손 폼비한은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책 실패 후, 현실주의 노선을 채택하고 '친타나칸 마이' 정책을 통해 경제 개혁을 추진했다.[13] 그러나 정치 제도 개혁에서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고수하며 일당 독재 체제 유지에는 타협하지 않았다.[13]
1990년 동유럽 민주화의 영향으로 톤숙 사이산키 과학기술부 차관 등이 다당제를 요구하는 서한을 카이손에게 보냈으나, 카이손은 이들을 체포했다.[14] 이처럼 지배 체제에 대한 비판에는 강경한 태도를 보였지만, 자신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도 개혁에 소극적인 그룹에도 배려하여 신중하게 권력 균형을 유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5] 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지도자로서 카리스마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권력 균형을 적절히 통제함으로써 지배를 안정시켰다고 평가받는다.
4. 유산
카이손 폼위한은 라오스에서 혁명을 성공시킨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이자 영웅으로 숭배받고 있다. 1992년 카이손 사망 후, 라오스 정부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박물관을 비엔티안에 건립했으며, 베트남으로부터 건설비 일부를 지원받았다.[21] 2012년 그의 유골은 원래 안치되었던 장소에서 새로 건설된 국가 묘지로 이장되었다.[5]
모든 도청 소재지에 카이손의 동상이 설치되었으며, 2000년에는 카이손 탄생 80주년을 기념하여 수도 비엔티안에 있는 카이손 박물관 정면에 그의 거대한 청동상이 건립되었다.[16] 2000킵 이상의 킵 지폐에는 그의 초상이 그려져 있다.
마오쩌둥, 김일성과 같은 동구권 지도자들, 캄보디아의 시하누크 국왕처럼 카이손의 초상 배지도 제작되었으며, 라오스 군인·경찰관이 가슴에 부착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배지 중 일부는 북한에 제작을 위탁하여 제작된 것도 있다.
5. 가족
카이손 폼비한은 통윈 폼위한(Thongloun Phomvihane)과 결혼했다. 통윈 폼위한은 라오스 인민혁명당 중앙위원을 지냈으나, 권력 남용과 불법 목재 수출 의혹으로 1991년 3월 제5차 당 대회에서 재선되지 못했다.[17]
카이손 폼비한은 슬하에 4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름 | 설명 |
---|---|
국가건설전선 의장 역임, 현 국민의회 의장.[17] 제5차 당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이 되었고, 1993년 사완나켓주 주지사로 임명되었으며, 2021년 국민의회 의장으로 선출. | |
통사반 폼위한 | 라오 인민혁명당 대외관계위원회 위원장. |
산야학 폼위한 | 제8차 라오 인민혁명당 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2008년 40세의 나이에 소장이 됨. 2013년 7월 19일 45세의 나이로 요절.[6][22] |
산티파프 폼위한 | 현 사바나켓주 주지사.[18] 재무부 차관, 사완나켓주 부주지사를 역임하고, 제10차 당 대회에서 당 중앙위원이 됨. |
6. 서훈
국가 | 훈장 |
---|---|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타이th | 라자미트라본 훈장 기사장 |
Cuba|쿠바es | 호세 마르티 훈장 대십자훈장 |
Việt Nam|베트남vi | 금성훈장 |
Pilipinas|필리핀tl | 시카투나 훈장 대경장 |
Indonesia|인도네시아id | 인도네시아 공화국 훈장 1등급 |
Österreich|오스트리아de | 오스트리아 공화국 훈장 대십자훈장 |
Советский Союз|소비에트 연방ru | 레닌 훈장, 민족 우정 훈장 |
참조
[1]
웹사이트
English Dictionary - Grammar - Phomvihane
https://www.collinsd[...]
2023-12-08
[2]
간행물
Asia & Pacific Review
World of Information
1994
[3]
서적
The Indochinese Experience of the French and the Americans: Nationalism and Communism in Cambodia, Laos, and Vietnam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4]
웹사이트
Former President Kaysone Phomvihane Memorial Museum
https://web.archive.[...]
2007-09-10
[5]
웹사이트
Revolutionary remains
https://www.newmanda[...]
2021-02-23
[6]
뉴스
Rising Laos political star dies
http://www.bangkokpo[...]
2018-07-28
[7]
서적
1995
[8]
서적
2017
[9]
서적
2017
[10]
서적
2002-03
[11]
서적
2002-03
[12]
서적
2002-03
[13]
서적
2002-03
[14]
서적
2002-03, 2010
[15]
서적
2002-03
[16]
서적
2010
[17]
서적
2010
[18]
서적
2016
[19]
간행물
Asia & Pacific Review
World of Information
1994
[20]
서적
The Indochinese Experience of the French and the Americans: Nationalism and Communism in Cambodia, Laos, and Vietnam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21]
웹인용
Former President Kaysone Phomvihane Memorial Museum
https://web.archive.[...]
2007-09-10
[22]
웹사이트
http://www.bangkok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