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뉴욕 트리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욕 트리뷴은 1841년 호레이스 그릴리가 창간한 미국의 신문이다. 평화주의, 여성주의 등 다양한 개혁을 후원하며,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유럽 특파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850년대에는 뉴욕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문으로 성장했으며, 남북 전쟁 기간에는 노예제도 폐지를 주장했다. 1872년 그릴리 사망 후, 화이트로 레이드가 편집장을 맡아 라이노타입 기계를 도입하여 신문 제작 방식을 개선했다. 1924년 뉴욕 헤럴드와 합병하여 뉴욕 헤럴드 트리뷴이 되었으며, 현재는 뉴욕시립대학교 언론대학원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1년 창간 - 신시내티 인콰이어러
    신시내티 인콰이어러는 1841년에 창간된 미국의 신문이며, 정치적 성향과 소유주 변경을 거쳐 현재는 USA 투데이 네트워크의 일부로 Cincinnati.com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 1841년 창간 - 펀치 (잡지)
    《펀치》는 1841년 영국에서 창간된 풍자 잡지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고 "cartoon"이라는 단어의 유래에 기여했으며 여러 국가에서 모방되었으나, 폐간 후 재출판 시도 끝에 2002년 최종 폐간되었다.
  • 1924년 폐간 - 뉴욕 헤럴드
    뉴욕 헤럴드는 1835년 제임스 고든 베넷이 창간한 미국의 신문으로, 정파성을 탈피하고 불편부당한 보도를 표방했으나, 1924년 뉴욕 트리뷴과 합병되어 뉴욕 헤럴드 트리뷴으로 재탄생했다.
  • 1924년 폐간 - 스포팅 라이프 (미국의 신문)
  • 미국의 신문 - 월스트리트 저널
    《월스트리트 저널》은 1889년 찰스 다우 등에 의해 창간된 미국의 유료 일간 경제 신문으로, 국제적인 영향력을 확대하며 경제 및 비즈니스 분야의 심층 보도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신문 - 허프포스트
    허프포스트는 2005년 설립되어 검색 엔진 최적화 전략으로 성장한 온라인 뉴스 및 의견 플랫폼으로, AOL, 베라이즌 미디어를 거쳐 현재 버즈피드에 인수되었으며,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퓰리처상을 수상하는 등 업계에서 인정받고 진보적 성향으로 여겨진다.
뉴욕 트리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뉴욕 트리뷴
원어 이름The New-York Tribune
유형신문
포맷브로드시트
창간1841년
폐간1924년; 뉴욕 헤럴드와 합병하여 뉴욕 헤럴드 트리뷴이 됨
본사 위치맨해튼, 뉴욕, 미국
상세 정보
추가 정보
관련 항목호러스 그릴리의 "뉴욕 트리뷴"
같이 보기뉴욕 헤럴드 트리뷴

2. 역사

1841년, 호레이스 그릴리는 휘그당의 정치 기관지인 ''통나무집''과 1833년 자신이 발행했던 주간 신문 ''더 뉴요커''(후대의 더 뉴요커와는 관련 없음)를 통합하여, 간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를 제공한다는 목표로 ''뉴욕 트리뷴''을 창간했다.[4]

그릴리는 평화주의, 여성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개혁을 후원했으며, 특히 근면한 자유 노동자의 이상을 강조했다. 그는 모든 시민을 자유롭고 평등하게 만들기 위한 개혁을 요구하며 부패를 근절할 덕이 있는 시민들을 상상했다. 또한 노동과 자본 사이의 조화를 촉구하면서 진보, 개선, 자유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했다.[5] 1848년 이전에는 푸리에주의 사회 개혁을 지지했지만, 유럽의 실패한 1848년 혁명 이후에는 이러한 입장에서 물러섰다.[6]

그릴리는 다양한 개혁을 홍보하기 위해 마가렛 풀러,[7] 찰스 앤더슨 데이나, 조지 윌리엄 커티스, 윌리엄 헨리 프라이, 바이어드 테일러, 조지 리플리, 줄리어스 체임버스 등 저명한 작가들을 고용했다.[8] 헨리 자비스 레이먼드는 훗날 ''뉴욕 타임스''를 공동 창립하였다.[8] 1852년부터 1862년까지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유럽 특파원으로 활동했다.[9] 마르크스는 ''트리뷴''에서 일하는 동안 편집과 마감일에 대해 불만을 표했지만,[10] 엥겔스는 마르크스의 장례식 추도 연설에서 ''트리뷴''에서의 기고를 긍정적인 업적으로 언급했다.[11][12]

에드거 앨런 포의 시 애너벨 리는 1849년 10월 9일 자 신문에 루퍼스 그리스월드가 쓴 부고 기사의 일부로 처음 발표되었고,[13] "종"은 1849년 10월 17일 자에 "포의 마지막 시"로 발표되었다.[14]

1850년대 ''트리뷴'' 편집부 사진. 호레이스 그릴리는 오른쪽에서 두 번째, 찰스 앤더슨 데이나는 중앙에 서 있다.


뉴욕 트리뷴 건물은 현재 로어 맨해튼의 원 페이스 플라자 자리이다.


1850년대에 뉴욕 트리뷴은 약 20만 부의 발행 부수를 기록하며 뉴욕 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문이 되었다.[15] 1854년, 사회적 혼란기에 창간된 이 신문은 새로 결성된 공화당에 합류하여, 토머스 제퍼슨의 당을 따서 이름을 지었고, 노예제도 반대를 강조했다.[15]

남북 전쟁 기간 동안 그릴리는 노예제도에 맞서 싸우며 민주당을 통렬히 비난하는 한편, 미국 최초로 병역 의무화를 촉구했다.[16] 이는 징병 반대 폭동 당시 아일랜드계 폭도들이 맨해튼 저지대에 있는 ''트리뷴'' 건물을 불태우려 시도하는 사건으로 이어졌다.[16]

그릴리는 187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 공화당 및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현직 대통령 율리시스 S. 그랜트와 맞붙었으나 패배했다. 선거 직후 조지 C.S. 초이트 박사의 요양원에 입원하여 몇 주 만에 사망했다.[4] ''트리뷴''의 편집장 화이트로 레이드가 그릴리 사후 신문을 인수했다.

1886년, 레이드의 지원을 받은 ''트리뷴''은 라이노타입 기계를 사용하여 인쇄되는 세계 최초의 출판물이 되었다. 라이노타입은 독일 이민자이자 발명가인 오트마르 메르겐탈러가 발명했다. 이 기술 덕분에 신문의 표준 크기였던 8페이지를 넘어서는 크기의 신문을 제작하면서도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고, 따라서 인쇄 가능한 총 부수를 늘릴 수 있었다.

리드의 아들인 오그든 밀스 리드(Ogden Mills Reid) 시대에 이 신문은 1924년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를 인수 합병하여 뉴욕 헤럴드 트리뷴(New York Herald Tribune)을 설립했다. 뉴욕 헤럴드 트리뷴은 1947년 오그든 M. 리드가 사망할 때까지 그가 경영했다.

2. 1. 창간과 초기 (1841-1860)

1841년, 호레이스 그릴리는 휘그당의 정치 기관지인 ''통나무집''과 1833년 자신이 발행했던 주간 신문 ''더 뉴요커''(후대의 더 뉴요커와는 관련 없음)를 통합하여, 간결하고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를 제공한다는 목표로 ''뉴욕 트리뷴''을 창간했다.[4]

그릴리는 평화주의, 여성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개혁을 후원했으며, 특히 근면한 자유 노동자의 이상을 강조했다. 그는 모든 시민을 자유롭고 평등하게 만들기 위한 개혁을 요구하며 부패를 근절할 덕이 있는 시민들을 상상했다. 또한 노동과 자본 사이의 조화를 촉구하면서 진보, 개선, 자유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했다.[5] 1848년 이전에는 푸리에주의 사회 개혁을 지지했지만, 유럽의 실패한 1848년 혁명 이후에는 이러한 입장에서 물러섰다.[6]

그릴리는 다양한 개혁을 홍보하기 위해 마가렛 풀러,[7] 찰스 앤더슨 데이나, 조지 윌리엄 커티스, 윌리엄 헨리 프라이, 바이어드 테일러, 조지 리플리, 줄리어스 체임버스 등 저명한 작가들을 고용했다.[8] 헨리 자비스 레이먼드는 훗날 ''뉴욕 타임스''를 공동 창립하였다.[8] 1852년부터 1862년까지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유럽 특파원으로 활동했다.[9] 마르크스는 ''트리뷴''에서 일하는 동안 편집과 마감일에 대해 불만을 표했지만,[10] 엥겔스는 마르크스의 장례식 추도 연설에서 ''트리뷴''에서의 기고를 긍정적인 업적으로 언급했다.[11][12]

에드거 앨런 포의 시 애너벨 리는 1849년 10월 9일 자 신문에 루퍼스 그리스월드가 쓴 부고 기사의 일부로 처음 발표되었고,[13] "종"은 1849년 10월 17일 자에 "포의 마지막 시"로 발표되었다.[14]

2. 2. 남북전쟁과 재건 시대 (1861-1877)

1850년대에 뉴욕 트리뷴은 약 20만 부의 발행 부수를 기록하며 뉴욕 시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신문이 되었다.[15] 1854년, 사회적 혼란기에 창간된 이 신문은 새로 결성된 공화당에 합류하여, 토머스 제퍼슨의 당을 따서 이름을 지었고, 노예제도 반대를 강조했다.[15]

남북 전쟁 기간 동안 그릴리는 노예제도에 맞서 싸우며 민주당을 통렬히 비난하는 한편, 미국 최초로 병역 의무화를 촉구했다.[16] 이는 징병 반대 폭동 당시 아일랜드계 폭도들이 맨해튼 저지대에 있는 ''트리뷴'' 건물을 불태우려 시도하는 사건으로 이어졌다.[16]

그릴리는 187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자유 공화당 및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현직 대통령 율리시스 S. 그랜트와 맞붙었으나 패배했다. 선거 직후 조지 C.S. 초이트 박사의 요양원에 입원하여 몇 주 만에 사망했다.[4] ''트리뷴''의 편집장 화이트로 레이드가 그릴리 사후 신문을 인수했다.

2. 3. 라이노타입 도입과 발전 (1878-1923)

1872년 호레이스 그릴리가 사망한 후, 화이트로 레이드가 신문의 편집장이 되었다.[4] 레이드는 편집장으로서 신문 운영 방식을 현대화하였고, 1886년에는 오트마르 메르겐탈러의 라이노타입 기계를 도입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조판을 가능하게 했다.[4] 이는 발행 부수 증가에 기여했다.

2. 4. 뉴욕 헤럴드 트리뷴 시대 (1924-1966)

1924년 뉴욕 헤럴드(New York Herald)를 인수 합병하여 뉴욕 헤럴드 트리뷴(New York Herald Tribune)을 설립했다. 오그든 밀스 리드(Ogden Mills Reid) 시대에 뉴욕 헤럴드 트리뷴은 1947년 오그든 M. 리드가 사망할 때까지 그가 경영했다.

3. 주요 필진

3. 1. 호레이스 그릴리

3. 2.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3. 3. 기타 필진

4. 건물

뉴욕 트리뷴 빌딩은 페이스 대학교의 첫 번째 건물이였다. 오늘날 그 건물이 서 있던 자리는 현재 페이스 대학교 뉴욕시 캠퍼스의 원 페이스 플라자 단지이다. 호레이스 그릴리가 사망한 초이트 박사의 주택과 개인 병원은 오늘날 뉴욕주 플레전트빌에 있는 페이스 대학교 캠퍼스의 일부이다.

1921년 12월 15일, ''뉴욕 트리뷴''은 웨스트 40번가 219번지와 220번지에 두 필지의 토지를 매입했다. ''뉴욕 트리뷴''이 그 부지에 건설한 본사는 현재 뉴욕시립대학교 언론대학원의 자리이다.

4. 1. 뉴욕 트리뷴 빌딩

뉴욕 트리뷴 빌딩은 페이스 대학교의 첫 번째 건물이였다. 오늘날 그 건물이 서 있던 자리는 현재 페이스 대학교 뉴욕시 캠퍼스의 원 페이스 플라자 단지이다. 호레이스 그릴리가 사망한 초이트 박사의 주택과 개인 병원은 오늘날 뉴욕주 플레전트빌에 있는 페이스 대학교 캠퍼스의 일부이다.

1921년 12월 15일, ''뉴욕 트리뷴''은 웨스트 40번가 219번지와 220번지에 두 필지의 토지를 매입했다. ''뉴욕 트리뷴''이 그 부지에 건설한 본사는 현재 뉴욕시립대학교 언론대학원의 자리이다.

4. 2. 뉴욕시립대학교 언론대학원 건물

뉴욕 트리뷴이 웨스트 40번가 219번지와 220번지에 건설한 본사는 현재 뉴욕시립대학교 언론대학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뉴욕 트리뷴 빌딩은 페이스 대학교의 첫 번째 건물이었으며, 현재는 페이스 대학교 뉴욕시 캠퍼스의 원 페이스 플라자 단지이다. 호레이스 그릴리가 사망한 초이트 박사의 주택과 개인 병원은 현재 뉴욕주 플레전트빌에 있는 페이스 대학교 캠퍼스의 일부이다.

5. 아카이브

뉴욕 트리뷴의 사본은 많은 대형 도서관에서 마이크로필름으로 이용 가능하며,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 온라인으로도 볼 수 있다.[17] 19세기 후반 특정 연도의 색인은 미국 의회 도서관의 [https://www.loc.gov/rr/news/news_research_tools/nytribindex.html 웹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하다. 신문의 보관 자료에 있는 원본 기사들은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의 [http://www.cah.utexas.edu 미국 역사 센터]에 보관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New-York daily tribune http://chroniclingam[...]
[2] 뉴스 ISIDOR LEWI DEAD; LONG A JOURNALIST; Member of Herald Tribune Staff Was 88 and Had Been News Writer Since 1870 COVERED THE CHICAGO FIRE Also Wrots of Historic River Packet Races--Saw Lincoln on Way to Inaugural https://www.nytimes.[...] 2020-10-01
[3] 웹사이트 Editorial staff of the New York Tribune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4] 서적 Horace Greeley: 19th Century Crusader
[5] 서적 Horace Greeley and the Politics of Reform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6] 논문 "'The Bourgeoisie Will Fall and Fall Forever': The New-York Tribune, the 1848 French Revolution, and American Social Democratic Discourse"
[7] 논문 "Feminist at the 'Tribune': Margaret Fuller as Professional Writer" https://www.jstor.or[...]
[8] 서적 Storm Over the Land Harcourt, Brace and Company
[9] 서적 Karl Marx: An Intimate Biography McGraw-Hill
[10] 웹사이트 Economic Manuscripts: Preface to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https://www.marxists[...]
[11] 웹사이트 Engels' burial speech https://www.marxists[...]
[12] 웹사이트 1883: The death of Karl Marx https://www.marxists[...]
[13] 뉴스 Death of Edgar A. Poe https://chroniclinga[...] The New-York Daily Tribune 1849-10-09
[14] 뉴스 Poe's Last Poem https://chroniclinga[...] The New-York Daily Tribune 1849-10-17
[15] 서적 American Journalism: A History, 1690–1960
[16] 서적 Horace Greeley: 19th Century Crusader
[17] 웹사이트 About New-York tribune. (New York [N.Y.]) 1866–1924 http://chroniclingam[...] Library of Congress
[18] 백과사전 뉴욕・ヘラルド New York Herald https://kotobank.jp/[...] ブリティカ国際大百科事典
[19] 백과사전 グリーリー ぐりーりー Horace Greeley(1811―1872)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