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펀치 (잡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펀치》는 1841년 헨리 메이휴와 에베네저 랜덜스에 의해 창간된 영국의 풍자 유머 잡지이다. '런던 샤리바리'라는 부제를 사용하며, 펀치와 주디 인형극의 펀치 씨를 잡지 이름과 머리글에 사용했다. 1840년대 후반부터 영국 사회의 중요한 정기 간행물로 자리 잡았으며, 1910년경에는 발행 부수가 10만 부를 넘었다. 1992년 폐간되었으나, 1996년 재창간되었지만 2002년 다시 폐간되었다. 펀치는 '만화(cartoon)'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19세기와 20세기 영국 사회 및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영국 제국 전역과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쳐 펀치를 모방한 잡지들이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자 잡지 - MAD (잡지)
    MAD는 1952년 만화책으로 시작하여 1955년 잡지로 전환된 미국의 유머 잡지로, 하비 커츠만이 창간하고 알 펠드스타인이 편집장으로 재직하며 전성기를 맞았으며, 알프레드 E. 뉴먼이라는 마스코트와 "스파이 대 스파이", "매드 폴드인" 등의 고정 코너, 그리고 광고를 싣지 않는 정책으로 독자적인 풍자 정신을 보여주며 냉전 시대 사회 비판적 시각을 담아내 큰 인기를 얻었다.
  • 1841년 창간 - 뉴욕 트리뷴
    뉴욕 트리뷴은 1841년 호레이스 그릴리에 의해 창간된 미국의 일간 신문으로, 다양한 개혁 운동을 지지하고 문학에도 기여했으며 공화당을 지지하며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다 1924년 뉴욕 헤럴드와 합병되어 현재는 폐간되었지만 기록이 남아있다.
  • 1841년 창간 - 신시내티 인콰이어러
    신시내티 인콰이어러는 1841년에 창간된 미국의 신문이며, 정치적 성향과 소유주 변경을 거쳐 현재는 USA 투데이 네트워크의 일부로 Cincinnati.com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 1992년 폐간 - 피츠버그 프레스
    1884년 창간되어 1992년까지 발행된 미국의 일간 신문인 피츠버그 프레스는 《The Evening Penny Press》라는 제호로 시작하여 《피츠버그 포스트-가제트》와 공동 운영 협약을 맺기도 했으나, 파업과 흡수 합병, 온라인 부활 후 운영 종료를 거쳤다.
  • 1992년 폐간 - 넘버 원 (잡지)
    넘버 원은 1983년에 창간되어 1992년에 폐간된 영국의 주간 팝 음악 잡지이며, 싱글 및 음반 차트 게재, 팝 스타 인터뷰, 독자 투표 등을 제공하며 스매시 히츠와 경쟁하다가 폐간되었다.
펀치 (잡지)
기본 정보
1841년 '펀치, 또는 런던 샤리바리' 첫 호 표지. 펀치가 악마를 풍자적으로 매달고 있다. (확대된 상세 내용은 아래 갤러리 참조)
창간1841년 7월 17일
폐간2002년
창립자헨리 메이휴
에베네저 랜델스
발행 빈도주간
언어영어
분야정치, 문화, 유머 및 풍자
국가영국
본사런던
공식 웹사이트펀치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펀치》는 1841년 헨리 메이휴와 목판화가 에베네저 랜덜스가 창간한 영국의 주간 풍자 유머 잡지이다. 초기에는 마크 레몬과 메이휴가 공동 편집을 맡았으며, 프랑스의 풍자 잡지 르 샤리바리(Le Charivari)의 영향을 받아 "런던 샤리바리"라는 부제를 사용했다. 잡지 이름은 펀치와 주디 인형극의 주인공 펀치(Mr. Punch)에서 따왔으며, "펀치는 레몬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농담에서 유래했다.[1]

초기에는 독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1842년 ''알마나크(Almanack)''가 9만 부나 판매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재정난으로 인해 브래드버리 앤드 에번스에 인수되었지만, 이후 대량 인쇄 기술의 발전과 함께 ''펀치''는 1840년대 후반부터 독자층과 인기를 크게 늘려나갔다. 타임스(The Times)를 비롯한 여러 언론 매체에서 ''펀치''의 내용을 인용하면서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엘리자베스 바렛(Elizabeth Barrett), 로버트 브라우닝(Robert Browning),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 등 저명인사들도 펀치를 구독했다.[7]

''펀치''는 크리스털 궁전(The Crystal Palace), "부목사의 계란(Curate's egg)" 등 여러 표현을 영어(English language)에 추가하며 문화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아무개의 일기(Diary of a Nobody)와 같은 영국 유머 고전들이 ''펀치''에 연재되기도 했다.

1860년대와 70년대에는 경쟁 잡지 ''펀''(Fun)이 등장하기도 했지만,[4] ''펀치''는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며 1910년경 발행 부수 10만 부를 돌파했고, 1947년~1948년에는 17만 5천 부에서 18만 4천 부로 최고점을 기록했다. 테니얼의 1857년 1857년 세포이 항쟁(Indian Rebellion of 1857)에 대한 ''펀치'' 만화는 잡지의 인기를 급증시켰다. 인도는 ''펀치''에서 자주 풍자되었고 영국 독자들에게 인도 아대륙(Indian subcontinent)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이었다.[9]

그레이트 게임 풍자 그림. 곰(러시아)와 사자(영국)가 노리는 아프가니스탄을 묘사하고 있다.


콩고 자유국 풍자 그림. 손이 잘린 콩고인을 무시하고 콩고에서 이득을 보는 레오폴드 2세를 비판하고 있다.

2. 1. 창간과 초기 (1841-1842)

1841년 7월 17일, 헨리 메이휴와 목판화가 에베네저 랜덜스는 25파운드를 투자하여 《펀치》를 창간했다. 초기에는 마크 레몬과 메이휴가 공동 편집을 맡았다. 프랑스의 풍자 유머 잡지인 르 샤리바리(Le Charivari)에서 영향을 받아 "런던 샤리바리(The London Charivari)"라는 부제를 붙였다.[1] 잡지 이름과 머리글에는 펀치와 주디 인형극의 주인공 펀치(Mr. Punch)를 사용하여 풍자적이고 유머러스한 의도를 표현했다. 이는 "펀치는 레몬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농담에서 유래한 것이기도 하다.[1]

메이휴는 1842년에 공동 편집자 자리에서 물러났고, 1845년까지 "최고 제안자" 역할을 맡았다. 초기 《펀치》는 독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1842년에 발행된 ''알마나크(Almanack)''가 9만 부나 판매되는 성공을 거두었다. 1842년 12월, 재정 문제로 인해 《펀치》는 인쇄 및 출판업체인 브래드버리 앤드 에번스에 인수되었다. 브래드버리 앤드 에번스는 당시 발전하고 있던 대량 인쇄 기술을 활용했으며, 찰스 디킨스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의 출판사이기도 했다.

창간호 표지는 삽화가 아치볼드 헤닝이 디자인했다. W. 브라이언트 출판사에서 발행되었으며, A4 판 14페이지, 가격은 3펜스였다. 초판 5000부와 추가 인쇄 5000부를 합쳐 총 1만 부가 판매되었다.

2. 2. 전성기 (1840년대 후반 - 20세기 초)

1840년대 후반과 1850년대에 걸쳐 ''펀치''는 독자층과 인기가 증가하여 3펜스짜리 주간 신문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가장 화제가 되고 인기 있는 정기 간행물 중 하나가 되었으며, 엘리자베스 바렛(Elizabeth Barrett), 로버트 브라우닝(Robert Browning), 토마스 칼라일(Thomas Carlyle), 에드워드 피츠제럴드(Edward FitzGerald (poet)), 샬럿 브론테(Charlotte Brontë),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 앨버트 공 등 저명인사들이 펀치를 구독했다.[7]

''펀치''는 크리스털 궁전(The Crystal Palace)과 "부목사의 계란(Curate's egg)" (조지 뒤 모리에(George du Maurier)가 1895년에 그린 만화에서 처음 등장)을 포함하여 영어(English language)에 여러 표현을 추가했다.[7] 아무개의 일기(Diary of a Nobody)와 1066년과 그 이후(1066 and All That)와 같은 여러 영국식 유머 고전들이 처음으로 ''펀치''에 연재되었다. 19세기 말에는 해리 퍼니스(Harry Furniss)],

2. 3. 경쟁과 쇠퇴 (1910년대 - 1992)

19세기 후반부터 ''펀치''는 만화와 텍스트를 포함한 ''펀치 명작선(Pick of the Punch)'' 연감,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만화를 담은 ''펀치와 전쟁(Punch and the War)''(1941년), 여러 번 재출판된 ''펀치 한가득(A Big Bowl of Punch)'' 등 책 형태로 출판되었다. 20세기 후반의 많은 ''펀치'' 만화가들은 ''펀치'' 기고를 바탕으로 자신의 작품집을 출판했다.[4]

1910년경 발행 부수 10만 부를 돌파하며 전성기를 누렸으나, 이후 경쟁 잡지의 등장과 사회 변화로 인해 점차 쇠퇴했다. 1947-1948년에는 17만 5천 부에서 18만 4천 부로 최고 발행 부수를 기록했지만, 이후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1992년 발행 부수 감소로 인해 150년 만에 폐간되었다.[8][10] 1996년 전반기에 실업가 모하메드 알-파예드가 ''펀치''의 지명을 인수하여 같은 해 말에 출판을 재개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잡지는 이익을 창출하지 못했고, 2002년 5월 발행 중단이 발표되었다. 당시 보도 기록에 따르면, 6년간의 출판으로 인한 손실은 약 1600만파운드에 달했고, 최종 정기 구독자는 6000명에 불과했다.

2. 4. 재창간과 폐간 (1996-2002)

1996년, 사업가 모하메드 알 파예드가 ''펀치''의 이름을 인수하여 재창간했다.[8][10] 새로운 ''펀치''는 알 파예드에 대해 비판적인 내용을 많이 실었던 프라이빗 아이를 겨냥했다. 그러나 ''펀치''는 수익을 내지 못했고, 2002년 5월 말 다시 폐간되었다.[8] 언론 보도에 따르면 6년간 1600만파운드의 손실을 기록했으며, 마지막 구독자 수는 6,000명에 불과했다.

이전의 ''펀치''는 표지에 꼭두각시 인형극(Punch and Judy)의 펀치인 풀치넬라(Pulcinella) 캐릭터를 주로 사용했지만, 재창간된 ''펀치''는 이 캐릭터를 사용하지 않고 매주 표지에 권투 글러브 사진을 실어 새로운 잡지의 이름이 권투의 한 방을 의미하는 "펀치"임을 알렸다.

3. 주요 특징

《펀치》는 1841년 헨리 메이휴와 에베네저 랜덜스가 창간한 영국의 주간 잡지로, 2002년 폐간될 때까지(1996년 재창간) 영국 사회를 풍자하고 유머를 담아냈다. 프랑스 풍자 유머 잡지 르 샤리바리(Le Charivari)를 기려 "런던 샤리바리(The London Charivari)"라는 부제를 붙였으며,[1] 잡지 이름과 머리글에는 펀치와 주디의 펀치 씨(Mr. Punch)를 사용하여 풍자적인 의도를 드러냈다.

초기에는 독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1842년 ''알마나크(Almanack)''가 9만 부 판매되며 인기를 얻었다. 재정 문제로 1842년 브래드버리 앤드 에번스에 매각되었는데, 이들은 찰스 디킨스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의 출판사이기도 했다. 19세기 중반, 엘리자베스 바렛, 로버트 브라우닝, 토마스 칼라일, 샬럿 브론테, 빅토리아 여왕, 앨버트 공 등 다양한 독자층을 확보하며 큰 인기를 누렸다.[5]

1910년경 발행 부수 10만 부를 돌파, 1947~1948년에는 17만 5천~18만 4천 부로 최고점을 기록했으나 이후 감소하여 2002년 폐간되었다.[8] 1996년 모하메드 알-파예드가 권리를 사들여 재창간했지만, 2002년 다시 폐간되었다.[8][10]

''펀치''는 영국령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고, 특히 인도에서 영국인들의 경험은 ''펀치''와 그 상징에 영향을 미쳤다. 1857년 세포이 항쟁에 대한 테니얼의 만화는 잡지의 인기를 급증시켰고, 인도는 ''펀치''에서 자주 풍자되며 영국 독자들에게 인도 아대륙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이었다.[9] 19세기 후반부터 ''펀치''의 내용은 ''펀치 명작선(Pick of the Punch)'' 연감, ''펀치와 전쟁(Punch and the War)''(1941년), ''펀치 한가득(A Big Bowl of Punch)'' 등 책 형태로 출판되었다.[7]

헬렌 호프너 쿠드는 ''펀치''에 19점의 그림을 기고한 최초의 여성 기고자이다.[2][3] 1860년대와 70년대에는 자유주의 잡지 ''펀(Fun)''과 경쟁하기도 했다.[4]

1896년 존 테니얼이 그린 초기 자동차를 운전하는 산타클로스

3. 1. 풍자와 유머

''펀치''는 사회, 정치,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풍자하고 유머러스하게 비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장, 반어법, 패러디 등 다양한 풍자 기법을 활용하여 독자들에게 웃음과 통찰력을 제공했다.

몇 달 동안의 재정적 어려움과 시장 성공 부재에도 불구하고, ''펀치''는 세련된 유머와 특히 당시 풍자적 언론과 비교했을 때 공격적인 내용이 없다는 점 덕분에 영국 거실의 필수품이 되었다.[5] ''타임스(The Times)''와 일요일 신문 ''뉴스 오브 더 월드(News of the World)''는 ''펀치''의 단편들을 칼럼 채우는 글로 사용하여 잡지에 무료 홍보를 제공하고 간접적으로 존경심을 부여했는데, 이는 다른 어떤 만화 출판물도 누리지 못한 특권이었다.[5] ''펀치''는 ''타임스''뿐만 아니라 ''웨스트민스터 리뷰(Westminster Review)''와 같이 지식인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저널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웨스트민스터 리뷰''는 ''펀치''의 첫 두 권에 대한 53페이지 분량의 삽화 기사를 게재했다.[5]



''펀치''는 크리스털 궁전(The Crystal Palace)과 "부목사의 계란(Curate's egg)" (조지 뒤 모리에(George du Maurier)가 1895년에 그린 만화에서 처음 등장)을 포함하여 영어(English language)에 여러 가지 표현을 제공했다. ''아무개의 일기(Diary of a Nobody)''와 ''1066년과 그 이후(1066 and All That)''와 같은 여러 영국식 유머 고전들이 처음으로 ''펀치''에 연재되었다.[7]

『펀치』 창간자들은 프랑스의 일간 풍자 신문인 『Le Charivari프랑스어』를 보고 영국에도 비슷한 잡지를 만들고자 했다. 그 풍자적이고 유머러스한 의도를 반영하여, 그들은 잡지에 영국 대중에게 친숙한 전통적인 인형극인 「펀치와 주디」의 주인공이자 과격한 행동으로 알려진 미스터 펀치의 이름을 따서 발행인으로 삼고, 프랑스 잡지를 본떠 "더 런던 샤리바리"라는 부제를 덧붙였다. 현대 영어에서 "만화"를 의미하는 단어인 "cartoon"이 등장하게 된 것은 『펀치』의 공적이다.

3. 2. 카툰(Cartoon)

1843년 웨스트민스터 궁전 벽화 장식을 위한 예비 스케치를 "카툰"이라고 부르던 것을 풍자적으로 차용하여, ''펀치''는 정치 만평을 지칭하는 용어로 "만화"를 처음 사용했다. ''펀치'' 만화의 인기로 인해 이 용어는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현대 영어에서 "만화"를 의미하는 단어인 "cartoon"이 등장하게 된 것은 『펀치』의 공적이다.

존 리치의 ''실체와 그림자''(Substance and Shadow, 1843). ''만화, 1호''(Cartoon, No. 1)로 출판됨


1840년대1850년대에 ''펀치''에 작품을 발표한 아티스트로는 존 리치, 도일, 존 테니얼(John Tenniel), 찰스 키인이 있다. 이들은 "펀치 브라더후드(The Punch Brotherhood)"로 알려졌다.[7]

존 테니얼19세기 후반의 단골 기고가였으며, 건강상의 이유로 몇 차례 휴재한 것을 제외하고는 50년 동안 매주 한 페이지 전체를 사용하는 정치 만화를 연재했다.

3. 3. 삽화와 예술성

아치볼드 헤닝(Archibald Henning)이 잡지 초창기 표지를 디자인했다. 초기 몇 년 동안은 표지 디자인이 다양했지만, 1849년부터 리처드 도일이 디자인한 머스트헤드가 오랫동안 사용되었다.[7] 1840년대와 1850년대에 ''펀치(Punch)''에 작품을 발표한 존 리치, 도일, 존 테니얼(John Tenniel), 찰스 키인 등의 아티스트 그룹은 "펀치 브라더후드(The Punch Brotherhood)"로 알려졌다.[7]

4. 영향 및 유산

Punch영어는 영국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세기와 20세기 영국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 비평하며 대중의 의식 형성에 기여했다. 정치, 사회적 이슈에 대한 풍자는 대중의 토론을 활성화하고 여론 형성에 기여했다.

Punch영어는 언어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는데, "만화(cartoon)"라는 용어를 1843년에 처음 사용하면서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5] 또한, "부목사의 계란(Curate's egg)"과 같은 표현을 영어(English language)에 추가했다.[7]

영국 외 지역에서는 일본에서 만화를 부르는 명칭 중 하나인 "'''만화'''"의 어원이 된 일본 요코하마 거류지에서 1862년 찰스 워그만에 의해 창간된 『재팬 펀치』를 포함하여 영국 외 지역에서 발행된 『펀치』의 파생 잡지가 있다. ''펀치''는 영국 제국 전역과 터키, 인도,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카이로, 요코하마, 도쿄, 홍콩, 상하이 등에서 ''펀치''를 모방한 잡지들이 등장했다.[20]

2004년 영국 도서관은 펀치 아카이브의 대부분을 인수했는데, 여기에는 1855년경 사무실에 들여온 빅토리아 시대의 길고 타원형 테이블로 직원 회의 및 기타 행사에 사용된 펀치 테이블도 포함되어 있었다.[1]

4. 1. 영국 사회와 문화에 미친 영향

''펀치''는 19세기와 20세기 영국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 비평하며 대중의 의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치, 사회적 이슈에 대한 풍자는 대중의 토론을 활성화하고 여론 형성에 기여했다. 엘리자베스 바렛, 로버트 브라우닝, 토마스 칼라일, 샬럿 브론테,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 앨버트 공 등 다양한 저명인사들이 ''펀치''를 구독했다.[7]

''펀치''는 언어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는데, "만화(cartoon)"라는 용어를 1843년에 처음 사용하면서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5] 당시 영국 의회에 벽화를 장식하기 위해 대중에게 공개된 벽화용 "만화"는 큰 판지에 그린 완성된 예비 스케치를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cartoneit였다. ''펀치''는 이 용어를 풍자적으로 차용하여 정치 만화를 가리켰고, ''펀치'' 만화의 인기로 인해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또한, "부목사의 계란(Curate's egg)" (조지 뒤 모리에(George du Maurier)가 1895년에 그린 만화에서 처음 등장)과 같은 표현을 영어(English language)에 추가했다.[7]

''펀치''는 일본에서 만화를 부르는 명칭 중 하나인 "'''만화'''"의 어원이 된 일본 요코하마 거류지에서 1862년 찰스 워그만에 의해 창간된 『재팬 펀치』를 포함하여 영국 외 지역에서 발행된 『펀치』의 파생 잡지를 낳았다.

4. 2. 국제적인 영향

''펀치''는 영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널리 모방되었고 영국령(British Empire) 전역에서 인기를 누렸다. 특히 인도에서 영국인들의 경험은 ''펀치''와 그 상징에 영향을 미쳤다. 1857년 세포이 항쟁(Indian Rebellion of 1857)에 대한 테니얼(Tenniel)의 ''펀치'' 만화는 잡지의 인기를 급증시켰다. 인도는 ''펀치''에서 자주 풍자되었고 영국 독자들에게 인도 아대륙(Indian subcontinent)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이었다.[9]

캐나다 펀치(Punch in Canada) 1권 6호(1849년 3월 31일), 창립자 존 H. 워커 작품의 전면 만화


''펀치''는 영국 제국 전역과 터키, 인도, 일본, 중국 등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카이로, 요코하마, 도쿄, 홍콩, 상하이 등에서 ''펀치''를 모방한 잡지들이 등장했다.[20]

  • 캐나다판인 '''캐나다 펀치(Punch in Canada)'''는 1849년 1월 1일에 창간되었다. 이 잡지는 영국 귀족 가문 출신의 몰락한 인물이자 토론토 주둔군 장교들과 관련이 있던 토마스 블레이즈 드 월든에 의해 출판되었다.[21] ''펀치''에서 목판화가로 일했던 존 헨리 워커에 따르면, 이 잡지는 잘 나갔다. 그러나 1850년 드 월든과 찰스 도슨 섀널리가 뉴욕으로 "도망치면서"[23] 갑자기 폐간되었다.[22]
  • ''펀치''는 루크나우를 기반으로 한 풍자적인 우르두어 주간지 '''아와드 펀치(Awadh Punch)'''(1877~1936)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이는 다시 인도에서 수십 개의 다른 "펀치" 정기 간행물에 영감을 주었다.[24]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유머 잡지 '''펜실베이니아 펀치 볼(Pennsylvania Punch Bowl)'''은 이 잡지에서 이름을 따왔다.
  • 호주의 '''멜버른 펀치(Melbourne Punch)'''는 런던판에서 영감을 받았다.
  • 찰스 위르그만의 '''재팬 펀치(Japan Punch)'''(1862~1865, 1865~1887)는 ''펀치''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현대 '''만화(manga)'''의 요소들에 영향을 주었다.[25] ''재팬 펀치''는 일본에서 만화를 부르는 명칭 중 하나인 "'''만화'''"의 어원이 되었다.
  • 1867년 영국령 홍콩(British Hong Kong)에서 창간된 '''차이나 펀치(China Punch)'''는 중국 본토에서 최초의 유머 잡지였다. 이어 1871년 조계지 상하이에서 '''퍽, 혹은 상하이 카리바리(Puck, or the Shanghai Charivari)'''가 발간되었다.[26][27]
  • ''펀치''와 창립자 헨리 메이휴는 테리 프랫쳇의 디스크월드가 아닌 소설 '''도저(Dodger)'''에 등장한다.

4. 3. 펀치 테이블

2004년 영국 도서관은 펀치 아카이브의 대부분을 인수했는데, 여기에는 펀치 테이블도 포함되어 있었다.[1] 펀치 테이블은 1855년경 사무실에 들여온 빅토리아 시대의 길고 타원형 테이블로, 직원 회의 및 기타 행사에 사용되었다.[1] 테이블 표면에는 펀치의 작가, 아티스트, 편집자들의 이니셜과 제임스 서버, 찰스 3세 등 초청된 인사들의 이니셜이 새겨져 있다.[1] 마크 트웨인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의 이미 새겨진 이니셜에 자신의 이니셜이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로 초대를 거절했다.[1]

5. 기여자

『펀치』는 창간 초기에 프랑스 풍자 신문 『Le Charivari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유머러스하고 풍자적인 내용을 주로 다루었으며, "더 런던 샤리바리"라는 부제를 붙이기도 했다. 현대 영어에서 "만화"를 의미하는 단어 "cartoon"이 등장하게 된 것도 『펀치』의 공적이다.[9]

존 베체먼, A. P. 허버트, A. A. 밀른, 앤서니 파월, 새커리, P. G. 우드하우스 등이 『펀치』에 기고했다. 존 테니얼19세기 후반 50년 동안 매주 정치 만화를 연재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9]

“아무도 없는 일기”나 “1066 그리고 그 이후”와 같은 몇몇 영국 유머 소설의 고전은 처음으로 『펀치』에 연재되었다.

5. 1. 편집자


  • 마크 레몬(Mark Lemon) (1841–1870)
  • 헨리 메이휴(Henry Mayhew) (1841–1842)
  • 찰스 윌리엄 셜리 브룩스(Charles William Shirley Brooks) (1870–1874)
  • 톰 테일러(Tom Taylor) (1874–1880)
  • 프랜시스 번낸드(Francis Burnand) 경 (1880–1906)
  • 오언 시먼(Owen Seaman) 경 (1906–1932)
  • E. V. 녹스(E. V. Knox) (1932–1949)
  • 케네스 버드(Kenneth Bird) (1949–1952)
  • 말콤 머거리지(Malcolm Muggeridge) (1953–1957)
  • 버나드 홀로우드(Bernard Hollowood) (1958–1968)
  • 윌리엄 데이비스 (1969–1977)
  • 앨런 코런(Alan Coren) (1978–1987)
  • 데이비드 테일러 (1988)
  • 데이비드 토마스 (1989–1992)
  • 피터 맥케이(Peter McKay) (1996년 9월 – 1997)
  • 폴 스파이크(Paul Spike) (1997)
  • 제임스 스틴 (1997–2001)
  • 리처드 브래스(Richard Brass) (2001–2002)

5. 2. 주요 작가 및 삽화가

작가 및 삽화가주요 작품 및 활동
존 리치1840년대와 1850년대에 펀치에 작품을 발표했으며,[7] "실체와 그림자" (1843)를 그렸다.
존 테니얼1850년대부터 50년간 매주 한 페이지 전체를 사용하는 정치 만화를 연재했고,[9]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삽화를 그렸다.
조지 뒤 모리에1895년 "진정한 겸손" 만화를 그렸고,[6] 트릴비의 저자이다.
찰스 키인"펀치 브라더후드" 멤버였다.[7]
헬렌 호프너 쿠드19점의 그림을 기고했으며, 최초의 여성 기고자로 인정받았다.[2][3]
리처드 도일1849년 잡지 머스트헤드를 디자인했고,[7]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책 삽화를 그렸다.
필 메이19세기 말에 펀치에 참여했다.[7]
버나드 파트리지20세기 초에 활동한 만화가이다.[7]
H. M. 배트먼20세기 초에 활동한 만화가이다.[7]
버나드 홀로우드1957년부터 1968년까지 편집장을 역임했고, 만화가로도 활동했다.[7]
케네스 마후드20세기에 뛰어난 만화가로 활동했다.[7]
노먼 텔웰20세기에 뛰어난 만화가로 활동했다.[7]
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펀치 작가이자, 브래드버리 앤드 에번스의 출판 작가였다.
P. G. 우드하우스펀치 작가였다.
A. A. 밀른펀치 작가였으며, 곰돌이 푸의 작가이다.
앤서니 파월펀치 작가였다.


6. 갤러리

참조

[1] 뉴스 'The First Cartoonist': Linley Sambourne and Punch Magazine https://www.rbkc.gov[...] 2024-06-03
[2] 서적 The History of 'Punch'
[3] 웹사이트 Coode, Helen Hoppner https://dvpp.uvic.ca[...]
[4] 논문 Performing Bohemia http://journals.mup.[...] 2006-10-13
[5] 서적 Punch: The Lively Youth of a British Institution, 1841–1851 Ohio Stat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Punch 1895-11-09
[7] 웹사이트 Punch, or the London Charivari (1841–1992) — A British Institution http://www.victorian[...]
[8] 서적 Magazine Editing: In Print and Online Routledge
[9] 서적 Caricaturing Culture in India: Cartoons and History in the Modern World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뉴스 Whack! Whack! Whack! Reborn ''Punch'' Pounded https://www.nytimes.[...] 1996-09-18
[11] 웹사이트 Biography: Clive Collins – The British Cartoon Archive http://www.cartoons.[...] 2014-12-11
[12] 웹사이트 http://www.henleysta[...] 2016-02-00
[13] 웹사이트 Noel Ford's Cartoon and Humorous Illustration Portfolio http://www.fordcarto[...] 2014-12-11
[14] 웹사이트 Biography: Leslie Gilbert Illingworth – The British Cartoon Archive http://www.cartoons.[...] 2014-12-11
[15] 웹사이트 Biography: John Jensen – The British Cartoon Archive http://www.cartoons.[...] 2014-12-11
[16] 전기 Benjamin Edwin Minns 2012-06-05
[17] 서적 The history of "Punch", Volume 1 https://archive.org/[...] Cassell and company, limited
[18] 뉴스 David Myers Award-winning joke cartoonist http://news.independ[...] 2007-06-21
[19] 웹사이트 The Correspondence of James McNeill Whistler: Biography of Raven-Hill http://www.whistler.[...] University of Glasgow 2014-03-22
[20] 서적 Asian Punches: A Transcultural Affair Springer
[21] 저널 John Henry Walker (1831-1899), Artisan-Graveur http://www.jstor.org[...] 1985
[22] 트윗 Canuckle #496: PUNCH ... 2023-09-25
[23] 저널 Les collections d'imprimés et les fonds d'archives de banq : des ressources importantes pour l'histoire de la caricature et de la satire graphique québécoises avant 1960 https://www.erudit.o[...] 2012
[24] 논문 From newspaper sketch to "novel": The writing and reception of "Fasana-e Azad" in North India, 1878–1880 https://www.proquest[...] Departments of South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25] 서적 The Periodical Press in Treaty-Port Japan: Conflicting Reports from Yokohama, 1861-1870 Leiden : BRILL
[26] 서적 Asian Punches
[27] 서적 'He'll Roast All Subjects That May Need the Roasting': Puck and Mr Punch in Nineteenth-Century China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