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펀들랜드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펀들랜드늑대는 멸종된 늑대의 아종으로, 흰색 털과 중간 크기의 두개골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1937년 형태적 차이로 인해 별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캐나다늑대에 포함되는 견해가 주류이다. 과거 빙하기에 뉴펀들랜드 섬에 도래하여 순록과 함께 생존한 것으로 추정된다. 1842년 가축 습격으로 인해 현상금 사냥의 대상이 되었고, 순록 감소, 사냥 등으로 개체 수가 줄어 1925년경에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1963년 늑대 현상금 조례가 폐지되었으며, 현재 극소수의 표본만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고유종 동물 - 뉴펀들랜드솔담비
뉴펀들랜드솔담비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 서부에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는 족제비과 동물로, 침엽수림과 천이 숲을 선호하고 넓은 행동권을 가지며, 서식지 감소와 올가미 사고사 등으로 위협받고 있어 정부와 환경 단체의 협력으로 관리되고 핵심 서식지는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북아메리카의 멸종한 포유류 - 씨밍크
씨밍크는 한때 아메리카밍크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멸종된 종으로, 북아메리카 동해안에 서식하며 붉은 털과 생선 냄새가 특징이고, 과도한 사냥 등으로 멸종되었다. - 멸종한 식육목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멸종한 식육목 - 발리호랑이
발리호랑이는 인도네시아 발리섬에 서식했던 순다열도에서 가장 작은 호랑이 아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멸종되었으며, 현재 표본이 보존되어 있고 발리 문화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며, 유전적 연구 결과 순다열도호랑이로 재분류되었다.
뉴펀들랜드늑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멸종 (EX) |
멸종 시기 | 1911년 |
학명 | Canis lupus beothucus |
명명자 | Allen & Barbour, 1937 |
이명 | Canis lupus nubilus (Say, 1823)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개과 |
속 | 개속 |
종 | 회색늑대 (Canis lupus) |
아종 | 뉴펀들랜드늑대 (Canis lupus beothucus) |
분포 | |
![]() | |
기타 | |
영어 이름 | Newfoundland wolf |
2. 특징
주로 산지에 서식했다. 체격은 최대 200cm, 체중 70kg에 달했다. 체색은 흰색으로, 눈이 많은 뉴펀들랜드에서 보호색으로 기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멜라닌증 개체도 나타났다.[3]
1912년, 게릿 S. 밀러 주니어(Gerrit S. Miller Jr)는 북아메리카 늑대를 삼림 늑대, 평원 늑대, 툰드라 늑대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5] 1937년, 글로버 M. 앨런(Glover M. Allen)과 토마스 바버(Thomas Barbour)는 뉴펀들랜드늑대가 다른 지역 늑대와 형태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점을 근거로 ''Canis lupus beothucus''라는 별도의 아종으로 명명했다. 이들은 위턱 열치 중앙 부근의 만입, 열치와 인접한 제3대구치 사이의 거리, 두개골 융기부의 상대적 길이 차이를 그 근거로 제시했다.
과거에는 최종 빙하기(약 1만 년 전)에 본토에서 뉴펀들랜드 섬으로 건너왔다는 설도 있었지만, 그 후의 연구에서는 그보다 훨씬 전에 도래하여 먹이가 되는 순록 무리와 함께 섬의 남부에서 빙하기를 살아남은 개체군이라고 추정된다.[1] 섬의 순록 수와 늑대가 필요로 하는 먹이의 양을 계산하면 생존 가능한 늑대의 개체 수는 650-800마리 정도이지만, 원주민 및 다른 동물과의 경쟁을 고려하면 최고 시기에도 총 450마리를 넘지 않았을 것으로 추산된다.[1]
유럽인들이 원주민 베오토크족의 머리 가죽에 현상금을 걸어 몰살시키면서 1800년까지 베오토크족은 멸망했다. 1842년에는 뉴펀들랜드늑대가 가축을 습격한다는 이유로 현상금 대상이 되었고, 총이나 독 먹이를 이용한 늑대 사냥과 스포츠 사냥이 성행하면서 개체 수가 감소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먹이인 순록의 감소가 주요 요인이었으며, 그 외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멸종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간 크기의[2] 가늘고 긴 두개골을 가지고 있었으며, 육지 친척들과 비교했을 때, 아종을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내부 부속 융선의 각도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3]
1937년 하버드 대학교의 동물학자인 글로버 M. 앨런(Glover M. Allen)과 토마스 바버(Thomas Barbour)는 다른 지역의 것과 형태적인 차이로 인해 섬의 개체군은 아종으로 구분해야 한다며 ''beothucus''라고 명명했다. 별개의 아종으로 한 근거는 세 가지 정도 있는데, 하나는 위턱의 열치의 중앙 부근에 만입이 있다는 점, 다음은 이 열치와 인접한 제3대구치의 거리가 다른 지역의 늑대보다 멀다는 점, 그리고 두개골의 융기부의 상대적인 길이가 다르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미세한 차이만으로 아종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자도 있었으며, 현재는 북미 북부에 분포하는 ''Canis lupus nubilus''에 포함시키는 견해가 주류이다.
3. 분류
분류학적 권위인 ''세계의 포유류 종 (2005)''에서는 뉴펀들랜드늑대를 ''개속''의 아종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세한 차이만으로 아종을 구분하는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으며, 현재는 북미 북부에 분포하는 ''Canis lupus nubilus''에 포함시키는 견해가 주류이다.
4. 생태
5. 멸종
한때 뉴펀들랜드 섬의 언덕에 메아리쳤을 늑대들의 울부짖음은 먼 과거의 저편으로 사라져, 더 이상 영원히 들을 수 없게 되었다.
5. 1. 멸종 과정
1800년 유럽인들이 원주민 베오토크족의 머리 가죽에 현상금을 걸어 몰살시키면서 베오토크족은 멸망했다. 1842년 뉴펀들랜드늑대가 가축을 습격한다는 이유로 현상금 대상이 되었고, 총이나 독 먹이를 이용한 늑대 사냥과 스포츠 사냥이 성행하면서 개체 수가 감소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먹이인 순록의 감소가 주요 요인이었으며, 그 외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멸종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알려진 늑대 현상금의 마지막 지급 기록은 1896년이지만, 그 이후까지 생존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마지막 한 마리가 언제 죽었는지 특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John H. Moss라는 목사는 1920년경 대니얼 항구 부근에서 죽은 것이 마지막 한 마리라고 기록했지만, 시턴은 당시 뉴펀들랜드 섬의 유어 및 내수면 어업 관리국의 사무관으로부터 받은 편지를 인용하여, 1921년에는 세인트조지 부근에서 두 마리가, 1922-23년 겨울에는 Birchy 호수를 건너는 다른 두 마리가 목격되었다고 한다. 1930년대 초반까지 불확실한 정보가 몇 가지 발견되지만, 적어도 1925년경까지는 매우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번식률도 현저하게 저하되었을 것이며, 1925년 이후에는 생존했더라도 그 수는 극히 적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늑대 현상금 조례가 철폐된 것은 1963년이었다.
5. 2. 생존 기록
현재 알려진 늑대 현상금의 마지막 지급 기록은 1896년이지만, 그 이후까지 생존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마지막 한 마리가 언제 죽었는지 특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존 H. 모스(John H. Moss) 목사는 1920년경 대니얼 항구 부근에서 늑대가 죽은 것이 마지막이라고 기록했다. 시턴은 1921년에는 세인트조지 부근에서 두 마리가, 1922-23년 겨울에는 Birchy 호수를 건너는 다른 두 마리가 목격되었다고 한다.[4] 1930년대 초반까지 불확실한 목격 정보가 있었으나, 1925년경에는 개체 수가 매우 감소하여 번식률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늑대 현상금 조례가 철폐된 것은 1963년이었다.[4]
2019년, 뉴펀들랜드에서 코요테로 오인되어 사살된 늑대의 DNA 분석 결과, 래브라도에서는 자주 발견되지만 뉴펀들랜드에서는 드문 래브라도 늑대인 것으로 밝혀졌다.[6][7]
6. 현존 표본
현존하는 표본은 극히 적으며, 2개체의 골격과 3개의 두개골, 2마리분의 모피뿐이다.[2] 모피 2장 중 1장은 거의 완전한 형태로 박제되어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의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다른 1장은 불완전하고 색깔도 정상적인 것이 아니다.[4]
참조
[1]
서적
Extinct and vanishing mammals of the western hemisphere with the marine species of all the oceans
American Committee for International Wild Life Protection
1942
[2]
서적
The Wolf: The Ecology and Behavior of an Endangered Spec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1
[3]
논문
The Newfoundland Wolf
1937-05
[4]
서적
Extinct and vanishing mammals of the western hemisphere with the marine species of all the oceans
American Committee for International Wild Life Protection
1942
[5]
논문
The Newfoundland Wolf
1937
[6]
웹사이트
The Newfoundland Wolf is Back
https://www.whalehou[...]
2019-02-04
[7]
뉴스
DNA samples prove 2nd wolf in Newfoundland
https://www.cbc.ca/n[...]
2012-08-23
[8]
서적
The Wolf: The Ecology and Behaviour of an Endangered Spec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1
[9]
서적
Extinct and vanishing mammals of the western hemisphere, with the marine species of all the oceans
https://archive.org/[...]
American Committee for International Wild Life Protection
1942
[10]
MSW3
[11]
저널
An account of the taxonomy of North American wolves from morphological and genetic analyses
http://www.fwspubs.o[...]
2013-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