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능연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연각은 당 태종이 당나라 건국에 공헌한 24명의 공신들의 초상화를 전시하기 위해 643년에 건립한 건물이다. 능연각에는 재상, 제후, 공작, 기타 공신들의 초상화가 전시되었으며, 당 태종은 이들을 기리기 위해 자주 방문했다. 이후 당나라 황제들은 추가적인 공신들을 기리기 위해 능연각에 초상화를 걸었으며, 최종적으로 약 100명의 관리가 능연각에서 영예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능연각이십사공신 - 위징
    위징은 수나라 말기, 당나라 초기의 정치가로, 당 태종을 보좌하며 간언을 통해 당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정관정요》에 그의 언행이 수록되어 오늘날까지 칭송받고 있다.
  • 능연각이십사공신 - 두여회
    두여회는 수나라 말에서 당나라 초의 인물로, 뛰어난 결단력을 바탕으로 이세민을 보좌하며 방현령과 함께 당나라 초기의 정치적 안정을 이끌어 정관의 치를 이룩하는 데 기여한 당나라의 재상이다.
능연각

2. 명단 및 선정 배경

643년 3월 23일, 당 태종정관의 치 시기에 당나라 제국 건설에 공헌한 24명의 공신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염립본에게 실물 크기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지시했다.[1] 이들 중 다수는 현무문의 변에서 태종이 권력을 잡는 데 기여했다.

초상화는 능연각에 전시되었으며, 모두 북쪽을 향하고 있었다. 능연각은 세 층으로 나뉘었는데, 가장 안쪽에는 당나라 재상들의 초상화가, 중간에는 제후와 공작들의 그림이, 가장 바깥쪽에는 나머지 사람들의 초상화가 있었다. 당 태종은 종종 능연각을 방문하여 초상화를 보며 과거를 회상했다.

능연각 공신 명단
이름작위비고
장손무기조국공태종의 오랜 친구이자 황후의 오빠로, 정관의 치에 크게 기여했으나, 측천무후 집권 후 좌천되어 자살했다.
이효공하간왕이정과 함께 파촉 공략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공적을 세웠다.
두여회내국공여러 요직을 거쳤으며 방현령과 함께 정관의 치에 크게 기여했다.
위징정국공이건성의 측근이었으나, 태종에게 발탁되어 재상에 이르렀다.
방현령양국공당나라 건국 초기부터 태종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두여회와 함께 정관의 치에 크게 기여했다.
고사렴신국공문사를 두루 섭렵하고 기억력이 좋았으며, 정관의 치에 큰 공헌을 했다.
울지경덕악국공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현무문의 변에도 참여하여 태종의 집권을 도왔다. 진숙보와 함께 잡귀를 쫓는 신으로 여겨진다.
이정위국공이효공과 함께 파촉을 공략하고 여러 공적을 세웠다.
소우송국공양나라 황실의 후손으로 태종 때 재상을 지냈다.
단지현포국공뛰어난 장수로 당나라 건국에 많은 공을 세웠다.
유홍기기국공태종 휘하에서 활약한 장수로 많은 공을 세웠다.
굴돌통장국공수나라 장수였으나 당나라에 귀순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은개산운국공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당나라 건국에 기여했다.
시소곽국공평양소공주와 결혼하여 고조의 사위가 되었다.
장손순덕비국공태종 밑에서 큰 공을 세운 장수이나, 뇌물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태종은 비단을 내려 그의 잘못을 깨우치게 했다.
장량운국공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종의 고구려 원정 때 수군을 지휘했다.
후군집진국공병부상서를 지냈으며, 토욕혼 정벌에서 공을 세워 태종의 가종녀 홍화공주를 아내로 맞이했다. 돌궐 공략에도 참여했다.
장공근담국공태종은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친히 교외로 행차하여 조상하였다.
정지절노국공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서돌궐 내란 진압에 공을 세웠다.
우세남영흥공태종에게 신임을 받았으며, 왕희지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 저수량과 함께 당나라 초의 3대가로 불린다. 특히 해서의 1인자로 알려져 있다.
유정회유국공실력 있는 정치가로 이세민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당검거국공돌궐에 사신으로 파견되었고, 역사서 편찬에도 참여했다.
이세적영국공돌궐을 격파하고, 태종과 고종의 고구려 원정에 참전하여 평양성을 함락시키는 공을 세웠다.
진숙보호국공여러 전투에 참여하여 당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웠고, 현무문의 변에도 참여했다. 울지경덕과 함께 잡귀를 쫓는 신으로 여겨진다.


2. 1. 선정 배경

643년 3월 23일, 당 태종정관의 치 시기에 당나라 제국 건설에 공헌한 24명의 공신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염립본에게 실물 크기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지시했다.[1] 이들 중 다수는 현무문의 변에서 태종이 권력을 잡는 데 기여했다.

초상화는 능연각에 전시되었으며, 모두 북쪽을 향하고 있었다. 능연각은 세 층으로 나뉘었는데, 가장 안쪽에는 당나라 재상들의 초상화가, 중간에는 제후와 공작들의 그림이, 가장 바깥쪽에는 나머지 사람들의 초상화가 있었다. 당 태종은 종종 능연각을 방문하여 초상화를 보며 과거를 회상했다.

24명의 공신들은 다음과 같다.

능연각 공신 명단
이름작위비고
장손무기조국공태종의 오랜 친구이자 황후의 오빠로, 정관의 치에 크게 기여했으나, 측천무후 집권 후 좌천되어 자살했다.
이효공하간왕이정과 함께 파촉 공략에 공을 세우는 등 여러 공적을 세웠다.
두여회내국공여러 요직을 거쳤으며 방현령과 함께 정관의 치에 크게 기여했다.
위징정국공이건성의 측근이었으나, 태종에게 발탁되어 재상에 이르렀다.
방현령양국공당나라 건국 초기부터 태종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두여회와 함께 정관의 치에 크게 기여했다.
고사렴신국공문사를 두루 섭렵하고 기억력이 좋았으며, 정관의 치에 큰 공헌을 했다.
울지경덕악국공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현무문의 변에도 참여하여 태종의 집권을 도왔다. 진숙보와 함께 잡귀를 쫓는 신으로 여겨진다.
이정위국공이효공과 함께 파촉을 공략하고 여러 공적을 세웠다.
소우송국공양나라 황실의 후손으로 태종 때 재상을 지냈다.
단지현포국공뛰어난 장수로 당나라 건국에 많은 공을 세웠다.
유홍기기국공태종 휘하에서 활약한 장수로 많은 공을 세웠다.
굴돌통장국공수나라 장수였으나 당나라에 귀순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은개산운국공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당나라 건국에 기여했다.
시소곽국공평양소공주와 결혼하여 고조의 사위가 되었다.
장손순덕비국공태종 밑에서 큰 공을 세운 장수이나, 뇌물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태종은 비단을 내려 그의 잘못을 깨우치게 했다.
장량운국공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종의 고구려 원정 때 수군을 지휘했다.
후군집진국공병부상서를 지냈으며, 토욕혼 정벌에서 공을 세워 태종의 가종녀 홍화공주를 아내로 맞이했다. 돌궐 공략에도 참여했다.
장공근담국공태종은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친히 교외로 행차하여 조상하였다.
정지절노국공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서돌궐 내란 진압에 공을 세웠다.
우세남영흥공태종에게 신임을 받았으며, 왕희지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 저수량과 함께 당나라 초의 3대가로 불린다. 특히 해서의 1인자로 알려져 있다.
유정회유국공실력 있는 정치가로 이세민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당검거국공돌궐에 사신으로 파견되었고, 역사서 편찬에도 참여했다.
이세적영국공돌궐을 격파하고, 태종과 고종의 고구려 원정에 참전하여 평양성을 함락시키는 공을 세웠다.
진숙보호국공여러 전투에 참여하여 당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웠고, 현무문의 변에도 참여했다. 울지경덕과 함께 잡귀를 쫓는 신으로 여겨진다.


2. 2. 명단

능연각 공신 목록
----------------



643년 3월 23일, 당 태종은 정관 시대에 당나라 건국을 도운 24명의 공신들을 기리기 위해 염립본에게 실물 크기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지시했다.[1] 이들 중 다수는 현무문의 변에서 태종의 집권을 도왔다.

그림들은 능연각에 전시되었으며, 북쪽을 향했다. 능연각은 세 층으로, 가장 안쪽에는 당나라의 재상들, 중간에는 제후와 공작들, 가장 바깥쪽에는 나머지 사람들의 초상화가 있었다. 당 태종은 종종 능연각을 방문하여 과거를 회상했다.

능연각 24공신
이름중국어 이름중국어 자작위직업출생사망
장손무기长孙无忌부기辅机조국공재상594659
이효공李孝恭미상하간군왕장군591640
두여회杜如晦극명克明래국공재상585630
위징魏征현성玄成정국공재상580643
방교房峤현령玄龄량국공재상579648
고검高俭사렴士廉신국공재상575647
울지공尉迟恭경덕敬德악국공장군585658
이정李靖약사药师위국공장군571649
소우萧瑀시문时文송국공재상574647
단웅段雄지현志玄포국공장군598642
유홍기刘弘基미상괴국공장군582650
굴돌통屈突通미상강국공장군557628
은교殷峤개산开山순공장군?622
시소柴绍사창嗣昌곽국공장군588638
장손순덕长孙顺德미상비국공장군565631
장량张亮미상순국공장군?646
후군집侯君集미상진국공장군?643
장공근张公瑾굉신宏慎탄국공장군594632
정지절 (정요금)程知节 (程咬金)의진义贞노국공장군589665
우세남虞世南백시伯施영흥현공재상558638
유정회刘政会미상흥국공재상?635
당검唐俭무약茂约거국공재상579656
이적 (서세적)李世勣 (徐世勣)무공懋功영국공장군594669
진경秦琼숙보叔宝호국공장군571638


3. 능연각이십사공신의 현대적 의의

태종 이후 다섯 명의 당나라 황제들도 제국에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되는 관리들의 초상화를 능연각에 걸어 영예를 표했다. 이러한 관리에는 안사의 난을 진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곽자의(당대종과 당덕종에 의해 영예를 얻음)와 이광필(당숙종에 의해 영예를 얻음)이 있다. 운명의 반전으로, 원래 24인을 기릴 때 서예로 사용되었던 저수량은 당덕종에 의해, 그리고 당 선종 이침에 의해 사후에 능연각에 봉안되었다.

일부 관리는 두 명 이상의 황제에 의해 기념되었다. 따라서 능연각에 걸린 초상화의 최종 개수는 132개였지만, 영예를 받은 관리는 약 100명 정도였다.

그러나 일부 관리는 그러한 행위를 통해 호의를 얻으려는 황제들에 의해 봉안되었다. 이는 안사의 난 이후 황제의 권위가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리에는 어초은과 정원진과 같은 환관, 그리고 자율성이 높아져 조정의 통제를 거부하게 된 번진 시대를 열도록 도운 전승사와 같은 장군들이 포함된다.

4. 능연각의 추가 공신

당태종 이후 다섯 명의 당나라 황제들도 제국에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되는 관리들의 초상화를 능연각에 걸어 영예를 표했다. 이러한 관리에는 안사의 난을 진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곽자의(당대종과 당덕종에 의해 영예를 얻음)와 이광필(당숙종에 의해 영예를 얻음)이 있다. 운명의 반전으로, 원래 24인을 기릴 때 서예로 사용되었던 저수량은 당덕종에 의해, 그리고 당 선종에 의해 사후에 능연각에 봉안되었다.[1]

일부 관리는 두 명 이상의 황제에 의해 기념되었다. 따라서 능연각에 걸린 초상화의 최종 개수는 132개였지만, 영예를 받은 관리는 약 100명 정도였다.[1]

그러나 일부 관리는 그러한 행위를 통해 호의를 얻으려는 황제들에 의해 봉안되었다. 이는 안사의 난 이후 황제의 권위가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리에는 어초은과 정원진과 같은 환관, 그리고 자율성이 높아져 조정의 통제를 거부하게 된 번진 시대를 열도록 도운 전승사와 같은 장군들이 포함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