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18세기 프랑스의 천문학자이다. 프랑스 해안 측량, 자오선 호 길이 재측정 등 과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희망봉에서 1만 개에 달하는 남쪽 하늘의 별 목록을 작성하고 42개의 성운체를 기록했다. 또한,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도입했으며, 지구의 반지름을 구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천문학 강의》, 《기초 광학 강의》 등이 있으며, 랄랑드는 라카유가 짧은 생애 동안 많은 관측과 계산을 했다고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덴주 출신 - 이폴리트 텐
이폴리트 텐은 19세기 프랑스 사상가로, 감각론에 기반하여 종족, 환경, 시대의 요소를 통해 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영국 문학사》 등의 저서를 통해 실증주의적 사상을 펼쳤다. - 아르덴주 출신 - 장 마비용
장 마비용은 17세기 프랑스의 베네딕토회 수사이자 고문서학의 창시자이며, 《고문서론》을 통해 고문서 진위 판별의 과학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역사 연구의 기반을 다졌다. - 1713년 출생 - 홍봉한
홍봉한은 영조와 정조 시대의 권력자이자 정조의 외조부로, 혜경궁 홍씨가 세자빈으로 간택된 후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사도세자 죽음의 책임론과 정조의 개혁 정책에 저항하다 실각한 인물이다. - 1713년 출생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 1762년 사망 -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는 표트르 1세의 딸로, 쿠데타를 통해 러시아 여제가 되어 총신들의 영향력 아래 화려한 궁정 생활과 예술 발전을 추구하며 러시아의 위상을 높였으나 재정 악화와 농노제 심화라는 문제점을 남기고 표트르 3세에게 황위를 물려주었다. - 1762년 사망 - 제임스 브래들리
제임스 브래들리는 광행차와 지구 자전축 장동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영국의 천문학자로, 왕립 천문학자를 역임하며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천문학 자료를 축적했고,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2634에 그의 이름이 붙었다.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 |
원어 이름 | Abbé Nicolas Louis de Lacaille |
로마자 표기 | Nikolla Lui De Lakayu |
출생 | 1713년 3월 15일 |
출생지 | Rumigny, 프랑스 |
사망 | 1762년 3월 21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분야 | 천문학 |
경력 | |
업적 | |
알려진 업적 | 남쪽 하늘에 14개의 새로운 별자리 설정 |
수상 | |
기타 |
2. 생애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아르덴 뤼미니에서 태어나 망트 라 졸리, 리지외, 나바라 학교에서 수사학, 철학, 신학을 공부했다. 1731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부르봉 공작의 도움으로 학업을 이어갔다. 졸업 후 부제 서품을 받고 과학에 전념했다.
자크 카시니의 후원으로 낭트에서 바욘까지 해안을 측량하고, 1739년 프랑스의 자오선 호를 재측정하는 등 과학 경력을 쌓았다. 이 공로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 및 마자랭 대학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개인 관측소를 세우고, 여러 교과서를 저술했으며, 뉴턴의 중력 이론을 지지했다. 그의 제자로는 앙투안 라부아지에와 장 실뱅 바이가 있었는데, 이들은 프랑스 혁명 중에 처형되었다.
1751년부터 1752년까지 희망봉에 체류하며 남쪽 하늘의 별 약 1만 개를 관측하고,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설정하는 등 천문학에 큰 업적을 남겼다.
2. 1. 출생과 젊은 시절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아르덴 뤼미니에서 태어나 망트 라 졸리(Mantes-la-Jolie)의 학교와 리지외의 학교(Collège de Lisieux)에서 수사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나바라의 학교(Collège de Navarre)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 1731년 방돔(Vendôme)의 공작부인의 가정에서 일하던 아버지의 사망으로 궁핍해졌으나, 아버지의 전 후원자였던 부르봉 공작(루이 앙리)의 도움으로 학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15]졸업 후에는 사제 서품을 받지 않고 부제 서품을 받아 아베(Abbé)가 되었다. 이후 그는 과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15]
2. 2. 과학 연구와 희망봉 탐험
그는 가능한 가장 긴 기선으로 행성들의 거리를 삼각법으로 측량하려는 생각으로 1740년 희망봉 탐험을 제안했다. 공식적으로 허가를 얻은 라카유는 네덜란드 총독 릭 툴바흐(Ryk Tulbagh)의 지원으로 테이블 만 해안에 관측소를 세웠다.[15] 2년 동안 그곳에 머무르면서 10,000개에 가까운 남쪽 하늘의 별 목록을 작성하는 중요한 성과를 얻었는데, 이를 위해 1년 넘게 매일 하늘을 관측해야 했다.[5] 측량 과정에서 그는 42개의 흐릿한 천체도 기록했다. 또한, 그는 화성을 중간 매개체로 이용하여 달과 태양의 시차를 알아내는 목표를 달성했다. 이 측정은 유럽에서 제롬 랄랑드가 수행한 동시 관측이 필요했다.[15]라카유는 희망봉에 머무르면서 남반구에서의 지구 반지름을 측정했다. 그는 웨스턴케이프 주 달링 북쪽의 스와틀랜드 평원에 기선을 설정하고, 삼각 측량을 이용하여 케이프 타운과 웨스턴케이프 주의 오로라 사이의 동일 경도상 거리 137km를 측정했다. 그리고 천문 관측을 통해 양 끝점의 위도를 알아냈다. 그 결과는 지구가 북극보다 남극 쪽으로 더 납작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5] 70년 후, 인도를 측량한 조지 에버리스트는 희망봉에서 병을 회복하던 중 라카유의 위도 측정이 남쪽 끝은 테이블 산, 북쪽 끝은 피켓버그 산의 중력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16] 1838년, 희망봉의 잉글랜드 왕실 천문학자 토마스 매클리어가 더 긴 기선으로 다시 측정한 결과 에버리스트의 추측이 옳았음이 확인되었다.[17]
2. 3. 파리 귀환과 이후의 삶
1754년에 파리로 돌아온 라카유는 대중의 관심 대상이 된 것을 괴로워했다. 그는 마자랭 대학에서 연구를 계속하였다.1757년, 그는 광행차와 장동을 보정한 약 400개의 밝은 별의 위치 목록을 담은 《Astronomiae Fundamenta Novissimus》를 출판하였다. 그는 혜성 궤도에 대한 계산을 수행했으며, 핼리 혜성에 이름을 붙인 사람이기도 하다. 1761년 9월 14일 왕립과학아카데미에서 행한 그의 마지막 공개 강연에서는 그가 상당 부분 기여한 그의 생애 동안 일어난 천문학의 발전을 요약했다.
과도한 업무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의 죽음은 1762년에 찾아왔다. 그는 마자랭 대학 지하 납골당에 묻혔다.[15]
3. 주요 업적 및 저서
라카유는 천체력과 수학표 제작, 1,800년 간의 일식 표 계산 등 지칠 줄 모르는 계산가였다.[18] 1763년에는 남쪽 하늘의 별 목록을 ''Coelum Australe Stelliferum프랑스어''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했으며,[19]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도입했는데, 이 별자리들은 이후 표준으로 유지되었다.[19]
라카유가 제안한 14개의 별자리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이름 | 일본어 이름 |
---|---|
그물자리 | 레티クル座 |
현미경자리 | けんびきょう座 |
컴퍼스자리 | コンパス座 |
직각자자리 | じょうぎ座 |
조각가자리 | ちょうこくぐ座 |
조각칼자리 | ちょうこくしつ座 |
테이블산자리 | テーブルさん座 |
시계자리 | とけい座 |
팔분의자리 | はちぶんぎ座 |
망원경자리 | ぼうえんきょう座 |
공기펌프자리 | ポンプ座 |
나침반자리 | らしんばん座 |
화로자리 | ろ座 |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라카유가 고물자리를 분할했다는 오해가 있지만, 이는 항성 목록상에서 고물자리의 각 부분에 명칭을 붙인 것일 뿐 분할한 것은 아니다.
이 별자리들 대부분은 대한민국에서는 관측하기 어렵고, 지역에 따라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
1755년에는 학회에 42개의 남쪽 하늘의 분류된 성운 목록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20]
'''주요 저서'''
- ''Leçons élémentaires de Mathématiques프랑스어''(기초 수학 강의) (1741년) - 여러 번 재출판되었다.
- ''Leçons élémentaires de Mécanique프랑스어''(기계학 강의) (1743년)
- ''Leçons élémentaires d'Astronomie프랑스어''(천문학 강의) (1746년) - 제롬 랄랑드가 증보한 제4판(1779년)이 있다.
- ''Leçons élémentaires d'Optique프랑스어''(기초 광학 강의) (1750년)
- ''L'Art de vérifier les dates프랑스어''(날짜 검증의 기술) (1750년) - 샤를 클레망세의 저서로, 1800년 간의 일식 계산이 포함되어 있다.
- ''Astronomiae Fundamenta Novissimus프랑스어''(천문학의 기초) (1757년) - 398개 별에 대한 표준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프랜시스 베일리에 의해 재편집되었다.
- ''Tabulae Solares프랑스어''(태양표) (1758년)
- ''Coelum australe stelliferum프랑스어''(별이 빛나는 남쪽 하늘) (1763년) - 조반니 도메니코 마랄디 편집. 10,000개 별에 대한 구역 관측 자료와 14개의 새로운 별자리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 ''Observations sur 515 étoiles du Zodiaque프랑스어''(황도의 515개 별에 대한 관측) (1763년)
3. 1. 계산 및 천문력
라카유는 남반구로 가는 배 '르 글로리외'(Le Glorieux)에서 항해 중 바다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파리로 돌아온 후, 클레로의 궤도 이론을 이용하여 월거(달과 천체와의 각거리)를 통해 시간과 위도를 구할 수 있는 정확한 달 위치 목록을 처음으로 만들었다.[18] 그는 지칠 줄 모르는 계산가로, 천체력과 수학표를 만드는 것 외에도 1,800년 간의 일식 표를 계산했다.3. 2. 별 목록과 14개의 별자리
라카유는 사후 1763년에 남쪽 하늘의 별 목록을 ''Coelum Australe Stelliferum''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했다.[19] 그는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이 별자리들은 이후 표준으로 유지되었다.[19] 여기에는 테이블산자리를 비롯하여, 공기펌프자리, 그물자리, 나침반자리, 망원경자리, 시계자리, 조각칼자리, 조각가자리, 직각자자리, 컴퍼스자리, 팔분의자리, 화가자리, 화로자리, 현미경자리가 포함된다.라카유가 제안한 14개의 별자리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이름 | 일본어 이름 |
---|---|
그물자리 | がか座 |
현미경자리 | けんびきょう座 |
컴퍼스자리 | コンパス座 |
직각자자리 | じょうぎ座 |
조각가자리 | ちょうこくぐ座 |
조각칼자리 | ちょうこくしつ座 |
테이블산자리 | テーブルさん座 |
시계자리 | とけい座 |
팔분의자리 | はちぶんぎ座 |
망원경자리 | ぼうえんきょう座 |
공기펌프자리 | ポンプ座 |
그물자리 | レチクル座 |
나침반자리 | らしんばん座 |
화로자리 | ろ座 |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라카유가 고물자리를 분할했다는 오해가 퍼져 있지만, 항성 목록상에서 고물자리의 각 부분에 명칭을 붙인 것일 뿐 분할한 것은 아니다.
이 별자리들 대부분은 대한민국에서는 관측하기 어렵고, 지역에 따라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 것도 있다.
3. 3. 저서
- ''Leçons élémentaires de Mathématiques프랑스어''(기초 수학 강의) (1741년) - 여러 번 재출판되었다.
- ''Leçons élémentaires de Mécanique프랑스어''(기계학 강의) (1743년)
- ''Leçons élémentaires d'Astronomie프랑스어''(천문학 강의) (1746년) - 제롬 랄랑드가 증보한 제4판(1779년)이 있다.
- ''Leçons élémentaires d'Optique프랑스어''(기초 광학 강의) (1750년)
- ''L'Art de vérifier les dates프랑스어''(날짜 검증의 기술) (1750년) - 샤를 클레망세의 저서로, 1800년 간의 일식 계산이 포함되어 있다.
- ''Astronomiae Fundamenta Novissimus프랑스어''(천문학의 기초) (1757년) - 398개 별에 대한 표준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프랜시스 베일리에 의해 재편집되었다.
- ''Tabulae Solares프랑스어''(태양표) (1758년)
- ''Coelum australe stelliferum프랑스어''(별이 빛나는 남쪽 하늘) (1763년) - 조반니 도메니코 마랄디 편집. 10,000개 별에 대한 구역 관측 자료와 14개의 새로운 별자리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 ''Observations sur 515 étoiles du Zodiaque프랑스어''(황도의 515개 별에 대한 관측) (1763년)
- 1755년에는 학회에 42개의 남쪽 하늘의 분류된 성운 목록을 공식적으로 통고하였다.[20]
4. 평가 및 명예
제롬 랄랑드는 라카유를 두고 상대적으로 짧은 생애 동안 다른 천문학자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관측과 계산을 했다고 평가했다. 그의 업적은 양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우수했으며, 청렴하고 사심 없는 성품으로 널리 존경받았다.
라카유는 1754년 스웨덴 왕립 과학원의 외국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베를린 학술원, 런던의 왕립학회, 괴팅겐 과학원, 볼로냐 협회의 명예회원이었다.[21]
달의 라카유 분화구, 1960년 10월 17일 발견된 소행성 9135 라카유 (7609 P-L 과 1994 EK6) 등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남반구 하늘 연구에 대한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레위니옹 섬에 있는 60cm 망원경이 라카유 망원경으로 명명될 것이다.[12]
4. 1. 평가
제롬 랄랑드는 라카유를 두고 상대적으로 짧은 생애 동안 다른 천문학자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관측과 계산을 했다고 평가했다. 그의 업적은 양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우수했으며, 청렴하고 사심 없는 성품으로 널리 존경받았다.4. 2. 명예
1754년, 라카유는 스웨덴 왕립 과학원의 외국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또한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베를린 학술원, 런던의 왕립학회, 괴팅겐 과학원, 볼로냐 협회의 명예회원이었다.[21]달의 라카유 분화구, 1960년 10월 17일 발견된 소행성 9135 라카유 (7609 P-L 과 1994 EK6) 등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남반구 하늘 연구에 대한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레위니옹 섬에 있는 60cm 망원경이 라카유 망원경으로 명명될 것이다.[12]
참조
[1]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Astronomers
Springer Publishing
[2]
저널
Le Bicentenaire de Lacaille
http://articles.adsa[...]
[3]
웹사이트
Abbé Nicolas Louis de Lacaille
http://www.astro.wi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19-02-18
[4]
서적
Nicolas-Louis de La Caille. Astronomer and Geodesist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웹사이트
Star Tales – Lacaille's southern survey
http://www.ianridpat[...]
2009-01-24
[6]
저널
Investigation of errors in Lacaille's Coelum Australe Stelliferum, I
1890-02-01
[7]
저널
On the Triangulation of the Cape of Good Hope
[8]
웹사이트
Arc of the Meridian
http://assa.saao.ac.[...]
Astronomical Society of South Africa
2020-08-27
[9]
저널
Lacaille 250 years on
2002-04-01
[10]
서적
Verification and Extension of Lacaille's Arc of Meridian at the Cape of Good Hope
Lords Commissioners of the Admiralty
1866
[11]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Astronomers
Springer
[12]
웹사이트
TÉLESCOPE LACAILLE DE 60CM DES MAKES (ILE DE LA RÉUNION)
http://www.imcce.fr/[...]
IMCCE
2011-12-01
[13]
서적
Illustrated guide to astronomical wonders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14]
웹사이트
Lacaille's "Catalog of Nebulae of the Southern Sky"
http://www.messier.o[...]
2007-09-18
[15]
서적
Nicolas-Louis de La Caille. Astronomer and Geodesist
[16]
저널
[17]
서적
[18]
서적
http://books.google.[...]
[19]
웹사이트
http://www.ianridpat[...]
2014-01-02
[20]
웹사이트
Lacaille's "Catalog of Nebulae of the Southern Sky"
http://www.messier.o[...]
[21]
서적
The Biographical Dictionary of Astronomers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