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이 바투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바투틴은 20세기 초 러시아의 농민 출신으로 소련군의 장군이 되었다. 그는 소련-폴란드 전쟁, 베사라비아 점령,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북서부 전선, 브랸스크 전선, 보로네시 전선, 남서부 전선, 제1우크라이나 전선을 지휘하며 활약했다. 특히 쿠르스크 전투와 키예프 탈환 작전에서 뛰어난 전략과 전술을 보여주었으며, 1944년 우크라이나 반란군의 매복 공격으로 사망했다. 그의 군사적 업적은 긍정적으로 평가받지만, 스탈린 체제와 연관된 행적과 우크라이나에서의 부정적 평가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다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았다.
  • 러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는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에서 활약하고 스탈린 시대에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전쟁 초기 부실한 지휘와 대숙청 관여로 비판받았으며, 스탈린 사후 국가원수를 역임했으나 흐루쇼프 집권기에 몰락했다.
  • 소련의 러시아 내전 참전 군인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는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에서 활약하고 스탈린 시대에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전쟁 초기 부실한 지휘와 대숙청 관여로 비판받았으며, 스탈린 사후 국가원수를 역임했으나 흐루쇼프 집권기에 몰락했다.
  • 소련의 러시아 내전 참전 군인 - 미하일 코시킨 (무기 설계자)
  • 우크라이나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1978년 우크라이나 출생으로 코미디 배우 출신이며, 201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친서방 외교 노선을 추구하다가 2022년 러시아의 침공 이후 자국 방어에 헌신했다.
니콜라이 바투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Vatutin {{circa}} 1940s
1940년대 바투틴
이름니콜라이 표도로비치 바투틴
로마자 표기Nikolai Fyodorovich Vatutin
원어 이름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 Ватутин
별명그랜드마스터
공세 장군
출생일1901년 12월 16일
사망일1944년 4월 15일
출생지체푸히노, 보로네시 현, 러시아 제국 (현재 벨고로드 주, 러시아)
사망지키예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국적소비에트 연방
군 복무1920년–1944년
최종 계급상급대장
배우자타티아나 로마노브나 바투티나
자녀옐레나 (1930년–2016년)
빅토르 (1932년–?)
니콜라이 바투틴 서명
니콜라이 바투틴 서명 (1939년)
군사 경력
소속군붉은 군대
지휘브리얀스크 전선군
보로네시 전선군
남서부 전선군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
주요 참전 전투/전쟁러시아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독소 전쟁
모스크바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르스크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우크라이나 반란군의 반소비에트 저항
훈장
수상 내역소련 영웅
레닌 훈장 (2회)
붉은 깃발 훈장
수보로프 훈장 1급
쿠투조프 훈장 1급

2.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1901년 벨고로드주 체프히노 마을에서 태어났다. 1920년 적군에 복무했으며, 폴타바 보병학교(1922년), 키예프 고등 통합 군사학교(1924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1929년) 및 동 아카데미 작전학부(1934년),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1937년)를 졸업했다.

1931년~1941년 사단 참모장, 시베리아 군관구 참모부 제1과장, 참모차장·참모장, 참모본부 작전국장, 참모 제1차장을 역임했다.

2. 1. 출생 및 성장 배경

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 Ватутин|니콜라이 표도로비치 바투틴ru은 1901년 현재의 벨고로드주 발루이스키 우예즈드 체푸히노 마을(1968년 바투틴을 기념하여 바투티노로 개명)에서 러시아인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4]

2. 2. 소련군 입대 및 초기 경력

1920년 소련군에 입대하여 우크라이나에서 무정부주의 세력인 네스토르 마흐노의 농민 게릴라와 싸웠다.[1] 러시아 내전 당시 루간스크 및 스타로벨스크 지역에서 네스토르 마흐노 부대와의 전투에 참가했다.[3] 1922년 폴타바 보병학교, 1924년 키예프 고등 통합 군사학교를 졸업했다.[3] 1926년 러시아 공산당 당원이 되었고,[1] 하급 지휘관직을 성실히 수행했다.[1] 전후 소대, 중대를 지휘하고 제7 저격 사단 본부에서 근무했다.[3] 1929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3] 1934년 동 아카데미 작전학부, 1937년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했다.[3]

3.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군 복무

1920년 소련군에 입대하여 무정부주의자 네스토르 마흐노의 농민 게릴라와 싸웠다. 다음 해인 1921년 러시아 공산당 당원이 되었고, 하급 지휘관직을 성실히 수행했다. 1926년부터 10년 동안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와 총참모본부 아카데미에서 학업과 복무를 병행했다. 1937년-1938년 적군 지휘관 대숙청은 그의 승진의 길을 열었다. 1938년 콤디브 계급을 받았고, 키예프 특별 군관구의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이 기간 동안 바투틴은 군 복무와 집중적인 당 활동을 병행했다.

1939년 바투틴은 소련의 폴란드 침공 작전을 독일의 폴란드 침공과 연계하여 계획했으며, 적군 남부 집단군의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1940년 게오르기 주코프의 지휘 아래 이 집단은 베사라비아를 루마니아로부터 점령했다. 비전투 작전에 대한 보상으로 조세프 스탈린은 그를 중장으로 승진시키고 총참모부 작전국 국장이라는 중요한 직책에 임명했다.

1931년~1941년 사단 참모장, 시베리아 군관구 참모부 제1과장, 참모차장·참모장, 참모본부 작전국장, 참모 제1차장을 역임했다.[1]

4.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바투틴은 붉은 군대에서 다양한 지휘 임무를 맡으며 전쟁에 참여했다.

1941년 6월 30일 북서부 전선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어 레닌그라드 방어에 참여했다. 바투틴은 노브고로드 인근에서 독일군을 포위하려는 공세를 계획하여 에리히 폰 만슈타인이 이끄는 독일군 북부 집단군을 수세에 몰리게 했다.[2] 비록 초기 작전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이 작전으로 베어마흐트의 레닌그라드 공격이 지연되었고, 소련군은 도시 방어 시설을 강화할 시간을 벌었다.[2]

바투틴(오른쪽에서 두 번째)과 1942년 2월 북서부 전선의 다른 장교들


1942년 1월, 모스크바 전투에서 소련군이 승리한 후, 바투틴의 부대는 데먄스크에서 두 개의 독일 군단을 포위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독일군을 대규모로 포위한 첫 사례였으나, 소련 공군의 약세로 독일군 방어선을 완전히 무너뜨리지는 못했다.[2]

1942년 5월 초부터 7월까지 소련군 참모총장 부총장직을 잠시 역임한 후, 7월 1일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브랸스크 전선에 파견되었고, 며칠 후 이 전선은 보로네시 전선으로 개칭되어 바투틴의 지휘 아래 놓였다.[1] 보로네시 전투에서 독일군의 공세를 막아냈으며, 이후 독일군은 스탈린그라드로 공격 방향을 전환했다.[1]

1942년 10월 22일 남서부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소련군의 반격과 독일 제6군을 포위하는 천왕성 작전 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1942년 12월, 소토성 작전에서 이탈리아 제8군 13만 명 중 3분의 2를 포위하고 섬멸하여 에리히 폰 만슈타인의 제6군 구출 작전인 동계폭풍 작전을 좌절시키는 데 기여했다.[1]

1943년 3월 28일, 바투틴은 보로네시 전선의 지휘를 다시 맡아 쿠르스크 전투를 준비했다.[5] 쿠르스크 전투에서 혁신적인 배치를 통해 독일군에 대한 능숙한 방어를 수행하고, 방어에서 공격으로 신속하게 전환하여 승리했다. 쿠르스크 전투에서 소련군이 승리한 후, 벨고로드가 재탈환되었다.

1943년 11월 6일, 키예프 탈환에 성공했다.[5] 이후 독일군 방어선 깊숙이 진격했으나, 라도미슐 전투와 멜레니 포켓 전투에서 만슈타인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5]

1944년 1월, 코르순 돌출부를 드니프로 강에서 코르순-셰프첸키우스크 공세 중에 갑작스럽게 포위했다. 제6 기갑군을 투입하여 독일군 방어선 깊숙이 침투, 2월 3일 코네프 전선의 진격하는 기갑부대와 합류하여 5만 6천 명의 독일군을 포위했다. 2월 17일까지 코르순-체르카시 포위망을 제거했지만, 포위된 병력의 상당수는 탈출했다.

1943년 10월, 보로네시 전선은 제1우크라이나 전선으로 개칭되었다.

4. 1. 북서부 전선 참모총장 (1941-1942)

1941년 6월 30일, 바투틴은 북서부 전선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어 레닌그라드 방어에 참여했다. 그는 유능한 부하들을 발굴하고 승진시키는 데 힘썼으며, 특유의 대담함으로 유명했다. 대부분의 소련 장군들이 패배에 대한 두려움으로 공세를 주저했지만, 바투틴은 오히려 공격적인 전략을 선호했다.

당시 북서부 전선은 에리히 폰 만슈타인이 이끄는 기갑 부대를 앞세운 독일군 북부 집단군의 공격으로부터 레닌그라드를 지켜야 했다. 바투틴은 노브고로드 인근 소련군 사령관으로서 독일군을 포위하려는 공세를 계획했다. 그의 기습은 만슈타인을 수세에 몰리게 했고, 독일군 북부 집단군은 병력을 재편성해야만 했다.[2] 이로 인해 베어마흐트는 레닌그라드 공격에 필요한 시간을 잃었고, 소련군은 도시 방어 시설을 강화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독일군은 레닌그라드 점령이라는 중요한 목표를 달성할 기회를 놓쳤다.[2]

그러나 바투틴의 초기 작전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그는 부대 능력을 과대평가하고 지나치게 높은 목표를 설정했으며, 부대 간 협력과 전투 전개 통제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독일군에게 유리한 지형 조건도 고려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바투틴 부대는 막대한 사상자를 냈고, 일부 부대는 60%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2] 지휘관들의 역량 부족도 바투틴의 단점을 더욱 부각시켰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제28기갑사단장 이반 체르냐호프스키는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이들은 군사 전략에 대한 독창적인 접근 등 여러 공통점을 바탕으로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2]

1942년 1월, 모스크바 전투에서 소련군이 승리한 후, 바투틴의 부대는 데먄스크에서 두 개의 독일 군단을 포위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독일군을 대규모로 포위한 첫 사례였다. 하지만 소련 공군의 약세로 독일군 방어선을 완전히 무너뜨리지는 못했다.[2] 1942년 4월, 바투틴은 독일군 증원 부대가 도착했을 때 방어선을 돌파했으나, 전후 미국 군사 전문가들은 이 작전을 무승부로 평가했다.[2]

4. 2. 브랸스크 전선 및 보로네시 전선 사령관 (1942)

1942년 5월 초부터 7월까지, 바투틴은 독일 남부 집단군이 바르바로사 작전을 개시할 때까지 잠시 동안 소련군 참모총장 부총장직을 역임했다.[1] 처음에 독일군의 공격은 보로네시에 집중되었다.[1] 독일군은 보로네시 전투에서 소련 전선을 돌파한 다음 후방에서 소련 남방 전선과 남서부 전선을 공격하려 했다.[1] 1942년 7월 1일, 스탈린은 바투틴을 전권을 위임받은 스타브카 대표로 중요한 브랸스크 전선에 파견했고, 며칠 만에 이 전선은 보로네시 전선으로 개칭되었고 바투틴의 지휘 아래 놓였다.[1]

전투 중 바투틴은 막 60군의 제18기갑군단 사령관으로 임명된 체르냐홉스키를 다시 만났다.[1] 독일군의 공격이 소련 전선 돌파 직전에 체르냐홉스키의 군단이 기차로 도착했다.[1] 그는 그의 여단 중 하나를 하역하고, 나머지 부대를 기다리지 않고 그 여단을 이끌고 독일군에 맞서 공격하여 격퇴시켰다.[1] 그 작전 후 바투틴은 스탈린에게 체르냐홉스키에게 60군 사령관직을 맡기도록 요청했다.[1] 처음에 스탈린은 그러한 젊은 장군에게 야전군을 지휘하는 것을 맡기는 것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 요청을 반대했다.[1] 그러나 바투틴은 결국 스탈린을 설득하여 체르냐홉스키를 승진시켰고, 그는 곧 소련군의 주요 야전 사령관 중 한 명으로 급속히 성장하게 되었다.[1]

독일군이 도시를 점령했지만, 바투틴의 전선을 돌파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1] 독일군은 초기 계획을 포기하고 스탈린그라드로 노력을 전환했다.[1]

4. 3. 남서부 전선 사령관 (1942-1943)

1942년 10월 22일, 바투틴은 새로 편성된 남서부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소련군의 반격과 독일 제6군을 포위하는 천왕성 작전 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1942년 12월, 스탈린그라드 주변의 소련군 포위망을 확보하기 위해 바투틴의 부대는 소토성 작전에서 이탈리아 제8군 13만 명 중 3분의 2를 포위하고 섬멸했다.[1] 이는 만슈타인의 제6군 구출 작전인 동계폭풍 작전("겨울 폭풍")의 패배에 기여했다.[1]

4. 4. 보로네시 전선 및 제1우크라이나 전선 사령관 (1943-1944)

1943년 3월 28일, 바투틴은 쿠르스크 전투를 준비하고 있던 보로네시 전선의 지휘를 다시 맡았다.[5] 쿠르스크에서 그는 전통적인 군대 배치를 거부하고 혁신적인 배치를 통해 독일군에 대한 능숙한 방어를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방어에서 공격으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었다. 쿠르스크에서 소련이 승리한 후 벨고로드가 재탈환되었다.

쿠르스크 전투에서 소련군이 승리한 후, 바투틴은 키예프 탈환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병력을 재편성하여 습지대를 통해 기습적으로 기갑부대를 투입하여 독일군을 예상치 못한 방향에서 격퇴시키며 만슈타인을 놀라게 했다. 1943년 11월 6일, 키예프가 탈환되었다.[5] 바투틴은 키예프에서의 승리를 발판삼아 독일군 방어선 깊숙이 진격하여 독일군 방어선을 파괴했다. 그러나 바투틴은 군대를 과도하게 전진시켰고, 만슈타인은 제48 기갑군단의 예비 병력을 사용하여 반격을 가했다. 라도미슐 전투(1943년 11월 6일~15일)와 멜레니 포켓 전투(1943년 12월 16일~23일)에서 만슈타인은 성공적인 반격을 가하여 영토를 탈환하고 적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5]

겨울 날씨 속에서 주도권을 되찾은 바투틴 전선과 이반 코네프 원수의 제2 우크라이나 전선은 1월에 코르순 돌출부를 드니프로 강에서 코르순-셰프첸키우스크 공세 중에 갑작스럽게 포위했다. 바투틴이 코네프와 그의 타격 부대보다 이틀 늦게 작전을 시작했고, 제6 기갑군이 최근에 창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바투틴은 전차를 제1선에 투입하고 예상치 못한 지형에서 공격함으로써 기습 효과를 거두었다. 이를 통해 제6 기갑군은 독일군 방어선 깊숙이 침투했고, 2월 3일 코네프 전선의 진격하는 기갑부대와 합류하여 5만 6천 명의 독일군을 포위했다. 2월 17일까지 바투틴과 코네프의 병력은 코르순-체르카시 포위망을 제거했지만, 포위된 병력의 상당수는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1943년 10월, 보로네시 전선은 제1우크라이나 전선으로 개칭되었다.

5. 사망

1944년 2월 28일, 니콜라이 바투틴은 새로운 작전을 위해 재편성하던 중, 우크라이나 봉기군(UPA)의 매복 공격을 받았다.[6] 그는 이 공격으로 중상을 입었고, 6주 후 키예프의 병원에서 부상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사망했다.[6] 바투틴의 장례는 키예프에서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게오르기 주코프가 그의 뒤를 이었다.

바투틴은 키예프의 마리인스키 공원에 있는 우크라이나 의회 근처에 안장되었다.[8][9][10] 1948년 그의 매장지에는 예브게니 부체티치가 설계한 니콜라이 바투틴 기념비가 세워졌다.[11][12] 키예프 시립 행정부는 2023년 2월 9일 바투틴 기념비를 철거했다.[8][13]

6. 평가 및 유산

바투틴은 타격 부대 운용과 전차 군단을 전선 기동 집단으로 운용하는 데 능숙하여, 신속하게 적 방어를 돌파하고 추격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역습, 포위, 섬멸, 심도 계단식 방어의 이론과 실천 발전에 기여했다.[17]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레닌 훈장, 적기 훈장, 1등급 수보로프 훈장을 수여받았다.

6. 1. 긍정적 평가

바투틴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소련군의 주요 지휘관 중 한 명으로, 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르스크 전투, 키예프 등 주요 전투에서 뛰어난 전략 및 전술적 능력을 발휘했다.[17] 특히, 기동전을 중시하고 적의 허를 찌르는 과감한 공격을 통해 전세를 유리하게 이끌었다.

쿠르스크 전투에서 바투틴은 만슈타인의 강력한 기갑 돌격대를 목표 지점에 훨씬 못 미치는 곳에서 저지하고, 그 후 반격으로 독일 전선을 무너뜨렸다.[17] 바투틴은 기동전을 펼쳐 만슈타인을 벨고로드에서 기습하고 키예프에서 그를 완전히 능가했다.[17] 코르순 공세에서 바투틴은 덧없는 기회를 이용하여 큰 유연성을 보여주었고, 그 결과 그의 기갑부대가 독일군 2개 군단을 포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7]

그의 적군 전략 기획, 작전 및 전술 기법에 대한 영향력은 사후에도 계속되었다.[17] 냉전 이후 독일 중심적인 동부 전선 분석이 감소하면서 바투틴은 서구 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의 가장 창의적인 지휘관 중 한 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17]

바투틴은 타격 부대 운용에 능숙하여 전차 군단을 전선 기동 집단으로 운용함으로써 신속한 적 방어 돌파와 그 이후 추격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역습, 포위, 섬멸, 심도 계단식 방어의 이론과 실천 발전에 기여했다.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레닌 훈장, 적기 훈장, 1등급 수보로프 훈장을 수여받았다.

6. 2. 부정적 평가 및 논란

바투틴은 스탈린 체제 하에서 활동한 인물로, 그의 업적이 스탈린의 독재와 억압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18] 특히 우크라이나에서는 바투틴이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세력과 충돌하고, 소련의 지배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우크라이나 반란군(UPA)은 바투틴을 공격한 주체로 알려져 있다. 체카(Chekism)의 기록에 따르면, UPA 부대의 전직 사령관 페디르 보로베츠는 바투틴에 대한 공격이 데르카치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리브네 지역 오스트로프스키 군 미할키프치와 시안치 마을에서 UPA 보안국 부대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진술했다. 다른 UPA 베테랑 예브헨 바시욱은 프리막의 지휘 아래 30명의 분견대가 장군의 경호원과의 충돌에 참여했다고 증언했다.[7]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바투틴은 탈공산화 및 탈러시아화 정책의 대상이 되었다. 1948년 그의 매장지에 세워졌던 니콜라이 바투틴 기념비는 2023년 2월 9일 키이프 시립 행정부에 의해 철거되었다.[8][13] 2017년 6월에는 키이프 시의회가 바투틴 장군 애비뉴를 로만 슈케비치 애비뉴로 변경했다.[14][15] 슈케비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과 싸운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 지도자였다.[16] 2023년 4월, 폴타바 시의회는 도시에 있는 바투틴 기념비를 철거하기로 결정했다.[21]

2023년 2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바투티네 마을은 발레리이 잘루즈니의 이름을 따서 잘루즈네로 개명될 예정이다.[19] 2023년 11월 11일, 우크라이나 내각은 바투틴 묘의 기념비 지위를 박탈하여 2023년 러시아화 해체 법률을 준수하였다.[20]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웹사이트 Герой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Ватутин 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 :: Герои страны http://www.warheroes[...] 2016-05-16
[5] 서적 Panzer Operations: The Eastern Front Memoir of General Raus, 1941–1945 Da Capo Press
[6] 서적 Летчики и космонавты М
[7] 간행물 Как погиб генерал Ватутин
[8] 웹사이트 Minkult allowed the dismantling of monuments to Chkalov and Vatutin in Kyiv: the first is already being demolished https://www.pravda.c[...] 2023-02-08
[9] 웹사이트 Monument to General Vatutin continue to stand outside the building in Kyiv, Rada http://m.ria.ru/worl[...] 2016-06-30
[10] 웹사이트 Vatutin's monument in Kyiv: to be or not to be a monument to a Soviet general? https://www.radiosvo[...] 2020-05-09
[11] 웹사이트 Vatutina's grandson: if you carry the grave from Kyiv, then with military honors https://www.radiosvo[...] 2020-05-09
[12] 웹사이트 Minkultura recommends that Kyiv dismantle the Vatutin monument near the Verkhovna Rada https://www.pravda.c[...] 2023-01-27
[13] 웹사이트 Mariinsky Park without Vatutin. The monument to the Soviet general was finally demolished https://life.pravda.[...] 2023-02-09
[14] 뉴스 Kyiv's General Vatutin Avenue renamed Roman Shukhevych Avenue https://www.kyivpost[...] 2017-06-01
[15] 뉴스 Court leaves avenues named after Bandera, Shukhevych in Kyiv https://www.kyivpost[...] 2019-12-09
[16] 논문 The Cult of Roman Shukhevych in Ukraine: Myth Making with Complications http://portal.resear[...] 2016
[17] 서적 Erich von Manstein: leadership, strategy conflict https://www.worldcat[...] Osprey Publishing 2010
[18] 웹사이트 Vatutin's monument in Kyiv: to be or not to be a monument to a Soviet general? https://www.radiosvo[...] 2020-05-09
[19] 뉴스 Ukrainian village renamed after top general fighting Russia https://www.reuters.[...]
[20] 웹사이트 The government has adopted a decision that removes the protection status from a number of monuments of the Soviet and imperial era https://www.istpravd[...] Istorychna Pravda 2023-11-11
[21] 웹사이트 Poltava decided to demolish monuments to two Soviet generals and Pushkin https://www.pravda.c[...] 2023-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