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이 야폰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야폰스키는 러시아 제국 출신의 정교회 사제로, 일본에서 선교 활동을 펼쳤다. 그는 1861년 일본에 도착하여 불교를 연구하고, 일본 정교회 신자들을 양성하며 일본 문화와 관습을 존중하는 선교 방식을 통해 일본 정교회 발전에 기여했다. 성경과 전례서를 일본어로 번역하고, 신학교를 설립하는 등 일본인 성직자 양성에도 힘썼다. 러일 전쟁 중에는 일본 정교회 신자들을 지지하고 러시아 전쟁 포로들을 위한 구호 활동을 펼쳤으며, 일본 정교회의 첫 번째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그의 일기는 2004년 출판되었으며, 일본 불교에 대한 연구 저서를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정교회 - 지바 다쿠사부로
    일본의 자유 민권 운동가이자 사상가인 지바 다쿠사부로는 센다이 번사 출신으로 보신 전쟁에 참전한 후 다양한 사상을 탐구하며 자유 민권 운동에 참여, 이쓰카이치 헌법 초안 작성에 기여했고 사후 그의 '왕도론'이 재조명받아 일본 자유 민권 운동의 사상적 토대를 제공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일본 정교회 - 오이 겐타로 (정치인)
    오이 겐타로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인, 자유 민권 운동가, 변호사로서 자유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했고 일본노동협회와 소작조례조사회를 설립하여 사회 운동에도 참여했으며 남양 진출을 주장하기도 했다.
  • 러시아의 러일 전쟁 관련자 - 세르게이 비테
    세르게이 율리예비치 비테는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이자 총리로서 러시아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으며, 시베리아 횡단철도 건설, 금본위제 도입, 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혁명 당시 개혁 촉구 등 격동기 러시아 정치·경제 상황에 깊숙이 관여한 인물이다.
  • 러시아의 러일 전쟁 관련자 - 게오르기 가폰
    게오르기 가폰은 러시아 제국의 사제이자 노동 운동 지도자로,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당시 노동자들의 행진을 이끌었으며 사회혁명당과 연대했으나 암살당했고, 그의 활동과 자서전은 러시아 혁명과 당시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니콜라이 야폰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 니콜라이
존경동방 정교회
칭호사도 대등자, 일본 대주교
출생 이름이반 드미트리예비치 카사트킨
출생지러시아 제국, 스몰렌스크
사망1912년 2월 16일
사망지일본 제국, 도쿄 시
축일2월 3일, 2월 16일 (구 양식)
주요 성지도쿄 부활 대성당, 야나카 묘지 (불후체)
시성1970년
시성 장소일본, 도쿄
인물 정보
일본어 이름ニコライ (일본의 아사도대주교 성 니콜라이)
러시아어 표기(일본의 니콜라이)
직함
직업주교, 사도 대등자

2. 초기 생애

니콜라이는 러시아 제국 스몰렌스크 현에서 러시아 정교회 부제인 드미트리 카사트킨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그가 다섯 살 때 사망했다.[1] 185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신학원에 입학했다.[1]

1860년 6월 24일, 신학원 원장 넥타리우스 나데즈딘 주교에 의해 니콜라이라는 이름으로 삭발례를 받았다.[1] 같은 해 7월 29일 부제로 서품되었고,[1] 다음 날, 신학원 교회 제단 축일(율리우스력에 따른 성 열두 사도의 축일)에 사제로 서품되었다.[1] 재학 중, 바실리 골로브닌이 저술한 『일본 억류기』를 읽고 일본으로의 도항과 전도에 이끌린 니콜라이는, 재일본 러시아 영사관 부속 예배당 사제 모집에 지원하여 그 직책을 맡게 되었다.[3]

미라의 성 니콜라이는 동방 정교회에서 중시되는 성인이며, 성명 (세례명)·수도명으로 자주 사용되는데, 니콜라이도 기적자 성 니콜라이를 수호성인으로 하여 "니콜라이"라는 수도명을 받았다.[4]

3. 일본 선교

1861년, 니콜라이는 일본 홋카이도 하코다테 주재 러시아 영사관 예배당 소속 사제로 일본에 첫 발을 디뎠다. 신학교 시절 일본 선교에 대한 열망을 품고 자원한 그는 일본에 도착한 후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깊이 연구했으며, 특히 처음 8년간 불교를 공부하며 일본인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자 노력했다.[5]

사와베 타쿠마를 비롯한 초기 일본인 개종자들을 얻었으며, 이들은 이후 일본 정교회 성직자가 되었다. 사와베 타쿠마는 원래 니콜라이를 살해하려 했으나, 그의 인품에 감화되어 기독교로 개종하고 최초의 일본인 정교회 사제 중 한 명이 되었다.

1870년, 대주교로 승품된 니콜라이는 도쿄로 이동하여 본격적인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간다 스루가다이에 부지를 마련하고, 이곳을 일본 정교회 대주교 관할구로 삼았다. 그의 지도 아래 1870년까지 정교회 신자는 4,000명 이상으로 늘어났고, 1912년에는 약 33,000명, 266개의 정교회 공동체가 존재했다.

니콜라이는 1880년 3월 30일 레벨 주교로 축성되었지만, 리가 대교구의 보좌 주교였음에도 레벨을 방문하지 않았다. 그는 "주교 니콜라이(Episcop (Bishop) Nicholai)"로 서명하는 습관을 들였다.[6] 1891년 도쿄 부활 대성당 축성식을 주재했으며, 1907년 일본 전역의 대주교로 승격되었다.

3. 1. 선교 방식과 업적

니콜라이는 일본 문화와 관습을 존중하며 현지인 중심의 선교 활동을 펼쳤다.[5] 일본에 도착한 후 일본어를 빠르게 습득했고, 처음 8년 동안은 불교를 공부하며 일본의 역사, 종교, 일본인의 정신을 연구하는 데 힘썼다.[5] 메이지 천황도 그의 인품과 외교적 노력에 감명받았다.

니콜라이는 일본인 사제부제를 양성하는 데 힘썼다. 최초의 일본인 사제는 그를 죽이러 왔다가 개종한 전직 사무라이이자 신토 신관인 사와베 타쿠마였다.[5] 1875년에는 사와베 타쿠마를 사제로, 사카이 아츠레이를 부제로 세우기로 결정하고, 동부 시베리아의 주교 파벨을 초빙하여 하코다테에서 신품 회의를 열어 최초의 일본인 사제를 서임했다.[14] 이처럼 니콜라이를 중심으로 일본인 성직자 집단이 형성되었다.

또한, 정교 신학교를 설립하여 일본인 성직자 양성에 힘썼으며, 니콜라이가 직접 책임을 맡았다.[14] 1882년에 신학교 제1기생이 졸업하자,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신학 대학 및 키예프 신학 대학에 유학생을 파견했다.

성경과 전례서를 일본어로 번역하여 일본 정교회의 전례 확립에 크게 기여했다. 오사카에서 ''간분'' 사립 학교인 개도관을 운영한 일본인 기독교 학자 나카이 쓰구마로 (카이토쿠도의 나카이 토쿠마로)등의 도움을 받아[7] 신약 전체와 시편, 창세기의 대부분, 그리고 이사야서를 포함한 많은 부분을 번역했다.[7] 그의 번역은 현재도 일본 정교회의 전례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콘 화가를 양성하고, 교회 성가를 도입하는 등 일본 문화에 맞는 정교회 신앙을 정착시키려 노력했다. 1880년 야마시타 린이라는 여성을 상트페테르부르크 여자 수도원에 유학 보내 이콘을 공부하게 했고, 귀국 후 그녀는 평생 성상 화가로 활약했다.[8] 교회 성가를 좋아했던 니콜라이는 이 예술을 일본에 소개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8]

4. 러일 전쟁과 니콜라이

러일 전쟁(1904~1905년) 발발 당시 니콜라이는 일본에 머물렀다. 조국 러시아에 대한 사랑과 일본 정교회 주교로서의 의무 사이에서 갈등했지만, 그는 일본에 남아 일본 신자들과 러시아 전쟁 포로들을 위해 헌신했다. 니콜라이는 전쟁 기간 동안 공적인 예배에 참여하는 대신, 일본 신자들에게 일본군을 위해 기도하고 기여하도록 격려했다.[1]

러시아로 돌아가라는 권유에도 불구하고, 니콜라이는 일본에 남아 러시아 전쟁 포로들을 위한 구호 활동에 힘썼다. 특히 오사카 하마데라 수용소의 러시아 병사들 대부분이 글을 읽지 못한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표하며, 이들을 위한 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였다.[1]

니콜라이는 포로들을 교육하고 돌보기 위해 사제와 교사를 수용소로 파견했다. 그의 이러한 헌신적인 태도는 정교회 신자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1]

5. 말년과 유산

1970년, 러시아 정교회는 니콜라이를 "일본의 아사도·대주교·니콜라이", 일본 정교회의 수호 성인으로 성인으로 추대했다. 이때 일본 교회는 성 자율 교회가 되었다.[20][21][22][23][24][11] 니콜라이는 일본 정교회의 첫 번째 성인이었다. 그는 사망 후 도쿄도 야나카 묘지에 안장되었다. 야나카 묘지 개수 공사 중 관을 열자 불멸체가 발견되었다. 니콜라이의 불멸체는 야나카 묘지 외에도 니콜라이 당(대퇴부), 하코다테 하리스토스 정교회 등에 모셔져 신자들의 숭경 대상이 되고 있다. 성인 추대 이후 '''일본의 아사도 성 니콜라이''', '''성 니콜라이 대주교'''로 불린다. 기념일(축일)은 2월 16일(니콜라이제)이다.

1974년 군마현 마에바시시에 그를 기념하는 교회가 건립되었다. 모스크바에도 일본의 성 니콜라이에게 헌정된 동방 정교회가 있다.

매체에서 니콜라이가 "러시아 정교를 전파했다"는 표현이 보이는데, "러시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는 1448년에 성립된 독립 정교회의 조직 명칭이며, 교회의 이름이 아니다. "정교를 전파했다"가 올바른 표현이다. 니콜라이는 "(조직으로서의) 러시아 정교회에 소속되어 있었다"라고 말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정교를 전파"했으며, "러시아 정교회"라는 "조직"을 전파한 것은 아니다.

정교회는 한 국가에 하나의 교회 조직을 갖는 것이 원칙이며, 각지에 정교회 조직이 있다(러시아 정교회 외 그리스 정교회, 그루지야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 일본 정교회 등). 이들 각 국가별 정교회는 교의상 다른 점이 없으며, 상호 교회는 풀 커뮤니온 관계에 있고, 같은 신앙을 가지고 있다.[25]

6. 평가

니콜라이는 일본 정교회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일본 선교와 문화 이해에 헌신했으며, 그의 번역 작업과 선교 방식은 일본 정교회 신앙의 토대가 되었다.

러일 전쟁 당시 니콜라이는 일본에 머물면서 조국 러시아에 대한 사랑과 일본 주교로서의 의무 사이에서 갈등했다. 그는 공적인 예배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일본 신자들이 일본군을 위해 기도하고 기여하도록 격려했다. 또한 러시아 전쟁 포로들을 위해 헌신적으로 봉사하며, 오사카 하마데라 수용소의 러시아 병사들의 문맹률에 놀라움을 표하기도 했다.[20][21][22][23][24][11]

니콜라이는 포로들을 교육하고 돌보기 위해 사제와 교사를 수용소로 보냈으며, 그의 태도는 정교회 신자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일부 매체에서 니콜라이가 "러시아 정교를 전파했다"고 표현하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러시아 정교회"는 1448년에 성립된 독립 정교회의 조직 명칭이며, 교회의 이름이 아니다. 따라서 "정교를 전파했다"가 올바른 표현이다. 니콜라이는 (조직으로서의) 러시아 정교회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정교"를 전파했으며, "러시아 정교회"라는 "조직"을 전파한 것은 아니다.[20][21][22][23][24][11]

정교회는 한 국가에 하나의 교회 조직을 갖는 것이 원칙이며, 그리스 정교회, 그루지야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 일본 정교회 등 각지에 정교회 조직이 있다. 이들 각 국가별 정교회는 교리상 다른 점이 없으며, 서로 풀 커뮤니온 관계에 있으며, 같은 신앙을 공유한다.[25]

7. 니콜라이 기념

일본 정교회의 첫 번째 성인이었던 니콜라이를 기념하는 교회·성당이 세계 각지에 있다.[26][27]


  • 마에바시 하리스토스 정교회 아사도 대주교 성 니콜라이 성당 (일본 정교회)[26][27]
  • 아사도 성 니콜라이 기념 성당 (일본 정교회, 도쿄 부활 대성당(니콜라이당) 남쪽)
  • 일본 성 니콜라이 집회 (St. Nicholas of Japan Mission, 미국 정교회·캘리포니아)[28]
  • 일본 성 니콜라이 정교회 (The Orthodox Church of St Nicholas of Japan,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남아프리카 공화국·요하네스버그)[29]
  • 일본 성 니콜라이 교회 (Церковь св.Николая Японского в Мирном|쩨르꼬비 스뱌또보 니꼴라야 야뽄스꼬보 브 미르놈ru, 러시아 정교회, 트베리주·올레닌스키 지구·미르니)[30]

8. 저술

니콜라이는 수년간 러시아어로 일기를 썼는데, 초기 일본 정교회 목회 생활, 메이지 시대 일본에 대한 그의 생각과 관찰을 기록했다. 그의 일기는 1923년 관동 대지진 때 불타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지만, 러시아 문학 연구가 나카무라 겐노스케에 의해 재발견되어 2004년 ''Dnevniki Sviatogo Nikolaia Iaponskogoru''(5권, 상트페테르부르크: 기페리온, 2004)로 출판되었다. 나카무라는 일기 전체를 일본어로 번역하여 2007년에 해설과 함께 출판했다.[9]

니콜라이는 1869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기독교 선교의 관점에서 본 일본"에서 일본의 불교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제공했다. 이는 러시아어 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일본의 불교에 대한 최초의 설명이었다.[5] 그의 일기는 나카무라 겐노스케에 의해 발견되어, 러시아어 원문판은 2004년에 간행되었고(''Дневники святителя Николая Японскогоru'' (''Dnevniki Sviatogo Nikolaia Iaponskogo''), 5권. 상트페테르부르크: Giperion, 2004), 주석을 더한 일본어 완역은 2007년에 간행되었다(『선교사 니콜라이의 전 일기』교분관, 전 9권).

참조

[1] 웹사이트 Равноапостольный Николай (Касаткин), архиепископ Японский https://azbyka.ru/da[...] 2021-06-27
[2] 문서 '"Святый Николае, иерарше равноапостольне... молися о всем мире", Pravoslavie.RU, February 2007, in Russian'
[3] 웹사이트 Храм Двенадцати апостолов в историческом здани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ой духовной академии https://spbda.ru/abo[...]
[4] 웹사이트 St. Nicholas, Equal of the Apostles and Archbishop of Japan https://oca.org/sain[...]
[5] 웹사이트 St. Nicholas of Japan on Buddhism https://blog.obitel-[...] 2020-02-15
[6] 간행물 小野貞治「聖アンドロニク主教来日百周年」、『西日本正教』、2007年
[7] 문서 'Orthodox translation of Gospel into Japanese, Pravostok Orthodox Portal, October 2006'
[8] 문서 'St. Nikolai of Japan and Japanese church singing, by Maria J. Matsushima, The Orthodox Church Singing in Japan web-site'
[9] 서적 『宣教師ニコライの全日記』(教文館、全9巻)
[10] 문서 正教会の信者でない者からは「大司教ニコライ」と表記されることもあるが、正教会の用語としては「[[司教]]」「[[大司教]]」の語が用いられることはなく、常に「[[主教]]」「[[大主教]]」と呼称される。
[11] 웹사이트 亜使徒:聖ニコライは何を伝え、何をなさったのか http://kliment.cocol[...]
[12] 서적 [[牛丸康夫]]『日本正教史』22頁、[[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教団府主教庁 (1978/05) ASIN B000J8IFP0
[13] 서적 [[長縄光男]]『ニコライ堂遺聞』143頁 - 144頁、[[成文社]] (2007/04) ISBN 9784915730573。ニコライによる日記が引用されている。当時、正教会が「ロシアの神を信じることは祖国を裏切ることになるのでは」と論争をしかけられていた地方信者の話や、[[カトリック教会|カトリック]]や[[プロテスタント]]の他教派の宣教師から「[[正教徒]]になることはロシア人になること」と中傷されていたことが記されている。
[14] 웹사이트 浦野大蔵(立三) http://uranoke.html.[...]
[15] 논문 八戸におけるハリストス正教会の宣教と源晟 http://id.nii.ac.jp/[...] 八戸学院大学 2015-03
[16] 문서 高橋2003年、73頁
[17] 문서 この洗礼は、[[太政官 (明治時代)|]]諜者により政府に報告されたが、弾圧をされなかった。
[18] 웹사이트 日露交渉史話 https://dl.ndl.go.jp[...] 筑摩書房 1944
[19] 웹사이트 『窓』(58),ナウカ,「宣教師ニコライの日記」 第一回 / 中村健之介/p26~34,1986-09.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 문서 出典とする各種教会サイト、教会関係者による記事においても、「正教伝道」「正教を伝道」「正教を伝えた」などとなっており、「ロシア正教を伝道した」「ロシア正教を伝えた」とは書かれて居ない。
[21] 웹사이트 聖ニコライの渡来: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www.orthodoxj[...]
[22] 웹사이트 宣教と初穂: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www.orthodoxj[...]
[23] 웹사이트 上京と教勢拡張: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www.orthodoxj[...]
[24] 웹사이트 亜使徒聖ニコライ祭 説教 1997年2月16日 名古屋教会 http://www.orthodox-[...]
[25] 웹사이트 OCA - Q&A - Greek Orthodox and Russian Orthodox http://oca.org/quest[...]
[26] 웹사이트 前橋ハリストス正教会・亜使徒大主教聖ニコライ聖堂 http://www.orthodoxj[...]
[27] 웹사이트 前橋ハリストス正教会 http://www8.plala.or[...]
[28] 웹사이트 St. Nicholas of Japan Mission http://www.oca.org/D[...]
[29] 웹사이트 The Orthodox Church of St Nicholas of Japan http://netministries[...]
[30] 웹사이트 Бельщина-2010, часть I. По следам Ваньки-ротного. http://uchazdneg.liv[...]
[31] 웹인용 ニコライの日記献呈式 http://blog.canpan.i[...] 日本財団ブログ・マガジン 2019-08-27
[32] 웹인용 ロシア正教会、日本財団会長に勲位贈呈 聖ニコライの日記出版で https://www.christia[...]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9-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