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우가바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우가바강은 "큰 물"을 뜻하는 고대 발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러시아 발다이 구릉에서 발원하여 벨라루스와 라트비아를 거쳐 리가만에서 발트해로 흘러드는 강이다. 총 유역 면적은 87,900 km2이며, 수력 발전을 위한 댐 3개가 건설되어 있다. 다우가바강은 바이킹 시대부터 중요한 무역로였으며, 현재는 벨라루스와 라트비아의 여러 도시를 통과하며, 수질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벨라루스 국경 -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는 2021년부터 벨라루스와 EU 회원국 국경에서 발생한 이주민 유입 사태로, 벨라루스 정부가 서방 제재에 대한 보복으로 이주민의 EU 국경 통과를 묵인·조장했다는 의혹 속에 인권 문제, 정치적 갈등,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어 EU가 추가 제재 및 국경 관리를 강화하며 대응하고 있다.
  • 라트비아의 강 - 리엘루페강
    리엘루페 강은 라트비아의 바우스카 근처에서 시작되어 발트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넓고 완만한 곡류를 이루며 약 100km 구간까지 항해가 가능하고, 리가와 유르말라 등 주요 도시들이 위치해 있다.
  • 라트비아의 강 - 무샤강
  • 트베리주의 강 - 볼가강
    볼가강은 유럽에서 가장 긴 강이자 러시아의 주요 수계로서, 다양한 민족의 역사와 풍부한 자원을 품고 있으며, 소련 시대 댐 건설로 수력 발전과 수운이 발달했지만 환경 오염이라는 문제도 안고 있는 러시아의 중요한 상징이다.
  • 트베리주의 강 - 메자강
다우가바강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우가바강의 유역
다우가바강의 유역
다른 이름서드비나강
로마자 표기Daugava (다우가바)
러시아어Западная Двина (자파드나야 드비나)
벨라루스어Заходняя Дзвіна (자호드냐야 드비나)
라트비아어Daugava (다우가바)
리보니아어Vēna (베나)
리투아니아어Dauguva (다우구바)
에스토니아어Väina (배이나)
독일어Düna (뒤나)
폴란드어Dźwina (드비나)
어원라틴어 Duna (두나)에서 유래
위치벨라루스, 라트비아, 러시아
도시비텝스크, 폴로츠크, 다우가프필스, 리가
발원지발다이 구릉
발원지 위치러시아 트베리 주페노프스키 군
발원지 좌표56.871° N 32.529° E
발원지 고도221m
하구리가 만
하구 위치리가, 라트비아
하구 좌표57° 3′ 42″ N, 24° 1′ 50″ E
하구 고도0m
길이1020km
평균 유량678m³/s
유역 면적87900km²

2. 이름의 유래

라트비아어 이름 다우가바(Daugava)는 "큰 물"을 뜻하는 고대 발트어 단어인 "daudz ūdens"에서 따 왔다는 주장이 있다. 다우가바강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들인 Dyna – Двина – Дзьвіна – Dźwina -Düna – Dvina 등은 "바다로 가는 길"을 뜻하는 핀란드식 이름 Vīna-Väinä에서 왔다는 주장이 있다. 바이킹 족의 사가 및 원초 연대기에 이 강이 등장한다.[4]

막스 바스머의 『어원 사전』에 따르면, 지명 드비나(Dvina)는 우랄어족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없다. 대신, '강' 또는 '개울'을 의미했던 인도유럽어족 단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4] "드비나(Dvina)"라는 이름은 '큰 강'을 의미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dānu"에서 파생된 "다뉴비우스(Danuvius)"와 매우 유사하다.[4]

핀 우그리아어족 계통의 이름과 관련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다우가바 강은 라트비아 리가를 통과한다.

3. 지리

다우가바강의 총 유역 면적은 87,900 km2이며, 이 중 33,150 km2가 벨라루스에 위치해 있다.[1]

다우가바 강의 유역.


다우가바강은 러시아발다이 구릉에서 발원하여 벨라루스라트비아를 거쳐 리가만에서 발트해로 흘러든다. 운하를 통해 베레지나강과 드네프르강과 연결되어 있다.

다우가바강 유로에는 수력 발전을 위한 댐 3개가 존재한다. 리가 수력 발전소(HES)는 하구에서 35km 떨어진 리가 시내에 있다. 케굼스 수력 발전소(HES)는 거기에서 35km 더 떨어진 곳(하구에서 70km)에 있으며, 프라비누 HES는 거기에서 37km 더 떨어진 곳(하구에서 107km)에 있다. 네 번째 댐인 다우가프필스 HES도 계획되어 있지만, 강한 비판에 직면해 있다. 벨라루스 국내에서도 자국 내에 댐을 건설하는 계획이 존재한다.

다우가바강으로 흘러드는 지류는 다음과 같다(발원지에서 하구 방향).

  • 좌안: 메자, 카스플리, 디스나, 라우체사, 베레자우카, 에글로나, 피크스테레, 네가
  • 우안: 우스뱌차, 팔라타, 드르사, 두브나, 아이비에크스테, 페르세, 디바야, 오거


하류부터 기재할 경우, 지스나 강, 파라타 강, 카스플랴 강, 토로파 강 등이 있다.

3. 1. 지류

다우가바강으로 흘러드는 지류는 다음과 같다(발원지에서 하구 방향).

  • 좌안: 메자, 카스플리, 디스나, 라우체사, 베레자우카, 에글로나, 피크스테레, 네가
  • 우안: 우스뱌차, 팔라타, 드르사, 두브나, 아이비에크스테, 페르세, 디바야, 오거


하류부터 기재할 경우, 지스나 강, 파라타 강, 카스플랴 강, 토로파 강 등이 있다.

4. 역사

인류는 수천 년 동안 다우가바강 어귀와 리가만 연안에 정착하여 수렵 채집 경제에 참여했으며, 다우가바강 하구의 물을 어업과 채집에 활용했다. 서기 6세기경부터 바이킹 탐험가들이 발트해를 건너 다우가바강으로 들어와 강을 거슬러 올라가 발트해 내륙으로 진입했다.[5]

스웨덴군이 라트비아의 다우가바강 하구에 있는 뒤나뮌데 요새를 포격하고 있다.


중세 시대에 다우가바강은 바랑기아에서 그리스로 가는 무역로의 일부였으며, 북쪽에서 모피를 운송하고 남쪽에서 동로마 제국의 은을 운송하는 중요한 경로였다. 핀어군을 사용하는 리보니아인이 거주하는 리가 지역은 늦어도 중세 시대부터 다우가바강 하구의 정착지이자 방어의 핵심 지점이 되었는데, 이는 현재 리가 서쪽 강둑의 토르냐칼른스에 있는 파괴된 요새에서 증명된다.

리보니아 전쟁 말부터 다우가바강의 상당 부분이 쿠를란트와 세미갈리아 공국의 북동쪽 경계를 형성하여 처음에는 리보니아 왕국, 나중에는 스웨덴령 리보니아 및 리가 현과 분리되었다. 이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된 후 강은 서쪽 강둑의 쿠를란트 현, 동쪽 강둑의 리보니아 현 및 비테프스크 현 사이의 경계를 형성했다.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케굼스 수력 발전소가 라트비아의 다우가바강에 건설되었다. 플랴비니 수력 발전소는 1968년에 가동되었고 리가 수력 발전소는 1974년에 가동되었다.

5. 수력 발전

다우가바강 유로에는 수력 발전을 위한 댐 3개가 존재한다. 리가 수력 발전소(HES)는 하구에서 35km 떨어진 리가 시내에 있다. 케굼스 수력 발전소(HES)는 거기에서 35km 더 떨어진 곳(하구에서 70km)에 있으며, 프라비누 HES는 거기에서 37km 더 떨어진 곳(하구에서 107km)에 있다. 네 번째 댐인 다우가프필스 HES도 계획되어 있지만, 강한 비판에 직면해 있다. 벨라루스 국내에서도 자국 내에 댐을 건설하는 계획이 존재한다.

6. 환경

리가 항구의 다우가바강 사진
다우가바강의 리가 항구


다우가바강은 집단 농업(상당한 수질 오염 유출을 발생시킴)과 수력 발전 사업으로 인해 소련 시대에 환경 악화가 시작되었다.[6] 이 강은 불라강이 흘러 들어가는 강이다.

예카브필스 라트비아 마을 상류의 강의 pH는 약 7.8(약간 알칼리성)의 특성을 보인다. 이 지역에서 이온 칼슘의 농도는 리터당 약 43밀리그램이며, 질산염은 리터당 약 0.82밀리그램, 이온 인산염은 리터당 0.038밀리그램, 산소 포화도는 80%이다. 다우가바 강의 높은 질산염과 인산염 부하는 발트해에서 광범위한 식물성 플랑크톤 생물량 축적에 기여했으며, 오데르강비스와강도 발트해의 높은 영양염 부하에 기여한다.

벨라루스에서는 다우가바 강의 수질 오염이 중간 정도 심각한 것으로 간주되며, 주요 오염원은 처리된 폐수, 양어, 농업 화학 물질 유출(제초제, 살충제, 질산염 및 인산염 등)이다.

6. 1. 수질

예카브필스 라트비아 마을 상류의 강의 pH는 약 7.8(약간 알칼리성)의 특성을 보인다. 이 지역에서 이온 칼슘의 농도는 리터당 약 43밀리그램이며, 질산염은 리터당 약 0.82밀리그램, 이온 인산염은 리터당 0.038밀리그램, 산소 포화도는 80%이다. 다우가바 강의 높은 질산염과 인산염 부하는 발트해에서 광범위한 식물성 플랑크톤 생물량 축적에 기여했으며, 오데르강비스와강도 발트해의 높은 영양염 부하에 기여한다.

벨라루스에서는 다우가바 강의 수질 오염이 중간 정도 심각한 것으로 간주되며, 주요 오염원은 처리된 폐수, 양어, 농업 화학 물질 유출(제초제, 살충제, 질산염 및 인산염 등)이다.

7. 다우가바강의 도시

리가의 다우가바강 일몰


다우가바강을 따라 건설된 도시와 마을은 다음과 같다.

7. 1. 러시아

러시아에서는 안드레아폴, 자파드나야 드비나, 벨리시를 지난다.

7. 2. 벨라루스

벨리시, 폴라츠크, 비쳅스크를 포함하여 벨라루스 내 여러 도시가 다우가바 강을 따라 위치한다. 루바, 베셴코비치, 노보폴라츠크, 디스나, 베르흐네드빈스크, 드루야 또한 다우가바 강변에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폴라츠크는 보리스 석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다.

7. 3. 라트비아

다우가바 강은 라트비아의 다우가프필스, 예캅필스, 아이스크라우클레, 오그레, 살라스필스, 리가를 지난다.

다음은 다우가바 강 주변의 라트비아 도시 목록이다.

8. 미디어

참조

[1] 웹사이트 Main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public of Belarus.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argest rivers of Belarus http://landofancesto[...] Data of the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Republic of Belarus. 2013-09-27
[2] 서적 Orbis Latinus https://daten.digita[...] Braunschweig
[3] 웹사이트 Gruberts D. "Daugava". Nacionālā enciklopēdija. https://enciklopedij[...] Nacionālā enciklopēdija 2022-08-11
[4] 웹사이트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Фасмера http://starling.rine[...]
[5]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07-06
[6] 백과사전 Daugava River http://www.eoearth.o[...] 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he Environment
[7] 서적 Towards water security in Belarus: a synthesis report https://read.oecd-il[...] 2021-06-27
[8] 웹사이트 Water Report 15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21-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