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BS 1TV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BS 1TV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의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이다. 1981년 KBS 3TV로 개국하여 교육 방송을 시작했으며, 1990년 EBS로 분리 독립했다. 2015년 채널명을 EBS 1TV로 변경했으며, 유아, 어린이, 청소년, 성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 교양,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2023년에는 UHD 방송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교육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EBS 2TV
    EBS 2TV는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교육 채널로, 초·중등 교육 콘텐츠, 교양, 다큐멘터리, 어린이 프로그램을 상업광고 없이 제공하며 한국 교육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 한국교육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네트워크 - EBS 플러스 2
    EBS 플러스 2는 1997년 EBS 위성 2TV로 개국하여 2002년 현재의 채널명으로 변경된 EBS의 교육 전문 채널로, 초·중학교 및 직업 교육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며 2024년 1월 2일부터 광고방송을 시작했다.
  • 1990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1990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TV 가나자와
    TV 가나자와는 이시카와현을 방송 구역으로 하는 니혼TV 계열의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1990년 개국하여 JTV 전주방송과 제휴 관계를 맺고 있으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니혼TV 계열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 대한민국의 수도권 지상파 방송국 - EBS 2TV
    EBS 2TV는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교육 채널로, 초·중등 교육 콘텐츠, 교양, 다큐멘터리, 어린이 프로그램을 상업광고 없이 제공하며 한국 교육 시스템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수도권 지상파 방송국 - 동양방송
    동양방송은 삼성의 투자로 개국한 라디오서울을 모태로, 라디오와 TV 방송국을 통합하여 운영되었던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사였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강제 통폐합되었다.
EBS 1TV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채널 정보
EBS 1TV 로고
로고(2018년 1월 29일 ~ 2023년 4월 2일)
개국일1990년 12월 27일
폐국일해당 없음
이전 명칭KBS 3TV (1981~1990)
EBS TV (1990~2015)
후신EBS 2TV
방송망한국교육방송공사
소유주한국교육방송공사
모기업한국교육방송공사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방송 지역대한민국 전역 및 전 세계
본사 위치161, Mokdongseo-ro, Yangcheon District, Seoul
방송국 위치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한류월드로 281
웹사이트EBS1
방송 기술
화면 형식2160p UHDTV (1080i로 다운스케일)
지상파채널 10.1 (HD)
디지털 채널KT 지니 TV, SK B tv: 13
LG U+ TV: 14
위성 채널KT스카이라이프: 3
온라인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EBS Play
실시간 시청실시간 시청

2. 역사

1981년 2월 2일, '''KBS 3TV'''로 개국했다. 개국 당시에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지 못했다.[9] 한국방송공사1981년 1월 27일 '''KBS 3TV''' 개국을 발표하고, 첫 시험 방송은 1981년 2월 2일로 예정되었다고 발표했다. 이 채널은 KBS의 모든 교육 프로그램(컬러)을 흡수하여, KBS 1TV의 중학교 프로그램과 KBS 2TV의 외국어 강좌를 넘겨받았다.[2]

1988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KBS가 주관 방송사였기 때문에 승마, 사이클과 같은 비주류 스포츠 생중계를 이 채널에서 방송했다.[5]

1990년 12월 27일 운영 주체가 변경됨에 따라 한국교육개발원 부설 교육방송(EBS)으로 분리되었고, EBS TV로 명칭을 변경하였다.[9] 1996년 3월 3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일시 중단했으나,[9] 1997년 9월 1일 재개했다.[10]

1997년 2월 27일 한국교육방송원이 설립되었다.[9] 1997년 8월 25일 EBS 위성 1TV와 EBS 위성 2TV를 개국하여 고등학교 및 중학교 대상 교과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기 시작했다.[9] 1999년 3월 1일 TV 방송 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오른쪽에 "EBS" 로고 표시를 시작했다.[9]

2000년 6월 22일, 한국교육방송원이 독립 법인 한국교육방송공사로 출범하였다.[13] 2001년 11월 5일에는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하였다. 2002년 3월 1일, EBS 위성 1TV, EBS 위성 2TV의 채널명이 각각 EBS 플러스 1, EBS 플러스 2로 변경되었다. 2007년 4월 6일에는 EBS english 채널을 개국하였다. 2008년 12월, IPTV를 통한 EBS TV 실시간 방송을 시작하였다.

2010년대 EBS는 디지털 방송 전환과 채널 확장에 주력했다. 2012년 7월 2일, 유아 및 어린이 대상 채널인 EBS u를 개국하고,[6] 수도권 지역을 마지막으로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 TV 방송으로 전면 전환했다. 2013년 10월 16일에는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주파수를 재배치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2015년 2월 11일, 중학생 대상 교육 채널인 EBS 2TV를 개국하면서 기존 채널명을 '''EBS 1TV'''로 변경했다.[6] 2018년 1월 1일에는 어린이 채널 EBS KIDS를 개국하여 유아 및 어린이 대상 서비스를 강화했다.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1학기 온라인 클래스 학교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다.[6] 2021년 7월 1일, 지상파 중간광고가 허용되었다.[7] 2022년 12월, 초고화질(UHD) 방송 장비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7] 2023년 11월 16일, EBS 1TV 초고화질(UHD) 방송을 개국했다.[7]

2. 1. KBS 3TV 시절 (1981년 ~ 1990년)

1981년 2월 2일 '''KBS 3TV'''로 개국했다. 개국 당시에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하지 못해서 TV 프로그램 시작 및 종료 시에만 알림을 송출했다.[9] 한국방송공사1981년 1월 27일 '''KBS 3TV''' 개국을 발표하고, 첫 시험 방송은 1981년 2월 2일로 예정되었다고 발표했다. 이 채널은 KBS의 모든 교육 프로그램(컬러)을 흡수하여, KBS 1TV의 중학교 프로그램과 KBS 2TV의 외국어 강좌를 넘겨받았다. 같은 날 KBS는 교육 라디오 방송국도 개국했다.[2] 평일에는 오후 5시 30분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토요일에는 오후 4시부터, 일요일에는 오후 7시부터 방송되었다.[3] 콘텐츠는 한국교육개발원[4]에서 개발했다. 1987년 3월 1일 수도권 송출 채널이 UHF 34번에서 VHF 13번으로 변경되었다.[9] 1988년 하계 올림픽 기간 동안, KBS가 주관 방송사였기 때문에 승마, 사이클과 같은 비주류 스포츠 생중계를 이 채널에서 방송했다.[5]

연도날짜내용
1981년2월 2일KBS 제3텔레비전 개국 및 컬러 방송 개시
1981년6월 2일부산 황령산 송신소 KBS 교육라디오 방송 송출 개시 (주파수 107.7㎒)
1982년4월 19일유아 프로그램 텔레비전 유치원(현. 딩동댕 유치원) 방영 시작
1987년3월 1일수도권 남산송신소 KBS3 송출 채널 UHF에서 VHF로 바뀌어 UHF 34번에서 VHF 13번으로 변경
1987년5월 11일평일 방송 시작을 오후 5시 30분에서 오후 4시 30분으로 변경
1987년5월 18일평일 방송 시작을 오후 4시 30분에서 오후 4시로 변경
1987년5월 25일평일 방송 시작을 오후 4시에서 오후 4시 30분으로 환원
1989년4월 17일TV 고교 가정학습 방송 실시


2. 2. EBS 전환 및 발전 (1990년대)

1990년 12월 27일 운영 주체가 변경됨에 따라 한국교육개발원 부설 교육방송(EBS)으로 분리되었고, EBS TV로 명칭을 변경하였다.[9] 같은 날, 《방송통신대학 TV 강좌》 방송이 시작되었다. (월요일 - 토요일 밤 11시 40분 ~ 12시 10분, 일요일 밤 10시 30분 ~ 12시).[9]

1996년 3월 3일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일시 중단했으나,[9] 1997년 9월 1일 재개했다.[10]

1997년 2월 27일 한국교육방송원이 설립되었다.[9] 1997년 8월 25일 EBS 위성 1TV와 EBS 위성 2TV를 개국하여 고등학교 및 중학교 대상 교과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출하기 시작했다.[9]

1999년 3월 1일 TV 방송 프로그램 방송 중 상단 오른쪽에 "EBS" 로고 표시를 시작했다.[9]

2. 3. 독립 법인 출범 및 성장 (2000년대)

2000년 6월 22일, 한국교육방송원이 독립 법인 한국교육방송공사로 출범하였다.[13] 2001년 11월 5일에는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하였다.

2002년 3월 1일, EBS 위성 1TV, EBS 위성 2TV의 채널명이 각각 EBS 플러스 1, EBS 플러스 2로 변경되었다.

2007년 4월 6일에는 EBS english 채널을 개국하였다.

2008년 12월, IPTV를 통한 EBS TV 실시간 방송을 시작하였다.

2. 4. 디지털 전환 및 채널 확장 (2010년대)

2010년대 EBS는 디지털 방송 전환과 채널 확장에 주력했다.

2012년 7월 2일, 유아 및 어린이 대상 채널인 EBS u를 개국했다.[6] 같은 해, 울산광역시 (8월 16일), 충청북도 (10월 2일), 경상남도 (10월 4일), 부산광역시 (10월 9일),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10월 16일), 전라북도 (10월 23일), 강원도 (10월 25일),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10월 30일),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11월 6일)를 거쳐 12월 31일 수도권 지역을 마지막으로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 TV 방송으로 전면 전환했다.

2013년 10월 16일에는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주파수를 재배치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2015년 2월 11일, 중학생 대상 교육 채널인 EBS 2TV를 개국하면서 기존 채널명을 '''EBS 1TV'''로 변경했다.[6]

2018년 1월 1일에는 어린이 채널 EBS KIDS를 개국하여 유아 및 어린이 대상 서비스를 강화했다.

2. 5. 최근 동향 (2020년대 ~ 현재)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1학기 온라인 클래스 학교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다.[6] 8월 26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확대로 2학기 온라인 수업을 진행했고, 11월 26일부터 12월 4일까지 온라인 클래스를 진행했다.

2021년 7월 1일, 지상파 중간광고가 허용되었다.[7]

2022년 12월, 초고화질(UHD) 방송 장비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7]

2023년 11월 16일, EBS 1TV 초고화질(UHD) 방송을 개국했다.[7]

3. 프로그램

EBS는 유아·어린이, 청소년, 성인 등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교양,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하고 있다.

'''성인 대상 프로그램'''

3. 1. 뉴스

EBS는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뉴스를 전달하며, 교육 관련 소식을 심층적으로 보도한다. 주요 뉴스 프로그램으로는 EBS 뉴스 12EBS 뉴스가 있다.

3. 2. 유아·어린이

딩동댕 유치원, 최고다! 호기심딱지, 모여라 딩동댕, '곰끼와 처음 수학', 자이언트 펭TV, 한글용사 아이야, '처음 타요 - 씽씽씽', 왔다! 내 손주, 탑골스타 개청이 등 유아 및 어린이의 발달 단계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창의력, 인성, 사회성 함양에 기여하고 있다.

3. 3. 청소년

EBS 1TV는 청소년들의 진로 탐색, 학습 능력 향상, 인문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지식채널e: 짧은 영상 속에 깊이 있는 지식과 정보를 담아 전달하는 프로그램이다.
  • EBS 비즈니스 리뷰: 경영, 경제, 리더십 등 비즈니스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프로그램이다.
  • 나의 두번째 교과서: 청소년들의 진로 탐색 및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서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3. 4. 성인

3. 5. 애니메이션

3. 6. 영어

EBS 1TV는 왕초보 영어를 비롯한 다양한 수준별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전 국민의 영어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4. 방송 시간

EBS 1TV는 매일 오전 5시에 방송을 시작하여 다음 날 새벽 1시에서 3시 사이에 방송을 종료한다. 요일별 방송 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01020304050607080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 방송중, ○ 방송종료(정파)


5. 참고 사항

매년 10월 9일 한글날에는 '교육방송 1'이라는 한글 채널명을 사용한다.[9] 매년 12월 31일 제야의 종 행사 시간에는 방송을 하지 않는다.

6. 네트워크

아날로그 네트워크는 2012년에 폐지되었다.[8] 폐지 당시 채널은 다음과 같았다.

지역채널
서울13
강릉, 광주19
제주20
울산, 청주21
부산23
포항26
춘천28
안동29
여수30
진주32
목포, 대전, 창원39
원주40
서울 (중계)43
대구44
전주45


참조

[1] 뉴스 文公部(문공부)보고 敎育(교육) 텔레비젼 내년초에 放映(방영) https://newslibrary.[...] The Dong-A Ilbo 1980-02-08
[2] 뉴스 KBS 제3방송국 오는2일 교육방송 https://www.mk.co.kr[...] 1981-01-27
[3] 뉴스 유아에서 성인까지 TV로공부를┈ https://www.mk.co.kr[...] 1981-01-28
[4] 뉴스 교육개발원이 만들 TV교육방송내용 https://www.mk.co.kr[...] 1981-01-31
[5] 뉴스 안방 시청자를 잡아라 https://www.mk.co.kr[...] 1988-09-17
[6] 웹사이트 EBS Brochure https://k-contentpav[...]
[7] 뉴스 비덴트, UHD 스튜디오 사업 수주 https://www.mk.co.kr[...] 2023-02-03
[8] 서적 2005 World Radio and Television Handbook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