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화 (통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중화는 여러 신호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전송로로 묶어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는 하나의 고속 전송로를 여러 개의 논리적 전송로로 분할하여 각 전송로에 신호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중화의 반대 과정은 디멀티플렉싱이며, 다중화를 수행하는 장치는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하는 장치는 디멀티플렉서라고 한다. 다중화 기술은 공간 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분할 다중화, 코드 분할 다중화, 파장 분할 다중화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통신, 텔레비전 방송, 비디오 처리, 디지털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화 - 주파수 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는 여러 신호를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여 하나의 전송 매체를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로, 스테레오 FM 방송, 아날로그 NTSC 텔레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시분할 다중화(TDM)에 비해 사용 빈도가 낮지만 특정 응용 분야에서 주파수 자원 활용을 위해 사용된다. - 다중화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다중 접속 방식으로, 낮은 전송 전력, 짧은 지연 시간, 페이딩 및 간섭에 대한 강인함, 유연한 주파수 대역 적용 등의 특징을 가지며 와이맥스, LTE, 5G NR, Wi-Fi 6 등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에 활용된다. - 디지털 라디오 - 위성 라디오
위성 라디오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S밴드와 L밴드 주파수를 사용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시리우스XM이 주요 사업자이지만, 수신 환경에 따라 지역적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디지털 라디오 - HD 라디오
HD 라디오는 미국 FCC가 채택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방식으로, AM/FM 방송에 디지털 신호를 더해 채널 확장과 음질 개선을 제공하지만, 호환성, 비용, 간섭 문제 등으로 비판받으며, 자동차와 가정용 수신기에 주로 사용되고 음질은 방송국에 따라 다르다. - 물리 계층 프로토콜 - 모뎀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장치이며, 전화선, 케이블,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하며 다양한 종류로 발전해 왔다. - 물리 계층 프로토콜 - 중계기
중계기는 전기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신호를 증폭하거나 재생성하여 통신 거리를 연장하는 장치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며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다중화 (통신) | |
---|---|
개요 | |
유형 | 통신 기술 |
목적 | 여러 신호를 하나의 공유 매체를 통해 결합하여 전송 효율성 향상 |
관련 기술 | 다중 접속 방식 매체 접근 제어 |
다중화 기술 종류 | |
아날로그 변조 | 진폭 변조 (AM) 주파수 변조 (FM) 위상 변조 (PM) 직교 진폭 변조 (QAM) 공간 변조 단측파대 변조 (SSB) |
회선 교환 (고정 대역폭) | 시분할 다중화 (TDM)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파장 분할 다중화 (WDM) 공간 분할 다중 접속 (SDMA) 편광 분할 다중화 공간 다중화 궤도 각운동량 다중화 (OAM) |
통계 다중화 (가변 대역폭) | 패킷 교환 동적 시분할 다중 접속 (Dynamic TDMA)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FHSS)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DS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FDMA)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SC-FDM) 다중 반송파 확산 스펙트럼 (MC-SS) |
추가 정보 | |
관련 기술 | 다중 접속 방식 매체 접근 제어 |
2. 다중화의 기본 원리
다중화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고속 대용량 전송로를 논리적인 여러 전송로로 분할하고, 각 논리 전송로에 전송해야 할 개별 신호나 데이터 스트림을 할당하는 것이다. 다중화된 신호군은 하나의 전송로 상에서 전송되며, 수신 측에서는 다중 분리(demultiplexing)를 통해 원래의 전송로군으로 전개된다.
2. 1. 멀티플렉서와 디멀티플렉서
다중화를 수행하는 장치를 멀티플렉서(MUX), 그 반대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를 디멀티플렉서(DEMUX)라고 부른다.역 다중화(IMUX)는 다중화와 반대 목적으로 사용된다. 원래 하나였던 데이터 스트림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이를 동시에 여러 전송로를 사용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3. 다중화 기술의 유형
다중화 기술은 크게 공간 분할 다중화(SDM),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코드 분할 다중화(CDM), 그리고 파장 분할 다중화(WDM) 등으로 나눌 수 있다.[12] 각 기술은 서로 다른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기술을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주파수 도약 스펙트럼(FHSS) 및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과 같은 코드 분할 다중화 기술: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아날로그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 무선 통신: 인접 채널 및 위성의 편파를 번갈아 사용하거나, 위상 배열과 다중 입출력 통신(MIMO) 방식을 결합하여 다중화를 수행한다.
패킷 통신처럼 비트 전송률이 변화하는 디지털 비트 스트림의 경우, 통계적 다중화를 사용하여 고정 대역폭의 전송로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패킷 통신은 비동기 시간 영역 다중화의 한 예이며, 시분할 다중화와 유사하다.
다음은 다중화 기술의 유형별 특징을 비교한 표이다.
언어 | 약칭 | 원리 | 대역 이용 효율 | 지연 시간 | 페이징 내성 | 회로 규모 | 용도 |
---|---|---|---|---|---|---|---|
비동기 시분할 다중화일본어 (Asynchronous Time-Division Multiplexing영어) (Statistical multiplexing영어) | ATDM | 다중화 장치에서 태그를 붙인 패킷으로 변환하여, 분기 장치에서 목적지로 분기. | 변동 | 변동 | 재전송 | 소 | 패킷 통신 : 프레임 릴레이・ATM (비동기 전송 모드) ・이더넷 등 |
시분할 다중화일본어 (Time Division Multiplex영어) | TDM | 시분할 고정 슬롯을 정보별로 할당 | 중 | 중 | 중 | 중 | 동기식 디지털 계층 : SDH (동기식 디지털 계층) ・PDH (준동기식 디지털 계층) |
주파수 분할 다중화일본어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영어) | FDM | 전기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정보별로 할당 | 소 | 소 | 소 | 소 | 반송 전화・아날로그 다중화 무선・위성 통신 |
파장 분할 다중화일본어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영어) | WDM | 광섬유에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 신호를 중첩 | 소 | 광학적인 것 이 필요 | 광 파장 다중 통신 | ||
공간 분할 다중화일본어 (Space Division Multiplex영어) | SDM | 복수 안테나의 지향성 차이로 공간적 다이버시티 분리·합성 | 최대 | 소 | 대 | 최대 | MIMO (다중 입출력) ・마이크로파 고정 무선 |
부호 분할 다중화일본어 (Code Division Multiplex영어) | CDM | 확산 부호를 각 정보에 할당하여 스펙트럼 확산 변조 | 대 | 대 | 대 | 대 | 이동체용 디지털 위성 방송 : 모바HO! 광 부호 분할 다중 (OCDM : Optical CDM) |
편파 분할 다중화일본어 (Polarization Division Multiplex영어) | PDM | 직교하는 편파면이나 원형 편파를 중첩 | 광 편파 분할 다중 (OPDM : Optical PDM) |
WDM/OCDM/OPDM의 조합으로 페타비트 급의 광 통신을 목표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13]
3. 1. 공간 분할 다중화 (SDM)
공간 분할 다중화(SDM)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다중화를 수행하는 방식이다.유선 통신에서는 각 채널에 별도의 전선(점대점 전기 도체)을 사용하는 방식이 공간 분할 다중화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 오디오 케이블은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에 각각 한 쌍의 전선을 사용하며, 전화 케이블도 여러 쌍의 연선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스위치 스타 네트워크, 스위치 이더넷 네트워크, 메시 네트워크 등이 공간 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한다.
무선 통신에서는 위상 배열 안테나를 형성하는 여러 안테나 소자를 사용하여 공간 분할 다중화를 달성한다. 예를 들어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및 다중 입력 단일 출력(MISO) 다중화가 있다. IEEE 802.11g 무선 라우터는 ''k''개의 안테나를 통해 각각 54 Mbit/s의 최고 비트 전송률을 가진 ''k''개의 다중화된 채널과 통신할 수 있어, 총 최고 비트 전송률을 ''k''배 증가시킨다. 서로 다른 안테나는 서로 다른 다중 경로 전파 (에코) 특성을 제공하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다중화 외에도 공간 다이버시티(페이딩에 대한 향상된 강건성) 또는 빔포밍(향상된 선택성)에도 활용될 수 있다.
3. 2.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는 여러 신호를 단일 매체로 결합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별개 주파수 범위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아날로그 기술이다. '''FDM에서 신호는 전기 신호이다.'''[3]FDM의 가장 일반적인 응용 분야 중 하나는 지상파, 이동 또는 위성 방송국 또는 케이블 TV이다. 케이블 TV 가입자 댁에는 단 하나의 케이블만 연결되지만, 서비스 제공업체는 간섭 없이 해당 케이블을 통해 여러 개의 텔레비전 채널 또는 신호를 모든 가입자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는 원하는 신호에 액세스하기 위해 적절한 주파수(채널)로 조정해야 한다.[3]
광 통신에서는 파장 분할 다중화(WDM)라는 변형 기술이 사용된다.
-- | |
구분 | 설명 |
---|---|
FDM | 전기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정보별로 할당한다.[12] |
WDM | 광섬유에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 신호를 중첩한다. |
3. 3. 시분할 다중화 (TDM)
시분할 다중화(TDM)는 공간이나 주파수 대신 시간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는 디지털 기술이다. TDM은 각 입력 스트림에서 비트 또는 바이트 그룹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수신 장치가 다른 통신 경로에 시간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게 한다.[1]예를 들어, 공항의 4개 터미널이 중앙 컴퓨터에 연결해야 할 때, 각 터미널이 2400 보로 통신하는 경우, 4개의 회선을 확보하는 대신 다중화 장치를 설치하여 9600 보 모뎀과 전용 회선을 통해 데이터 센터에 연결할 수 있다.[1] 일부 웹 프록시 서버는 여러 HTTP 트랜잭션을 동일한 TCP/IP 연결로 HTTP 파이프라이닝할 때 TDM을 사용한다.[4]
TDM은 유럽 대부분 국가의 고정 회선 전화 네트워크 백본을 제공하는 레거시 다중화 기술로, 협대역 전화 교환기에서 2 Mbit/s 음성 및 신호 포트를 제공한다. 각 2 Mbit/s TDM 포트는 CCITT7 신호 시스템의 경우 30개 또는 31개의 음성 타임 슬롯을, 고객 연결 신호 시스템의 경우 30개의 음성 채널을 제공한다.[5]
다음은 시분할 다중화 방식(TDM)과 다른 다중화 방식들을 비교한 표이다.
약칭 | 원리 | 대역 이용 효율 | 지연 시간 | 페이징 내성 | 회로 규모 | 용도 |
---|---|---|---|---|---|---|
TDM | 시분할 고정 슬롯을 정보별로 할당 | 중 | 중 | 중 | 중 | SDH (동기식 디지털 계층) ・PDH (준동기식 디지털 계층) |
3. 4. 코드 분할 다중화 (CDM)
코드 분할 다중화(CDM)는 여러 채널이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기술 방식이다. 이때 공유하는 스펙트럼 대역폭은 비트율 또는 심볼율보다 훨씬 넓다.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에는 주파수 도약 방식과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방식이 있다.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방식의 경우, 각 채널은 비트를 칩이라고 하는 채널별 고유 부호화된 펄스 시퀀스로 전송한다. 비트당 칩 수 또는 심볼당 칩 수는 확산 인자이다. 이 부호화된 전송은 일반적으로 더 큰 비트 시간 내의 칩 시간에 배치된 고유한 시간 종속 짧은 펄스 시리즈를 전송하여 수행된다. 각기 다른 코드를 가진 모든 채널은 동일한 광섬유 또는 무선 채널 또는 기타 매체로 전송될 수 있으며 비동기적으로 역다중화된다.[13]코드 분할 다중화는 다중 접속 방식인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으로 사용된다. CDMA는 휴대 전화 서비스 및 무선 네트워크 등에서 사용된다. 또한,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라는 용어는 퀄컴이 정의한 특정 CDMA 기반의 휴대 전화 시스템을 지칭하는 경우가 있다. CDMA의 또 다른 중요한 용도로는 전역 위치 결정 시스템(GPS)이 있다.[13]
CDM은 기존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13]
- 가변 대역폭이 가능하다. 이는 통계적 다중화와 동일하다.
- 넓은 대역폭은 섀넌-하틀리 정리에 따라 신호 대 잡음비가 낮아도 통신이 가능하다.
- 무선 통신에서 다중 경로 전파를 레이크 수신기로 극복할 수 있다.
일본어 | 영어 | 약칭 | 원리 | 대역 이용 효율 | 지연 시간 | 페이징 내성 | 회로 규모 | 용도 |
---|---|---|---|---|---|---|---|---|
부호 분할 다중화 | Code Division Multiplex | CDM | 확산 부호를 각 정보에 할당하여 스펙트럼 확산 변조 | 대 | 대 | 대 | 대 | 이동체용 디지털 위성 방송 : 모바HO! 광 부호 분할 다중 (OCDM : Optical CDM) |
4. 다중 접속 방식
다중화 기술은 시분할 다중화(TDM)는 시분할 다중 접속(TDMA)으로, 통계적 다중화는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CSMA)으로, 코드 분할 다중화(CDM)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으로 확장하는 등 다중 접속 방식으로 발전될 수 있다. 다중 접속 방식은 동일한 물리적 매체에 연결된 여러 송신기가 용량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코드 분할 다중화(CDM)는 각 채널이 비트를 부호화된 채널별 펄스 시퀀스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각기 다른 코드를 가진 모든 채널은 동일한 광섬유로 전송될 수 있으며 비동기적으로 역다중화될 수 있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및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또한 널리 사용되는 다중 접속 기술이다.
코드 분할 다중화 기술은 ITU에서 식별한 3세대(3G) 이동 통신을 위한 유니버설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UMTS) 표준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이라는 접근 기술로 사용된다. CDMA의 다른 중요한 용도로는 글로벌 위치 결정 시스템(GPS)가 있다.
5. 다중화의 응용 분야
다중화는 전신, 전화, 텔레비전 방송, 비디오 처리, 디지털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5. 1. 전신
초기 전신 기술은 다중화를 통해 전송 효율을 높이고자 했다. 에밀 보도는 1870년대에 여러 대의 휴즈 전신기를 사용한 시분할 다중화 시스템을 개발했다. 1874년, 토머스 에디슨은 양방향으로 동시에 4개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사중 전신을 개발했다.[1] 여러 연구자들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술을 연구했으며, 이는 전화 발명으로 이어졌다.[1]5. 2. 전화
전화 통신에서, 가입자의 가입자 회선은 일반적으로 원격 집중 장치에서 끝나는데, 여기서 해당 지역 또는 기타 유사 지역의 다른 전화 회선과 함께 다중화된다. 다중화된 신호는 고객의 회선이 실제로 갈 수 있는 거리보다 훨씬 적은 수의 전선으로 전화 교환기로 전송된다. 이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에도 마찬가지이다.최근에는 광섬유를 사용한 다중화 통신으로 전화국까지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기존(POTS)의 전화 회선을 공중 전화망에 연결할 뿐만 아니라, DSL에서 FTTH로 대체하는 데에도 관련되어 있다.[3] 통신 프로토콜로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ATM) 등이 사용된다.[3]
5. 3. 비디오 처리
비디오 편집 및 처리 시스템에서 다중화는 오디오와 비디오를 하나의 일관된 데이터 스트림으로 인터리빙하는 과정을 의미한다.[1]디지털 비디오에서, 이러한 전송 스트림은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포맷의 특징이며, 메타데이터 및 자막과 같은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1]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은 가변 비트 전송률을 가질 수 있다.[1] 이러한 전송 스트림 및/또는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멀티플렉서 또는 '''muxer'''라고 한다.[1] '''디멀서'''는 이러한 스트림 또는 컨테이너의 구성 요소를 추출하거나 별도의 처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이다.[1]
5. 4. 디지털 방송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가변 비트 전송률 데이터 스트림을 통계적 다중화를 통해 고정 비트 전송률 전송 스트림으로 다중화한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비디오 및 오디오 채널을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개의 표준 화질 텔레비전(SDTV) 프로그램(특히 DVB-T, DVB-S2, ISDB 및 ATSC-C에서) 또는 하나의 고화질 텔레비전(HDTV)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하나의 6~8MHz 너비의 TV 채널을 통해 하나의 SDTV 부가 채널을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통계적 멀티플렉서라고 한다. 이러한 시스템 중 일부에서 다중화는 MPEG 전송 스트림으로 이어진다. 최신 DVB 표준 DVB-S2 및 DVB-T2는 하나의 멀티플렉스에서 여러 개의 HDTV 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 용량을 갖추고 있다.디지털 라디오에서 멀티플렉스(앙상블이라고도 함)는 함께 그룹화된 여러 개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멀티플렉스는 오디오 및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의 스트림이다. Eureka 147, IBOC, DRM 등은 채널의 다중화를 가능하게 한다. DAB에서는 다중화가 필수적이지만(DAB에서는 이것을 ''ensemble''이라고 칭한다), IBOC 시스템에서는 완전히 생략 가능하다.[1]
6. 한국의 통신 및 방송 환경과 다중화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다중화 기술은 이러한 인프라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6. 1. 이동통신
한국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해 왔으며, 현재는 5G 이동통신에서 다중 안테나 기술과 같은 공간 분할 다중화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7.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다중화 기술
더불어민주당은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다중화 기술은 이러한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ll, pollts — synchronous I/O multiplexing
http://bxr.su/n/lib/[...]
NetBSD
1998
[2]
웹사이트
select, pselect — synchronous I/O multiplexing
http://bxr.su/n/lib/[...]
NetBSD
1994
[3]
서적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McGraw-Hill Irwin
[4]
논문
rfc2068 - HTTP/1.1
http://tools.ietf.or[...]
2010-09-23
[5]
서적
Breakthroughs in telephone technology: from Bell to smartphones
Britannica Educational
2012
[6]
간행물
Differential Cross-Polarized Wireless Communications
Scientific Research
2019-04-02
[7]
논문
Encoding many channels on the same frequency through radio vorticity: first experimental test
http://stacks.iop.or[...]
2012-01-01
[8]
뉴스
'Twisted light' carries 2.5 terabits of data per second
https://www.bbc.co.u[...]
2012-06-25
[9]
논문
The orbital angular momentum (OAM) multiplexing controversy: OAM as a subset of MIMO
2015
[10]
웹사이트
All about DAB multiplexes
https://www.radioand[...]
BBC
2018-06-17
[11]
웹사이트
Multiplexing filehandles with select() in perl
http://www.perlfect.[...]
[12]
간행물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13]
웹사이트
周波数利用効率1.6 bit/s/Hz,世界最高密度の光多重伝送に成功
http://www2.nict.go.[...]
2001-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