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마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마수리는 뱀수리아과에 속하는 중형 맹금류로, 독특한 외모와 비행 방식으로 쉽게 식별된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하며, 열린 사바나와 삼림 지대에서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며, 하루의 대부분을 비행하며 먹이를 찾거나 일광욕을 한다. 번식은 느리게 진행되며, 한 개의 알을 낳아 암컷이 주로 포란한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독살, 밀렵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취약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아프리카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뱀수리아과 - 필리핀수리
    필리핀의 국조인 필리핀수리는 짙은 갈색 깃털과 흰 머리 깃털을 가진 대형 맹금류로, 루손, 사마르, 레이테, 민다나오 등 주요 섬에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00년 기재된 새 - 긴관머리독수리
    긴관머리독수리는 긴 볏이 있는 대형 맹금류로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에 서식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절벽이나 나무에 둥지를 짓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류학적으로 독자적인 위치를 가진다.
  • 1800년 기재된 새 - 잔점배무늬수리
    잔점배무늬수리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대형 맹금류로, 짙은 갈색 깃털과 흰색 반점이 특징이며, 다양한 서식지에서 단독 생활을 하는 멸종 위기종이다.
  • 1830년 기재된 새 - 흑비둘기
    흑비둘기는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검은색 깃털을 가진 큰 비둘기 종으로, 해안가 상록 활엽수림에 살고 열매 등을 먹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남해안 등에서 발견되어 천연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 1830년 기재된 새 - 직박구리
    직박구리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몸길이 약 28cm의 회갈색 새이며, 뺨의 갈색 반점과 "히요! 히요!" 또는 "쯔이-쯔이-"와 같은 울음소리가 특징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친근한 이미지로 인간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문화적으로도 나타난다.
달마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수리목
수리과
아과뱀수리아과
달마수리속 (Terathopius)
달마수리 (T. ecaudatus)
일반 정보
학명Terathopius ecaudatus
명명자(Daudin, 1800)
이명Haliaeetus ecaudatus
Helotarsus ecaudatus
영어 이름Bateleur
한국어 이름달마수리
보전 상태
IUCNEN (멸종 위기)
참고참고
외형
[[크루거 국립공원]]의 암컷 달마수리
크루거 국립공원의 암컷
서식지
분포 지역아프리카
참고 문헌
인용된 문헌


2. 계통 분류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따르면, 달마수리뱀수리아과에 속하며, 관수리속, 필리핀수리속, 달마수리속, 뱀수리속 등과 근연 관계가 있다.[302] 특히 뱀수리속(Circaetus)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유전자 연구를 통해 뱀수리(''Circaetus gallicus'')와 단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5] 이는 사이토크롬 ''b'' 유전자의 핵산 서열을 기반으로 한다.[15]

달마수리는 깃털 패턴에서 뱀수리와 큰 차이를 보이지만, 먹이, 먹이 섭취 행동 및 번식 생물학에서 특정 유사점을 공유한다.[3] Lerner와 Mindell (2005)은 두 개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와 하나의 핵 인트론의 분자 서열을 기반으로, 달마수리가 필리핀독수리 (''Pithecophaga jefferyi'')와 예상치 못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16] 염색체 밴딩 연구 또한 달마수리가 구대륙 독수리와 비교적 최근의 유전적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17]

"''Bateleur''"라는 일반 이름은 프랑스어로 "거리 공연자"를 의미한다.[18] 한편, 학명은 "경이로운"을 의미하는 ''teras'' (그리스어), "얼굴"을 의미하는 ''ops'' (그리스어), "없이"를 의미하는 ''e'' (라틴어), "꼬리"를 의미하는 ''caudatus''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새는 프랑스 자연학자이자 탐험가인 프랑수아 르바일랑에 의해 일반 이름을 얻었다. 원래 학명은 프랑수아 마리 도댕에 의해 부여된 ''Falco ecaudatus''였으며, 이는 맹금류 간의 별개의 속이라는 개념이 나중에 고안되었기 때문이다.[19]

3. 형태

달마수리는 독특한 형태와 깃털을 지닌 새로, 개구리매류와 독수리류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다.[152][152] 목이 굵고 머리가 매우 크며, 머리에 두건을 쓴 것처럼 보인다. 콧구멍 덮개는 매우 크며, 부리는 머리에 비해 짧고 날카로우며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다.[152] 앉아 있을 때는 직립 자세를 취하며, 다리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땅에서는 키가 커 보인다. 몸의 대부분은 큰 날개에 의해 차지되며, 둘째날개깃은 약 25개로 다른 맹금류보다 많을 수 있다.[152]

머리 클로즈업


사육된 어린 흰꼬리수리


성체 암컷 흰꼬리수리는 수컷보다 날개에 회색이 더 많이 나타난다.


수컷은 둘째날개깃이 어두운 색이다


어린 새


성체의 등, 허리, 꼬리, 밑꼬리덮깃은 밤색이다.[152] 수컷은 주로 검은색이며 어깨는 회색이고, 깃털갈이 직후에는 흰색 가장자리가 나타난다.[152] 암컷은 덮깃이 회갈색이며 둘째날개깃이 회색이고 끝이 검다는 점에서 수컷과 다르다.[152] 성체의 최대 7%는 "크림형"으로, 꼬리는 밤색이지만 등은 거의 완전히 크림색에서 엷은 갈색을 띤다.[152][170] 피부는 매우 눈에 띄며, 부리와 얼굴 피부, 발은 모두 밝은 빨간색이지만, 흥분했을 때 가장 붉게 물든다. 그늘에 있을 때나 목욕할 때는 일시적으로 분홍색, 옅은 분홍색, 노란색을 띠기도 한다.[152] 부리는 끝이 검은색, 중앙은 노란색, 기부는 빨간색이며, 눈은 암갈색이다.[152]

어린 새는 성조와 형태적으로 크게 다르다. 성조보다 꼬리가 길고, 온몸이 갈색이며, 깃털은 둔한 적갈색에서 크림색으로 가장자리가 둘러싸여 있다.[152][171][172] 어린 새의 머리는 몸의 다른 부분보다 옅은 황갈색이며, 눈은 갈색, 부리는 독특한 녹청색, 발은 흰색이다.[152][171][172] 2~3세의 미성숙 개체는 어린 새와 외모가 거의 같지만, 4세가 되면 체색이 더 짙은 갈색이 되고, 수컷의 날개 무늬가 나타나 성적 이형성이 생긴다. 5세에는 깃털에 밤색 부분이 나타나고, 등과 어깨 주위는 회색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3~5세가 되면, 콧등과 발이 노란색이 되고, 그 후 탁한 분홍색이 된다. 6~7세의 어린 새는, 깃털이 검은색이 되고, 밤색 부분이 증가한다. 성숙 연령인 8세까지, 어깨는 완전히 회색이 된다.[152][173] 어린 새의 피부 색깔은, 콧등과 얼굴에서는 엷은 회청색에서 녹청색이다. 발은 녹색을 띤 흰색에서 회백색이며, 4~5세가 되면 콧등, 얼굴, 발의 색깔은 노란색이 되고, 그 후 분홍색으로 변화하여, 마지막으로 빨간색이 된다. 눈의 색깔은 성조와 비슷하지만, 약간 밝고, 더 꿀색을 띤 갈색이다. 어린 새의 부리는 주로 엷은 회청색이다.[152]

비행 시 달마수리는 길고 좁은 날개를 가진 새로, 큰 머리보다 날개가 먼저 눈에 띈다.[3][25] 날개는 기저부가 좁고, 둘째 날개깃이 넓으며, 끝부분이 뾰족하고 위로 꺾인 활 모양이다.[3] 성체의 꼬리는 매우 짧아 발이 꼬리 끝 아래로 뻗어 있어 꼬리가 거의 없는 듯한 인상을 준다.[3] 반면 어린 새는 꼬리가 더 길어 발이 꼬리 끝에서 약 5cm 짧다.[3] 성체의 날개 길이는 전체 길이의 2.9배에 달한다.[3] 성체 수컷은 위쪽이 대부분 검은색이며 밤색 등과 꼬리, 회색 앞날개를 가지고 있다. 아래쪽은 몸이 검은색이며 밤색 꼬리와 대조되고, 흰색 날개 안감과 회색 기저를 제외한 검은색 비행깃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수컷과 비슷하지만, 위쪽에 검은색 끝이 있는 회색 둘째 날개깃과 더 넓은 흰색 날개 아래쪽을 가진다.[3] 날아가는 어린 새는 날개가 더 넓고 꼬리가 더 길며, 옅은 깃털을 제외하고 거의 균일한 갈색을 띤다.[3]

3. 1. 성조

달마수리는 독특한 형태와 깃털을 지닌 새로, 개구리매류와 독수리류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다.[152][169] 목이 굵고 머리가 매우 크며, 머리에 두건을 쓴 것처럼 보인다.[152] 콧구멍 덮개는 매우 크며, 부리는 머리에 비해 짧고 날카로우며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다.[152]

성체의 등, 허리, 꼬리, 밑꼬리덮깃은 밤색이다.[152] 수컷은 주로 검은색이며 어깨는 회색이고, 깃털갈이 직후에는 흰색 가장자리가 나타난다.[152] 암컷은 덮깃이 회갈색이며 둘째날개깃이 회색이고 끝이 검다는 점에서 수컷과 다르다.[152] 성체의 최대 7%는 "크림형"으로, 꼬리는 밤색이지만 등은 거의 완전히 크림색에서 엷은 갈색을 띤다.[152][170] 피부는 매우 눈에 띄며, 부리와 얼굴 피부, 발은 모두 밝은 빨간색이지만, 흥분했을 때 가장 붉게 물든다.[152] 그늘에 있을 때나 목욕할 때는 일시적으로 분홍색, 옅은 분홍색, 노란색을 띠기도 한다.[152] 부리는 끝이 검은색, 중앙은 노란색, 기부는 빨간색이며, 눈은 암갈색이다.[152]

어린 새는 성조와 형태적으로 크게 다르며, 꼬리가 더 길고 온몸이 갈색이다.[152] 깃털은 둔한 적갈색에서 크림색으로 가장자리가 둘러싸여 있다.[152] 머리는 다른 부분보다 청백색, 황갈색이며, 눈은 갈색, 부리는 녹색을 띤 청색, 발은 흰색을 띤다.[152][171] 2-3세의 미성숙 개체는 어린 새와 외모가 거의 같지만, 4세가 되면 체색이 더 짙은 갈색이 되고, 수컷의 날개 무늬가 나타나 성적 이형성이 생긴다.[152] 5세에는 깃털에 밤색 부분이 나타나고 등과 어깨 주위는 회색으로 변하기 시작한다.[152] 3-5세가 되면 목과 발이 노란색이 되고, 그 후 탁한 분홍색이 된다.[152] 6-7세의 어린 새는 깃털이 검은색이 되고 밤색 부분이 증가한다.[152] 성숙 연령인 8세가 되면 어깨는 완전히 회색이 된다.[152][173] 어린 새의 피부색은 목과 얼굴에서는 엷은 회청색에서 녹청색이다.[152] 발은 녹색을 띤 흰색에서 회백색이며, 4-5세가 되면 노란색, 분홍색, 빨간색으로 변한다.[152] 눈은 성조와 비슷하지만 약간 밝고 꿀색을 띤 갈색이며, 부리는 주로 엷은 회청색이다.[152]

달마수리는 앉아 있을 때 직립 자세를 취하며, 다리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땅에서는 키가 커 보인다.[152] 몸의 대부분은 큰 날개에 의해 차지되며, 둘째날개깃은 약 25개로 다른 맹금류보다 많을 수 있다.[152] 비행 시에는 상당히 큰 맹금류처럼 보이며, 날개는 길고 폭이 좁으며 기부는 잘록하고 둘째날개깃은 넓고 끝은 뾰족하게 위를 향한다.[152][174] 성체의 꼬리는 매우 짧아 비행 중에는 발이 꼬리보다 앞쪽으로 뻗어 나가 꼬리가 거의 없는 듯한 인상을 준다.[152] 반대로 어린 새는 꼬리 끝이 발 끝보다 약 5cm 앞쪽에 있으며, 5년쯤 꼬리가 짧아진다.[152] 성체의 날개 길이는 전체 길이의 2.9배로 매우 크다.[152] 수컷 성조는 뒷면 대부분이 검은색, 등과 꼬리는 밤색, 앞날개는 회색이다.[152] 복면은 검은색이며 밤색 꼬리와 대조적이고, 날개 아랫면은 흰색이며 날개깃은 회색을 띤 기부의 첫째날개깃을 제외하고 검은색이다.[152] 암컷 성조는 수컷과 비슷하지만, 둘째날개깃 윗면은 회색이고 끝이 검으며, 날개 아랫면의 흰색 범위가 더 넓고 검은색은 날개 끝과 뒷 가장자리에 한정된다.[152] 비행 중인 어린 새는 날개가 더 넓고 꼬리가 길며, 큰 덮깃을 포함하여 거의 균일한 갈색이며, 머리와 날개깃에 엷은 색깔의 깃털이 있다.[152]

3. 2. 어린 새

어린 달마수리는 성조와 형태적으로 크게 다르다. 성조보다 꼬리가 길고, 온몸이 갈색이며, 깃털은 둔한 적갈색에서 크림색으로 가장자리가 둘러싸여 있다.[152][171][172] 어린 새의 머리는 몸의 다른 부분보다 옅은 황갈색이며, 눈은 갈색, 부리는 독특한 녹청색, 발은 흰색이다.[152][171][172]

2~3세의 미성숙 개체는 어린 새와 외모가 거의 같지만, 4세가 되면 체색이 더 짙은 갈색이 되고, 수컷의 날개 무늬가 나타나 성적 이형성이 생긴다. 5세에는 깃털에 밤색 부분이 나타나고, 등과 어깨 주위는 회색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3~5세가 되면, 콧등과 발이 노란색이 되고, 그 후 탁한 분홍색이 된다. 6~7세의 어린 새는, 깃털이 검은색이 되고, 밤색 부분이 증가한다. 성숙 연령인 8세까지, 어깨는 완전히 회색이 된다.[152][173] 어린 새의 피부 색깔은, 콧등과 얼굴에서는 엷은 회청색에서 녹청색이다. 발은 녹색을 띤 흰색에서 회백색이며, 4~5세가 되면 콧등, 얼굴, 발의 색깔은 노란색이 되고, 그 후 분홍색으로 변화하여, 마지막으로 빨간색이 된다. 눈의 색깔은 성조와 비슷하지만, 약간 밝고, 더 꿀색을 띤 갈색이다. 어린 새의 부리는 주로 엷은 회청색이다.[152]

비행 중인 어린 새는 날개가 더 넓고, 특히 꼬리가 길며, 큰 덮깃을 포함하여 거의 균일한 갈색이며, 주로 머리와 날개깃에 엷은 색깔의 깃털이 있다.[152] 반대로 어린 새는, 꼬리 끝이 발 끝보다 약 5cm 앞쪽 위치에 있다. 꼬리깃은 깃털갈이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고, 성숙 후 5년 쯤에는 꼬리가 짧아진다.[152]

3. 3. 비행 형태

비행 시 달마수리는 길고 좁은 날개를 가진 새로, 큰 머리보다 날개가 먼저 눈에 띈다.[3][25] 날개는 기저부가 좁고, 둘째 날개깃이 넓으며, 끝부분이 뾰족하고 위로 꺾인 활 모양이다.[3] 성체의 꼬리는 매우 짧아 발이 꼬리 끝 아래로 뻗어 있어 꼬리가 거의 없는 듯한 인상을 준다.[3] 반면 어린 새는 꼬리가 더 길어 발이 꼬리 끝에서 약 5cm 짧다.[3] 성체의 날개 길이는 전체 길이의 2.9배에 달한다.[3] 성체 수컷은 위쪽이 대부분 검은색이며 밤색 등과 꼬리, 회색 앞날개를 가지고 있다. 아래쪽은 몸이 검은색이며 밤색 꼬리와 대조되고, 흰색 날개 안감과 회색 기저를 제외한 검은색 비행깃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수컷과 비슷하지만, 위쪽에 검은색 끝이 있는 회색 둘째 날개깃과 더 넓은 흰색 날개 아래쪽을 가진다.[3] 날아가는 어린 새는 날개가 더 넓고 꼬리가 더 길며, 옅은 깃털을 제외하고 거의 균일한 갈색을 띤다.[3]

4. 크기

달마수리는 중형 맹금류로, 전체 길이는 55~70cm, 날개 길이는 168~190cm, 체중은 1.8~3kg 정도이다.[176][152][179] 성별 불명의 달마수리 10마리의 표본은 평균 2,200g, 다른 3마리의 표본은 평균 2,392g이었다.[152][180] 한 연구에서는 중앙 체중이 2,385g으로 인용되었다.[181]

뱀독수리아과(Circaetinae)에 속하는 매과 중에서 두 번째로 무거울 가능성이 크다.[152] 이 아과에서 가장 큰 종은 필리핀독수리인데, 몸무게가 달마수리의 두 배 이상이며 모든 측정 면에서 훨씬 크고 구조적으로 매우 다르다.[152] 검은가슴뱀독수리(''Circaetus cinereus'')는 체중을 포함한 크기의 대부분 면에서 달마수리와 경쟁하지만, 꼬리가 더 길고 날개는 약간 짧지만 더 넓다.[152]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크지만, 성적 이형성은 다른 맹금류에 비해 크지 않고 평균 6% 정도이다.[152] 표준 측정값 중 수컷의 날개 시위 길이는 476~553mm인 반면 암컷은 530~559mm이다. 꼬리 길이는 다 자란 수컷이 98~124mm이고 다 자란 암컷은 105~113mm로 더 짧을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다 자란 새의 꼬리 길이가 72mm로 짧게 측정될 수 있다. 정강이뼈는 수컷의 경우 67~75mm, 암컷의 경우 72~75mm이다.

발은 튼튼하고 발톱은 짧고 날카로우며,[152] 차보 국립 공원에서 성별을 알 수 없는 다 자란 달마수리의 경우, 발톱 길이는 비교적 짧은 30.6mm였다. 특히 반점독수리는 큰 올빼미와 거의 같은 구조의 매우 두껍고 큰 발가락과 매우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있다.[152] 이는 뱀을 사냥하는 데 적합한 형태이다.[152][182][183][184]

5. 식별

달마수리는 독특한 외모와 깃털 색깔 덕분에 다른 맹금류와 쉽게 구별된다.[36] 특히 성조는 앉아 있거나 비행할 때 거의 틀림없이 알아볼 수 있다.[3][152]

비행 중인 뱀잡이수리의 독특한 모습.


비행 중인 모습은 특징적이다


경험이 없는 관찰자도 몸과 날개가 더 작은 점박이수리와 검은어깨과부매와는 모양, 비율, 비행 방식 등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3] 이들은 뱀잡이수리와 겹치지 않지만, 검은색, 흰색, 밤색의 조합 때문에 뱀잡이수리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뱀잡이수리의 조합과는 완전히 다르다.[3][152] 현재 뱀잡이수리가 사라진 지역에서 보고된 뱀잡이수리는 거의 확실하게 검은어깨과부매를 오인한 것이다.[3]

어린 새는 갈색뱀독수리와 혼동될 수 있지만, 노란색 눈, 더 긴 다리, 훨씬 더 넓고 짧으며 모양이 다른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날개 끝이 줄무늬 꼬리에 닿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3][152] 검은가슴뱀독수리와 보두앵뱀독수리도 때때로 어린 뱀잡이수리와 혼동될 수 있지만, 이 두 종은 배와 머리 부분이 꽤 균일하고 더 어두운 갈색이며 등 부분이 훨씬 더 옅으며, 아래쪽은 매우 다른 흰색 크림색을 띤다.[3][152]

6. 분포 및 서식지

달마수리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3][37][152][186] 서아프리카에서는 남부 모리타니부터 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기니, 시에라리온 북부, 코트디부아르가나 대부분, 서부 부르키나파소, 토고베냉 대부분, 나이지리아 북부 및 중부에 걸쳐 서식한다.[1][38][39][40][151][187][188][189] 모리타니에서는 지역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기니(주로 키앙 웨스트)와 라이베리아에서는 서식지가 제한적이지만, 이 지역의 다른 곳에서는 양호한 서식지가 남아 있어 여전히 지역적으로 흔하게 발견된다.[41][42][190][191]

북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드문 개체군이 아프리카를 벗어나 사우디 아라비아 남서부와 예멘 서부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3][44][192][193][194] 중앙아프리카 및 동아프리카에서 달마수리는 카메룬 북부, 니제르 남부, 차드 남부, 수단 남부,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지부티, 소말리아 서부, 콩고 민주 공화국 북부, 동부 및 남부,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대부분에서 발견될 수 있다.[45][46][47][48][49][195][196][197][198][199]

남아프리카에서 달마수리는 서식지가 양호한 거의 모든 지역인 앙골라, 잠비아, 짐바브웨, 말라위, 모잠비크에서 널리 발견된다. 또한 보츠와나의 남부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과 나미비아 북부 및 동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서부에서도 서식하며, 한때 케이프 주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었던 서식지가 오렌지 강 북쪽의 보호 구역 내에서만 발견되는 것으로 크게 축소되었으며, 크루거 국립공원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발견된다.[3][50][51][52][53][54][55][152][200][201][202][203][204][205] 이 종은 남아프리카의 에스와티니에서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6][206]

달마수리는 튀니지, 키프로스, 드물게는 이집트, 이스라엘, 이라크에서 길 잃은 새로 간주된다.[3][57][58][152][207][208] 2012년 4월에는 스페인 남부의 알헤시라스에서 어린 달마수리가 목격되었다.[59][209] 2015년과 2022년에는 각각 터키의 이스탄불과 시노프에서 흑해 해안까지 북쪽으로 어린 개체가 발견되었다.[60][210] 한국에서는 관찰 기록이 없다.

달마수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부분적으로 열린 사바나 지대와 삼림에서 흔하게 발견된다.[23][3] 번식기에는 아카시아 사바나와 모파니, 미옴보 삼림 등 나무가 우거진 곳을 선호하며, 가시 관목과 다양한 관목이 많은 지역에도 적응할 수 있다.[3] 심하게 숲이 우거진 지역과 산악 생태계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나무가 없는 사바나와 같이 나무가 거의 없는 서식지에서 광범위하게 먹이를 구할 수 있다. 순수한 사막이나 열대 우림에서도 거의 드물게 발견된다.[61]

보츠와나의 오카방고 델타 활엽수림, 나미비아의 하천변 근처 키 큰 삼림과 북동부 일시적 하천 위, 에토샤 국립공원 등에서 자주 발견된다.[61] 잠비아에서는 삼림에서 개방된 평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지만, 가장 밀도가 높은 삼림 지역은 피한다.[3] 말라위에서는 삼림-사바나 모자이크와 연관되지만, 농경지나 도시화된 대도시 위를 날아다니는 모습도 관찰된다.[3] 반면 모잠비크에서는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을 피한다.[63]

달마수리는 해수면에서 최대 4,500m까지 서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에 서식하는 종은 아니며 주로 3,000m 이하에서 발견된다.[3] 짐바브웨에서도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 광대한 언덕과 험준한 지역은 대체로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3]

보츠와나의 사바나에서 촬영된 성조와 유조

6. 1. 분포

달마수리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3][37][152][186] 서아프리카에서는 남부 모리타니부터 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기니, 시에라리온 북부, 코트디부아르가나 대부분, 서부 부르키나파소, 토고베냉 대부분, 나이지리아 북부 및 중부에 걸쳐 서식한다.[1][38][39][40][151][187][188][189] 모리타니에서는 지역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기니(주로 키앙 웨스트)와 라이베리아에서는 서식지가 제한적이지만, 이 지역의 다른 곳에서는 양호한 서식지가 남아 있어 여전히 지역적으로 흔하게 발견된다.[41][42][190][191]

북쪽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드문 개체군이 아프리카를 벗어나 사우디 아라비아 남서부와 예멘 서부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3][44][192][193][194] 중앙아프리카 및 동아프리카에서 달마수리는 카메룬 북부, 니제르 남부, 차드 남부, 수단 남부, 남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지부티, 소말리아 서부, 콩고 민주 공화국 북부, 동부 및 남부,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 대부분에서 발견될 수 있다.[45][46][47][48][49][195][196][197][198][199]

남아프리카에서 달마수리는 서식지가 양호한 거의 모든 지역인 앙골라, 잠비아, 짐바브웨, 말라위, 모잠비크에서 널리 발견된다. 또한 보츠와나의 남부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과 나미비아 북부 및 동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서부에서도 서식하며, 한때 케이프 주까지 남쪽으로 뻗어 있었던 서식지가 오렌지 강 북쪽의 보호 구역 내에서만 발견되는 것으로 크게 축소되었으며, 크루거 국립공원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발견된다.[3][50][51][52][53][54][55][152][200][201][202][203][204][205] 이 종은 남아프리카의 에스와티니에서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6][206]

달마수리는 튀니지, 키프로스, 드물게는 이집트, 이스라엘, 이라크에서 길 잃은 새로 간주된다.[3][57][58][152][207][208] 2012년 4월에는 스페인 남부의 알헤시라스에서 어린 달마수리가 목격되었다.[59][209] 2015년과 2022년에는 각각 터키의 이스탄불과 시노프에서 흑해 해안까지 북쪽으로 어린 개체가 발견되었다.[60][210] 한국에서는 관찰 기록이 없다.

6. 2. 서식지

달마수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부분적으로 열린 사바나 지대와 삼림에서 흔하게 발견된다.[23][3] 번식기에는 아카시아 사바나와 모파니, 미옴보 삼림 등 나무가 우거진 곳을 선호하며, 가시 관목과 다양한 관목이 많은 지역에도 적응할 수 있다.[3] 심하게 숲이 우거진 지역과 산악 생태계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나무가 없는 사바나와 같이 나무가 거의 없는 서식지에서 광범위하게 먹이를 구할 수 있다. 순수한 사막이나 열대 우림에서도 거의 드물게 발견된다.[61]

보츠와나의 오카방고 델타 활엽수림, 나미비아의 하천변 근처 키 큰 삼림과 북동부 일시적 하천 위, 에토샤 국립공원 등에서 자주 발견된다.[61] 잠비아에서는 삼림에서 개방된 평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지만, 가장 밀도가 높은 삼림 지역은 피한다.[3] 말라위에서는 삼림-사바나 모자이크와 연관되지만, 농경지나 도시화된 대도시 위를 날아다니는 모습도 관찰된다.[3] 반면 모잠비크에서는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을 피한다.[63]

달마수리는 해수면에서 최대 4,500m까지 서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에 서식하는 종은 아니며 주로 3,000m 이하에서 발견된다.[3] 짐바브웨에서도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 광대한 언덕과 험준한 지역은 대체로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3]

7. 생태

7. 1. 행동

달마수리는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는 새이지만, 어린 새는 약 3개월 동안 부모와 함께 지내기도 한다.[3][152] 먹이가 풍부한 곳에서는 40~50마리 이상의 무리를 이루기도 하는데, 주로 어린 새로 구성되며 사체, 산불, 최근 불에 탄 지역, 홍수, 흰개미 발생 등에 이끌려 모인다.[3][152]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비행하며 먹이를 찾는다. 특히 저고도 비행을 하며, 평균 시속 50~60km로 활공한다.[64][3][152][214] 날개를 거의 펄럭이지 않고 위로 젖히면서 몸을 좌우로 흔드는 비행 모습은 검은머리수리와 유사하지만, 더 강력하고 빠르며 곡예적이다.[65][66][215][216] 끊임없이 좌우로 기울어지는 비행 습성 때문에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Bateleur(곡예사, 줄타기 광대)"라는 일반 명칭이 붙었다.[3][152]

물가에서 일광욕을 하는 달마수리


체온 조절을 위해 하루의 대부분을 일광욕이나 물놀이로 보낸다.[3][152] 물가에서 날개를 펼치고 햇볕을 쬐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며, 깃털의 기름을 따뜻하게 한 후 부리로 펴서 비행 능력을 조절한다.[74][224] 깃털을 부풀린 모습이 구과식물의 구과를 닮아 "Conifer eagle (구과식물의 독수리)" 또는 "Pine eagle (소나무의 독수리)"라고 불리기도 한다.[75][76][77][225][226][227] 또한, 개미를 이용해 기생충을 제거하기도 한다.[78][228]

달마수리는 인간을 경계하며 둥지에 대한 방해에 민감하여 쉽게 둥지를 버린다.[67][217] 식사 중에는 콧구멍에서 짠 액체를 분비하는데, 이는 수분 재흡수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69][219]

7. 2. 이동

일반적으로 달마수리는 정착성이 강한 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어린 개체나 일부 성체는 넓은 지역을 이동하기도 한다.[3][70][71] 때로는 "돌발적인 또는 지역 이동"으로 간주되기도 한다.[3][72][152][222] 서아프리카에서는 정기적인 남북 이동이 발생하고, 동아프리카에서는 우기를 피해 적도를 가로지르는 이동이 발생하기도 한다.[3][152] 크루거 국립공원에서는 번식기 동안 성체에 의해 어린 개체가 영토에서 쫓겨나 비번식기에 돌아오기 전에 널리 배회한다.[3][152] 남아프리카에서 어린 개체의 회수 사례를 보면 둥지에서 30-285km 떨어진 다양한 거리에서 회수되었다.[73][223]

7. 3. 발성

달마수리는 일 년 중 대부분 조용하지만, 번식기나 위협을 느낄 때는 큰 소리를 낸다.[3][152] 주로 앉아 있거나 공중 과시를 할 때, 또는 다른 맹금류에게서 먹이를 빼앗을 때 멀리까지 울려 퍼지는 시끄럽고 거친 "샤아아-어" 소리를 낸다. 구애 행동을 하는 동안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소리를 낼 수 있다. 또한, 달마수리의 울음소리는 공명하는 짖는 소리 "코우-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물수리의 울음소리와 유사하다.[3] 짖는 소리는 날개를 반쯤 펼치고 몸을 위아래로 jerking하는 동작과 함께 나타나거나, 비행 중에도 낼 수 있다. 주의를 끄는 과시 행동은 때때로 "카-카-카-카"와 같은 부드러운 짖는 소리와 함께 나타난다.[3] 앉아있는 새들이 내는 "카우-카우-카우-코아아흐-코아그흐"와 다르지 않은 울음소리가 묘사되어 있다.[3] 둥지 근처에 앉아 있을 때 다른 부드러운 울음소리를 낸다.[3][152]

8. 번식

달마수리는 수명이 길고 성장이 느리며, 번식이 느린 종이다.[61][211] 달마수리는 서로 구애하거나 기존의 짝 관계를 재확립하는데, 이는 "장관"이라고 여겨지는 구애 행동이다.[3][152] 구애 행동 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급강하하며 암컷은 발톱을 보여주기 위해 몸을 굴린다. 또한, 때로는 다리를 느슨하게 늘어뜨린 채 날아다니며, 이때 날개를 펄럭여 바람에 헐렁한 돛처럼 눈에 띄는 ''우프-우프-우프'' 소리를 낸다. 매우 드물게, 수컷 달마수리는 큰 우프-우프 소리를 내며 360도 옆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때로는 구애 행동에 암컷 한 마리와 수컷 두 마리가 관여할 수 있지만, 번식기에는 일반적으로 수컷 한 마리만이 적극적으로 구애한다. 보고된 추가적인 추격 비행은 반드시 결혼을 위한 것은 아니며, 같은 크기의 새, 성체 또는 미성숙한 새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 종의 사회성과 관련이 있다.[3][152]

왼쪽에 암컷으로 추정되는 번식 쌍.


달마수리는 일반적으로 일부일처제이며, 각 짝의 생존과 함께 평생 짝을 맺을 가능성이 높다.[3][152] 그러나 드물게 일부다처의 가능성이 보고되기도 한다.[117][267] 달마수리의 번식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서아프리카에서 9월부터 5월까지이며, 모리타니에서는 9월에 어린 개체가 기록되기도 했다.[3][152][118][268] 동아프리카에서는 둥지 짓는 시기는 사실상 모든 달이 될 수 있지만, 주로 12월에서 8월 사이로, 이는 남아프리카의 번식 최고 시기와도 일치하며, 대륙 남부 지역에서는 8월에서 10월까지 둥지를 짓는 것은 드문 일로 여겨진다.[3][152][119][120][269][270] 소말리아에서는 번식기가 7월부터 12월까지였으며, 에티오피아에서는 뚜렷한 번식 정점이 전혀 감지되지 않았다.[3][152]

8. 1. 구애 행동

8. 2. 둥지

둥지에 있는 흰꼬리수리


달마수리의 둥지는 비교적 큰 나무에 위치하며, 때로는 수로 근처의 구릉 지대나 탁 트인 평야 지대에 만들어진다.[3][152] 둥지는 보통 지면에서 10-15m 높이에 있지만, 극단적인 경우에는 7-25m 높이에 위치하기도 한다.[3][152]

주로 주 줄기나 큰 측지 분기점의 분기점에 위치하여 낮 시간 대부분 그늘이 지는 곳을 선호한다.[3][152] 다양한 종류의 나무가 사용될 수 있는데, 남부 아프리카에서는 특히 ''Adansonia''와 ''Acacia'' 나무, ''Senegalia nigrescens'' 나무를 선호한다.[3][67][152][217]

달마수리는 보통 스스로 둥지를 만들지만, 물소나무새 둥지 위에 둥지를 짓거나[3] 왈버그수리(''Hieraaetus wahlbergi'')의 둥지를 인수하여 깊이를 더하기도 하는 등 다른 새의 낡은 둥지를 재사용하기도 한다.[3][152] 둥지는 중간 크기의 막대기로 이루어진 견고한 구조로, 잎으로 덮인 컵 모양을 하고 있다.[3][152] 뱀수리와 그 친척들은 크기에 비해 비교적 작고 부피가 큰 둥지를 짓는 경향이 있으며, 달마수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둥지 크기는 검독수리와 같은 비슷한 크기의 수리의 둥지 지름의 절반 정도이다.[3]

둥지는 흰꼬리수리 쌍에 의해 녹색 잎으로 덮이는 경향이 있다.[3][152] 암수 모두 둥지 건설 또는 수리에 기여하며, 이 과정은 보통 1~2개월이 걸리지만, 번식이 일어나지 않는 해에도 둥지 건설이 길어질 수 있다.[3][152] 종종 연속적인 번식기 동안 같은 지역에서 새로운 둥지를 사용하며, 보통 1-3km 이상 떨어져 있지 않으며, 이전에 지었던 둥지를 재사용하기도 한다.[3][152] 달마수리가 지은 둥지는 황새치(''Falco biarmicus'')가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3][152] 짐바브웨의 목축 지역에서는 둥지 간 거리가 13-16km 떨어져 있고,[3][152] 모잠비크에서는 둥지 간 거리가 약 5km인 것으로 밝혀졌다.[121][271]

8. 3. 산란 및 성장

달마수리는 한 개의 알만 낳는다.[3][152] 알은 새의 크기에 비해 상당히 크고, 넓적한 타원형이며, 대개 반점이 없는 백악질 흰색이지만, 때로는 부모의 먹이 섭취와 배설로 인한 미적인 효과로 몇 개의 붉은 반점이나 희미한 붉은색 무늬가 있을 수 있다.[3][152] 알의 크기와 색상은 대부분의 말똥가리류와 매우 흡사하며,말똥가리류 역시 일반적으로 1개의 알을 낳는다.[152][272] 알의 높이는 74.2-87mm이고, 지름은 57-68.1mm이다. 알의 크기는 큰 덩치의 검은머리수리나 왕관수리의 알과 맞먹는다.[3][152]

보통 암컷이 단독으로 포란하지만, 드물게 수컷도 포란하는 경우도 있다.[3][152] 암컷은 수컷에게 먹이를 공급받지만, 암컷이 먹이를 구하는 기간이 있으며, 그 동안 수컷이 포란을 이어받기도 한다.[3][152]번식기는 길고, 우기건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반면, 다른 수리보다 더 이른 시기에 산란한다.[3][152][273] 포란 기간은 52-59일, 평균 약 55일로, 아프리카 맹금류 중에서 가장 길지도 모른다.[3][152]

갓 부화한 새끼는 매우 미성숙하며 처음에는 매우 허약하여, 다른 대부분의 수리보다 더 심할 수도 있으며, 무거운 머리를 들 수 없고, 주름진 볏을 가지고 있다.[3][152] 작은 새끼는 처음에는 크림색 솜털로 덮여 있으며 눈 뒤에 초콜릿색 반점이 있고, 나머지 솜털 색깔은 크림색 측면과 일치한다.[3][152] 약 2주가 되면 어린 새끼는 약간 더 활동적이 되고 솜털은 얼룩덜룩한 모양을 띈다.[3][152] 3주가 되면 새끼는 솜털 흰색 머리를 갖지만, 윗부분의 솜털 색깔은 짙은 갈색이고, 머리 뒤, 둘째깃, 어깨뼈에 처음으로 갈색 깃털이 돋아난다.[3][152] 4주가 되면 흰색 솜털이 더 이상 없고 갈색 깃털이 특히 등과 날개에 돋아나며, 일주일 후에는 깃털이 계속 자라나고 둘째깃이 첫째깃보다 더 커진다.[3][152] 그 후 7주가 되면 앞부분의 깃털이 빠르게 생겨 35일에는 완전해지지만, 날개와 꼬리 깃털은 여전히 자라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솜털은 날개 아래 덮깃에 있다.[3][152]

새끼는 외모와 깃털 성장 패턴, 특히 첫 번째 깃털의 지연된 성장, 그리고 전반적인 색상에서 뱀수리의 새끼와 유사하며, 새끼가 자라면서 회색으로 변한다.[3][152] 둥지 새끼는 약 5주가 되면 처음으로 일어설 수 있으며 날갯짓도 할 수 있다.[3][152] 독립하기 전의 어린 새끼는 잘 날 수 있기 전에 엎드리거나 엎드릴 수 있다.[3][152] 어린 새끼가 처음으로 스스로 먹이를 먹는 단계는 어떤 먹이가 가져와지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큰 먹이라면 부모는 40일까지 새끼에게 먹이를 줄 것이지만, 작은 조각들은 솜털 어린 새끼가 스스로 먹을 것이다.[3][152] 약 6주가 되면 어린 새끼가 일반적으로 처음으로 스스로 먹이를 먹을 수 있다.[3][152] 9주가 되면 황갈색수리 새끼가 사람에게 효과적인 위협 행동을 하는 것이 기록되었다.[3][152] 날기 시작은 일반적으로 약 90~125일이며, 93일에서 194일 사이의 극단적인 경우가 보고되었다.[3][152]

어린 새끼는 종종 첫 비행 후 둥지로 돌아오며 계속 그렇게 한다. 어린 황갈색수리는 어떤 경우에는 약 일주일 안에 빨리 독립하고, 어떤 경우에는 약 2~4개월 동안 부모에게 밀착하여 의존한다.[3][152] 어린 황갈색수리는 먹이를 먹을 때까지 비행 중에 부모를 따라갈 수 있다. 부모의 유인 행동이 기록되었다(먹이를 날아갈 때까지 치워두어 어린 수리가 더 멀리 가도록 점차적으로 격려).[3][152] 둥지 지역을 떠난 후 어린 황갈색수리는 종종 넓게 배회하며, 예를 들어 한 마리가 1,347km2를 이동한 것이 기록되었다.[3][152] 다른 황갈색수리 둥지 근처에서 활공할 때, 어린 황갈색수리는 종종 성체 수컷의 격렬한 공격을 받는다.[3][152] 미성숙한 황갈색수리가 알을 품는 것을 돕는다는 보고가 있으며, 심지어 빈번하다는 보고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드문 경우일 것이다.[3][152][275]

8. 4. 부모의 행동

달마수리 부모는 둥지를 방어하고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데 적극적이다. 둥지에 접근하면 격렬하게 반응하며 공격적인 소리를 내거나 큰 날갯짓으로 침입자에게 급강하하기도 한다.[3][152] 하지만 이러한 방해를 받으면 둥지를 떠나 몇 시간 동안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아프리카 독수리들에 비해 새끼를 버릴 가능성이 더 높다.[3][152]

포란과 육추 기간 동안 수컷은 암컷보다 더 적극적으로 둥지를 방어한다. 둥지 나무를 기어오르는 침입자에게는 주의를 끄는 행동을 하거나 지속적으로 급강하 공격을 한다.[3][152] 반면 암컷은 멀리 날아가 버리는 경우가 더 많다.[3] 한번은 수컷 개코원숭이가 둥지 나무를 기어 올라갔는데, 암컷 달마수리는 앉아서 알을 품었고 수컷은 개코원숭이를 향해 급강하했다. 쫓아내지 못하자 수컷은 개코원숭이와 둥지 사이에 있는 나뭇가지에 앉아 날개를 펼쳐 위협했는데, 개코원숭이는 쫓겨나지는 않았지만 독수리를 괴롭히지는 않았다.[3][152]

달마수리 부모는 인간의 방해에 매우 민감하다. 둥지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는 허용하고 적응할 수 있지만, 근처에 사진 장비를 숨기거나 감추려는 시도는 싫어하며, 어린 새끼가 있어도 둥지를 자주 버리므로 둥지 사진 촬영은 피해야 한다.[3][152] 달마수리가 둥지에서 쉽게 쫓겨나는 현상은 둥지 포식률이 높은 원인이 되기도 한다.[3][152]

암컷은 새끼를 정성껏 돌본다. 케냐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새끼가 태어난 지 10일이 될 때까지는 둥지에 82%의 시간을 보낸다.[3][152] 그 후 10~20일 사이에는 47%, 30일 이후에는 약 5%, 60일 이후에는 약 1%로 떨어진다.[3][152] 새끼가 성장 후기에 접어들면 암컷은 먹이를 매우 짧게 배달하는 경향이 있다.[3][152] 암컷과 수컷 모두 먹이를 가져와 새끼에게 먹이지만 수컷이 다른 많은 독수리들보다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3][152] 30일이 지나면 새끼는 밤새 둥지에 혼자 남겨지는 경우가 많다.[3][152] 새끼는 초반에는 거의 매일 먹이를 먹지만, 나중에는 특히 둥지를 떠난 후 2~3일에 한 번씩만 먹이를 먹는다.[3][152]

9. 위협과 보존

달마수리는 넓은 지역에 분포하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개체수가 상당히 감소하고 있다.[1][3] 1990년대 추정치로는 새끼를 포함하여 약 18만 마리였으나, 현재는 1만에서 10만 마리 사이로 추정된다.[3][1] 특히 남아프리카에서 개체수 감소가 심각하며, 1990년대에 트란스발 주에서만 2,000~2,500쌍이 서식했지만 420~470쌍으로 감소했다.[3] 남아프리카 전체적으로는 약 7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129]

이러한 개체수 감소는 남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코트디부아르, 수단,[3] 토고, 니제르, 나이지리아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3][132][133] 서부 아프리카에서는 2000년대 도로 조사에서 달마수리가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134]

달마수리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인간의 활동이다.[3] 여기에는 서식지 파괴, 시체 독살, 밀렵, 살충제 사용 등이 포함된다.[3][137] 특히 아프리카에서는 시체 독살이 심각한 문제인데, 달마수리는 넓은 영역에서 먹이를 찾고 작은 시체 조각도 찾아낼 수 있어 소수의 농부가 사용하는 독극물에도 취약하다.[3] 독살은 자칼과 같은 포유류를 대상으로 하거나 밀렵꾼들이 불법 사냥을 은폐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3] 남아프리카에서는 대규모 농업 활동으로 인한 독살이 주된 감소 원인으로 꼽힌다.[3][140][141]

DDT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잠비아보츠와나에서는 살충제 사용이 문제가 될 수 있다.[3] 또한, 전통 치료사들이 깃털을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사냥하는 경우도 있으며,[61] 전선 충돌, 저수지 익사, 로드킬 등 인공 구조물과의 충돌도 위협 요인이다.[142] 인간 정착지 확장과 축산업 강화로 인한 서식지 감소 역시 달마수리에게 큰 위협이다.[3]

예멘에서는 멸종 위기 종으로 보호받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23] 독극물 사용을 줄이기 위한 교육 및 인식 캠페인과 정기적인 개체수 모니터링이 제안된다.[143]

9. 1. 위협 요인

달마수리는 넓은 지역에 분포하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개체수가 상당히 감소하고 있다.[1][3] 1990년대 추정치로는 새끼를 포함하여 약 18만 마리였으나, 현재는 1만에서 10만 마리 사이로 추정된다.[3][1] 특히 남아프리카에서 개체수 감소가 심각하며, 1990년대에 트란스발 주에서만 2,000~2,500쌍이 서식했지만 420~470쌍으로 감소했다.[3] 남아프리카 전체적으로는 약 7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129]

이러한 개체수 감소는 남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코트디부아르, 수단,[3] 토고, 니제르, 나이지리아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3][132][133] 서부 아프리카에서는 2000년대 도로 조사에서 달마수리가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134]

달마수리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인간의 활동이다.[3] 여기에는 서식지 파괴, 시체 독살, 밀렵, 살충제 사용 등이 포함된다.[3][137] 특히 아프리카에서는 시체 독살이 심각한 문제인데, 달마수리는 넓은 영역에서 먹이를 찾고 작은 시체 조각도 찾아낼 수 있어 소수의 농부가 사용하는 독극물에도 취약하다.[3] 독살은 자칼과 같은 포유류를 대상으로 하거나 밀렵꾼들이 불법 사냥을 은폐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3] 남아프리카에서는 대규모 농업 활동으로 인한 독살이 주된 감소 원인으로 꼽힌다.[3][140][141]

DDT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잠비아와 보츠와나에서는 살충제 사용이 문제가 될 수 있다.[3] 또한, 전통 치료사들이 깃털을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사냥하는 경우도 있으며,[61] 전선 충돌, 저수지 익사, 로드킬 등 인공 구조물과의 충돌도 위협 요인이다.[142] 인간 정착지 확장과 축산업 강화로 인한 서식지 감소 역시 달마수리에게 큰 위협이다.[3]

예멘에서는 멸종 위기 종으로 보호받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23] 독극물 사용을 줄이기 위한 교육 및 인식 캠페인과 정기적인 개체수 모니터링이 제안된다.[143]

9. 2. 보존 노력

달마수리는 넓은 지역에 분포하지만, 1990년대 이후 개체수가 급감하여 IUCN에 의해 취약종(VU)으로 분류되었다.[1][3][151][152] IUCN은 현재 달마수리의 전체 개체수를 대략 1만 마리에서 10만 마리로 추정하고 있다.[1]

남아프리카에서 개체수 감소가 가장 심각하며, 트란스발 주에서는 1990년대에 2,000~2,500쌍에서 420~470쌍으로 감소했다.[3][152] 남아프리카 전체 지역에서는 7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129][280] 짐바브웨, 나미비아, 에스와티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위협받는 종으로 간주되며, 말라위, 잠비아, 모잠비크, 보츠와나에서는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3][130][131][152][281][282] 코트디부아르, 수단, 토고, 니제르, 나이지리아에서도 개체수 감소가 보고되었다.[3][132][133][152][283][284]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인간의 활동으로, 서식지 파괴, 독극물(특히 시체 독살), 밀렵(총격 및 덫), 살충제 사용 등이 있다.[3][137][152][288] 특히 독극물은 아프리카에서 독수리와 같은 청소 동물에게 심각한 문제이며,[138][139][289][290] 달마수리는 넓은 영역에서 먹이를 찾기 때문에 소수의 농부가 사용하는 독극물에도 취약하다.[3][152] 달마수리가 DDT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낮지만, 살충제 사용은 잠비아와 보츠와나의 개체수에 해를 끼칠 수 있다.[3][152] 또한, 전통 치료사가 깃털을 약재로 사용하기 위해 포획하기도 한다.[61][211]

위엄 있는 자세를 취한 달마수리


덜 알려진 위협으로는 전선 충돌, 저수지 익사, 로드킬과 같은 인공 구조물과의 충돌, 인간 정착지 확장과 축산업 강화로 인한 서식지 감소, 둥지 방해 등이 있다.[142][293][3][152]

예멘에서는 멸종 위기 종으로 보호받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23][172] 독극물 사용을 줄이기 위한 교육 및 인식 개선 캠페인, 정기적인 개체수 모니터링이 제안 및 수행되고 있다.[143][151]

10. 문화

달마수리는 화려한 색상과 눈에 띄는 행동으로 인해 아프리카의 문장 및 신화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152] 짐바브웨 문화에서는 고대부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짐바브웨 국기에 등장하는 '짐바브웨 새'의 모델로 여겨지기도 한다.[144][145][294][295] 남아프리카 신화에서는 비를 부르는 새로 알려져 있다.[146][296]

츠와나어를 사용하는 남아프리카 지역을 포함하여 짐바브웨 외 다른 지역에서도 달마수리에 대한 숭배와 신화화가 알려져 있다.[147][297] 철기 시대부터 ''kgwadira''와 ''petleke''로 다양하게 알려져 왔으며, 신화에서는 종종 독수리로 여겨지는 주인에게 지능적인 하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148][298] 동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서는 ''gawarakko''와 ''nkona''로 다양하게 불렸으며, 탕가니카 호수에서는 죽었든 살아있든 술탄의 필수적인 소유물로 여겨졌다.[149][150][299][300]

참조

[1] 간행물 "''Terathopius ecaudatus''" 2020
[2] 문서 cite LPD|3
[3] 문서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version 1.0. In Birds of the World (J. del Hoyo, A. Elliott, J. Sargatal, D. A. Christie, and E. de Juana, Editors). Cornell Lab of Ornithology, Ithaca, NY, USA." 2020
[4] 웹사이트 Zimbabwe Bird http://www.victoriaf[...]
[5]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Harcourt
[6] 서적 Roberts VII Birds of Southern Africa John Voelcker Book Fund 2016
[7] 서적 "''Birds of prey of southern Africa: Their identification and life histories''" Croom Helm, Beckenham (UK) 1983
[8] 논문 "''Aggressive display and territoriality of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1989
[9] 논문 "''Aspects of the breeding status and ecology of the Bateleur and Tawny Eagle in the Kalahari Gemsbok National Park, South Africa''" 1996
[10] 서적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The Wellfleet Press 1986
[11] 논문 "''Raptor declines in West Africa: comparisons between protected, buffer and cultivated areas''" 2007
[12] 논문 "''Raptor population trends in northern Botswana: A re-survey of road transects after 20 years''" 2018
[13] 웹사이트 "Species account: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http://www.globalrap[...] 2021
[14] 서적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birds of the world''" Yale University Press 1990
[15] 논문 "''Advances in the molecular systematics of African raptors''" 2000
[16] 논문 "''Phylogeny of eagles, Old World vultures, and other Accipitridae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2005
[17] 논문 "''Chromosome banding studies in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Aves, Accipitridae)''" 1998
[18] 웹사이트 bateleur translation English - French dictionary - Reverso http://dictionary.re[...]
[19] 논문 "''Fasti Ornithologiæ''" 1867
[20] 서적 "''African Raptors''" Bloomsbury Publishing 2018
[21] 서적 "''Newman's Birds of Southern Africa''" Halfway House: Southern Book Publishers 1998
[22] 서적 "''Birds of Kenya and northern Tanzania''" Bloomsbury Publishing 2020
[23] 웹사이트 "Species factsheet: ''Terathopius ecaudatus''" http://www.birdlife.[...] 2019
[24] 논문 "''Age classes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Bateleur and African Fish Eagle''" 1972
[25] 서적 "''Sasol Birds of Prey: New Edition''" Struik 2006
[26]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27] 서적 "''Sasol birds of Southern Africa''" Penguin Random House South Africa 2020
[28] 서적 "''Birds of Prey of the World''"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4
[29] 서적 "''Birds of Botswana (Vol. 103)''"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30] 서적 "''A Field Guide to the raptor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9
[31] 논문 "''Wing Areas, Wing loading and Wing Spans of 66 Species of African Raptors''" 1989
[32] 논문 "''Implications of farmland expansion for species abundance, richness and mean body mass in African raptor communities''" 2019
[33] 논문 "''Comparative-ecological studies of some East African birds of prey''" 1974
[34] 논문 "''Some observations on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Daudin)''" 1965
[35] 서적 "''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Micropaedia: Knowledge in Depth: Vol 15''" Encyclopædia Britannica
[36] 서적 The Empire of the Eagle: An Illustrated Natur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37]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Birds of Prey of Southern, Central and East Africa New Holland Publishers
[38] 서적 Birds of West Africa: an Identification Guide Helm Identification Guide Series, London
[39] 서적 The birds of Ivory Coast: Status and Distribution West African Ornithological Society
[40] 서적 The Birds of Togo: an Annotated Check-list (No. 14) British Ornithologists' Union
[41] 서적 Birds of Mauritania/Oiseaux de Mauritanie Société d’Études Ornithologiques de France, Paris
[42] 서적 Birds of the Gambia BOU Check-list, (3)
[43] 서적 The Virds of Saudi Arabia: a Check-list MC Jennings
[44] 논문 The status of passerines in southern Yemen and the records of the OSME survey in spring 1993
[45] 서적 Distribution atlas of Sudan's Birds with notes on Habitat and Status Zoologisches Forschungsinstitut und Museum Alexander Koenig
[46] 서적 Birds of Ethiopia and Eritrea: an Atlas of Distribution A&C Black
[47] 서적 Birds of Somalia Bloomsbury Publishing
[48] 서적 Bird Atlas of Uganda British Ornithologists' Union and British Ornithological Club
[49]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East Africa: Kenya, Tanzania, Uganda, Rwanda and Burundi T. & AD Poyser
[50] 서적 The Birds of Angola: an Annotated Checklist BOU Checklist No. 18
[51] 서적 The Birds of Zambia: an Atlas and Handbook Tauraco Press
[52] 서적 The Birds of Malawi. An Atlas and Handbook Tauraco Press
[53] 서적 Bird Atlas of Botswana University of Kwazulu Natal Press
[54] 서적 The Birds of Zimbabwe Quest Pub
[55] 간행물 Range reduction of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and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 South Africa Proceedings of the Bird and Man symposium. Witwatersrand Bird Club, Johannesburg
[56] 논문 Nest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eagles, selected hawks and owls in Swaziland
[57] 논문 An observation of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in northern Tunisia
[58] 논문 Around the region
[59] 웹사이트 Terathopius ecaudatus (Águila Volatinera – Bateleur) http://birdcadiz.com[...]
[60] 웹사이트 Türkiye' de İlk Defa 2015 Yılında Görüntülenen Cambaz Kartal Yıllar Sonra Bu Defa Sinop' ta Görüntülendi… https://bolge10.tari[...]
[61] 간행물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62] 서적 A bird atlas of Kenya Routledge
[63] 서적 The Atlas of the Birds of central Mozambique Endangered Wildlife Trust and the Avian Demography Unit
[64] 논문 Comparison of time-activity budgets and population structure for 18 large-bird species in the Kruger National Park, South Africa
[65] 논문 In-flight turbulence benefits soaring birds
[66] 서적 Bateleur Cornell University Press
[67] 서적 Roberts bird guide : illustrating nearly 1,000 species in Southern Africa
[68] 논문 On the Bateleur, especially at the Nest
[69] 논문 Nasal Salt Secretion in Falconiform Birds
[70] 논문 Population dynamics of the Bateleur in the Kruger National Park
[71] 서적 Birds of Prey of Southern Africa
[72] 서적 Migrating Raptors of the World: their Ecology & Conserva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73] 간행물 Review of ring recoveries of birds of prey in southern Africa: 1948–1998 Endangered Wildlife Trust, Johannesburg
[74] 웹사이트 Bataleur Eagle {{!}} Terathopius ecaudatus {{!}} Africa... http://www.krugerpar[...] 2019-07-29
[75] 간행물 Bateleur sunbathing at Punda Maria Biodiversity Observations
[76] 간행물 Avian Spread-winged Sunbathing in Thermoregulation and Drying Grier
[77] 논문 Sun-bathing as a thermoregulatory aid in birds
[78] 웹사이트 Praying Bateleur? Do you know why Bateleur Eagles do this? https://www.hphpubli[...] 2017-10-05
[79] 학위논문 Biology, ec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Bateleur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South Africa
[80] 간행물 Flight, foraging and food of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an aerodynamically specialized, opportunistic forager Raptors at Risk
[81] 논문 Musculoskeletal underpinnings to differences in killing behavior between North American accipiters (Falconiformes: Accipitridae) and falcons (Falconidae)
[82] 논문 Sexual size dimorphism: a life history perspective
[83] 간행물 Prey remains from nests of Bateleur Eagles
[84] 논문 Breeding and Food of the Bateleur in Zimbabwe (Rhodesia)
[85] 서적 The Birds of Africa: Volume I Bloomsbury Publishing
[86] 논문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foraging behaviour of Xerus rutilus
[87] 서적 Mammals of Africa A&C Black
[88] 논문 Effects of grassland burning on the savanna hare-predator relationships in Uganda
[89] 논문 Predation, group size and mortality in a cooperative mongoose, Suricata suricatta
[90] 논문 The vocal repertoire of an African colobine, Colobus angolensis ruwenzorii: a multi-level society compared to congeners in stable groups
[91] 논문 Vocalizations of the black and white colobus monkey (Colobus polykomos Zimmerman 1780)
[92] 간행물 On the Bateleur, especially at the nest
[93] 문서 "Fact sheets: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San Diego Zoo Wildlife Alliance Library
[94] 논문 Notes on the breeding biology of the Freckled Nightjar
[95] 논문 Behaviour associated with breeding of crowned, blackwinged and lesser blackwinged plovers
[96]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same species of hornbills
[97] 간행물 Gaukler Terathopius ecaudatus frisst Schildkröte
[98] 논문 First observations of termite insectivory in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99] 간행물 The status and conservation of birds of prey in the Transvaal Transvaal Museum Monograph No. 3. Pretoria
[100] 간행물 Interspecific piracy between Tawny Eagles and Bateleurs: how common is it
[101] 간행물 The comparative biology of southern African vultures Johannesburg. Vulture Study Group
[102] 논문 Vultures acquire information on carcass location from scavenging eagles
[103] 간행물 Interrelations of African scavenging animals Proc. IV Pan.-Afr. orn. congr
[104] 논문 Alternative strategies in avian scavengers: how subordinate species foil the despotic distribution
[105] 논문 A review of African birds feeding in association with mammals
[106] 논문 Major declines in the abundance of vultures and other scavenging raptors in and around the Masai Mara ecosystem, Kenya 2011
[107] 논문 Population density and intra-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the African Fish Eagle Haliæeetus vocifer in Kyambura Game Reserve, southwest Uganda 1997
[108] 논문 The Serengeti food web: empirical quantification and analysis of topological changes under increasing human impact 2011
[109]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Peregrine Falcon in Zimbabwe 1983
[110] 논문 White-backed Vulture Gyps africanus parental care and chick growth rates assessed by camera traps and morphometric measurements 2017
[111] 웹사이트 Bateleur kills a Giant Eagle Owl in Kruger National Park https://www.youtube.[...] YouTube 2018-12-09
[112] 논문 Observations on Verreaux's Eagle Owl Bubo lacteus (Temminck) in Kenya 1965
[113] 논문 Post-mortem findings in East African birds of prey 1973
[114] 논문 Brokering a settlement between eagles and industry: sustainable management of large raptors nesting on power infrastructure 2013
[115] 논문 The influence of nestling predation on nest site selection and behaviour of the bateleur 1988
[116] 논문 Observations of predatory behavior by white-headed vultures
[117] 논문 Variation in mate fidelity in monogamous birds 1983
[118] 서적 The Birds of Ghana: an Annotated Check-list (No. 9) British Ornithologists' Union 1987
[119] 서적 Birds of East Africa: their habitat, status and distribution EANHS, Nairobi 1980
[120] 논문 Some factors affecting breeding in eagles 1969
[121] 서적 A Guide to the Nests and Eggs of Southern African Birds Struik, Cape Town 2001
[122]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Short-toed Snake Eagle Circaetus gallicus 2017
[123] 논문 Raptors in the East African tropics and western Indian Ocean islands: state of ecological knowledge and conservation status 1998
[124] 논문 The breeding seasons of African birds—1. Land birds 1950
[125] 논문 The occurrence of cooperative breeding behaviour in African birds 1976
[126] 논문 Potential factors influencing nest defense in diurnal North American raptors 2006
[127]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Bateleur 1990
[128] 서적 The Eskom Red Data Book of birds of South Africa, Lesotho and Swaziland BirdLife South Africa, Johannesburg 2000
[129] 간행물 Terathopius ecaudatus Bateleur IUCN/SSC Conservation Breeding Specialist Group, Apple Valley, MN. 2000
[130] 서적 Birds to Watch in Namibia: Red, rare and endemic species National Biodiversity Programme, Windhoek, Namibia 2006
[131] 간행물 Raptor migration and conservation in Zimbabwe 1998
[132] 간행물 The avifauna of southeast Niger 2008
[133] 문서 Birds at Lake Chad and in the Sahel of NE Nigeria
[134] 간행물 West African vulture decline 2004
[135] 간행물 Breeding success and population density of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in the Kalahari Gemsbok National Park
[136] 논문 The decline of raptors in West Africa: long-term assessment and the role of protected areas 2006-04-13
[137] 논문 The power of poison: pesticide poisoning of Africa’s wildlife 2014
[138] 논문 Protect African vultures from poison 2019
[139] 논문 Dropping dead: causes and consequences of vulture population declines worldwide 2012
[140] 간행물 Scavenging raptors on farmlands: what is their future?
[141] 간행물 Strychnine poison and the conservation of avian scavengers in the Karoo, South Africa Percy FitzPatrick Institute of African Ornithology, University of Cape Town, S. A. 1989
[142] 간행물 Raptor conservation in the North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2000
[143]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 2019-07-29
[144] 간행물 The Zimbabwe birds: Interpretation and symbolism 2009
[145] 간행물 The role of birds in the culture of the Ndebele people of Zimbabwe 2000
[146] 간행물 Ritual fauna from Ratho Kroonkop: a second millennium AD rain control site in the Shashe-Limpopo Confluence area of South Africa 2013
[147] 간행물 Myths, gender, birds, beads: A reading of Iron Age hill sites in interior Southern Africa 2014
[148] 간행물 Birds as subjects in Setswana folklore: Depiction of their relationship to man 2015
[149] 간행물 The Ongota language–and two ways of looking at the marginal and hunting-gathering peoples of East Africa 2015
[150] 간행물 Uha in Tanganyika territory 1925
[151] iucn Terathopius ecaudatus 2020
[152] 간행물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Cornell Lab of Ornithology, Ithaca, NY, USA 2020
[153] 웹사이트 Zimbabwe Bird http://www.victoriaf[...] 2024-09-12
[154]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Harcourt
[155] 서적 Roberts VII Birds of Southern Africa John Voelcker Book Fund 2016
[156] 서적 Birds of prey of southern Africa: Their identification and life histories Croom Helm, Beckenham (UK) 1983
[157] 간행물 Aggressive display and territoriality of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1989
[158] 간행물 Aspects of the breeding status and ecology of the Bateleur and Tawny Eagle in the Kalahari Gemsbok National Park, South Africa 1996
[159] 서적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The Wellfleet Press 1986
[160] 간행물 Raptor declines in West Africa: comparisons between protected, buffer and cultivated areas 2007
[161] 간행물 Raptor population trends in northern Botswana: A re-survey of road transects after 20 years 2018
[162] 웹사이트 Species account: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https://gallery.glob[...] 2021-10-07
[163] 서적 Distribution and taxonomy of birds of the world Yale University Press 1990
[164] 간행물 Advances in the molecular systematics of African raptors 2000
[165] 간행물 Phylogeny of eagles, Old World vultures, and other Accipitridae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2005
[166] 간행물 Chromosome banding studies in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Aves, Accipitridae) 1998
[167] 웹사이트 bateleur translation English - French dictionary - Reverso http://dictionary.re[...] 2024-09-12
[168] 간행물 Fasti Ornithologiæ 1867
[169] 서적 African Raptors Bloomsbury Publishing 2018
[170] 서적 Newman's Birds of Southern Africa Southern Book Publishers 1998
[171] 서적 Birds of Kenya and northern Tanzania Bloomsbury Publishing 2020
[172] 웹사이트 Species factsheet: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https://datazone.bir[...] 2024-09-12
[173] 간행물 Age classes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Bateleur and African Fish Eagle 1972
[174] 서적 Sasol Birds of Prey: New Edition Struik 2006
[175]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176] 서적 Sasol birds of Southern Africa Penguin Random House South Africa 2020
[177] 서적 Birds of Prey of the World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4
[178] 서적 Birds of Botswana (Vol. 103)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179] 서적 A Field Guide to the raptor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99
[180] 논문 Wing Areas, Wing loading and Wing Spans of 66 Species of African Raptors 1989
[181] 논문 Implications of farmland expansion for species abundance, richness and mean body mass in African raptor communities 2019
[182] 논문 Comparative-ecological studies of some East African birds of prey 1974
[183] 논문 Some observations on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Daudin) 1965
[184]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Micropaedia: Knowledge in Depth: Vol 15 Encyclopædia Britannica 1997
[185] 서적 The Empire of the Eagle: An Illustrated Natur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18
[186]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Birds of Prey of Southern, Central and East Africa New Holland Publishers 1996
[187] 서적 Birds of West Africa: an Identification Guide London 2001
[188] 서적 The birds of Ivory Coast: Status and Distribution West African Ornithological Society 1985
[189] 서적 The Birds of Togo: an Annotated Check-list (No. 14) British Ornithologists' Union 1996
[190] 서적 Birds of Mauritania/Oiseaux de Mauritanie Société d’Études Ornithologiques de France, Paris 2010
[191] 서적 Birds of the Gambia 1990
[192] 서적 The Virds of Saudi Arabia: a Check-list MC Jennings 1981
[193] 논문 The status of passerines in southern Yemen and the records of the OSME survey in spring 1993 1996
[194] 서적 世界で一番美しい鷲の図鑑 株式会社エクスナレッジ 2020-02-01
[195] 서적 Distribution atlas of Sudan's Birds with notes on Habitat and Status Zoologisches Forschungsinstitut und Museum Alexander Koenig 1987
[196] 서적 Birds of Ethiopia and Eritrea: an Atlas of Distribution A&C Black 2009
[197] 서적 Birds of Somalia Bloomsbury Publishing 2020
[198] 서적 Bird Atlas of Uganda British Ornithologists' Union and British Ornithological Club 2005
[199]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East Africa: Kenya, Tanzania, Uganda, Rwanda and Burundi T. & AD Poyser 2002
[200] 서적 The Birds of Angola: an Annotated Checklist 2000
[201] 서적 The Birds of Zambia: an Atlas and Handbook Tauraco Press 2008
[202] 서적 The Birds of Malawi. An Atlas and Handbook Tauraco Press 2006
[203] 서적 Bird Atlas of Botswana University of Kwazulu Natal Press 1994
[204] 서적 The Birds of Zimbabwe Quest Pub 1981
[205] 간행물 Range reduction of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and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 South Africa Witwatersrand Bird Club, Johannesburg 1983
[206] 논문 Nest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eagles, selected hawks and owls in Swaziland 2008
[207] 논문 An observation of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in northern Tunisia 1993
[208] 논문 Around the region 2007
[209] 웹사이트 Terathopius ecaudatus (Águila Volatinera – Bateleur) http://birdcadiz.com[...] 2024-09-13
[210] 웹사이트 Türkiye' de İlk Defa 2015 Yılında Görüntülenen Cambaz Kartal Yıllar Sonra Bu Defa Sinop' ta Görüntülendi… https://bolge10.tari[...] 2024-09-13
[211] 간행물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The Atlas of Southern African Birds 1997
[212] 서적 A bird atlas of Kenya Routledge 2017
[213] 서적 The Atlas of the Birds of central Mozambique Endangered Wildlife Trust and the Avian Demography Unit 2005
[214] 논문 Comparison of time-activity budgets and population structure for 18 large-bird species in the Kruger National Park, South Africa Ostrich 2001
[215] 논문 In-flight turbulence benefits soaring birds The Auk: Ornithological Advances 2016
[216] 서적 19. Bateleur Cornell University Press 2011
[217] 서적 Roberts bird guide : illustrating nearly 1,000 species in Southern Africa
[218] 논문 On the Bateleur, especially at the Nest Ibis 1945
[219] 논문 Nasal Salt Secretion in Falconiform Birds The Condor 1964
[220] 논문 Population dynamics of the Bateleur in the Kruger National Park Ostrich 1990
[221] 서적 Birds of Prey of Southern Africa 1984
[222] 서적 Migrating Raptors of the World: their Ecology & Conserva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6
[223] 서적 Review of ring recoveries of birds of prey in southern Africa: 1948–1998 Endangered Wildlife Trust, Johannesburg 1998
[224] 웹사이트 Bataleur Eagle Terathopius ecaudatus Africa... http://www.krugerpar[...] 2024-09-14
[225] 간행물 Bateleur sunbathing at Punda Maria Biodiversity Observations 2014
[226] 간행물 Avian Spread-winged Sunbathing in Thermoregulation and Drying Grier
[227] 논문 Sun-bathing as a thermoregulatory aid in birds The Condor 1973
[228] 웹사이트 Praying Bateleur? Do you know why Bateleur Eagles do this? https://www.hphpubli[...] 2017-10-05
[229] 논문 Biology, ec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the Bateleur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South Africa 1986
[230] 간행물 Flight, foraging and food of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an aerodynamically specialized, opportunistic forager Raptors at Risk 2000
[231] 논문 Musculoskeletal underpinnings to differences in killing behavior between North American accipiters (Falconiformes: Accipitridae) and falcons (Falconidae) Journal of Morphology 2008
[232] 논문 Sexual size dimorphism: a life history perspective Oikos 1989
[233] 간행물 Prey remains from nests of Bateleur Eagles Honeyguide 1980
[234] 간행물 Breeding and Food of the Bateleur in Zimbabwe (Rhodesia) Ostrich 1980
[235] 서적 The Birds of Africa: Volume I Bloomsbury Publishing 2020
[236] 논문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foraging behaviour of Xerus rutilus African Zoology 2010
[237] 서적 Mammals of Africa A&C Black 2013
[238] 논문 Effects of grassland burning on the savanna hare-predator relationships in Uganda African Journal of Ecology 1984
[239] 논문 Predation, group size and mortality in a cooperative mongoose, Suricata suricatta Journal of Animal Ecology 1999
[240] 논문 The vocal repertoire of an African colobine, Colobus angolensis ruwenzorii: a multi-level society compared to congeners in stable groups Behaviour 2020
[241] 논문 Vocalizations of the black and white colobus monkey (Colobus polykomos Zimmerman 1780)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1978
[242] 논문 On the Bateleur, especially at the nest Ibis 1945
[243] 문서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San Diego Zoo Wildlife Alliance Library
[244] 간행물 Notes on the breeding biology of the Freckled Nightjar Ostrich 1971
[245] 간행물 Behaviour associated with breeding of crowned, blackwinged and lesser blackwinged plovers Ostrich 1989
[246]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same species of hornbills 1976
[247] 논문 Gaukler Terathopius ecaudatus frisst Schildkröte 2013
[248] 논문 First observations of termite insectivory in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2014
[249] 서적 The status and conservation of birds of prey in the Transvaal Transvaal Museum Monograph No. 3. Pretoria. 1984
[250] 논문 Interspecific piracy between Tawny Eagles and Bateleurs: how common is it 1987
[251] 서적 The comparative biology of southern African vultures Johannesburg. Vulture Study Group. 1982
[252] 논문 Vultures acquire information on carcass location from scavenging eagles 2014
[253] 간행물 Interrelations of African scavenging animals Proc. IV Pan.-Afr. orn. congr 1980
[254] 논문 Alternative strategies in avian scavengers: how subordinate species foil the despotic distribution 2013
[255] 논문 A review of African birds feeding in association with mammals 1981
[256] 논문 Major declines in the abundance of vultures and other scavenging raptors in and around the Masai Mara ecosystem, Kenya 2011
[257] 논문 Population density and intra-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the African Fish Eagle Haliæeetus vocifer in Kyambura Game Reserve, southwest Uganda 1997
[258] 논문 The Serengeti food web: empirical quantification and analysis of topological changes under increasing human impact 2011
[259]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Peregrine Falcon in Zimbabwe 1983
[260] 논문 White-backed Vulture Gyps africanus parental care and chick growth rates assessed by camera traps and morphometric measurements 2017
[261] 웹사이트 Bateleur kills a Giant Eagle Owl in Kruger National Park https://www.youtube.[...] YouTube 2021-10-17
[262] 논문 Observations on Verreaux's Eagle Owl Bubo lacteus (Temminck) in Kenya 1965
[263] 논문 Post-mortem findings in East African birds of prey 1973
[264] 논문 Brokering a settlement between eagles and industry: sustainable management of large raptors nesting on power infrastructure 2013
[265] 논문 The influence of nestling predation on nest site selection and behaviour of the bateleur 1988
[266] 논문 Observations of predatory behavior by white-headed vultures 2014
[267] 논문 Variation in mate fidelity in monogamous birds 1983
[268] 서적 The Birds of Ghana: an Annotated Check-list (No. 9) British Ornithologists' Union. 1987
[269] 서적 Birds of East Africa: their habitat, status and distribution EANHS, Nairobi. 1980
[270] 논문 Some factors affecting breeding in eagles 1969
[271] 서적 A Guide to the Nests and Eggs of Southern African Birds Struik, Cape Town 2001
[272]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Short-toed Snake Eagle Circaetus gallicus 2017
[273] 논문 Raptors in the East African tropics and western Indian Ocean islands: state of ecological knowledge and conservation status 1998
[274] 논문 The breeding seasons of African birds—1. Land birds 1950
[275] 논문 The occurrence of cooperative breeding behaviour in African birds 1976
[276] 논문 Potential factors influencing nest defense in diurnal North American raptors 2006
[277] 논문 Breeding Biology of the Bateleur 1990
[278] 웹사이트 40年以上を上野でくらしたダルマワシとホオカザリヅルの死亡 https://www.tokyo-zo[...] 2018-12-20
[279] 서적 The Eskom Red Data Book of birds of South Africa, Lesotho and Swaziland BirdLife South Africa. Johannesburg 2000
[280] 간행물 Terathopius ecaudatus Bateleur IUCN/SSC Conservation Breeding Specialist Group, Apple Valley, MN. 2000
[281] 서적 Birds to Watch in Namibia: Red, rare and endemic species National Biodiversity Programme, Windhoek, Namibia 2006
[282] 간행물 Raptor migration and conservation in Zimbabwe 1998
[283] 간행물 The avifauna of southeast Niger 2008
[284] 문서 Birds at Lake Chad and in the Sahel of NE Nigeria 2003
[285] 간행물 West African vulture decline 2004
[286] 간행물 Breeding success and population density of the Bateleur Terathopius ecaudatus in the Kalahari Gemsbok National Park 1991
[287] 논문 The decline of raptors in West Africa: long-term assessment and the role of protected areas 2006-04-13
[288] 논문 The power of poison: pesticide poisoning of Africa’s wildlife 2014
[289] 논문 Protect African vultures from poison 2019
[290] 논문 Dropping dead: causes and consequences of vulture population declines worldwide 2012
[291] 간행물 Scavenging raptors on farmlands: what is their future? 1988
[292] 간행물 Strychnine poison and the conservation of avian scavengers in the Karoo, South Africa 1989
[293] 간행물 Raptor conservation in the North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2000
[294] 간행물 The Zimbabwe birds: Interpretation and symbolism 2009
[295] 간행물 The role of birds in the culture of the Ndebele people of Zimbabwe 2000
[296] 간행물 Ritual fauna from Ratho Kroonkop: a second millennium AD rain control site in the Shashe-Limpopo Confluence area of South Africa 2013
[297] 간행물 Myths, gender, birds, beads: A reading of Iron Age hill sites in interior Southern Africa 2014
[298] 간행물 Birds as subjects in Setswana folklore: Depiction of their relationship to man 2015
[299] 문서 The Ongota language–and two ways of looking at the marginal and hunting-gathering peoples of East Africa 2015
[300] 간행물 Uha in Tanganyika territory 1925
[301] 웹사이트 Terathopius ecaudatus https://dx.doi.org/1[...] 2020
[302] 문서 Amaral et al. (2006, 2009), Arshad (2009), Barrowclough et al. (2014), Breman et al. (2013), Bunce et al. (2005), Catanach et al. (2021), Gamauf and Haring (2004), Griffiths et al. (2007), Haring et al. (2007b), Helbig et al. (2005), Knapp et al. (2019), Kocum (2006), Kruckenhauser et al. (2004), Lerner and Mindell (2005), Lerner et al. (2008, 2017), Nagy and T¨ok¨olyi (2014), Oatley et al. (2015), Ong et al. (2011), Riesing et al. (2003), Sangster et al. (2021), Wink and Sauer-G¨urth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