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 도동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성 도동서원은 한훤당 김굉필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1568년 쌍계서원으로 시작하여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5년 현재 위치인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로 이건, 중건되었고, 1607년 사액서원이 되면서 도동서원으로 개칭되었다. 2019년, 다른 8개의 서원과 함께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도동서원의 주요 건축물인 중정당, 사당, 담장은 보물 제350호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8년 개교 - 파주 파산서원
파주 파산서원은 조선 시대 학자들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이이, 백인걸 등을 기리기 위해 1568년 창건, 1650년 사액을 받았으나 한국 전쟁 중 소실 후 1966년 사당이 복원되었고, 성수침, 성혼, 백인걸, 성수종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경현단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 1568년 설립 - 파주 파산서원
파주 파산서원은 조선 시대 학자들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이이, 백인걸 등을 기리기 위해 1568년 창건, 1650년 사액을 받았으나 한국 전쟁 중 소실 후 1966년 사당이 복원되었고, 성수침, 성혼, 백인걸, 성수종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경현단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서원 - 예연서원
예연서원은 임진왜란 의병장 곽재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어 사액서원으로 지정되었으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되어 곽재우와 곽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서원 - 구암서원 (대구)
구암서원은 1665년 서침을 기리기 위해 대구에 건립되었으며, 서거정, 서성, 서해, 서사원을 추가로 배향한 대구 시내 서원 중 가장 큰 규모의 서원이다.
달성 도동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사적 |
지정 번호 | 488 |
지정일 | 2007년 10월 10일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번지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도동서원 |
면적 | 8,891m2 |
세계유산 정보 | |
명칭 | 한국의 서원 |
세부 명칭 | 도동서원 |
지정 번호 | 1498-006 |
기준 | (ⅲ) |
영문명 |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
불문명 | Seowon, académies néo-confucéennes coréennes |
회차 | 제43차 |
등록 연도 | 2019년 |
소재국 | 대한민국 |
등록 구분 | 문화유산 |
2. 역사
조선 오현 중 한 명인 한훤당 김굉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568년(선조 1) 지방 유림들이 현풍현 비슬산 기슭에 '''쌍계서원'''을 세웠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나, 1605년(선조 38) 지금의 자리로 옮겨 사우를 중건하고 '''보로동서원'''이라 불렀다. 1607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면서 '''도동서원'''으로 이름 지어졌고, 이때 동네 이름도 도동리로 바뀌었다. 1678년(숙종 4) 정구가 추가 배향되었다.
2. 1. 건립과 변천
1568년(선조 1) 지방 유림들이 조선 오현의 한 사람인 한훤당 김굉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현풍현 비슬산 기슭에 '''쌍계서원'''을 세웠다.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나, 1605년(선조 38) 지금의 자리로 옮겨 사우를 중건하고 당시의 동명이 보로동이었으므로 '''보로동서원'''이라 불렀다. 그 후 2년 뒤인 1607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면서 공자의 도가 동쪽으로 왔다는 의미로 '''도동서원'''이라고 하였다. 이때 동(洞) 이름도 도동리로 바뀌었다. 1678년(숙종 4) 정구를 추가 배향하였다.
2. 2. 한국의 서원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2018년 1월 문화재청은 달성 도동서원을 비롯한 한국의 대표 서원 9곳을 한국의 서원으로 지정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신청하였고, 2019년 7월 10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3. 주요 건축물
달성 도동서원의 주요 건축물로는 보물 제350호로 지정된 중정당, 사당, 담장 등이 있다.
3. 1. 중정당, 사당, 담장 (보물 제350호)
보물 제350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