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가톨릭대학교는 1914년 프랑스 선교사에 의해 성 유스티노 신학교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 변경과 통합을 거쳐 현재의 종합대학교로 발전하였다. 현재 효성, 유스티노, 루가, 감삼 4개의 캠퍼스를 운영하며, 다양한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39개국 290개 대학 및 단체와 국제 교류를 하고 있으며, 부속 병원과 교육 기관, 사회 복지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경산 대구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가톨릭대학교 - 효성여자대학교
    효성여자대학교는 1952년 효성여자초급대학으로 설립되어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80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나 1994년 대구가톨릭대학교와 통합되었다.
  • 대구가톨릭대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1980년 개원하여 지속적인 확장과 발전을 거듭해 온 대구광역시의 종합병원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서 지역 의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대학 - 가톨릭상지대학교
    가톨릭상지대학교는 1969년 로마 가톨릭교회 수녀에 의해 설립되어 상지여자실업고등전문학교에서 시작, 여러 교명을 거쳐 201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6개 학부 체제로 인문사회, 보건간호, 자연과학 및 공학 계열의 다양한 학과를 운영하고 미국 대학들과 국제 교류를 진행하는 사립 전문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대학 - 목포가톨릭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는 1966년 골룸반 간호학교로 설립되어 간호학, 사회복지학, 유아교육학 분야로 확장되었고 1999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된 전라남도 목포시 소재의 지역 사회 인재 양성에 주력하는 사립 대학교이다.
대구가톨릭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대구가톨릭대학교
로마자 표기Daegu Gatollik Daehakgyo
한자 표기大邱가톨릭大學校
종류사립
표어Amare Servire (사랑·봉사)
설립일1914년 10월 1일 (성 유스티노 신학교)
개교1952년 5월 15일 (효성여자초급대학)
학교법인선목학원
총장성한기
교직원 수1,391명 (2021년)
학생 수15,000명
학부생 수13,000명
대학원생 수2,000명
위치효성캠퍼스: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로 13-13 (금락리)
루가캠퍼스: 대구광역시 남구 두류공원로17길 33 (남산동)
유스티노캠퍼스: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12길 47 (대명동)
감삼캠퍼스: 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로24길 17 (감삼동)
교색코발트 블루, 깅코엘로
교목은행나무
교화장미
교수 상징펠리컨
웹사이트대구가톨릭대학교 홈페이지
캠퍼스 정보
캠퍼스 종류도심형, 여러 장소
이전 명칭
이전 명칭가톨릭대학교 대구분교
효성가톨릭대학교
효성여자대학교

2. 연혁

1914년 5월 3일, 샤르즈뵈프 신부가 '''성 유스티노 신학교''' 교장으로, 페셀 신부가 교수 신부로 임명되면서 학교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10월 1일, 성 유스티노 신학교 신부들이 신학생들과 함께 생활을 시작하면서 개교하였다. 초대 총장 4명은 프랑스 선교사였으며, 초대 총장은 송덕망(송덕망/宋德望한국어) 신부였다. 1931년 1월 1일, 대신학교와 소신학교가 독립되었다.

1945년 3월 19일,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교되었다.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최민순(최민순/崔敏順한국어) 신부가 총장으로 취임하였으나, 같은 해 신학교가 폐쇄되면서 마지막 총장이 되었다. 신학교는 5월에 대부분의 학생들을 귀가시켰으나, 마지막 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기 위해 12월까지 운영되었다.

1952년 4월 10일 효성여자초급대학 설립 인가를 받아, 5월 15일 천주교 남산동교회 건물(대구 남구 대명동 2435번지)에서 개교식을 가졌다. 초대 학장은 성낙안(바오로) 신부였다. 1953년 2월 18일 4년제 효성여자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음악, 문학, 가정학, 약학 분야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56년 11월 21일 대구 남구 봉덕동 1155번지로 캠퍼스를 이전하였고, 1972년 대학원을 설립하고, 1980년 10월 2일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10월 20일에는 효성여자대학교 하양캠퍼스로 이전을 완료하였다.

1981년 12월 26일 학교법인 선목학원 및 선목신학대학 설립이 인가되었다. 1982년 3월 1일 '''선목신학대학'''이 개교하였으며, 1985년 3월 1일 '''대구가톨릭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7년 10월 20일 효성여자대학교가 하양캠퍼스로 이전을 완료하였다. 1991년 6월 13일 가톨릭병원을 부속병원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1993년 2월 6일 대구가톨릭대학이 '''대구가톨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9월 9일에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축교사를 준공하고 남산동 캠퍼스에서 대명동 캠퍼스로 이전하였다.

1994년 12월 30일, 재단법인 대구구 천주교회 유지재단 효성여자대학교와 학교법인 선목학원 대구가톨릭대학교가 학교법인 선목학원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로 통합되었다. 2000년 5월 9일,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는 '''대구가톨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4년 5월 15일에는 개교 100주년 기념미사 및 기념식을 개최하고, 100주년 기념관 개관 및 기념광장을 조성하였다.

2. 1. 성 유스티노 신학교 시대 (1914년 - 1945년)

1914년 5월 3일, 샤르즈뵈프 신부가 '''성 유스티노 신학교''' 교장으로, 페셀 신부가 교수 신부로 임명되면서 학교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10월 1일, 성 유스티노 신학교 신부들이 신학생들과 함께 생활을 시작하면서 개교하였다. 초대 총장 4명은 프랑스 선교사였으며, 초대 총장은 송덕망(송덕망/宋德望한국어) 신부였다. 1931년 1월 1일, 대신학교와 소신학교가 독립되었다.

1945년 3월 19일,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교되었다.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최민순(최민순/崔敏順한국어) 신부가 총장으로 취임하였으나, 같은 해 신학교가 폐쇄되면서 마지막 총장이 되었다. 신학교는 5월에 대부분의 학생들을 귀가시켰으나, 마지막 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기 위해 12월까지 운영되었다.

2. 2. 효성여자대학 시대 (1952년 - 1994년)

1952년 4월 10일 효성여자초급대학 설립 인가를 받아, 5월 15일 천주교 남산동교회 건물(대구 남구 대명동 2435번지)에서 개교식을 가졌다. 초대 학장은 성낙안(바오로) 신부였다. 1953년 2월 18일 4년제 효성여자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음악, 문학, 가정학, 약학 분야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56년 11월 21일 대구 남구 봉덕동 1155번지로 캠퍼스를 이전하였고, 1972년 대학원을 설립하고, 1980년 10월 2일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10월 20일에는 효성여자대학교 하양캠퍼스로 이전을 완료하였다.

2. 3. 대구가톨릭대학교 시대 (1981년 - 현재)

1981년 12월 26일 학교법인 선목학원 및 선목신학대학 설립이 인가되었다. 1982년 3월 1일 '''선목신학대학'''이 개교하였으며, 1985년 3월 1일 '''대구가톨릭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7년 10월 20일 효성여자대학교가 하양캠퍼스로 이전을 완료하였다. 1991년 6월 13일 가톨릭병원을 부속병원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1993년 2월 6일 대구가톨릭대학이 '''대구가톨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9월 9일에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축교사를 준공하고 남산동 캠퍼스에서 대명동 캠퍼스로 이전하였다.

1994년 12월 30일, 재단법인 대구구 천주교회 유지재단 효성여자대학교와 학교법인 선목학원 대구가톨릭대학교가 학교법인 선목학원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로 통합되었다. 2000년 5월 9일,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는 '''대구가톨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4년 5월 15일에는 개교 100주년 기념미사 및 기념식을 개최하고, 100주년 기념관 개관 및 기념광장을 조성하였다.

3. 캠퍼스

대구가톨릭대학교는 경상북도 및 대구광역시에 4개의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에 위치한 효성캠퍼스는 대학 본부 및 주요 단과대학이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는 신학대학이 있는 유스티노캠퍼스가 있다.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는 의과대학, 간호대학 및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이 있는 루가캠퍼스가 있으며, 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삼동에는 특수대학원, 평생교육원이 있는 감삼 캠퍼스가 있다.

4. 개설 학과·전공

'''효성 캠퍼스'''


  • 프란치스코 칼리지
  • 유스티노 자유대학
  • 글로벌 비즈니스 대학
  • 바이오메디 대학
  • 약학대학
  • 공과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사회과학대학
  • 사범대학
  • 음악·공연예술대학
  • 디자인대학


'''유스티노 캠퍼스'''

  • 신학대학


'''루카 캠퍼스'''

  • 의과대학
  • 간호대학
  • 일반 대학원
  • 특수 대학원
  • * 교육대학원
  • * 의료보건산업대학원
  • * 사회적 경제 경영대학원
  • * 예술대학원
  • * 사회복지대학원
  • * 유스티노 자유대학원
  • * 신학대학원
  • * 상담대학원
  • * 유아교육대학원

4. 1. 학부 과정

2021년 기준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에는 13개 단과대학, 12개 학부, 23개 전공, 63개 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효성 캠퍼스에는 프란치스코 칼리지, 유스티노 자유대학, 글로벌 비즈니스 대학, 바이오메디 대학, 약학대학, 공과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 음악·공연예술대학, 디자인대학이 있다. 유스티노 캠퍼스에는 신학대학이 있으며, 루카 캠퍼스에는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이 있다.

4. 2. 대학원 과정

대구가톨릭대학교는 일반 대학원과 여러 특수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특수 대학원에는 교육대학원, 의료보건산업대학원, 사회적 경제 경영대학원, 예술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유스티노 자유대학원, 신학대학원, 상담대학원, 유아교육대학원이 있다.

5. 국제 교류

대구가톨릭대학교는 39개국 290개의 대학 및 단체와 국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국제 학생 이동 프로그램(AIMS) 회원 대학이며, 동남아시아 교육 고등교육 지역센터(SEAMEO RIHED) 회원이다.[1]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국제 학생 이동 프로그램(AIMS) 회원
  • 동남아시아 교육 고등교육 지역센터(SEAMEO RIHED)[1]
  • 도쿄 국제 대학
  • 벳푸 대학
  • 사가 대학
  • 조치 대학
  • 아이치 슈쿠토쿠 대학
  • 엘리자베트 음악 대학
  • 산업의과대학
  • 나가사키 준신 대학
  • 도키와 대학

5. 1. 국제 협력 기구

대구가톨릭대학교는 39개국 290개의 대학 및 단체와 국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국제 학생 이동 프로그램(AIMS) 회원 대학이다.[1] 동남아시아 교육 고등교육 지역센터(SEAMEO RIHED) 회원이며,[1] [http://www.fiuc.org/index_en.html 국제 가톨릭 대학교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Catholic Universities) 및 동남아시아 가톨릭 대학 협회 회원 대학이다.

5. 2. 주요 국가별 협력 대학

대구가톨릭대학교는 39개국 290개의 대학 및 단체와 국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1]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국제 학생 이동 프로그램(AIMS) 회원'''
  • 동남아시아 교육 고등교육 지역센터(SEAMEO RIHED)[1]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가톨릭 대학교(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 캐나다
  • 앨버타 대학교(The University of Alberta)
  • 중국
  • 중국미술학원(China National Academy of Fine Art)
  • 쓰촨 사범대학(China Sichuan Normal University)
  • 충칭 문리대학(Chongqing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s)
  • 광둥 외국어대학(Guangdong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구이저우 사범대학(Guizhou Normal University)
  • 허난 중의약대학(Henan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지린 대학(Jilin University)
  • 뤄양 사범대학(Luoyang Normal University)
  • 난징 사범대학(Nanjing Normal University)
  • 산둥 경제학원(Shandong Economic University)
  • 산둥 대학(Shandong University)
  • 중앙민족대학교(The Central University of Nationalities)
  • 장시 사범대학(Jiangxi Normal University)
  • 옌볜 대학(Yanbian University)
  • 쯔보 직업학원(Zibo Vocational Institute)
  • 프랑스
  • 릴 가톨릭 대학교(Université Catholique de Lille)
  • 독일
  • 마르틴 루터 대학교 할레-비텐베르크
  • 헝가리
  • 리스트 페렌츠 음악원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 앗마 자야 인도네시아 가톨릭 대학교
  • 요그야카르타 앗마 자야 대학교
  • 나시오날 대학교
  • 말랑 국립 대학교
  • 인도네시아 국제 생명 과학 연구소
  • SEAMOLEC
  • 이탈리아
  • 브레라 국립미술원(Accademia di Belle Arti di Brera)
  • 로마 산타 체칠리아 국립음악원(Conservatorio di Musica S. Cecilia di Roma)
  • 주세페 베르디 국립음악원(Conservatorio Statale di Musica "Giuseppe Verdi")
  • 교황청 성음악 연구원(Pontificio Istituto di Musica Sacra)
  • 성심 가톨릭 대학교(Universita Cattolica del Sacro Cuore)
  • 페루자 외국어 대학교(Universita per Stranieri di Perugia)
  • 일본
  • 아이치 슈쿠토쿠 대학
  • 벳푸 대학
  • 독쿄 대학
  • 엘리자베트 음악 대학
  • 사가 대학
  • 소피아 대학교
  • 산업의과대학(University of Occupational Health Environmental Health)
  • 도쿄 국제 대학
  • 나가사키 준신 대학
  • 도키와 대학
  • 멕시코
  • 과달라하라 대학교(Universidad de Guadalajara)
  • 몽골
  • 몽골 과학 기술 대학교
  • 필리핀
  •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
  • 데 라 살 대학교
  • 산 베다 대학교
  • 산토 토마스 대학교
  • 동 필리핀 대학교
  • 러시아
  • 부랴트 국립 대학교
  • 돈 국립 기술 대학교
  • 러시아 인민 우호 대학교
  • 러시아 국립 인문 대학교
  •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대학교
  • V.P. 아스타피예프(V.P. Astafyev) 이름을 딴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 교육 대학교
  • 스페인
  • 살라망카 교황청 대학교(Universidad Pontificia de Salamanca)
  • 대만
  • 푸젠 가톨릭 대학교
  • 자오리 대학교
  • 영국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 미국
  • 미국 가톨릭 건강 협회, 조지타운 대학교(Catholic Health Association of USA, Georgetown University)
  • 센트럴 미시간 대학교(Central Michigan University)
  • 도안 칼리지(Doane College)
  • 조지아 서던 대학교(Georgia Southern University)
  • 케터링 대학교(Kettering University(GMI Institute))
  • 미네소타 주립 대학교 만카토(Minnesota State University, Mankato)
  • 미시시피 주립 대학교(Mississippi State University)
  • 머레이 주립 대학교(Murray State University)
  • 노스다코타 주립 대학교(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 앨라배마 대학교(The University of Alabama)
  • 캘리포니아 대학교 머세드(University of California, Merced)
  • 캔자스 대학교(University of Kansas)
  •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의과대학(University of North Carolina School of Medicine)
  • 웨스턴 미시간 대학교(Western Michigan University)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대학교
  • 베트남
  • VN-UK 연구 및 경영자 교육원, 다낭 대학교[2]

6. 부설기관

의료기관으로는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무학중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무학고등학교, [http://www.cukid.com/ 부설유치원], [https://cafe.daum.net/cuchild 부설어린이집]이 있다. 이외에도 안심사회복지관 등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경상북도 경산시에는 대구가톨릭대학교 부설 보육원이 있고, 대구광역시 동구에는 대구가톨릭대학교 부설 유치원이 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무학중학교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무학고등학교는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병원은 대구광역시 남구에, 대구가톨릭대학교 칠곡가톨릭병원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다.

7. 지정 문화재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천연기념물 제512호이다.

8. 저명한 동문


  • 김범준(소프트 테니스)
  • 김동훈(소프트 테니스)

참조

[1] 웹사이트 https://rihed.seameo[...]
[2] 웹사이트 VNUK https://vnuk.edu.vn/[...]
[3] 웹사이트 University https://cwur.org/201[...]
[4] 웹사이트 Rankings https://www.scimagoi[...]
[5] 웹사이트 https://www.usnew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