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둔산 (충남/전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둔산은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에 걸쳐 있는 산으로, 임진왜란, 동학 농민 운동, 한국 전쟁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였다. 이치 전투 기념공원, 동학군 최후 항전지, 대둔산 승전탑 등이 위치해 있으며, 완주와 수락계곡 방면 등 다양한 등산로가 있다. 케이블카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금강구름다리, 삼선계단 등의 명소가 있다. 태고사, 안심사, 신고운사 등의 사찰이 있었으나 6.25 전쟁으로 소실되었고, 태고사는 1974년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산시의 지리 - 계룡산
    계룡산은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신성시된 산으로, 천왕봉을 최고봉으로 하는 다양한 봉우리와 폭포, 활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고 계룡산성, 사찰, 계룡대 등이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민간 신앙과 방송 서비스와도 관련 깊다.
  • 논산시의 지리 - 논산시의 지질
    논산시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부터 중생대 쥐라기, 백악기에 걸쳐 형성된 다양한 암석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계룡산 주변의 편마암, 노성면 일대의 노성산 편마암 및 편암, 벌곡면과 양촌면의 옥천 누층군, 쥐라기의 화강암과 반상 화강섬록암, 백악기의 산성 암맥류 등이 분포한다.
  • 완주군의 지리 - 배티재
    배티재는 완주군과 금산군을 잇는 고개이며, 이치 전투의 격전지로서 이치대첩비가 건립되었고, 험준한 산세와 자연 경관으로 관광 자원이 되고 있다.
  • 완주군의 지리 - 천등산 (전북)
  • 노령산맥 - 모악산
    모악산은 전라북도 김제시, 완주군, 전주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금산사 등 여러 사찰이 위치하고 멸종위기 식물과 천연기념물이 서식하며 등산로와 방송 송신 시설이 갖춰져 있다.
  • 노령산맥 - 내장산
    내장산은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에 걸쳐 있는 가을 단풍 명산으로, 내장산국립공원의 핵심이며 내장사, 내장구봉, 우화정, 남창계곡 등 다양한 볼거리를 갖추고 있다.
대둔산 (충남/전북)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둔산 칠성봉
높이878 m
위치충청남도 논산시, 금산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산맥노령산맥, 금남정맥
공원 정보
종류도립공원
기타
참고 자료안경호, 2007, 한국 300 명산 (300 Korean Mountains), 서울, 깊은솔 (Gipeunsol), ISBN 978-89-89917-21-2
백과사전대둔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역사

대둔산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전투들이 벌어진 장소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이치 전투가 벌어져 조선군이 왜군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두었다. 동학 농민 운동 시기에는 동학 농민군이 대둔산에서 일본군에 맞서 최후의 항전을 벌이다 장렬히 전사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대둔산을 거점으로 활동하던 빨치산과 북상하던 북괴군을 섬멸하는 과정에서 많은 경찰관, 국군, 애국청년단원 등이 희생되었다.

2. 1. 이치 전투 (임진왜란)

이치 전투임진왜란 당시 금산에서 전주로 넘어오려는 왜군을 섬멸한 전투로, 이후 임진왜란의 정세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대둔산 휴게소에는 이치 전투 기념공원이 조성되어 있다.[1]

2. 2. 대둔산 동학군 최후 항전지 (동학 농민 운동)

동학농민군은 우금치 전투에서 패한 뒤, 대둔산에서 일본군에 맞서 최후의 항전을 벌였다. 이들은 대둔산의 바위벼랑에서 몸을 던져 자결했으며, 삼선계단 직전에 '대둔산 동학군 최후 항전지' 표지판이 있다.

2. 3. 대둔산 승전탑 (한국 전쟁)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에 있다. 1950년 1월 3일부터 1955년 1월 2일까지 5년간 대둔산 일대에서 활동 중인 빨치산과 영호남에서 패주하여 북상하던 북괴군을 섬멸하는 과정에서 전사한 경찰관, 국군, 애국청년단원 등 1,376명의 호국영령들을 추모하기 위하여 충남지방경찰청에서 1986년 6월 23일 건립하였다. 당시 대둔산을 거점으로 활동한 공비들은 현재의 논산시, 완주군 일대와 멀리 공주, 대전까지 원정하여 410여 회에 걸쳐 경찰관서 습격, 양민 학살 등 만행을 저질렀고, 이에 충남경찰국은 경비사령부를 설치하고 강경경찰서에 대둔산지구 전투경찰대를 창설하여 대대적인 공비 토벌 작전을 전개함으로써 대둔산 일대의 공비를 소탕하였다.

3. 등산로

케이블카

3. 1. 완주 방면 등산로

완주 방면에서 오르는 잘 알려진 등산로는 3개인데, 산자락의 풍경과 기암 절벽이 장관이다. 또한 절경 사이로 케이블카가 설치되어 있어서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케이블카에서 내리면 철계단과 '''금강구름다리''', 삼선계단이 이어진다.[1]

3. 2. 수락계곡 방면 등산로

수락계곡 입구에는 대둔산지구 승전기념탑이 있으며, 수락폭포를 따라 올라가면 낙조대와 마천대에 이른다.[1]

4. 사찰

대둔산에는 태고사, 안심사, 신고운사 등 절이 있었으나 6.25 전쟁 중 불에 타서 소실되었다. 태고사는 1974년에 복원되었다.

5. 갤러리

5. 1. 케이블카


참조

[1] 서적 한국 300 명산 (300 Korean Mountains) 깊은솔 (Gipeunsol)
[2] 웹사이트 Daedunsan,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term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