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명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명부는 북송 시대 하북 지역의 주요 도시로, 요나라의 공격을 방어하는 요충지였다. 금나라 때는 대명부로, 원나라 때는 대명로로 불렸으며, 명나라 시대에 대명부로 회귀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에는 다밍 현으로 불리며 허베이성 남부의 교통 요충지로 자리 잡았다. 당나라 위주를 전신으로 하며, 오대 십국 시대, 송, 금, 원, 명, 청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이 변화했다. 북송 시대의 대명부는 배도로 번성했으나, 명나라 대홍수로 인해 시가지가 현대의 다밍 현으로 옮겨졌으며, 유적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2. 역사

당나라 시대의 위주에서 시작되었다. 오대 십국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는데, 923년 후당 때 동경흥당부[1], 937년 후진 때 광진부[2]를 거쳐 948년 후한 때 '''대명부'''(大名府)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다[3].

북송 시대에 대명부는 하북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으며, 하북동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특히 요나라의 연경과 가까워 요나라의 침입을 막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1042년에는 송나라의 배도(陪都)인 북경(北京)으로 지정되어[4]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그러나 1128년 금나라종보에게 함락되면서[5] 군사적 중요성을 점차 잃었다. 금나라 시대에는 대명부로의 중심지였고[6], 1217년 몽골 제국에 함락된 후[7] 원나라 때는 '''대명로'''(大名路)로 개칭되어 중서성에 속했다[8].

1368년 명나라가 건국되면서 다시 '''대명부'''라는 이름을 되찾고 북직예에 속하게 되었다[9]. 청나라 때는 직례성에 속했다[10]. 1913년 중화민국 정부에 의해 대명부 제도는 폐지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에는 다밍 현으로 불리며 허베이성 남부의 교통 요충지로 자리 잡았다. 북송 시대 번성했던 대명부의 궁궐과 성곽은 배도 기능이 사라지고 명나라 때 대홍수를 겪으며 쇠퇴하여, 현재의 한단시 다밍 현 현성(縣城)으로 중심지가 옮겨졌다. 북송 시대 대명부 유적(대명부 고성)은 다밍 현 대가향(大街鄉)에 남아 있으며, 2006년 중국 국무원에 의해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2. 1. 오대십국시대

당나라의 위주를 전신으로 한다. 오대 십국 시대가 시작되면서 행정 명칭에 변화가 있었다. 923년 (동광 원년), 후당은 위주를 동경흥당부로 개칭하였다[1]. 이후 937년 (천복 2년)에는 후진이 흥당부를 광진부로 바꾸었다[2]. 그리고 948년 (건우 원년), 후한이 광진부를 대명부로 개칭하면서 '대명부'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다[3].

2. 2. 송나라

당나라의 위주를 계승한 곳이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923년 (동광 원년) 후당에 의해 위주가 동경흥당부(東京興唐府)로 개칭되었고[1], 937년 (천복 2년)에는 후진에 의해 흥당부가 광진부(廣晉府)로 바뀌었다[2]. 이후 948년 (건우 원년) 후한 때 광진부가 대명부(大名府)로 개칭되었다[3].

북송(北宋) 시대에 대명부는 하북 지역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하북동로(河北東路)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요나라의 연경(燕京)과 가까워, 요나라의 공격을 방어하는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로 기능했다. 1042년 (경력 2년)에는 배도(陪都)인 북경(北京)으로 지정되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4]. 당시 군명(郡名)은 위군(魏郡)이었다.

숭녕 연간(崇寧年間, 1102년 ~ 1106년)의 기록에 따르면, 대명부에는 155,253호, 568,976명이 거주했다. 주요 공납품으로는 화고(花槹), 면고(綿槹), 평고(平槹), 자치 뿌리 등이 있었다. 북송 시대 대명부는 총 12개의 현을 관할했다[4].

북송 시대 대명부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원성현元城縣한단 시 다밍 현
신현莘縣랴오청 시 선 현
대명현大名縣한단 시 다밍 현次赤1073년 진(鎮)으로 격하되었다가 1096년 복구되었다. 1116년 남악진(南樂鎮, 현재 다밍 현 구치향)으로 현의 중심지가 옮겨졌다.
내황현內黃縣안양 시 네이황 현
성안현成安縣한단 시 청안 현1073년 원수현(元水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통합했다.
위현魏縣한단 시 웨이 현 북동次畿
관도현館陶縣한단 시 관타오 현1072년 영제현(永濟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편입했다가 다시 복구했다.
임청현臨淸縣싱타이 시 린시 현次畿1072년 진으로 격하되어 종성현으로 이관되었다가 바로 복구되었다.
하진현夏津縣더저우 시 샤진 현
청평현淸平縣더저우 시 가오탕 현 청평진건국 초 박주(博州) 소속이었으나, 1068년 박평현(博平縣) 명령채(明靈砦)를 편입하고 치소를 명령채로 옮겼다.
관씨현冠氏縣랴오청 시 관 현 관성진
종성현宗城縣싱타이 시 웨이 현 여원둔진 일대1073년 경성현(經城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통합했다.



그러나 북송이 금나라의 공격을 받아 남쪽으로 세력을 옮기면서 대명부는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기능을 점차 상실하게 되었다. 북송 시대 배도로서 번성했던 대명부의 궁궐과 성곽 도시는 배도 기능이 사라지면서 쇠퇴의 길을 걸었고, 이후 명나라 시대에는 대홍수로 인해 기존 시가지는 버려지고 중심지가 현재의 한단 시 다밍 현 현성(縣城) 위치로 옮겨졌다. 북송 시대 대명부의 유적(대명부 고성)은 현재 다밍 현 대가향(大街鄉)에 남아 있으며, 2006년 중국 국무원에 의해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2. 3. 금나라

북송금나라의 공격을 받아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요나라 방어의 요충지였던 대명부는 군사적 중요성을 잃게 되었다. 1128년 (천회 6년), 금나라의 장수 종보가 대명부를 함락시켰다.[5] 금나라 시대에 대명부는 대명부로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10개 현과 13개 진을 관할했다.[6]

구분목록
관할 현 (10개)원성, 대명, 위, 남락, 관도, 관씨, 하진, 청평, 조성, 신
관할 진 (13개)안정, 안현, 남락, 관도, 보통, 청수, 박녕, 상교, 손생, 청평, 한장, 마교



1217년, 몽골 제국이 대명부를 함락시키면서 금나라의 지배는 끝나게 된다.[7]

2. 4. 몽골 제국과 원나라

1217년, 몽골 제국이 대명부를 함락시켰다[7]. 이후 대명부는 '''대명로총관부'''(大名路總管府)로 이름이 바뀌었다.

원 시대에 대명로(大名路)는 중서성에 속했으며, 그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았다[8].

'''원나라 시대 대명로 관할 구역'''
구분상세
행정 중심녹사사 (錄事司) 1개
직속 현 (縣)원성(元城), 대명(大名), 위(魏), 남락(南樂), 청하(淸河) (총 5개 현)
소속 주 (州) 및 현
총계1사 5현 3주 (주령 6현)


2. 5. 명나라

1368년 (홍무 원년)에 명나라는 대명로를 다시 '''대명부'''로 개칭하였다. 대명부는 북직예에 속했으며, 직속으로 원성현, 대명현, 위현, 남락현, 청풍현, 활현, 내황현, 준현의 8개 현과 개주(開州)에 속한 장원현, 동명현 2개 현을 더해 총 1주 10개 현을 관할했다[9]. 명나라 시대에는 큰 홍수로 인해 기존의 시가지는 버려지고, 현재의 한단시 대명현 현성(縣城) 위치로 옮겨졌다.

2. 6. 청나라

시대에 대명부는 직례성에 속했고, 원성, 대명, 남락, 청풍, 장원, 동명의 6개 현과 개주(開州) 1개 주를 관할했다.[10]

2. 7. 중화민국

1913년, 중화민국에 의해 대명부는 폐지되었다.

2. 8.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된 이후에는 다밍 현으로 불리며, 허베이성 남부의 교통 요충지로 자리잡았다.

3. 행정구역

당나라의 위주를 전신으로 한다. 923년 (동광 원년), 오대 십국 시대의 후당은 위주를 동경흥당부로 개칭했다[1]. 이후 937년 (천복 2년)에는 후진이 흥당부를 광진부로 바꾸었고[2], 948년 (건우 원년)에는 후한이 광진부를 대명부로 다시 개칭하면서 '대명부'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되었다[3].

1042년 (경력 2년), 북송은 대명부에 북경을 설치하여 그 중요성을 높였다. 북경대명부는 하북동로에 속했으며, 총 12개 현을 관할했다[4].

1128년 (천회 6년), 종보가 대명부를 점령했다[5]. 금나라 시기 대명부는 대명부로에 속했으며, 원성, 대명, , 남락, 관도, 관씨, 하진, 청평, 조성, 의 10개 현과 13개 진을 관할했다[6].

1217년, 몽골 제국이 대명부를 함락시키고[7], 이곳을 대명로총관부로 개칭했다. 원나라 시대에 대명로는 중서성 직속이었으며, 녹사사(錄事司) 1곳, 직속 현 5곳(원성, 대명, , 남락, 청하), 그리고 3개 주(개주, 활주, 준주)와 그에 속한 6개 현(복양, 청풍, 장원, 동명, 백마, 내황)을 관할했다[8].

1368년 (홍무 원년), 명나라는 대명로를 다시 대명부로 바꾸었다. 명대의 대명부는 북직예에 속했으며, 직속 8개 현(원성, 대명, , 남락, 청풍, 활, 내황, 준)과 개주 소속 2개 현(장원, 동명)을 합쳐 총 1주 10개 현을 관할했다[9].

청나라 시대에도 대명부라는 명칭은 유지되었으며, 직례성에 속했다. 관할 구역은 개주 1주와 6개 현(원성, 대명, 남락, 청풍, 장원, 동명)으로 조정되었다[10].

1913년, 중화민국 정부에 의해 대명부는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과거 북송 시대에 배도(陪都)로서 번성했던 대명부의 궁궐과 성곽 도시는 배도 지위 상실 이후 점차 쇠퇴하였다. 특히 명나라 때 발생한 대홍수로 인해 기존 시가지는 버려졌고, 중심지는 현재의 한단시 대명현 현성(縣城) 위치로 옮겨졌다. 북송 시대 대명부의 유적(대명부 고성)은 현재의 다밍 현 대가향(大駕鄕) 일대에 남아 있으며,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6년 중국 국무원에 의해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다.

3. 1. 송

군명은 위군이었다. 숭녕 연간을 기준으로 155,253호 568,976명이 살았다. 화고(花槹), 면고(綿槹), 평고(平槹), 자치 뿌리를 공납으로 바쳤다. 12개 현을 관할했다.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원성현元城縣한단 시 다밍 현
신현莘縣랴오청 시 선 현
대명현大名縣한단 시 다밍 현次赤1073년 진(鎮)으로 격하되어 폐지되었다가 1096년 복구되었다. 1116년 남악진(南樂鎮, 지금의 다밍 현 구치향)으로 현의 치소를 옮겼다.
내황현內黃縣안양 시 네이황 현
성안현成安縣한단 시 청안 현1073년, 원수현(元水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통폐합했다.
위현魏縣한단 시 웨이 현 북동次畿
관도현館陶縣한단 시 관타오 현1072년 영제현(永濟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편입했다가 복구했다.
임청현臨淸縣싱타이 시 린시 현次畿1072년 진으로 격하되어 종성현으로 이관되었다가 바로 복구되었다.
하진현夏津縣더저우 시 샤진 현
청평현淸平縣더저우 시 가오탕 현 청평진건국 초 박주(博州)에 소속되었다가 1068년 박평현(博平縣) 명령채(明靈砦)를 본현에 내속시키고 치소를 명령채로 옮겼다.
관씨현冠氏縣랴오청 시 관 현 관성진
종성현宗城縣싱타이 시 웨이 현 여원둔진 일대1073년 경성현(經城縣)을 진으로 격하해 통폐합시켰다.


4. 문학 속에 등장하는 대명부

수호전》(水滸傳)에서는 채경(蔡京)의 사위인 양세걸(梁世杰)이 지키며, 양세걸의 수하인 이성(李成) · 양지(楊志) · 색초(索超) 등도 함께 성을 수비하였다. 노준의(盧俊義)와 연청(燕淸)의 고향이기도 하다.

참조

[1] 서적 旧五代史 唐書荘宗紀
[2] 서적 旧五代史 晋書高祖紀
[3] 서적 旧五代史 漢書隠帝紀上
[4] 서적 宋史 地理志二
[5] 서적 金史 太宗紀
[6] 서적 金史 地理志下
[7] 서적 元史 太祖紀
[8] 서적 元史 地理志一
[9] 서적 明史 地理志一
[10] 서적 清史稿 地理志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