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백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백로는 1758년 카롤루스 린네우스가 명명한 왜가리과에 속하는 대형 조류이다. 몸길이는 약 90cm로, 흰색 깃털과 긴 목, 다리, 부리를 가지고 있으며,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아종에 따라 번식기의 부리 및 다리 색깔에 차이가 있으며, 얕은 물이나 건조한 서식지에서 물고기, 개구리, 작은 포유류 등을 먹이로 한다. 19세기 말 깃털 채취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조치로 회복되어 서식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도시 및 교외에서도 관찰된다. 대백로는 브라질 헤알 지폐, 내셔널 오듀본 학회의 상징으로 사용되며, 여러 나라의 주화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왜가리속 - 중백로
    중백로는 흰색 깃털, 검은 다리, 노란 부리를 가진 중형 왜가리로, 번식기에는 부리 색이 변하고 장식깃이 나타나며, 논, 습지, 하천 등에서 서식하며 어류, 양서류 등을 먹는 습성이 있다.
  • 왜가리속 - 중대백로
    중대백로는 몸길이 약 90cm의 백로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지역에 분포하며 얕은 물에서 먹이를 잡고 집단 번식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보호받고 있다.
  • 한국의 겨울철새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한국의 겨울철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북아메리카의 새 - 참매
    참매는 전 세계 숲에 서식하며 조류와 포유류를 사냥하는 중대형 수리매로, 아종에 따라 크기와 깃털 색깔이 다르고, 매사냥에 이용되어 왔으며, 도시 지역으로 서식지를 확장하는 추세이다.
  • 북아메리카의 새 -
    매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뛰어난 비행 능력으로 조류를 사냥하는 맹금류로, 과거 살충제 사용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복원 노력으로 회복되었고 매사냥과 속도 및 권력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대백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Ardea alba
명명자Linnaeus, 1758
영명Great Egret
국명큰흰해오라기
일본명다이사기 (ダイサギ)
분류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사다새목
백로과
아오사기속
아종 및 이명
이명Herodias egretta Boie, 1822
Casmerodius egretta Gloger, 1842
Casmerodius albus Oberholser, 1919
Egretta alba (Cramp and Simmons, 1977)
아종Ardea alba alba (Linnaeus, 1758)
Ardea alba egretta (Gmelin, 1789)
Ardea alba modesta (Gray, 1831) - 동부대백로
Ardea alba melanorhynchos (Wagler, 1827)
형태
깃털 색흰색
부리 색번식기에는 검은색, 그 외에는 노란색
다리 색검은색
번식깃등과 가슴에 장식깃 발달
생태
서식지습지, 초원, 해안가
먹이물고기, 개구리, 곤충, 갑각류
분포
서식 범위전 세계 (남극 대륙 제외)
번식지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월동지서식 범위와 일치
보전 상태
IUCNLC (최소관심종)
참고IUCN 적색 목록
이미지
뉴저지 케이프 메이 카운티에서 번식깃을 가진 성체
뉴저지 케이프 메이 카운티에서 번식깃을 가진 성체
겨울깃을 가진 다이사기 ''A. a. alba''
겨울깃을 가진 다이사기 A. a. alba
대백로
대백로
''A. alba''의 분포 (''A. a. modesta'' 제외)
A. alba의 분포 (A. a. modesta 제외).

2. 분류

대백로는 1758년 스웨덴의 자연학자 카롤루스 린네우스(Carl Linnaeus)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 제10판에서 이항 명명법(binomial nomenclature)으로 ''Ardea alba''라는 학명으로 정식으로 기술하였다.[3][4] 학명은 라틴어 ''ardea''("왜가리")와 ''alba''("흰")에서 유래한다.[5]

대백로는 왜가리 과 Ardeidae에 속하며, 전통적으로 황새와 함께 Ciconiiformes목으로 분류되었으나, 펠리컨과 더 가까운 관계여서 Pelecaniformes목으로 분류된다. 과거에는 ''Egretta''속 또는 단형(monotypic) 속인 ''Casmerodius''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큰 왜가리와 함께 ''Ardea''속으로 분류된다. 구세계 개체군은 종종 "큰흰백로"로 불린다.

본 종은 아오사기속(''Ardea'')과 쇠백로속(''Egretta'')의 두 속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서적에 따라 분류되는 속이 다르다.

2. 1. 아종

전 세계적으로 네 가지 아종이 발견되며, 그 차이는 미미하다.[6] 아종 간의 차이점은 번식기의 노출된 부위의 색깔과 크기를 포함한다. 가장 작은 아종인 *A. a. modesta*는 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에 서식하며, 일부 분류학자들은 이를 별개의 종인 동방쇠백로 (*Ardea modesta*)로 간주하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아종으로 취급한다.[6]

아종학명분포 지역한국 내 지위
모식 아종, 큰백로(또는 백로)*A. a. alba* (린네, 1758)유럽구북구 전역겨울철새
*A. a. egretta* (그멜린, 1789)아메리카 대륙
*A. a. melanorhynchos* (바글러, 1827)아프리카
동방쇠백로, 중백로*A. a. modesta* (그레이, 1831)인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오세아니아여름철새, 일부는 텃새



일본에서는 아종 중대백로 (학명 *E.a. modesta*)가 여름철새로(일본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남쪽으로 이동한다), 아종 대백로 (학명 *E.a. alba*)가 겨울철새로(중국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일본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각각 관찰되기 때문에, 철새이지만 거의 일년 내내 관찰된다.

3. 형태

대백로는 온통 흰색 깃털을 가진 큰 왜가리이다. 키가 최대 1m에 달하며, 몸길이는 80cm 에서 104cm, 날개폭은 131cm 에서 170cm에 이른다. 몸무게는 700g 에서 1500g이며, 평균은 1000g 정도이다. 따라서 큰청색왜가리 또는 쇠백로(''Ardea cinerea'')보다 약간 작다. 크기 외에도 대백로는 번식기에는 부리가 어두워지고 다리 아랫부분이 밝아질 수 있지만, 노란색 부리와 검은색 다리와 발을 통해 다른 흰 왜가리와 구별할 수 있다. 번식깃에는 섬세한 장식깃이 등에 난다. 수컷과 암컷의 외모는 동일하며, 어린 새는 번식하지 않는 성체와 비슷하게 생겼다. 중대백로(''Ardea intermedia'')와는 부리열림으로 구분되는데, 대백로의 경우 부리열림이 눈 뒤쪽을 훨씬 넘어서지만, 중대백로는 눈 바로 뒤에서 끝난다.

대백로는 목을 움츠린 채 느리게 난다. 이것은 왜가리와 물총새류의 특징이며, 비행 중 목을 쭉 뻗는 황새, 두루미, 이비스, 숟가락부리황새와 구별된다. 대백로는 목을 뻗고 날개를 몸에 바짝 붙인 채 걷는다.

비행 중인 성체(캘리포니아, 미국)


번식깃(카르나타카, 인도)


한국에서는 몸길이가 약 90cm이며, 황새와 함께 가장 큰 백로 중 하나이다. 암수 모두 온몸이 흰색이며, 긴 다리, 뾰족한 부리를 가진다. 은 전체적으로 검다. 여름깃에는 부리가 검어지고, 발의 기부가 약간 노란색을 띤다. 가슴과 등에 긴 장식깃이 나타나며, 눈앞에 녹색 혼인색이 나타나기도 한다. 겨울깃에는 장식깃이 없고, 부리가 노란색이다.

중대백로와 비슷하지만, 대백로는 부리가 더 길고, 부리열림(입꼬리 갈라짐)이 눈 뒤쪽까지 이어진다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4. 분포 및 서식지

대백로는 전반적으로 매우 성공적인 종으로, 온대 및 열대 서식지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넓고 확장되는 서식 범위를 가지고 있다. 미국 남부지방과 신열대구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1] 세계의 열대와 온대에 널리 분포하지만, 온대 지역의 개체들은 겨울이 되면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철새이다.

일본에서는 아종 중대백로(''E.a. modesta'')가 여름철새로(일본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남쪽으로 이동한다), 아종 대백로(''E.a. alba'')가 겨울철새로(중국 동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일본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각각 관찰되기 때문에, 철새이지만 거의 일년 내내 관찰된다.

번식기가 아닌 성체가 악어(인도 카르나타카주) 근처에서 물가를 걷고 있다

5. 생태

대백로는 얕은 물이나 건조한 서식지에서 주로 물고기, 개구리, 기타 양서류,[19] 작은 포유류(예: 쥐),[20] 그리고 때때로 작은 파충류(예: 뱀),[20] 갑각류(예: 가재),[21] 곤충(예: 귀뚜라미와 메뚜기)[20]를 먹는다. 길고 날카로운 부리를 사용하여 먹이를 꿰뚫는 방식으로 사냥한다. 움직이지 않고 서서 먹이가 부리의 공격 범위 안에 들어오기를 기다렸다가 부리를 창처럼 사용하거나, 천천히 먹이감을 추적하기도 한다. 논밭이나 강, 호수 등에서 물고기, 양서류, 파충류, 곤충, 심지어 포유류와 조류까지 포식하며, 목을 S자 형태로 구부리고 서 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

물고기를 찌르는 모습


마타데로 크릭(Matadero Creek)에 착륙하는 모습


백로과의 다른 종들과 함께 모여 집단 번식지를 이루는 ‘백로 서식지’를 만드는 습성이 있다. 큰 호수 근처의 나무, 갈대밭이나 기타 광범위한 습지를 선호하며, 약 3.05m에서 약 12.19m 높이에 둥지를 튼다.[17] 2~3세에 일부일처제 짝을 이루어 번식을 시작하며, 막대기로 만들고 식물성 재료로 안을 댄 둥지는 최대 3피트 너비가 될 수 있다. 한 번에 최대 6개의 푸른빛이 도는 녹색 알을 낳으며, 부모 양쪽 모두가 알을 품고 새끼에게 먹이를 준다.[18]

알, 비스바덴 박물관 소장


울음소리는 “고아”와 같으며, 주로 번식기에 운다. 또한, 먹이를 찾는 구역에 침입하는 다른 대백로를 “가아아” 또는 “가가가…” 하고 울며 쫓아낸다.

5. 1. 기생충

1962~2013년 장기간의 현장 연구에 따르면, 중앙 유럽의 대백로는 17종의 구충류를 숙주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대백로는 기생충 종류가 더 적었지만 감염 강도는 어른새보다 더 높았다. 중앙 유럽 대백로에서 발견된 흡충류 중 다수 종은 중앙 유럽 외부에서 최종 숙주를 감염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6. 보전 상태

19세기 말, 북아메리카에서는 장식용 모자에 사용하기 위한 깃털을 얻으려고 대백로를 사냥하여 개체수가 많이 감소하였다.[8][9] 그러나 보호 조치 덕분에 개체수가 회복되었고, 서식 범위가 북쪽으로는 캐나다 남부까지 확장되었다. 하지만 미국 남부 일부 지역에서는 서식지 감소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백로는 인간 거주지에 잘 적응하여 도시와 교외 지역의 습지 및 물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1]

대백로는 부분적으로 이동성을 가지며, 북반구의 새들은 추운 겨울을 피해 남쪽으로 이동한다. 이 종은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호 협정(AEWA)의 보호를 받는 종 중 하나이다. 1953년, 비행하는 대백로는 내셔널 오듀본 학회(National Audubon Society)의 상징으로 선정되었다.

2012년 5월 22일, 영국 서머싯주 샤프위크 히스 자연 보호 구역에서 영국 최초로 대백로 한 쌍이 둥지를 틀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2017년에는 서머싯에서 7개의 둥지에서 17마리의 새끼가 자랐고,[10] 노퍽주 홀크햄 국립 자연 보호 구역에서도 한 쌍이 3마리의 새끼를 길러 두 번째 번식지가 되었다.[11] 2024년 8월에는 스코틀랜드 북 에버딘셔의 스트래스베그 호 자연 보호 구역에서 한 쌍이 세 마리의 새끼를 기른 것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스코틀랜드에서 부화한 최초의 새끼였다.[13]

북유럽 국가에서도 비슷한 북상 현상이 관찰되었다. 스웨덴에서는 2012년, 덴마크에서는 2014년에 최초로 번식이 확인되었으며, 두 국가 모두 현재 소규모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14][15] 2018년에는 핀란드 포르보의 쇠백로 서식지에서 한 쌍의 대백로가 처음으로 둥지를 틀어 네 마리의 새끼를 기르기도 했다.[16]

7. 문화

큰 백로는 5헤알 지폐 뒷면에 그려져 있다.[22] 내셔널 오듀본 학회의 상징이기도 하다.

베르너 크루타인이 촬영한 번식깃을 한 큰 백로의 에어브러시 사진은 1992년 페이스 노 모어의 앨범 ''엔젤 더스트'' 표지에 실렸다.[23]

벨라루스에서는 큰 백로의 이미지가 새겨진 기념주화가 발행되었다.[24] 큰 백로는 뉴질랜드 2달러 동전과 헝가리 5포린트 동전에도 등장한다.[25]

참조

[1] IUCN Ardea alba 2021-11-19
[2] 웹사이트 Great White Egret Facts | Ardea alba https://www.rspb.org[...]
[3]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4]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5]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6] 웹사이트 Ibis, spoonbills, herons, Hamerkop, Shoebill, pelica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4-02-09
[7] 웹사이트 Similar Species for Great Egret https://www.allabout[...] Cornell Lab of Ornithology 2021-03-19
[8] 웹사이트 How Two Women Ended the Deadly Feather Trade https://www.smithson[...] 2021-01-08
[9] 웹사이트 Aigrette definition and meaning |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s://www.collinsd[...]
[10] 학술지 England's Mediterranean Breeding Season
[11] 웹사이트 Great White Egret breeds successfully in Norfolk for the first time http://www.rarebirda[...] Rare Bird Alert 2017-09-15
[12] 뉴스 Great white egret no longer rare bird as numbers boom across UK and Europe https://www.independ[...] 2021-01-04
[13] 잡지 Great White Egrets successfully fledge in Scotland for the first time https://www.scottish[...] 2024-08-22
[14] 웹사이트 Første danske koloni af den sjældne sølvhejre opdaget https://www.dof.dk/o[...] Dansk Ornitologisk Forening 2022-06-29
[15] 학술지 Snabb framryckning av flera arter i landet
[16] 웹사이트 Jalohaikara pesi ensimmäistä kertaa Suomessa – Porvoossa haudotut poikaset lennähtivät maailmalle https://yle.fi/uutis[...] 2018-08-11
[17] 웹사이트 Great Egret http://www.audubon.o[...] 2016-07-10
[18] 웹사이트 Great Egret https://www.allabout[...] Cornell Lab of Ornithology 2016-07-10
[19] 웹사이트 Ardea alba (Great Egret) https://sta.uwi.edu/[...]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2022-08-06
[20] 웹사이트 Ardea alba (Great egret) https://animaldivers[...]
[21] 웹사이트 Ardea alba: great egret https://animaldivers[...] University of Michigan 2022-01-14
[22] 웹사이트 Current Banknotes - Banco Central do Brasil https://www.bcb.gov.[...] 2021-06-07
[23] 잡지 Faith No More - Dusted 1992-12-00
[24] 웹사이트 1 Rouble, Belarus https://en.numista.c[...] 2021-06-07
[25] 웹사이트 5 Forint https://en.numista.c[...] Numista 2020-05-17
[26] IUCN Casmerodius albus 2007-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