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그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성그룹은 1947년 대성산업공사 창립을 시작으로, 에너지, 문화콘텐츠, 금융,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집단이다. 1980년대부터 사업을 확장하여 도시가스 사업에 진출했으며, 2000년대에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여 경영 효율성을 높였다. 현재는 대성홀딩스를 중심으로 에너지, 문화콘텐츠, 금융, 패션 등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사회공헌 활동도 펼치고 있다. 김영훈 회장은 세계에너지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활발한 대외 활동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설립된 기업 - 현대그룹
1947년 정주영이 설립한 현대토건사를 모태로 하는 현대그룹은 건설, 자동차, 중공업, 전자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대한민국 경제 성장을 주도했으나, 외환 위기 이후 구조조정과 계열 분리를 거쳐 현재는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아산 등을 주요 계열사로 두고 현정은이 회장직을 맡고 있다. - 1947년 설립된 기업 - LG (기업)
LG화학은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로 설립되어 ㈜럭키를 거쳐 LG화학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사업 구조 재편을 통해 현재 석유화학, 정보전자소재, 전지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화학 기업이다.
대성그룹 | |
---|---|
대성그룹 | |
![]() | |
설립자 | 김수근 |
산업 | 에너지 자동차 부품 석유 탐사 산업 가스 |
웹사이트 | 대성그룹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대성그룹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 1947년 5월 10일: 김수근 회장이 대성산업공사를 창립하였다.[1]
- 1959년 9월 18일: 대성연탄(주)를 설립하였다.[1]
- 1960년 7월 10일: 문경탄광을 인수하였다.[1]
- 1964년 4월: LPG판매업을 시작하였다.[1]
- 1968년 7월 4일: 대성산업(주)을 설립하였다.[1]
- 1976년 6월 25일: 대성광업개발(주)를 설립하였다.
- 1976년 7월 19일: 창원기화기공업(주)를 설립하였다.
- 1979년 2월 19일: 대성산소(주) (現 DIG에어가스)를 설립하였다.
- 1980년 11월 19일: 대성 호주 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
- 1982년 3월 25일: 대성 미국 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
- 1983년 1월 31일: 대구도시가스(현 대성에너지)를 설립하였다.
- 1983년 12월 1일: 서울도시가스를 설립하였다.
- 1997년 7월 12일: 경북도시가스(주) (現 대성청정에너지(주))를 설립하였다.
- 2000년 12월 28일: 김영훈 회장이 취임하였다.
- 2001년 12월 19일: 글로리아트레이딩(주) (現 대성큐(주))를 설립하였다.
- 2002년 4월 24일: 대성해강과학문화재단을 설립하였다.
- 2002년 5월 10일: 대성청정에너지연구소(DICE)를 개소하였다.
- 2002년 6월 28일: 인사이트벤처(주) (現 대성창업투자)를 인수하였다.
- 2002년 11월 20일: 대성닷컴(주) (現 (주)대성)을 설립하였다.
- 2002년 12월 18일: 대성차이나(주)를 설립하였다.
- 2003년 6월 18일: 대성글로벌네트웍(주)를 설립하였다.
- 2003년 9월 2일: 액츠투자자문(주) (現 대성투자자문(주))를 인수하였다.
- 2004년 5월 24일: 대구에너지환경(주) (現 대성환경에너지(주))를 설립하였다.
- 2006년 1월 20일: (주)코리아닷컴커뮤니케이션즈를 인수하였다.
- 2006년 12월 5일: 네오팜을 설립하였다.
- 2007년 2월 19일: 네오팜 오스트레일리아를 설립하였다.
- 2008년 6월 26일: 코리안드림(유)를 설립하였다.
- 2009년 5월 8일: 대성이앤씨(주)를 설립하였다.
- 2009년 10월 1일: 대성홀딩스(주)를 설립하였다.[1]
- 2010년 8월 31일: 대성인베스트먼트(주) (현 대성밸류인베스트먼트(주))를 설립하였다.
- 2011년 6월 13일: 스카이프와 국내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하였다.
- 2015년 10월 1일: 글로리아트레이딩(주) 자회사 대성큐(주)를 설립하였다.
2. 1. 창립 초기(1947~1970년대)
대성그룹은 1947년 5월 10일 김수근 회장이 대성산업공사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1] 1959년 9월 18일에는 대성연탄(주)을 설립하고,[1] 1960년 7월 10일 문경탄광을 인수하였다.[1] 1964년 4월에는 LPG판매업을 시작하였고,[1] 1968년 7월 4일 대성산업(주)을 설립하였다.[1]설립일 | 회사명 |
---|---|
1947년 5월 10일 | 대성산업공사 |
1959년 9월 18일 | 대성연탄(주) |
1968년 7월 4일 | 대성산업(주) |
2. 2. 사업 확장 및 다각화 (1980년대~2000년대)
대성그룹은 1980년대부터 사업 확장을 본격화했다. 1980년 호주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1982년에는 미국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해외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1983년에는 대구도시가스(현 대성에너지)와 서울도시가스를 설립하여 도시가스 사업에 진출했다.2000년대에 들어서도 대성그룹은 사업 다각화를 지속했다. 2000년 김영훈 회장이 취임하면서 이러한 기조는 더욱 강화되었다. 2001년 글로리아트레이딩(현 대성큐)을 설립하고, 2002년에는 대성해강과학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공헌활동을 강화했다. 같은 해 대성청정에너지연구소(DICE)를 개소하고, 인사이트벤처(현 대성창업투자)를 인수했다. 또한, 대성닷컴(현 (주)대성)과 대성차이나를 설립하여 IT 및 중국 시장 진출을 모색했다.
2003년에는 대성글로벌네트웍을 설립하고, 액츠투자자문(현 대성투자자문)을 인수하여 금융투자 부문을 강화했다. 2004년에는 대구에너지환경(현 대성환경에너지)을 설립하여 환경 및 에너지 사업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2006년에는 코리아닷컴커뮤니케이션즈를 인수하고, 네오팜을 설립하여 제약 및 화장품 사업에도 진출했다.
2008년 코리안드림(유)을 설립하고, 2009년에는 대성이앤씨와 대성홀딩스를 설립했다. 2010년에는 대성인베스트먼트(현 대성밸류인베스트먼트)를 설립하여 투자 부문을 더욱 강화했다. 2011년에는 스카이프(Skype)와 국내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하며 IT 사업 역량을 강화했다.
이처럼 대성그룹은 1980년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에너지, 건설, 금융, IT, 환경, 제약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종합 그룹으로 성장했다.
2. 3. 지주회사 설립 및 신성장 동력 발굴 (2009년~현재)
2009년 10월 1일, 대성그룹은 지주회사인 대성홀딩스를 설립하였다.[1] 지주회사 설립을 통해 대성그룹은 기존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2010년 8월 31일에는 대성인베스트먼트(주) (현 대성밸류인베스트먼트)를 설립하여 투자 부문을 강화하였다. 2011년 6월 13일에는 스카이프와 국내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하며 IT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였다.
3. 사업 부문
대성그룹은 에너지, 문화콘텐츠, 금융, 패션 등 다양한 부문을 운영하고 있다. 지주회사인 대성홀딩스는 경영 컨설팅, 교육콘텐츠 및 IT 사업을 운영한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대성에너지, 대성환경에너지, 대성청정에너지 등이 도시가스 공급, 매립가스(LFG) 자원화, CNG 충전소 운영 등을 담당한다. 문화콘텐츠 부문에서는 인터넷 포털 서비스와 도서 출판 사업을, 금융 부문에서는 대성창업투자와 대성투자자문이 투자 및 자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성글로벌네트웍은 콜센터 아웃소싱 등의 사업을, (주)대성큐(OUR-Q)는 아동복 사업을 영위한다. 해외 법인으로는 네오팜(뉴질랜드), 네오팜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대성아메리카(미국), 대성차이나(중국), 코리안드림(몽골) 등이 있다.
3. 1. 지주회사
대성홀딩스는 경영 컨설팅, M&A, 법무, 경영 진단, 감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대성홀딩스는 교육콘텐츠 사업과 IT 사업도 운영한다. 교육콘텐츠 사업 부문에서는 한국교총 원격교육연수 사업, 영재교육 사업, 기업 위탁 교육, 학원 e-러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IT 사업 부문에서는 스카이프 서비스, 모바일 총판 사업, 이동 통신재 판매 사업, 제품 솔루션 사업, SM 사업을 진행한다.
3. 2. 에너지
대성에너지(구 대구도시가스)는 도시가스 공급, CNG 충전소 운영을 하는 도시가스 사업부와, 친환경 농산물 및 웰빙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고 주말농장을 운영하는 웰베이 사업부, 대구 죽곡지구에 구역형 집단에너지 사업으로 전기 및 냉난방을 공급하는 세너지 사업부를 운영하고 있다. 대성환경에너지는 매립가스(LFG) 자원화 시설을 운영하며, 대성청정에너지(구 경북도시가스)는 도시가스를 공급한다. 대성에너지 제 1,2,3 서비스(구 알파/베타/감마서비스)는 도시가스 공급세대의 안전을 관리한다.3. 3. 문화콘텐츠
- 코리아닷컴커뮤니케이션즈: 인터넷 포털 서비스
- ㈜대성: 도서 출판
3. 4. 금융
회사명 | 주요 사업 |
---|---|
대성창업투자 | 금융 투자조합 운영, 인큐베이팅 사업 |
대성투자자문 | 금융 투자자문 및 투자일임업 |
3. 5. 패션 외 기타
대성그룹의 계열사인 대성글로벌네트웍은 콜센터 아웃소싱, 인재 파견, ASP 사업을 하는 CRM 사업부를 두고 있다. 아동복 제조 및 판매를 하는 (주)대성큐(OUR-Q)를 가지고 있다.3. 6. 해외법인
법인명 | 소재지 | 사업 내용 |
---|---|---|
네오팜 | 뉴질랜드 | 사과, 키위, 복숭아 재배 |
네오팜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마카다미아 재배, 농장 체험 |
대성아메리카 | 미국 | 유기농 아몬드 및 호두 재배, 부동산 임대업 |
대성차이나 | 중국 | 아동복 생산 및 수출∙입, 판매 (OUR-Q) |
코리안드림 | 몽골 | GEEP 프로젝트 운영 및 관리, 몽골 지역 신사업 발굴 |
4. 사회공헌
대성해강과학문화재단은 과학기술 연구단체를 지원하고 인재를 육성하며, 과학 관련 사업을 후원한다. 해강대성장학회는 장학사업을 한다.
5. 김영훈 회장
김영훈은 대성그룹 회장이다.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미시간 대학교에서 법학 석사(MCL) 및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신학 석사(M. Div) 학위를 취득했다.
세계에너지협의회(World Energy Council) 회장,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 고위자문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명예대학원장, 전국경제인연합회 한미재계회의 한국위원, 대한상공회의소 한몽 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5. 1. 학력
- 1968년 ~ 1971년: 경기고등학교 졸업
- 1971년 ~ 1975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 졸업
- 1977년 ~ 1981년: 미시간 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MCL), 경영학 석사(MBA) 졸업
- 1984년 ~ 1987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신학 석사(M. Div) 졸업
5. 2. 경력
기간 | 직책 |
---|---|
2016년 - 현재 | 세계에너지협의회(World Energy Council) 회장 |
2016년 - 현재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 고위자문단 |
2005년 - 현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명예대학원장 |
2002년 - 현재 | 전국경제인연합회 한미재계회의 한국위원 |
2000년 - 현재 | 대한상공회의소 한몽 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 |
2015년 | 2015 제7차 세계물포럼 조직위원회 부위원장 |
2015년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국가발전포럼 1기 |
2013년 - 2016년 | 세계에너지협의회(World Energy Council) 공동회장 |
2013년 | 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 조직위원회 대외협력 공동위원장 |
2012년 - 2014년 | 산업통상자원부 제2기 에너지위원회 위원 |
2011년 - 2013년 | 한중국제교류재단 자문위원 |
2009년 - 2013년 | 2013 대구세계에너지총회 조직위원회 수석부위원장 |
2009년 - 2012년 | 제3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이사장 |
2009년 - 2011년 | 대구은행 사외이사 |
2008년 - 2011년 | 문화체육관광부 민간정책자문기구 콘텐츠코리아추진위원회 위원장 |
2008년 - 2011년 | ABAC 지속가능개발 실무그룹(SDWG) 기후변화 이슈 공동의장 |
2005년 - 2012년 | 대구육상경기연맹 회장 |
2005년 - 2011년 | 세계에너지협의회(World Energy Council) 부회장(아태지역 담당) |
2004년 - 2012년 | 전국경제인연합회 문화산업특별위원회 위원장 |
2002년 - 2008년 | 제8대, 9대 한국도시가스협회 회장 |
2001년 - 2011년 | 주한 몽골 명예영사 |
1999년 - 2011년 | ABAC 위원(APEC 기업 자문위원) |
1998년 - 2010년 | 사랑의 집짓기 운동 연합회(해비타트) 한국본부 이사 |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