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현대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현대그룹은 1947년 정주영에 의해 설립된 현대토건(현 현대건설)을 모태로 하여, 1971년 정식 출범한 기업 집단이다. 건설, 자동차, 조선, 전자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며 1990년대 중반에는 60개 이상의 자회사를 거느리고 연간 90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1990년대 말 외환 위기를 겪으며 계열 분리 및 구조조정을 겪었고, 2000년대 들어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현대백화점 등이 분리되었다. 현재는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아산 등을 주요 계열사로 두고 있으며, 현정은 회장이 이끌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설립된 제조 기업 - 켄우드 리미티드
    1947년 케네스 메이너드 우드가 설립한 영국의 주방용품 회사인 켄우드 리미티드는 초기 라디오 및 텔레비전 사업에서 1950년 '켄우드 셰프' 출시로 유명해졌으며, 2001년 델롱기에 인수되어 현재 푸드 프로세서, 블렌더 등의 다양한 주방 가전을 생산하고, JVC 켄우드와는 별개의 회사이다.
  • 현대그룹 -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엘리베이터는 1984년 설립되어 대한민국 승강기 시장 점유율 1위인 승강기 제조 및 유지보수 기업으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을 생산하며, 2009년 엘리베이터 테스트 타워 '현대아산타워'를 준공했고 2022년 본사를 충주로 이전했다.
  • 현대그룹 - 현정은 (1955년)
    현정은은 현대그룹 회장으로, 남편 정몽헌 회장 사후 취임하여 경영권 분쟁을 극복하고 회사를 정상화했으며, 남북 경제 협력에 적극 참여했으나 관련 사업의 투명성 논란도 있었다.
  • 정주영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 정주영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현대그룹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현대그룹
원어現代그룹
영문 이름HYUNDAI Group
로고
형태중견기업
창립일1947년 5월 25일
창립자정주영
국가대한민국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연지동, 현대그룹빌딩)
현재 회장현정은
창업주정주영
전 회장정세영, 정몽헌, 정몽구
산업서비스업
모기업현대홀딩스컴퍼니
자회사현대아산
웹사이트현대그룹 공식 웹사이트
기업 정보
영문 이름Hyundai Group
설립일1947년
설립자정주영
주요 인물현정은 (회장 & CEO)
본사 위치 (도시)서울
본사 위치 (국가)대한민국
웹사이트현대그룹 공식 웹사이트 (영문)
한국어 이름
한글현대그룹
한자現代그룹
로마자 표기Hyeondaegeurup
공식 표기HYUNDAI Group
발음 (영어)





발음 (발음 표기)HYUN-day
HUN-day
HYUN-dye
HUN-dye
hy-OON-dye
hee-OON-dye
hee-UN-day

2. 연혁

현대한국어(Hyundai)라는 이름은 "현대성"을 의미하는 한국어 단어에서 유래했다.[2] 1947년 정주영에 의해 현대그룹의 모태인 현대토건(현 현대건설)이 설립되었다.[3] 1950년 현대토건은 현대건설로 사명을 변경했다. 1965년 현대건설은 태국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첫 해외 진출을 시작하여 괌, 태국, 베트남 등에 진출했다.[4]

1967년 현대자동차가 설립되었고,[5] 1973년에는 현대중공업이 설립되어[6] 1974년 6월 첫 선박 건조를 완료했다.[7] 1976년에는 무역 부문을 담당하는 현대상선이 설립되었다.

1983년에는 현대전자(2001년 하이닉스로 이름 변경) 설립을 통해 반도체 산업에 진출했다.[8] 1986년에는 현대에서 제조한 블루칩 PC가 미국 전역의 할인점과 완구점에서 판매되었는데, 이는 기업이 아닌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된 초기 PC 복제품 중 하나였다.[9]

1990년대 중반까지 현대는 60개가 넘는 자회사를 거느리며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활동했다.[4]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 현대는 기아자동차와 LG 반도체를 인수했다.

1998년 한국의 경제 위기로 인해 그룹은 구조조정을 시작했고, 남한 관광객을 위한 북한 금강산 관광을 시작했다. 1999년에는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등 남북한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현대아산이 설립되었다.[11] 2001년 창업주 정주영이 사망했고, 현대그룹은 계속해서 해체되었다.[14]

2010년 현대그룹은 채권단으로부터 현대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으나,[15] 최종적으로 인수에 실패했다.

2. 1. 일제강점기 ~ 한국전쟁 (1934 ~ 1950)

1934년 정주영은 서울에서 가게인 경일상회를 시작했다.[2] 1940년부터 1943년까지는 아도서비스를 설립하여 운영했다. 1946년에는 현대자동차공업사를 설립했고, 1947년 5월에는 현대토건사를 설립했다. 현대(Hyundai)라는 이름은 "현대성"을 의미하는 한국어 단어 '현대(現代)'에서 유래했다.[3] 1950년 1월, 현대토건사는 현대건설주식회사로 이름을 바꾸었다.[4]

2. 2. 창업기 (1950 ~ 1970)

현대그룹의 모태인 현대건설한국전쟁 이후 복구 사업과 미군 하청 공사를 통해 성장하였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대한민국 건설시장의 한계를 느껴 해외로 진출하였다.[3][4]

날짜내용
1958년 5월제1한강교(한강대교) 복원공사 완료
1964년 6월현대 시멘트공장 준공
1965년 1월제2한강교(양화대교) 준공
1965년 9월태국 파라타니 나라티왓 고속도로 건설공사 수주 (대한민국 건설업계 최초 해외진출)[4]
1966년 1월베트남 캄란만 준설공사 수주
1967년 12월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설립, 미국 포드 사와 기술제휴[5]


2. 3. 형성기 (1971 ~ 1986)

1968년 현대건설은 건설업으로 축적한 자금을 바탕으로 당시 정부 주도의 중화학공업 정책에 따라 자동차, 조선 사업에 진출했고, 1971년 현대그룹이 정식 출범하였다.

연도사건
1968년 2월경부고속국도 착공, 건설공사 참여 (건설 구간의 40% 담당)
1969년 12월시멘트사업부, 현대시멘트주식회사로 분사
1970년 3월현대건설 조선사업부 발족
1971년 1월정주영, 제1대 현대그룹 회장 취임
1972년 3월울산 현대조선소 기공
1973년 12월현대중공업의 전신인 현대조선중공업주식회사 설립
1974년 6월현대조선소 1단계 준공
1975년 7월현대미포조선 사업 개시
1976년 1월현대자동차 포니 시판
1976년 3월현대상선의 전신인 아세아상선주식회사 설립
1976년 7월사우디 주베일 항만 공사 수주 (외화 9.3억달러 획득)
1978년 1월현대자동차 포니 유럽 진출
1978년 2월현대조선중공업주식회사에서 현대중공업으로 사명 변경
1978년 5월현대중공업에서 인천제철 인수
1980년 6월현대그룹중앙연수원 설립
1982년 4월싱가포르 마리나센터 착공
1983년 2월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설립
1983년 8월현대상선 출범 (아세아상선 사명 변경)
1984년 5월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설립
1985년 10월현대해상화재보험 출범 (동방화재해상보험 사명 변경)
1985년 11월현대자동차 쏘나타 시판
1986년 2월현대자동차 엑셀 미국 진출
1986년 4월현대 반도체연구소 설립, 고리 원자력발전소 3·4호기 준공
1986년 10월현대전자산업 이천공장 준공


2. 4. 확장기 (1987 ~ 1995)

정주영 창업주의 정계 진출 선언으로 현대그룹은 정세영, 이명박 등 전문 경영인이 이끄는 체제로 전환되었다.[3]

연도사건
1987년 1월정세영, 제2대 현대그룹 회장 취임 (현대자동차 회장 겸임)
1987년 11월정몽준, 현대중공업 회장 취임
1989년 5월현대전자 농구단 창단 (현 전주 KCC 이지스)
1989년 10월현대전자산업 개인용 컴퓨터 대한민국 최초 일본 수출
1990년 2월현대자동차 스포츠카 스쿠프 시판
1990년 10월현대자동차 엘란트라 시판
1991년 5월현대전자산업 신 CI 도입, 현대정공 갤로퍼 시판
1993년 3월현대정공 자기부상열차 개발 완료
1993년 6월금성사 카메라라인 인수, 극동정유 경영권 인수
1993년 7월현대정유 주식회사 출범
1993년 11월현대정공 고속철도차량 주 제작사 선정
1994년 12월전북 다이노스 창단 (현 전북 현대 모터스)
1995년 8월현대건설 서산간척지 준공
1995년 12월현대전자산업 대한민국 10대 제조업체 진입


2. 5. 2세대 오너 경영 체제 (1996 ~ 2003)

정주영 창업주가 정계 진출에 실패한 후, 정몽구, 정몽헌 등 2세 경영진이 그룹을 이끌게 되었다. 이 시기 현대그룹은 국민의 정부의 햇볕정책에 발맞춰 대북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21]

연도사건
1996년 1월정몽구 제3대 현대그룹 회장 취임, 가치경영 선언
1996년 5월다이너스티 시판
1996년 10월현대자동차 화성 남양기술연구소 준공
1996년 12월현대중공업 기업공개, 주식 상장
1998년 1월정몽헌 현대그룹 공동 회장 선임
1998년 6월정주영 명예회장, 대규모 떼 방북
1998년 10월기아자동차아시아자동차공업 매각 국제입찰에서 인수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1998년 11월금강산관광 시작
1999년 1월현대해상화재보험 계열 분리
1999년 2월현대아산의 전신인 아산 설립
1999년 3월기아자동차 및 기아 계열사 인수
1999년 4월현대자동차 최고급 세단 에쿠스 발표
1999년 6월 30일아시아자동차공업이 기아자동차에 흡수 합병.


2. 6. 소그룹화 및 계열 분리 (1999 ~ 2003)

김대중 정부의 구조조정 및 빅딜 정책에 따라 현대그룹은 사업 부문별 전문화를 추진했으나, LG반도체와 한화에너지 정유 부문(한화에너지프라자) 인수합병으로 막대한 부채를 떠안게 되었다. 이와 함께 2세 경영인 간의 경영권 분쟁(왕자의 난)과 유동성 위기가 겹치면서, 현대그룹은 1977년부터 지켜온 재계 서열 1위 자리를 2001년 삼성그룹LG그룹에 내주게 되었다.[22] 그러나 현대자동차그룹은 재계 1, 2위권을 대신 지켜내고 있다.

연도사건
1999년 7월현대전자산업LG반도체를 인수
1999년 8월 2일현대산업개발 계열 분리[22]
1999년 8월현대중공업 주식 상장
1999년 10월현대반도체 흡수 합병
1999년 12월포스코에너지 및 한화에너지프라자 흡수 합병
2000년 1월현대오일뱅크 계열 분리
2000년 3월제1차 왕자의 난 발발, 정몽헌 단독 회장 체제 전환
2000년 5월제2차 왕자의 난 발발, 3부자 동반 퇴진 선언
2000년 8월현대자동차 및 관계사 계열 분할, 현대자동차그룹 형성
2001년 3월현대전자산업 부도, 8월에 하이닉스반도체(현 SK하이닉스) 설립
2001년 3월 21일정주영 명예회장 타계
2001년 8월현대건설 관계사 분할, 현대건설그룹 형성
2002년 2월현대중공업 관계사 계열 분할, 현대중공업그룹 형성
2003년 8월정몽헌 회장 투신자살, 현정은 회장 승계


2. 7. 현정은 회장 체제 (2003 ~ 현재)

2003년 8월 정몽헌 회장의 투신자살 이후, 10월 현정은 회장이 취임하면서 현대그룹은 여성 경영인에 의해 이끌어지게 되었다.[23] 현정은 회장 체제에서 현대그룹은 해운, 물류, 금융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하고, 선대 경영자들의 유지를 받들어 대북 사업을 지속하였다. 그러나 2008년 금강산 피격사건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대북 사업에 차질이 생겼고, 이는 현대그룹의 신성장동력 마련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2010년 현대그룹의 모태인 현대건설 인수 시도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으나, 결국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되었다.

연도내용
2003년 10월현정은, 현대그룹 제5대 회장 취임
2004년 8월현대 비전 2010 발표
2009년 8월현정은 회장 평양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
2010년 11월현대건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2010년 12월 20일현대건설 채권단,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인수 우선협상 대상자 지위 박탈.[23]
2011년 11월현대그룹, 현대저축은행(현 유진저축은행) 인수
2013년 12월현대증권(현 KB증권)·현대저축은행·현대자산운용 매각 발표
2014년현대로지스틱스 지분을 일본 오릭스가 설립한 이지스일호(SPC)에 매각 (오릭스 35%, 롯데그룹 35%, 현대그룹 30% 지분 보유)
2015년현대증권 지분을 일본 오릭스에 매각하려다 무산됨.
2016년현대증권·현대자산운용·현대저축은행을 KB금융그룹에 매각
2016년 7월 14일현대상선 계열 분할로 대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추락.[24]


3. 역대 회장

대수성명임기비고
제1대정주영1971년 1월 ~ 1987년 1월현대그룹 창업주[3]
제2대정세영1987년 1월 ~ 1995년 12월현대자동차 회장
제3대정몽구1996년 1월 ~ 2000년 3월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제4대(故) 정몽헌1998년 11월 ~ 2003년 8월정주영 5남
제5대현정은2003년 10월 ~ 현재정몽헌 배우자


4. 주요 계열사


  • 현대엘리베이터 - 지주회사 및 승강기 제조회사이다.[17]
  • 현대아산 - 대북사업(북한 관광, 남북경제협력), 건설(토목, 건축, 플랜트, 주택)을 담당한다.[17]
  • 현대무벡스 - 물류자동화시스템 및 SOC인프라사업(승강장스크린도어 등)을 담당한다.[17]
  • 현대투자파트너스 - 대체투자 펀드, 자원개발을 담당한다.[17]
  • 현대경제연구원 - 연구, 경영 컨설팅, 교육 연수를 담당한다.[17]
  • 현대글로벌 - 투자사업을 담당한다.[17]
  • 현대종합연수원 - 현대그룹 종합연수원이다.[17]
  • 현대 GBFMS - 아웃소싱 전문기업이다.[17]

5. 이전 계열사

계열사명현재 소속
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그룹[5]
현대중공업HD현대[6]
현대전자하이닉스(2001년 개칭)[8]
현대상선- [4]
현대로지스틱스- [4]


6. 로고

참조

[1] 일반
[2] 뉴스 Hyundai smokes the competition https://money.cnn.co[...] CNN Money 2010-01-05
[3] 뉴스 The last emperor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1999-02-04
[4] 서적 The Changing Face of Korean Managemen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 뉴스 Chung Ju Yung, Founder of Hyundai Empire, Dies at 85 https://www.nytimes.[...] 2001-03-22
[6] 뉴스 As Korean Heirs Feud, an Empire Is Withering; Change and Frail Finances Doom the Old Hyundai https://www.nytimes.[...] 2001-04-26
[7] 서적 Made in Korea: Chung Ju Yung and the Rise of Hyundai https://books.google[...] Routledge
[8] 뉴스 Hyundai Electronics to Be Renamed Hynix https://www.nytimes.[...] 2001-03-09
[9] 간행물 IBM home computer clones stream in with quality, low prices http://www.csmonitor[...]
[10] 뉴스 Hyundai Announces Management Changes https://www.nytimes.[...] 1995-12-29
[11] 웹사이트 History of Hyundai Group http://www.hyundaigr[...]
[12] 뉴스 Hyundai Gives In to Seoul Pressure on Chaebol https://www.nytimes.[...] 1999-04-22
[13] 뉴스 Hyundai to shed 53 units in debt reduction plan http://www.atimes.co[...] Asia Times 1999-04-27
[14] 웹사이트 Hyundai Group – Company History http://www.fundingun[...]
[15] 웹사이트 Hyundai Group acquires Hyundai E&C http://english.hani.[...]
[16] 웹사이트 Hyundai Group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5-19
[17] 웹사이트 Affiliated Companies of Hyundai Group http://www.hyundaigr[...]
[18] 웹사이트 Hyundai Global News http://org-www2.hyun[...]
[19] 서적 Cultural Governance and Resistance in Pacific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 뉴스 '현정은의 현대' 부활 신호탄...'엘리베이터' 끌고 '아산' 민다 http://m.news.naver.[...] 서울경제 2017-07-06
[21] 뉴스 [방송가] "교육전문 마이TV, 선경그룹에 매각"..최종 협상중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1997-09-24
[22] 뉴스 7월중 30대그룹 계열사 15개 줄어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9-08-02
[23] 뉴스 현대그룹, 현대건설 인수 무산 https://n.news.naver[...] 서울경제 2010-12-20
[24] 뉴스 현대상선 구조조정 완료…40년 만에 현대그룹 떠난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7-14
[25] 뉴스 BUY KOREA컵 K-리그 부천 번개 2골 5연승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9-07-01
[26] 뉴스 수원'골 폭죽'선두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9-07-08
[27] 뉴스 BUY KOREA 컵 K-리그 수원 토종축구 매운맛 과시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9-08-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