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안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안학교는 정규 교육 과정에서 벗어난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 방식을 제공하는 학교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공교육의 대안으로, 일반 학교에서 적응하지 못하거나, 이민자, 대안 교육 철학을 추구하는 학생들을 위해 설립되었다. 대안학교는 인가형과 비인가형으로 나뉘며, 교육 과정과 운영 방식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대안학교는 재정 지원 부족, 학교 간 질적 격차,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외국에서는 영국, 미국, 캐나다, 독일, 인도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대안학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대안 교육 프로그램과 대안 학습 옵션 또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안학교 - 산돌학교
    산돌학교는 자유, 통전성, 깨달음, 생태와 생명, 평화를 핵심 가치로 학생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교육을 지향하며, 학생과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교학상장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대안학교이다.
  • 대안학교 - 꿈의학교
    꿈의학교는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인격 존중, 경험 중시, 진로 지도, 생활 공동체, 세계 진출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 EBS 플러스 1
    EBS 플러스 1은 광고방송을 하지 않는 공익 채널로, 24시간 방송을 실시하며, 수능 및 고등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고 EBSi 웹사이트를 통해 VOD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은 1974년 과도한 입시 경쟁 완화와 학력 격차 감소를 위해 도입되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으며, 교육 기회 균등에 기여하지만 교육의 하향 평준화와 인재 발굴 미흡 등의 단점도 지적된다.
  • 자율형 대안 고등학교 - 영산성지고등학교
    1982년 영산성지학교로 개교하여 1998년 영산성지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이 학교는 원불교 재단에서 설립한 전라남도 영광군 소재의 특성화 고등학교이다.
  • 자율형 대안 고등학교 - 양업고등학교
    양업고등학교는 1998년 개교한 대안교육 특성화 사립 고등학교로, 윤병훈 베드로 신부를 초대 교장으로 하여 설립되었으며 충청북도교육청 지정 자율학교로 운영된 바 있다.
대안학교
기본 정보
학교 아이콘
학교 아이콘
유형교육 기관
정의
정의주류 교육에 대한 대안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기관
대안학교 (한국)
정의대한민국에서 정규 학교 교육과정 외에 다양한 교육 방식을 제공하는 학교
특징다양한 교육 철학 및 방법론 적용
학생의 개별적인 성장과 발달 중시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학습 환경 조성
유형인가형 대안학교
비인가형 대안학교
관련 법규초·중등교육법 및 관련 법규

2. 대한민국의 대안학교

1998년 3월에 5개의 대안학교가 신설되었다. 공교육과 사교육이 수용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안교육이 자리 잡고 있으나, 2017년에는 광주의 철학·인문학 대안학교인 지혜학교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자가 나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27]

2. 1. 설립 및 유형

대안학교는 크게 학력인정을 해주는 인가형 학교와 학력인정이 되지 않는 비인가형 학교로 구분된다. 학력 인정 대안학교의 경우 학제에 따라 초등, 중등, 고등과정으로 나뉜다. 학력 미인정 대안학교는 교육과정과 운영 형태가 다양하며, 분류 방법도 여러 가지이지만 크게 전원형과 도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27]

전원형은 대부분 기숙 형태로 운영하며 교육하고, 도시형은 통학을 기본으로 운영한다. 전원형과 도시형의 구분은 학교의 교육 이념, 가치, 교육 목표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며, 이러한 구분을 통해 학생들의 구성이나 교육과정 편성 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27]

대한민국의 대안학교는 다음 세 가지 주요 집단의 청소년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27]

  • 한국의 정규 교육 과정에서 성공하지 못한 학생
  • 젊은 이민자
  • 대안 교육의 철학 때문에 이를 선택하는 학생

2. 2. 현황 및 특징

대안학교는 중·고교 교육과정을 마치면 이에 맞는 학력을 인정받게 되며, 일반학교 재학 중에 탈락한 학생은 1년 이내의 단기과정을 이수시켜 원래의 학교로 복귀시킨다. 1998년 3월에 5개교가 신설되었다. 일반학교에서는 거의 배우지 못하는 창의성 교육을 부모가 대신 시키자는 취지하에 주로 방학 중에 운영하는 계절학교 형태의 대안학교도 있다.[27]

대안학교는 크게 학력인정을 해주는 인가형 학교와 학력인정이 되지 않는 비인가형 학교로 구분된다. 학력 인정 대안학교의 경우 학제에 따라 초등, 중등, 고등과정으로 나뉜다. 학력 미인정 대안학교의 경우 교육과정과 운영형태가 다양하고, 분류 방법도 다양하지만 크게 전원형과 도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원형은 대부분 기숙형태로 운영하면서 교육하며, 도시형은 통학을 기본으로 운영된다. 전원형과 도시형의 구분은 학교의 교육이념 및 가치, 교육목표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며 이러한 구분을 통해 학생들의 구성이나 교육과정 편성 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교육부의 지원을 받지 않는 대신, 교육과정에서부터 학제까지 완전 자율로 운영된다. 다만, 학비가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대안학교는 세 가지 주요 집단의 청소년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 첫 번째 그룹은 한국의 정규 교육 과정에서 성공하지 못한 학생들이다.
  • 두 번째 그룹은 젊은 이민자들이다.
  • 다른 그룹은 대안 교육의 철학 때문에 이를 선택하는 학생들이다.


대한민국 대안학교의 주요 어려움은 인정 부족, 재정 지원 부족, 그리고 대안학교 간의 질적 격차이다.

2. 3. 사회적 역할

대안학교는 중·고교 교육과정을 마치면 그에 맞는 학력을 인정받으며, 일반학교 재학 중 탈락한 학생은 1년 이내의 단기과정을 통해 원래 학교로 복귀시킨다. 1998년 3월에는 5개교가 신설되었다. 또한 일반학교에서 배우기 힘든 창의성 교육을 위해 방학 중 운영하는 계절학교 형태의 대안학교도 있다.[27]

대한민국의 대안학교는 주로 세 가지 집단의 청소년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첫 번째는 한국의 정규 교육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다. 이들은 자발적 또는 징계 조치로 학교를 중퇴한 경우가 많다. 두 번째는 젊은 이민자들이다. 동남아시아와 북한 출신 이민자 수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단일민족 사회였기 때문에, 이민 학생들이 겪는 괴롭힘, 사회적 고립, 학업 실패를 예방할 시스템과 인식이 부족하다. 일례로, 북한 출신 이민 학생의 중퇴율은 한국 학생의 10배에 달하며, 이들의 주요 과제는 높은 시험 점수가 아닌 한국 사회 적응이다.[27]

세 번째는 대안 교육의 철학을 따르는 학생들이다. 한국 교육은 시험과 암기 학습에 치중되어 있다. 일부 학생과 학부모는 이러한 교육 방식이 학생을 충분히 성장시키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다른 학습 방식을 제공하는 대안학교를 선택한다. 이러한 학교들은 필기 시험 결과보다 다른 사람 및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중시한다.[27]

하지만 대한민국의 대안학교는 인정 부족, 재정 지원 부족, 학교 간 질적 격차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진보적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널리 수용되지 않는다. 대학 입시를 위해서는 시험 결과와 기록 중심의 정규 교육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한국 정부는 대안학교에 대한 재정 지원을 충분히 하지 않고 있다.[27]

많은 대안학교가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학비를 징수하지 않거나 못하는 학교는 더욱 심각하다. 동남아시아 및 북한 이민자 가정은 경제적으로 취약하여 정부 지원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에게 사립 교육은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대안학교 간 격차를 심화시킨다. 일부 학교는 상류층 학부모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만, 그렇지 못한 학교는 학업 및 과외 활동을 운영할 자원이 부족하다.[27]

3. 외국의 대안학교

영국, 미국, 캐나다, 독일, 인도 등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형태의 대안학교가 존재한다. 각 국가별 대안학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국가특징
영국학습자 중심의 비형식 교육을 제공하며, A. S. Neill의 서머힐 학교가 민주적 교육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리아 몬테소리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 철학을 기반으로 한 학교들도 있다.
미국1970년대 이후 대안학교가 급증했으며, 학업 부진, 특수 교육, 사회 문제 등을 겪는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지역 사회 전문가를 강사로 활용하기도 하며, 교사 노조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캐나다지역 교육 위원회가 대안학교 설립 및 운영 방식을 결정하며, 학생 혼합, 통합 교육 과정, 학부모 참여, 서술식 보고서 등을 특징으로 한다.
독일세계 최초의 발도르프 학교를 포함하여 200개 이상의 발도르프 학교와 다수의 몬테소리 학교가 있다. 실험학교에는 전액 공적 자금이 지원되며, 빌레펠트 실험학교는 민주주의 학교 개념 부활에 영향을 미쳤다.
인도베다와 구루쿨 교육 시스템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 개혁가들이 대안 학교를 통해 사회 불평등 제거와 소녀 교육 증진을 추구했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샨티니케탄, 지두 크리슈나무르티의 리시 밸리 학교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3. 1. 영국

영국에서 '대안학교'는 전통적인 영국의 교육 체제에 대한 대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비형식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를 지칭한다.[5] 영국에는 이러한 학교의 오랜 전통이 있으며, 그 기원은 설립자인 A. S. Neill이 서머힐 학교를 통해 다팅턴 홀 학교, 킬쿠아니티 학교와 같은 유사한 민주적 교육 유형의 학교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친 것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 현재 민주 초등학교 1곳(스몰 에이커스), 민주 중등학교 2곳(서머힐 학교, 샌즈 학교)이 있다.[7] 또한 마리아 몬테소리루돌프 슈타이너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학교도 있다.[8]

3. 2. 미국

미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 대안학교의 수가 급증했는데, 당시에는 대안학교가 거의 없었다.[9][10] 일부 대안학교는 전통적인 프로그램이 더 적합한 모든 학업 수준과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곳이다. 다른 학교들은 특히 특수 교육 요구가 있는 학생들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십대 부모 문제나 노숙과 같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제를 다루거나, 학업 부진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학생들을 수용한다.[11][12]

미국 내 대안학교의 또 다른 일반적인 요소는 다양한 분야의 지역 사회 자원 전문가를 시간제 또는 자원 봉사 강사로 활용하는 것이다.[13] 대안학교에 다니는 학생 유형에 따라[15] 이는 때때로 기존 학교의 교사들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14] 1970년대 뉴저지의 레오니아 대안 고등학교는 지역 사회 자원 강사의 활용을 강조했는데, 결국 지역 교사 노조와 장기간의 갈등을 겪었고,[13] 결국 학교가 문을 닫게 되었다. 대안학교는 1990년대에 더 흔해졌지만, 교사들이 이러한 문제에 대한 통제력을 잃는 것에 대해 교사 노조와 여전히 긴장 관계가 존재했다.[15]

3. 3.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지역 교육 위원회가 대안학교 설립 여부와 운영 방식을 결정한다. 대안학교는 여러 연령대의 학생 혼합, 통합 교육 과정 또는 전체론적 학습, 학부모 참여, 성적 대신 서술식 보고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교육 시스템은 공립학교 내에서 대안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16]

캐나다에서 전통적인 중등학교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한 학교는 대체 학교로 알려져 있다.[17]

3. 4. 독일

독일에는 1919년에 설립된 세계 최초의 발도르프 학교를 포함하여 200개 이상의 발도르프 학교와 다수의 몬테소리 학교가 있다. 각 학교는 자체적인 전국 협회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다른 대안학교는 독일 대안학교 전국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Independent Alternative Schools)에 소속되어 있다. 독일의 사립학교에 대한 재정 지원은 연방주마다 다르다.[1]

공교육을 위한 학교 개념을 연구하는 실험학교에는 전액 공적 자금이 지원된다.[1] 빌레펠트 실험학교는 민주주의 학교 개념의 부활을 포함하여 많은 대안학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1]

3. 5. 인도

인도는 대안학교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전 500년까지의 베다와 구루쿨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의 합리적 사고와 추론을 장려하는 분위기 속에서 직업 기술, 문화 및 정신적 계발을 강조했다. 따라서 교육의 목표는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을 발전시키는 것은 물론 사회 봉사를 보장하는 것이었다.[18] 그러나 지역 경제가 쇠퇴하고 식민 통치자들이 등장하면서 이 시스템은 쇠퇴했다. 1835년 마콜레이의 각서에서 권고한 대로 교육 매체로 영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개혁이 도입되었다. 오늘날 주류 학교는 여전히 식민 시대에 개발된 시스템을 따르고 있다. 독립 이후 수년간 정부는 학교 네트워크 확장, 교육 요구에 따른 교과 과정 설계, 지역 언어를 교육 매체로 사용하는 등에 집중했다. 19세기 말에 많은 사회 개혁가들이 현대 교육 시스템의 대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비베카난다, 다야난다 사라스와티, 조티바 풀레, 사비트리바이 풀레, 사예드 아흐메드 칸은 대안 학교를 통해 사회 재생, 사회 불평등 제거, 소녀 교육 증진이라는 대의를 실천한 선구자였다.[19] 20세기 초 교육자들은 주류 학교의 단점에 대한 대응으로 대안 학교 모델을 만들었으며, 이 모델은 여전히 유효하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의 샨티니케탄, 지두 크리슈나무르티의 리시 밸리 학교, 스리 오로빈도와 어머니의 스리 오로빈도 국제 교육 센터, 월든스 패스 자석 학교 등이 그 예시이다. 1970년대부터 대안학교가 급증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안 학교는 정부보다는 개인의 노력의 결과이다.

4. 대안 교육 프로그램

대안학교에는 여러 모델이 있지만, 유망한 대안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경향이 있다.


  • 보다 개별화된 접근 방식
  • 다양한 사회경제적 지위와 능력을 가진 아이들의 통합
  • 학교 밖의 삶에도 적용 가능한 체험 학습
  • 다양한 학문 분야의 통합적 접근
  • 해당 학문 분야에서 자격을 갖추고 창의적인 교직원
  • 낮은 교사 대 학생 비율
  • 교사, 학생, 지원 직원, 행정가, 학부모 모두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기관의 집단적 소유
  • 다양한 비전통적인 평가 방법[3][4]


1970년대 이후 미국에서는 대안학교의 수가 급증했다.[9][10] 일부 대안학교는 모든 학업 수준과 능력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곳이며, 다른 학교들은 특수 교육 요구가 있는 학생, 십대 부모 문제나 노숙과 같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문제를 다루거나, 학업 부진의 위험이 있는 학생들을 수용한다.[11][12]

미국 내 대안학교의 또 다른 일반적인 요소는 다양한 분야의 지역 사회 자원 전문가를 시간제 또는 자원 봉사 강사로 활용하는 것이다.[13] 1970년대 뉴저지의 레오니아 대안 고등학교는 지역 사회 자원 강사 활용을 강조했는데, 이는 지역 교사 노조와 장기간의 갈등을 겪고 결국 학교가 문을 닫는 결과로 이어졌다.[13]

대안 교육 프로그램은 대학교육이 성공적인 기업가가 되기 위한 필수 조건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이상적이다. 이 프로그램들은 초보 및 경험이 풍부한 기업가들을 교육하는 동시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며, 많은 교육 기관들이 각자의 액셀러레이터 과정에 기여하고 있다.[20] 미주리 대학교 시스템은 에너지 스타트업에 집중하고 대학 수준의 교육 파트너로부터 업계에 대한 필수적인 노하우를 얻도록 기업가를 돕는 Ameren Accelerator를 시작했다.[21] 또한 아프리카 가나에 있는 Meltwater Entrepreneurial School of Technology와 같이 관련 자원을 제공하는 국제 프로그램도 있는데, 이 학교는 아프리카 지역의 우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1년 동안의 엄격한 프로그램을 통해 초기 자본, 훈련 및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인큐베이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2]

허핑턴 포스트는 홈스쿨링, 마이크로 스쿨링, 언스쿨링과 같은 대안 학습 옵션을 언급했다.[23] 언스쿨링은 학생이 특정 이유와 선택에 따라 원하는 방식으로 학습한다는 개념으로, 교사, 부모, 책 또는 정규 수업으로부터 도움을 받지만 진행 방식과 선호하는 일정은 본인이 최종 결정한다.[24] 마이크로 스쿨 또는 독립형 자유 학교는 접근 방식, 규모 및 권한에서 다르며, 교사나 부모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현대적인 단일 교실 학교, 전일제 또는 파트타임 시설, 또는 학습 센터이다.[25] 일부 부모는 자녀에게 실질적인 해결책을 찾도록 가르치기 때문에 정규 교육보다 이 비전통적인 시스템을 선택한다. 미국은 전통적인 고등학교 밖에서 위험에 처한 학생들의 수를 늘리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학교를 중퇴하거나 퇴학당한 학생들을 위한 대안 교육 캠퍼스(Alternative Education Campuses, AEC)가 있고, 보고에 따르면 전국에 4,000개 이상의 AEC가 있다.[26]

5. 과제

대한민국에서 대안학교는 주로 세 가지 집단의 청소년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첫 번째는 한국의 정규 교육 과정에서 적응하지 못한 학생들이다. 이들 학교는 자발적 또는 징계 조치로 학교를 일찍 그만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두 번째는 젊은 이민자들이다. 동남아시아와 북한 출신 이민자 수가 늘면서, 일부 교육자들은 이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단일민족 사회였기 때문에, 이 학생들이 괴롭힘, 사회적 고립, 학업 실패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시스템과 인식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북한 출신 이민 학생의 중퇴율은 한국 학생의 10배에 달하는데, 이는 그들의 주요 과제가 높은 시험 점수가 아니라 한국 사회 적응이기 때문이다.[1]

다른 그룹은 대안 교육의 철학 때문에 대안학교를 선택한다. 다른 많은 아시아 국가처럼 한국 교육은 시험과 암기 학습에 기반한다. 일부 학생과 학부모는 이런 교육 방식이 학생을 충분히 성장시키지 못한다고 믿고, 다른 학습 방식을 제시하는 대안학교를 선택한다. 이런 학교들은 필기시험 결과보다 다른 사람 및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1]

대한민국 대안학교의 주요 어려움은 인정 부족, 재정 지원 부족, 대안학교 간 질적 격차이다. 한국 사회에서 대안 교육에 대한 인식은 점차 바뀌고 있지만, 진보적 교육은 여전히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대학 입시를 위해서는 시험 결과와 기록 중심의 정규 교육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같은 이유로 한국 정부는 대안학교에 적극적으로 재정 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1]

따라서 많은 대안학교가 재정난을 겪고 있으며, 특히 학생들에게 학비를 받을 수 없거나 받지 않는 학교는 더욱 그렇다. 동남아시아 및 북한 이민자 가정은 경제적으로 어려워 정부의 복지 시스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에게 사립 교육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런 상황은 대안학교 간 격차를 심화시킨다. 일부 학교는 상류층 학부모의 지원을 받아 다양한 정규 및 방과 후 프로그램을 제공하지만, 다른 학교는 이런 프로그램을 운영할 자원이 부족하다.[1]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alternative school https://web.archive.[...] 2007-08-09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alternative school http://dictionary.re[...] 2007-08-09
[3] 서적 Making Schools Different: Alternative Schooling in the USA SAGE Publications India Pvt. Ltd 2009
[4] 서적 Alternative Schooling in India SAGE Publications 2007
[5] 간행물 alternative school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6] 뉴스 Alternative school set to reope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3-23
[7] 웹사이트 List View - Schools & Start Ups http://www.democrati[...] 2015-09-20
[8] 뉴스 We’ll Fund Montessori And Steiner Schools, Say Tories https://web.archive.[...] Daily Express 2009-07-09
[9] 뉴스 Alternative Schools Adapt 1986-06-08
[10] 서적 Alternative Schools: A Reference Hand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2002-01-01
[11] 논문 Underage Alcohol Use by Intersectional Identity Among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2023-12-11
[12] 논문 Generational Immigration Status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Distress and Substance Use Among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https://pubmed.ncbi.[...] 2024-10-01
[13] 서적 Living and Learning For Credit https://archive.org/[...] Phi Delta Kappa 1978
[14] 서적 Alternative Schools: Why, What, Where & How Much https://books.google[...] National School Public Relations Association 1977
[15] 뉴스 Schools: A Teaching Experiment From the 1970's May Hold Lessons for the Future https://www.nytimes.[...] 1995-09-10
[16] 웹사이트 Alternative http://www.ocdsb.ca/[...] 2015-09-20
[17] 웹사이트 Alternate Program http://www.ocdsb.ca/[...] 2015-09-20
[18] 서적 Development of Educational System in India Anmol Publications Pvt Ltd 2005
[19] 서적 Alternative Schooling in India SAGE Publications India Pvt. Ltd 2007
[20] 뉴스 Why Aspiring Entrepreneurs Should Put Their Education First https://www.forbes.c[...] 2018-06-11
[21] 웹사이트 Ameren Accelerator https://web.archive.[...] 2018-06-11
[22] 웹사이트 The Training Program Meltwater Entrepreneurial School of Technology https://meltwater.or[...] 2018-06-11
[23] 웹사이트 As the World Unfolds: A Secret Look Inside Alternative Learning https://www.huffingt[...] 2018-06-11
[24] 웹사이트 Unschooling or Homeschooling http://www.mhea.com/[...] 2018-06-11
[25] 웹사이트 Open a Micro-School: Here's How https://www.huffingt[...] 2018-06-11
[26] 웹사이트 It's Time to Study Alternative Schools Center on Reinventing Public Education https://www.crpe.org[...] 2018-06-11
[27] 웹인용 공교육 불신에 사교육비 급증… 대안학교가 ‘대안’ 될까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20-05-23
[28] 웹인용 대안학교 대안학교 정보사이트 인포 https://web.archive.[...] 2022-01-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