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우여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여객은 1982년 7월 천일여객 울산시 영업소를 분리하여 설립된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이다. 1995년 도농통합으로 울산시내버스 회사로 전환되었으며, 2011년 본사를 이전하고 언양영업소를 매각했다. 2019년 울산/남성여객 그룹의 울남지선버스를 인수하여 우리버스로 사명을 변경했고, 2021년 파산된 신도여객을 인수했다. 현재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울산여객
    울산여객은 1969년 설립되어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여객 운송 기업으로, 율리공영차고지를 본사로 하여 다양한 노선을 통해 울산 시내와 인근 도시를 연결하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세원 (버스 기업)
    세원은 1980년 양산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1990년 주식회사 세원으로 상호 변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경상남도 양산시와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와 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양산역 환승센터와 태화강역을 기점으로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 울산광역시의 버스 기업 -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는 21개 업체에서 183개 노선을 운행하며 리무진, 직행좌석, 일반, 지선, 마을, 마실버스로 구성, 준공영제 없이 단독배차제를 운영하고 시계외요금 징수, 교통카드 할인, 무료 환승 제도를 시행하며 2003년부터 현재의 노선 번호 체계를 사용하고 경주시, 부산광역시, 양산시와 연결된다(2022년 12월 기준).
  • 울산광역시의 버스 기업 - 우리버스
    우리버스는 울산광역시에서 지선버스와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울남지선버스로 설립되어 울남마을버스와 통합 후 출범했으며 대우여객에 인수되었고, 2021년부터 플러그인식 전기버스를 운행하며 중구, 남구, 북구, 울주군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대우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대우여객자동차 주식회사
종류주식회사
창립1982년 7월 27일
국가대한민국
장소울산광역시 북구 호계로 80 (창평동)
인물김익기, 박재권 (공동대표이사)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재무 정보
자본금356,325,000원 (2020.12)
매출액13,473,136,451원 (2020)
영업이익212,108,980원 (2020)
순이익107,141,608원 (2020)
자산총액3,373,154,794원 (2020.12)
주주 정보
주주김익기: 41.79%
직원 정보
종업원150명 (2020.12)
기타 정보
자회사우리버스

2. 역사

1982년 7월 27일 천일여객 울산시 영업소를 분리하여 독립 설립하였다. 1995년 1월 1일 도농통합으로 인해 울산시내버스 회사로 전환되었다.[2] 2011년 11월 1일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에서 북구 창평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같은 날 언양영업소가 울산/남성여객[1] 그룹에 인수되었다.[2]

2013년 대우여객 유일의 지선버스인 943번이 울남지선버스에 인수되었다. 2019년 울산/남성여객 그룹의 지선버스 회사인 울남지선버스를 인수하여 우리버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21년 9월 1일 파산한 신도여객을 인수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82년 ~ 1995년)

1982년 7월 27일 천일여객 울산시 영업소를 분리하여 독립 설립하였다. 1995년 1월 1일 도농통합으로 인해 울산시내버스 회사로 전환되었다.[2]

2. 2. 도농통합 이후 (1995년 ~ 2011년)

1995년 1월 1일 도농 통합으로 인해 울산시내버스 회사로 전환되었다.[2]

2. 3. 본사 이전 및 변화 (2011년 ~ 현재)

2011년 11월 1일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에서 북구 창평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같은 날 언양영업소가 울산/남성여객[1] 그룹에 인수되었다.[2]

2013년, 대우여객의 유일한 지선버스였던 943번이 울남지선버스에 인수되었다. 2019년에는 울산/남성여객 그룹의 지선버스 회사인 울남지선버스를 인수하여 우리버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21년 9월 1일에는 파산한 신도여객을 인수하였다.

3. 운행 노선

대우여객은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수 업체이다. 현재 운행 중인 노선과 과거 운행했던 노선은 아래와 같다.

(하위 섹션 '현재 운행 노선'과 '과거 운행 노선'에 상세 정보가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3. 1. 현재 운행 노선


  • 114번 : 꽃바위 ~ 꽃바위
  • 213번 : 농소공영차고지 ~ 들꽃학습원
  • 216번 : 농소공영차고지 ~ 변전소
  • 412번 : 율리공영차고지 ~ 금강펜테리움2차
  • 533번 : 덕하공영차고지 ~ 반용종점
  • 714번 : 명촌차고지 ~ 춘해보건대학교
  • 722번 : 명촌차고지 ~ 신명(달맞이휴게소)
  • 725번 : 명촌차고지 ~ 대신.녹동
  • 742번 : 명촌차고지 ~ 월성원자력홍보관
  • 753번 : 명촌차고지 ~ 울산과학기술원
  • 762번 : 명촌차고지 ~ 모화
  • 772번 : 명촌차고지 ~ 대안입구
  • 1114번 : 율리공영차고지 ~ 대왕암공원
  • 1214번 : 농소공영차고지 ~ 노포역
  • 1715번 : 명촌차고지 ~ 진하공영주차장

3. 2. 과거 운행 노선

노선 번호운행 구간
121번꽃바위 ~ 산하푸르지오[3]
123번꽃바위 ~ 천상중학교[4]
304번율리 ~ 천상중학교[5]
307번태화강역 ~ 천상중학교[6]
308번삼남 ~ 봉계[7]
313번신화 순환[8]
317번천상중학교 ~ 태화강역[9]
318번신화차고지 ~ 은편[7]
323번신화차고지 순환[7]
327번신화차고지 ~ 태화강역[5]
328번석남사 ~ 배내골[5]
337번신화차고지 ~ 태화강역[7]
338번신화차고지 ~ 소호(태종)[10]
368번신화차고지 ~ 통도사[11]
405번율리 ~ 서생체육공원[12]
431번율리 ~ 꽃바위[13]
441번율리 ~ 대안[14]
472번한솔그린빌 ~ 농소차고지[15]
504번덕하차고지 ~ 율리[16]
733번태화강역 ~ 울산과학기술원[17]
802번봉계터미널 ~ 연암[5]
807번석남사 ~ 태화강역[5]
817번통도사(신평터미널) ~ 태화강역[5]
837번태화강역 ~ 태화강역(순환)[18]
943번정자 ~ 진장롯데마트[19]


4. 보유 차량

차종구분비고
현대 그린시티경상용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도시형, 자가용
현대 블루시티도시형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저상형
현대 일렉시티2(수소전기)저상형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시외형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시외형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시외형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시외형


5. 사진

참조

[1] 문서 남성여객, 울산여객, 울남지선버스
[2] 뉴스 만성적자 시내버스 수십대 흡수 운영권 독식 VS 경영안정 '술렁' http://www.iusm.co.k[...] 울산매일신문 2012-01-17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