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학 축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학 축제는 대학의 고유한 명칭을 사용하며, 한국에서는 대동제(大同祭)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공연, 전시, 체험 행사와 연예인 초청 공연 등으로 구성되지만, 연예인 초청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예산 낭비, 상업화, 안전 문제, 성추행 등의 논란이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음주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주류 판매를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독일과 일본에서도 대학 축제가 열리며, 일본에서는 미인대회가 열리기도 한다. 일본 대학 축제는 학생들의 교육 연구 발표 기회를 제공하고, 자금 조달을 학생들이 하는 등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개최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학 문화 - 학사모
    학사모는 사각형 챙과 술이 달린 모자로, 술 색상은 전공을 나타내고 졸업식 등에서 기념으로 활용되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는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 대학 문화 -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은 코빈 궨트니가 1966년에 설립한 미국의 고등 교육 전문 뉴스 매체로, 심층적인 보도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교육 정책, 학술 연구, 대학 운영 등 주요 이슈를 다루며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비판적 분석과 대안을 제시하고, 여러 언론상을 수상하는 등 고등 교육 분야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학교 행사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학교 행사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학교 교육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학교 교육 - 학부
    학부는 대학에서 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는 교육 단위로, 중세 유럽 대학의 4개 학부 체제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부들이 운영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단과대학을 의미하기도 한다.
대학 축제

2. 한국의 대학 축제

한국의 대학 축제는 각 대학마다 고유한 명칭을 가지며, '대동제'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5] 대학 축제는 대개 대학 사무국이 공식적으로 실행 위원회를 인가하고, 학생들로 구성된 실행 위원회가 운영을 주도한다. 캠퍼스에서 열리는 축제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 지역 주민 등 외부인에게도 학교를 개방하고 학생들의 의식을 고취하는 역할을 한다.

축제에서는 클럽 활동이나 동아리 등 학생 단체가 전시, 발표, 회지 발행, 모의점 운영, 세미나 등의 활동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단결력을 강화한다. 호세이 대학처럼 대학 당국의 지원 없이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축제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도쿄 6대학 학원제 연맹과 같이 여러 대학이 연합하여 축제를 개최하기도 한다.

한국 대학 축제의 연예인 초청 공연은 논란의 대상이다.


연예인 초청 공연은 축제의 주요 행사 중 하나이지만, 이에 대한 찬반 논란도 존재한다.[6] 2020년부터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축제를 개최하는 대학도 나타났다.

2. 1. 대동제의 기원과 의미

고려대학교에서 처음 시작된 대동제(帶同祭)는, 다른 사람을 함께 데리고 가는 것과 추모하는 제(祭)를 지내는 의미를 함께 담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독재정권에 맞서 싸우다 희생된 학생들을 추모하고, 살아있는 학생들의 참여 의식을 높이기 위해 1984년 고려대학교 석탑축전에서부터 '대동제'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사회 비판적인 행사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 의식을 고취하고, 의문의 죽음을 당한 학생들을 위한 합동위령굿 등을 지내면서, 동국대학교, 서울대학교 등 서울 지역 대학을 시작으로 1987년에는 전국 대부분의 대학에서 '대동제'라는 이름으로 축제를 열 정도로 널리 퍼졌다.[3][4]

한국의 대학 축제는 대학마다 고유한 명칭을 사용하지만, 다 함께 크게 어울려 화합한다는 뜻의 대동제(大同祭)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대학이 많다.[5]

2. 2. 주요 행사 내용

한국의 대학 축제는 대학에 따라 고유의 명칭을 붙이며, 다함께 크게 어울려 화합한다는 뜻의 대동제(大同祭)라는 명칭을 쓰는 대학이 많다.[5] 축제는 각종 공연, 전시, 체험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연예인을 초청해 공연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에 대해서는 찬반 논란이 있다.[6]

2. 3. 당면 과제와 논란

최근 대학 축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 및 개선 요구 사항이 제기되고 있다.

문제점요인배경
세미나 발표 등 교육 및 연구 관련 발표·전시 부족학생과 학교 측 모두 관심 부족
교원의 무관심 및 일부 교원에게 부담·권한 집중위와 동일
행사 주최 단체(실행 위원회 등)나 동아리 등 일부 학생들만 흥미전원 참가 행사가 아님[1], 축제에 관심 없는 학생 존재, 학생 간 양극화
일부 대학에서 축제가 사상 투쟁의 장으로 변질학생 수가 많은 대학에서 발생 확률 높음
경비 사용처 미공개 등 정보 공개 지연실행위원회 조직 구조에 따른 정보 공개도 차이



최근에는 학생들의 과도한 음주 문화가 문제시되어 주류 판매를 금지하는 대학도 있다. 원샷 강요 등 알코올 관련 괴롭힘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홋카이도 대학의 "북대제"는 2005년부터 주류 판매를 중지하고, 학생 자율 규제를 통해 음주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쓰쿠바 대학의 "쌍봉제"는 2008년부터 주류 판매를 금지하고, 2009년부터는 주류 반입도 금지했다. 단, 학원제 실행 위원회의 술 배포는 허용하여 주류 전면 금지를 피하면서 사고를 막는 노력을 하고 있다.

3. 세계의 대학 축제

세계 각국의 대학 축제는 각 나라의 문화와 특색을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진행된다. 독일의 경우 대학 전체 행사보다는 소규모 친목 중심의 축제가 많고, 일본은 대학 축제에서 미인대회가 열리기도 하며 이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있다.[8]

3. 1. 독일

독일의 대학 축제는 개인주의적 사고방식의 영향으로 대학 전체적으로 벌어지는 대규모 행사는 거의 없으나 친목 단위의 소규모 축제가 빈번하게 벌어진다. 몇몇 독일 대학교에서는 조금 큰 단위로 축제를 하지만, 한국처럼 2~3일이 아닌 하루 단위로 행사를 끝낸다.[7]

3. 2. 일본

쓰쿠바 대학 축제 (2009)


일본의 대학 축제는 학생 자치와 학교 개방을 목표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일본의 대학 축제에서는 미인대회가 열리는 경우도 많은데, 이에 대해 일본 내에서 찬반 여론이 있다.[8] 대학 주최의 행사를 대학 축제라고 부르는 기준은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대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가 많다.

  • 대학 사무국이 실행 위원회를 공식적으로 인가
  • 대학 캠퍼스에서 실시
  • 학생으로 조직된 실행 위원회가 운영 주체


대학 축제 운영은 대부분 학생들이 하며, 대학 사무국, 교원, 학생 위원회 등은 인가나 조언을 한다. 일반적으로 각 학부의 교원·직원, 학생 및 대학 축제(학원제)를 관장하는 학생부의 직원이 중심이 되어 인가나 조언을 하며, 홍보·재무·시설 등의 관계 부서가 지원한다.

대학 축제는 재학생, 친구, 부모, 졸업생 등에게 학교를 개방하고, 학생들의 의식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한다. 클럽 활동 등의 학생 단체 전시·발표, 회지·회보 발행, 모의점 출점, 세미나 교육 연구 활동 발표 등이 이루어진다.

자금 조달은 학생들이 하는 경우가 많지만, 학우회비 등으로 학교가 대리 징수하여 일부를 축제 비용으로 충당하기도 한다. 호세이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기획·운영하는 "자주 호세이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도쿄 6대학 학원제 연맹처럼 대학 간 연계하여 협력하기도 한다.

2020년부터 코로나19 유행으로 온라인 개최를 하는 곳도 있다.

3. 2. 1. 일본 대학 축제의 역사

간사이 대학의 대학 축제(1927년)


일본의 대학 등 고등 교육 기관에서의 대학 축제(학원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열리고 있다. 예를 들어 도쿄 대학의 5월제는 90회 이상, 도쿄 농업 대학의 수확제는 2023년 시점에서 132회를 기록한다. 현재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로 열리게 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이며, 학생 운동의 발생과 함께 발전해 왔다는 시각도 있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축제 중 하나로는 도쿄 외국어 대학교의 외어제가 있으며, 1900년 외국어극을 처음 상연한 "강연회"까지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외어제는 전시 중 중단 등을 거쳐 2008년 시점에서 86회를 기록한다. 신제 국립 대학에서의 첫 번째 문화제는 기후 대학의 "기대제"라고 하며, 2023년 시점에서 75회를 기록한다.

3. 2. 2. 일본 대학 축제의 문제점

세미나 발표 등 교육 및 연구 관련 발표·전시가 부족하고, 교원들의 참여가 저조하며, 일부 학생 중심으로 운영되는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학생과 학교 측 모두 교육 및 연구 관련 발표·전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전원 참가 행사가 아니며 학원제에 관심 없는 학생들도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1]

일본 대학 축제의 문제점 및 배경
순번문제점배경
1교육 및 연구 관련 발표·전시 부족학생과 학교 측의 관심 부족
2교원 참여 부족, 일부 교원에게 부담 집중교육 및 연구 발표·전시에 대한 관심 부족과 관련
3일부 학생 중심 운영 (동아리 등)전원 참가 행사가 아님, 학원제에 대한 관심 양극화
4일부 대학에서 특정 사상과의 갈등 발생학생 수가 많은 대학에서 발생 확률 증가
5경비 사용처 등 정보 공개 미흡학원제 실행위원회의 조직 구조에 따라 정보 공개도 차이 발생



모의점의 위생 관리 문제도 지적된다. 2008년 나고야 대학 축제에서는 방문객들이 식중독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했는데, 나고야시는 모의점에서 판매된 크레페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고, 미리 만들어 둔 반죽이 원인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지쿠사 보건소는 학원제 실행위원회 등에 위생 지도를 철저히 할 것을 요구했다.[2]

또한, 과도한 음주 문화가 문제시되어 주류 판매 금지 등의 조치가 취해지는 대학도 있다. 원샷 강요 등 알코올 관련 괴롭힘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홋카이도 대학의 "북대제"는 2005년부터 주류 판매를 중지하고, 학생들의 자율 규제를 통해 음주 사고를 줄였다. 반면, 쓰쿠바 대학의 "쌍봉제"는 2008년부터 주류 판매를 금지하고, 2009년부터는 주류 반입을 금지했지만, 학원제 실행 위원회를 통한 술 배포는 허용하는 이중 기준을 마련하여 사고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4. 한국 대학 축제의 발전 방향

대학 축제는 재학생뿐만 아니라, 재학생의 친구나 부모, 졸업생 등 외부 및 지역 사람들에게 학교를 개방하거나, 학생들의 의식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한다.[1] 축제에서는 클럽 활동 등의 학생 단체에 의한 전시·발표, 회지·회보 등의 발행, 자금 조달 및 단결 강화를 위한 모의점 출점, 세미나 등이 실시하는 교육 연구 등의 활동을 발표한다.[1]

자금 조달은 주로 학생들이 하지만, 수업료와 함께 학우회비 등으로 학교가 대리 징수하여, 그 비용의 일부(금액의 대략 절반 이내)를 대학 축제 비용으로 충당하기도 한다.[1] 호세이 대학에서는 대학 당국의 선전·지원을 거부하고, 학생들이 독자적으로 기획·운영하는 "자주 호세이 축제"를 개최하기도 한다.[1]

도쿄 6대학 학원제 연맹처럼 대학 간 연계하여 협력 체제를 갖추는 경우도 있다.[1]

참조

[1] 문서 初等教育
[2] 웹사이트 名大学園祭の食中毒77人に クレープ生地の作り置きが原因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08-06-10
[3] 뉴스 다사다난했던 개교기념일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23
[4] 뉴스 고려대 대동제, 어떻게 변해왔을까? http://www.kukey.com[...] 고대신문 2011-06-03
[5] 뉴스 80년대 학생운동, 민속학과 만난 이유는…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0-11-21
[6] 뉴스 대학축제는 '연예인 축제'?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10-10-09
[7] 뉴스 [해외 대학 축제] 독일편 http://www.unn.net/n[...] 한국대학신문 2010-10-09
[8] 웹인용 日 아나운서 등용문, 대학 미인대회 현장 http://www.jpnews.kr[...] 제이피뉴스 2010-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