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행정자치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행정자치부는 「정부조직법」에 따라 설치된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국무회의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조직 및 정원, 상훈, 정부혁신, 전자정부, 개인정보보호, 지방자치제도, 지방재정 등 국가 행정 사무를 관장한다. 1998년 내무부와 총무처를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며, 2008년 행정안전부로 개편되었다가 201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장관과 차관을 포함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산은 일반회계와 지역발전특별회계를 포함하여 4,148억 3,200만 원 규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2017년 폐지 - 알누스라 전선
알누스라 전선은 시리아 내전 중 활동한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로, 알카에다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다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로 인정받았고, ISIL과의 갈등 후 자바트 파타 알샴으로 조직명을 변경, 알카에다와 관계 단절을 선언했으나 완전한 결별은 아니었으며, 2017년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결성 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전쟁범죄 혐의를 받았다. - 2017년 폐지 -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보 통신, 방송 통신 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과학기술처, 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를 거쳐 2013년 출범하여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2008년 폐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2008년 폐지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대한민국 행정자치부 | |
---|---|
기본 정보 | |
![]() | |
현지어 이름 | Ministry of the Interior |
설립일 | 2014년 11월 19일 |
전신 | 안전행정부 |
해산일 | 2017년 7월 26일 |
후신 | 행정안전부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
직원 | 894명 |
예산 | 41조 4,832억 원 |
조직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사무
2. 1. 설치 근거
정부조직법 제26조제1항제8호2. 2. 소관 사무
다음은 대한민국 행정자치부의 소관 사무이다.
3. 연혁
3. 1. 역대 로고
4. 조직
Minister of the Interior and Safety영어는 대한민국 행정자치부를 대표하는 직위이다. 장관은 국무위원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5] 장관정책보좌관실을 두고 있다.[5]
차관은 장관을 보좌하며, 장관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4. 1. 장관
장관정책보좌관실[5]4. 2. 차관
대한민국 행정자치부에는 장관 외에 차관이 존재하지만, 주어진 자료에는 차관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나 편제가 나타나 있지 않다.5. 역대 장·차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김대중 정부 | 초대 | 김정길 | 1998년 3월 3일 ~ 1999년 2월 5일 | |
2대 | 김기재 | 1999년 2월 6일 ~ 2000년 1월 13일 | ||
3대 | 최인기 | 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5일 | ||
4대 | 이근식 | 2001년 3월 26일 ~ 2003년 2월 26일 | ||
노무현 정부 | 5대 | 김두관 | 2003년 2월 27일 ~ 2003년 9월 18일 | |
6대 | 허성관 | 2003년 9월 19일 ~ 2005년 1월 4일 | ||
7대 | 오영교 | 2005년 1월 5일 ~ 2006년 3월 21일 | ||
8대 | 이용섭 | 2006년 3월 27일 ~ 2006년 12월 4일 | ||
9대 | 박명재 | 2006년 12월 13일 ~ 2008년 2월 28일 | ||
박근혜 정부 | 초대 | 정종섭 | 2014년 11월 19일 ~ 2016년 1월 12일 | |
2대 | 홍윤식 | 2016년 1월 13일 ~ 2017년 6월 15일 |
행정자치부 차관은 장관을 보좌하는 직위로, 제1차관과 제2차관이 있었다. 제1차관은 기획, 예산, 인사 등을, 제2차관은 지방자치, 지역 개발 등을 담당했다.
노무현 정부 시기 제1차관은 권오룡, 최양식이, 제2차관은 문원경, 장인태, 한범덕이 역임했다.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노무현 정부 | 8대 | 문원경 | 2005년 7월 22일 ~ 2006년 1월 31일 | |
9대 | 장인태 | 2006년 2월 1일 ~ 2007년 4월 19일 | ||
10대 | 한범덕 | 2007년 4월 20일 ~ 2008년 2월 5일 |
5. 1. 행정자치부 장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김대중 정부 | 초대 | 김정길 | 1998년 3월 3일~1999년 2월 5일 | |
2대 | 김기재 | 1999년 2월 6일~2000년 1월 13일 | ||
3대 | 최인기 | 2000년 1월 14일~2001년 3월 25일 | ||
4대 | 이근식 | 2001년 3월 26일~2003년 2월 26일 | ||
노무현 정부 | 5대 | 김두관 | 2003년 2월 27일~2003년 9월 18일 | |
6대 | 허성관 | 2003년 9월 19일~2005년 1월 4일 | ||
7대 | 오영교 | 2005년 1월 5일~2006년 3월 21일 | ||
8대 | 이용섭 | 2006년 3월 27일~2006년 12월 4일 | ||
9대 | 박명재 | 2006년 12월 13일~2008년 2월 28일 |
5. 2. 행정자치부 차관
행정자치부 차관은 행정자치부 장관을 보좌하는 직위로, 제1차관과 제2차관이 있었다. 제1차관은 기획, 예산, 인사 등의 업무를, 제2차관은 지방자치, 지역 개발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노무현 정부 시기 제1차관은 권오룡, 최양식이, 제2차관은 문원경, 장인태, 한범덕이 역임했다.
5. 2. 1. 행정자치부 제1차관
5. 2. 2. 행정자치부 제2차관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노무현 정부 | 8대 | 문원경 | 2005년 7월 22일~2006년 1월 31일 | |
9대 | 장인태 | 2006년 2월 1일~2007년 4월 19일 | ||
10대 | 한범덕 | 2007년 4월 20일~2008년 2월 5일 |
6. 정원
7. 재정
참조
[1]
웹인용
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 - 중앙행정기관의 약칭과 영어명칭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5-09-15
[2]
뉴스
교육부총리 황우여, 국민안전처 박인용, 공정위 정재찬(종합)
http://www.asiae.co.[...]
2014-11-18
[3]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4]
문서
부이사관·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5]
문서
장관정책보좌관은 3명을 두며,1명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2명은 3급 상당 또는 4급 상당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다만,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4급 이상 일반직공무원으로 대체할 수 있다.
[6]
문서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7]
문서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8]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
[9]
문서
2018년 2월 28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0]
문서
2018년 12월 26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1]
문서
2019년 2월 28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12]
문서
2017년 10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이다.
[13]
문서
전직대통령의 비서관 3명, 서거한 전직대통령의 배우자의 비서관 3명 포함.
[14]
문서
전직대통령의 운전기사 1명, 서거한 전직대통령의 배우자의 운전기사 3명 포함.
[15]
문서
한시정원 1명 포함.
[16]
문서
한시정원 13명 포함.
[17]
문서
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2.0명, 한시정원 3명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