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정책 수립, 연구 개발, 정보 통신, 방송 통신 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67년 과학기술처로 시작하여 1998년 과학기술부로 개편되었고, 2008년 교육인적자원부와 통합되어 교육과학기술부가 되었다가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로 출범했다.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요 활동으로는 케이블 TV 서비스, 신규 미디어 정책, 국가 정보화 프로젝트 추진 등이 있었으며, 부처 명칭과 기독교 편향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2017년 폐지 - 알누스라 전선
    알누스라 전선은 시리아 내전 중 활동한 수니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로, 알카에다와의 연관성을 부인하다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로 인정받았고, ISIL과의 갈등 후 자바트 파타 알샴으로 조직명을 변경, 알카에다와 관계 단절을 선언했으나 완전한 결별은 아니었으며, 2017년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결성 후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전쟁범죄 혐의를 받았다.
  • 2017년 폐지 - 대한민국 행정자치부
    대한민국 행정자치부는 정부조직법에 따라 설치된 중앙행정기관으로,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관련 사무, 지방자치제도 등을 관장하며, 1998년 내무부와 총무처를 통합하여 설치되었다가 201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설립 - MSN
    MSN은 199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95와 함께 출시한 웹 포털이자 관련 서비스 모음으로, 뉴스,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금융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주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합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 2013년 설립 - 대한민국 교육부
    대한민국 교육부는 교육, 사회, 문화 분야 정책을 총괄하고 인적 자원 개발, 학교 교육, 평생 교육,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이다.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기관 이름미래창조과학부
한자 표기未来創造科學部
로마자 표기Mirae Changjo Gwahakbu
영문 약칭MSIP
설립일2013년 3월 23일
해산일2017년 7월 26일
전신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
지식경제부 (ICT, 우편 및 미래 계획)
후신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할 국가대한민국 정부
본부 위치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정부과천청사 5동
모토과학기술과 ICT 혁신을 통한 역동적 창조경제 실현
직원 수816명
예산14조 1,869억원
웹사이트미래창조과학부 영어 웹사이트 (보관됨)
주요 인사
장관최양희
제1차관이석준
제2차관최재유
창조경제조정관최종배
조직 정보
기타 정보

2. 설치 근거 및 소관 사무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는 다음 사무를 소관으로 한다.[19]


  • 과학기술정책의 수립·총괄·조정·평가
  • 과학기술의 연구개발·협력·진흥
  • 과학기술인력 양성
  • 원자력 연구·개발·생산·이용
  • 국가정보화 기획·정보보호·정보문화에 관한 사무
  • 방송·통신의 융합·진흥 및 전파관리
  • 정보통신산업에 관한 사무
  • 우편·우편환 및 우편대체에 관한 사무


케이블 TV 서비스 사업자, 위성 채널 및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정책과, 전통 시장, 농업, 중소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기술을 도입하려는 국가 정보화 프로젝트도 이 부처 소관이다.[5][4] 이 부처는 2017년까지 사업 창업 분야에서 약 9만 개의 일자리를 포함하여 이들 분야에서 약 41만 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4][7]

2. 1. 설치 근거

정부조직법 제26조제1항제3호

2. 2. 소관 사무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는 다음 사무를 소관으로 한다.[19]

  • 과학기술정책의 수립·총괄·조정·평가
  • 과학기술의 연구개발·협력·진흥
  • 과학기술인력 양성
  • 원자력 연구·개발·생산·이용
  • 국가정보화 기획·정보보호·정보문화에 관한 사무
  • 방송·통신의 융합·진흥 및 전파관리
  • 정보통신산업에 관한 사무
  • 우편·우편환 및 우편대체에 관한 사무


케이블 TV 서비스 사업자, 위성 채널 및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정책이 이 부처로 이관되었다.[5] 이 부처는 2017년까지 사업 창업 분야에서 약 9만 개의 일자리를 포함하여 이들 분야에서 약 41만 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4][7]

이 부처는 전통 시장, 농업, 중소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기술을 도입하려는 소위 국가 정보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4] 과학기술 주요 정책, 과학기술혁신·산업화 관련 인재 정책·지역 기술혁신 정책의 조정, 연구개발 계획·사업의 조정, 연구개발 예산 운영에 관한 사항의 심의를 수행하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운영을 담당한다.[21]

3. 연혁


박근혜 대통령은 과학정보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조직 개편 계획을 시작했고, 그 일환으로 2013년 2월에 미래창조과학부 설립이 발표되었다.[4]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2012년 대선에서 당선을 위한 핵심 공약 중 하나였다.[5]

3. 1. 기관 연혁

3. 2. 역대 로고

4. 조직

미래창조과학부에는 장관을 보좌하는 정무직 공무원인 제1차관과 제2차관, 2명의 차관이 있었다.[28]

하부조직



소속 기관으로는 운영지원과, 연구개발정책실, 과학기술전략본부, 창조경제기획국, 미래인재정책국, 국립전파연구원, 중앙전파관리소,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우정사업본부 등이 있었다.

4. 1. 장관

최문기가 이 부처의 초대 장관이었다. 이후 최양희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되었다.[6][7][8] 그는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 지명되었다.[6]

4. 2. 제1차관

차관은 장관을 보좌하는 정무직 공무원이다.[28] 미래창조과학부에는 2명의 차관이 있었는데, 제1차관과 제2차관으로 나뉘었다.[28]

4. 3. 제2차관

하부조직


4. 4. 소속 기관


  • 운영지원과
  • 연구개발정책실
  • * 기초원천연구정책관
  • * 거대공공연구정책관
  • * 연구성과혁신정책관
  • 과학기술전략본부
  • * 과학기술정책관
  • * 연구개발투자심의관
  • * 성과평가혁신관
  • 창조경제기획국
  • 미래인재정책국
  • 정보통신정책실
  • * 인터넷융합정책관
  • * 정보통신산업정책관
  • * 소프트웨어정책관
  • * 정보보호정책관
  • 방송진흥정책국
  • 통신정책국
  • 전파정책국
  • 국립전파연구원
  • * 전파시험인증센터
  • * 우주전파센터
  • 중앙전파관리소
  • * 위성전파감시센터
  • * 서울, 부산, 광주, 대전, 대구, 강릉, 전주, 제주, 청주, 울산 전파관리소
  • 국립중앙과학관
  • 국립과천과학관
  • 우정사업본부

5. 역대 장·차관

최문기가 초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었고, 최양희가 2대 장관이었다.[6][7][8] 장관 지명은 박근혜 대통령이 하였다.[6]

성명(한자 표기)성명(한글 표기)재임 기간비고
초대최문기 (崔文基)최문기2013년 4월 17일 ~ 2014년 7월 15일박근혜 정부
2대최양희 (崔陽熙)최양희2014년 7월 16일 ~ 2017년 7월 10일박근혜 정부


5. 1.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박근혜 정부직무대리이상목2013년 3월 25일 ~ 2013년 4월 16일
초대최문기2013년 4월 17일 ~ 2014년 7월 15일
2대최양희2014년 7월 16일 ~ 2017년 7월 10일[6][7][8]



박근혜 정부의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초대 최문기 장관, 2대 최양희 장관[6][7][8] 이었다. 장관 지명은 박근혜 대통령이 하였다.[6]

5. 2.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박근혜 정부초대이상목2013년 3월 25일 ~ 2014년 7월 25일
2대이석준2014년 7월 26일 ~ 2016년 1월 17일
3대홍남기2016년 1월 18일 ~ 2017년 5월 10일
직무대리민원기2017년 5월 12일 ~ 2017년 6월 26일


5. 3.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

정부대수이름임기비고
박근혜 정부초대윤종록2013년 3월 25일 ~ 2015년 2월 8일
2대최재유2015년 2월 9일 ~ 2017년 6월 6일


6. 정원

총계816명
정무직 계3명
장관1명
차관2명
별정직 계5명
고위공무원단1명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1명
6급 상당 이하3명
일반직 계808명
고위공무원단24명[35]
3급 이하 5급 이상426명[36]
6급 이하354명
전문경력관4명


7. 재정

2017년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 예산 (단위: 억 원, %)
구분2017년 예산작년 대비 증감
예산125.646조-1.8%
일반회계62.86조+5.4%
지역발전특별회계2.223조-5.5%
에너지및자원사업특별회계3.75조+0.5%
책임운영기관특별회계6710억+11.5%
우편사업특별회계35.134조+1.5%
우체국예금특별회계18.463조-24.3%
우체국보험특별회계2.546조-2.3%
기금16.223조-0.1%
과학기술진흥기금16.223조-0.1%
원자력기금1.821조-2.9%
방송통신발전기금7.623조-0.8%
정보통신진흥기금6.174조+1.7%
합계141.869조-1.6%


8. 주요 활동 및 성과

미래창조과학부는 케이블 TV 서비스 사업자, 위성 채널 및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정책을 담당하게 되었다.[5]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까지 사업 창업 분야에서 약 9만 개의 일자리를 포함하여 이들 분야에서 약 41만 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4][7]

또한, 미래창조과학부는 전통 시장, 농업, 중소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기술을 도입하려는 국가 정보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4]

9. 논란

미래창조과학부의 명칭과 관련하여, 조직의 비대화 가능성과 종교적 편향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부처 명칭에 대해서는, 미래창조과학부가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의 업무를 통합하면서 조직이 비대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37][38] 또한, "미래창조과학부"라는 명칭이 창조론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과학계와 불교계 등에서 비판을 받았다.[10][11] 이에 김성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과학기술정보부 등의 명칭을 대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39]

기독교 편향 논란과 관련해서는, 미래창조과학부 내 기독선교회가 설립 당시부터 복음 전파를 강조하고, 이슬람교를 이단으로 규정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문건이 공개되면서 공무원의 종교적 중립성 문제가 제기되었다.[40][41] 이에 대해 선교회 측은 개인의 의견일 뿐이라고 해명했지만, 일부 공무원들은 특정 종교 편향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42]

9. 1. 부처 명칭 논란

미래창조과학부가 예전 과학기술부 업무뿐만 아니라 예전 정보통신부 관할이던 통신기술(ICT)과 우정사업본부의 업무까지 맡게 되면서 조직이 너무 비대해질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또한 일각에서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명칭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었다. 미래창조과학부를 영문으로 번역하면 'Ministry of Future Creation and Science'라고 표기된다. 불교계나 과학계 등에서는 기독교의 창조론을 연상시킨다고 우려하고 있다.[37][38]

김성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이 대한민국과학기술대연합과 2013년 1월 29일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미래창조과학부의 성공 과제'라는 주제 발표에서 "미래부가 새로운 형태의 정책 운용 패러다임 구축이라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나 부처 명칭에 대해서는 반드시 재검토를 해야 한다"면서도 "부처의 기능은 공감하나 부처 명칭이 지나치게 유행을 탈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대안으로 과학기술정보부 등의 명칭을 제시했다. 그는 "미래부는 지식의 창출과 ICT를 통합, 지식의 연계 구조를 구축해 혁신 생태계의 종합적 관리를 해야 한다"면서 "장기·중기·단기 전략을 구분하고 1·2 차관으로 격리된 조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민 의원은 또한 "일자리 창출이나 단기적 성과에 초점을 맞출 우려가 있고 계량화된 성과의 요구로 인해 인내심이 요구되는 과학기술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39]

"미래창조과학부"(Ministry of Future Creation and Science)라는 한국어 명칭이 창조론을 연상시킨다는 우려 때문에 일부 과학자들의 걱정을 사기도 했다.[10][11]

9. 2. 기독교 편향 논란

2013년 5월 초, 미래창조과학부 내에 설립된 기독선교회가 설립 당시부터 “기독교인이 다수를 차지한 미래창조과학부가 복음 전파에 앞장서고, 하나님의 뜻을 위해 이 나라를 크게 변화시키겠다”고 밝혀 논란이 되었다. '미래창조과학부 기독선교회 사업계획안'이라는 내부 문건에는 한 달에 1명 이상에게 복음을 제시하자는 ‘1+1운동’을 올해 표어로 하고, 이단에 대한 동향 파악과 공동 대처를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세계 3대 종교 중 하나인 이슬람교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카카오톡SNS를 이용해 회원 간 정보를 공유하며 공동 대응하자는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어 공무원의 종교적 중립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40][41]

해당 문건에 따르면 선교회는 매주 화요일 정기예배를 실시하고, 각 국별, 층별 선교간사를 지정하며, 과장급 이상 직장리더들은 예배에 우선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매주 화요일을 미래부 모든 직원들이 ‘선교회 예배가 있는 날’로 인식하도록 만들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또한 출근할 때 미래부 322호에 마련된 기도실을 반드시 거쳐가고, 화장실을 이용할 때도 1분 기도를 생활화하도록 하고 있다. 타 종교를 믿거나 종교를 믿지 않는 직원들은 ‘미전도 종족’으로 규정하고, 매주 금요일 점심에 정부과천청사나 초소, 공원 등에서 전도하는 한편 월 1회 점심식사를 대접하며 전도를 생활화하라고 독려하고 있다. 미래부 산하기관 선교회 현황을 파악하고 선교회가 없는 기관에 선교회를 창립할 경우 창립지원금 100000KRW을 지원하자는 내용도 있다. 청사 인근 지역교회 2곳 이상과 선교협력서를 체결하고 국정 및 지역현안에 대해서 중보기도를 실시하자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선교회 교인들 간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취미활동을 지원하고, 2014년부터는 ‘미래가족 전국선교대회’를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선교회의 움직임에 대해 일부 미래창조과학부 관료들은 “이명박 정부에서는 고위공무원단(고공단)에 들기 위해서는 기독교를 믿지 않으면 안 된다는 소문이 돌아 직장선교회의 규모가 상당히 커진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또한 “종교의 자유는 있지만, 공직자로서 이런 문건을 만들어 타 종교에 대한 배타성을 드러내는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은 자칫 외부에 미래부가 특정 종교에 편향돼 있다는 것으로 비칠 수 있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문건의 존재에 대해 선교회 관계자는 “선교회 내에서 상의한 바도 없고 합의한 적도 없는 내용”이라며 “문건 작성을 담당한 열혈 신도 한 명이 개인적 의견을 정리해 배포한 것으로 미래부는 물론 선교회와는 전혀 상관없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42]

참조

[1] 웹사이트 Law of government formation http://law.go.kr/lsS[...] Republic of Korea 2013-12-24
[2] 웹사이트 Location Map https://archive.toda[...] 2014-01-01
[3] 뉴스 English names of government ministries finalized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3-03-28
[4] 뉴스 Science & ICT ministry strives to create jobs, new industries http://www.koreaitti[...] Korea IT Times 2013-04-22
[5] 뉴스 (2nd LD) Rival parties reach agreement on gov't restructuring plan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3-03-17
[6] 뉴스 Choi quizzed over creative economy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13-04-01
[7] 뉴스 Growth Not Missile Threat Tops Park's South Korea Agenda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3-05-31
[8] 뉴스 A Nifty Mobile Photography App Achieves International Recognition https://online.wsj.c[...] Wall Street Journal 2013-06-05
[9] 뉴스 SNU professors win national science award https://www.koreatim[...] Korea Times 2013-06-25
[10] 뉴스 정부 부처 명칭 어찌하오리까? http://news.tv.chosu[...] 2013-01-16
[11] 뉴스 장하나 "미래창조과학부 종교연구단체?" http://news1.kr/arti[...] 2013-02-27
[12] 뉴스 미래창조과학부 기독선교회 창립… 회장은 용홍택 정책관 http://www.christian[...] 2013-05-03
[13] 뉴스 미래창조과학부 기독선교회 창립, 종교 중립 논란 http://news.sbs.co.k[...] 2013-05-03
[14] 뉴스 미래부 특정 종교 '입김' 강해지나…이슬람교 이단 규정 http://www.dongascie[...] 2013-06-11
[15] 법률 政府組織法 (제20조의2)
[16] 법률 政府組織法 (附則 제3조)
[17] 법률 政府組織法 (제19조의2)
[18] 뉴스 MKニュース http://japan.mk.co.k[...] MKニュース
[19] 법률 政府組織法 (제29조)
[20] 법률 科学技術基本法 (제9조)
[21] 법률 科学技術基本法 (제9조의2), 未来創造科学部とその所属機関職制 (제14조)
[22] 법률 未来創造科学部とその所属機関職制
[23] 웹인용 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 - 중앙행정기관의 약칭과 영어명칭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5-09-15
[24] 법령
[25] 법령
[26] 법령
[27] 법령
[28] 법령
[29] 법령
[30] 법령
[31] 법령
[32] 법령
[33] 법령
[34] 법령
[35] 법령
[36] text
[37] 뉴스 정부 부처 명칭 어찌하오리까? http://news.tvchosun[...] 2013-01-16
[38] 뉴스 장하나 "미래창조과학부 종교연구단체?" http://news1.kr/arti[...] 2013-02-27
[39] 뉴스 "미래부 명칭 재검토해야" 김성수 한국외대 교수 http://www.daejonilb[...] 2013-01-29
[40] 뉴스 미래창조과학부 기독선교회 창립… 회장은 용홍택 정책관 http://www.christian[...] 2013-05-03
[41] 뉴스 미래창조과학부 기독선교회 창립, 종교 중립 논란 http://news.sbs.co.k[...] 2013-05-03
[42] 뉴스 미래부 특정 종교 '입김' 강해지나… 이슬람교 이단 규정 http://www.dongascie[...] 2013-06-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