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화역은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의 종착역으로, 1996년 1월 30일 개통했다. 2014년 원흥역 개통으로 역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2015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향후 통일동산역까지 연장될 경우 중간역이 될 예정이다. 역 주변에는 킨텍스를 비롯한 다양한 시설과 고양종합운동장, 교육 시설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전철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고양시의 전철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대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대화역 |
한자 표기 | 大化驛 |
로마자 표기 | Daehwa-yeok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2221 |
개업일 | 1996년 1월 30일 |
승객 수 (일일) | 3호선: 23,841명 (2012년 1월~12월 기준) |
운영 및 노선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
역 번호 | 309 |
승강장 | 1개 |
선로 | 2개 |
구조 | 지하역 |
역사 정보 | |
개통 | 수도권 전철 3호선 개통 |
버스 노선 | |
간선 | 200 1000 1001 1500 M7106 M7731 8109 9700 9701 9707 9714 |
지선 | 10 20-1 33 33-1 56 66 70 72 75 80 88A 88B 90 92 92-1 97 150 600 900 999 |
광역 | 760 |
마을 | N007 039 056(도촌) 056(서촌) 056(멱절) 057 058 059 061 062 063 082A 082B 089 090 091 095 |
역 정보 (한국철도공사) |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대곡관리역 |
영업 거리 | 대화 기점 0.0 km |
다음 역 | 310 주엽 (1.4km) |
2. 역사
== 역사 ==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대화역~지축역 구간 개통과 함께 대화역이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같은 날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직결 운행도 개시되었다. 2014년 12월 27일에는 원흥역 개통으로 인해 역 번호가 310에서 309로 변경되었다. 2015년 11월에는 스크린도어 사용이 개시되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통일동산역 구간 연장이 개통되면 대화역은 중간역이 될 예정이다.
2. 1. 개통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대화역~지축역 구간 개통과 함께 대화역이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같은 날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직결 운행도 개시되었다. 2014년 12월 27일에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원흥역 개통으로 인해 역 번호가 310에서 309로 변경되었다. 향후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통일동산역 구간 연장 개통 시에는 중간역이 될 예정이다. 2015년 11월에는 스크린도어 사용이 시작되었다.2. 2. 역 번호 변경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3호선 원흥역이 개통되면서 대화역의 역 번호가 310에서 309로 변경되었다. 이는 원흥역 개통으로 인한 역 번호 재배정 때문이다.2. 3. 향후 계획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통일동산역 구간 연장 개통 시 중간역이 될 예정이다.3. 역명 및 부역명
역명은 대화역이다. 과거에는 '킨텍스'라는 부역명을 사용했으나, 2024년 12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창릉역 제외) 개통으로 2017년에 삭제되었다. 하지만 선로 측 역명판에는 아직 '킨텍스'가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1996년 1월 30일 개업 이후 2014년 12월 27일 원흥역 개업에 따라 역 번호가 310에서 309로 변경되었고, 2015년 11월에는 스크린도어 사용이 개시되었다.
3. 1. 역명 유래
공사 당시 역명은 '''장촌역'''으로 가칭되었다.3. 2. 부역명 변천사
한때 ''킨텍스''라는 부역명을 사용했으나, 2024년 12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창릉역 제외) 개통으로 인해 2017년에 삭제되었다. 하지만 선로 측 역명판에는 아직 ''킨텍스''가 남아 있다. 1996년 1월 30일 개업 이후 2014년 12월 27일 원흥역 개업에 따라 역 번호가 310에서 309로 변경되었으며, 2015년 11월에는 스크린도어 사용이 개시되었다.4. 역 구조
대화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수도권 전철 3호선이 운행된다. 특징적으로 승강장 번호가 1번과 2번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종착 승강장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 열차 운행 방식에 따라 1번 또는 2번 승강장에서 오금역 방면 열차가 종착 후 주엽역 방면으로 출발한다. 2번 승강장에서 종착 후 회차선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2번 승강장에서 종착한 열차가 곧바로 주엽역 방향으로 출발하여 건넘선을 건너가거나, 승강장 진입 전에 건넘선을 넘어 1번 승강장으로 들어온 후 출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1번 승강장과 2번 승강장의 출발 시간대가 다르게 운영된다.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인상선을 이용하기도 한다. 출입구는 총 6개가 있다. 역 구조는 지상층, 대합실(L1), 승강장(L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합실에는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등이 있다.
4. 1. 전체 구조
대화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으로, 특정 종착 승강장이 없다. 주로 2번 승강장(오금 방향)에서 종착한 열차가 곧바로 주엽역 방향으로 출발하지만, 회차선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1번 승강장(오금 방향)과 2번 승강장(오금 방향)의 출발 시간대는 다르다. 출입구는 총 6개가 있다. 역에는 인상선이 있으며, 주로 러시아워 시간대에 사용된다. 오금역 방면 열차는 2번 승강장에서, 주엽역 방면 열차는 1번 승강장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운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4. 2. 승강장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수도권 전철 3호선 열차가 운행된다.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특징적으로 승강장 번호가 1번과 2번으로 표기되어 있다. 1번 승강장과 2번 승강장 모두 오금역 방면 열차가 운행되며, 종착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 열차 운행 방식에 따라 1번 또는 2번 승강장에서 종착 후 주엽역 방면으로 출발한다.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인상선을 사용하기도 한다. 출입구는 총 6개가 있다.5. 서비스
평일(국경일 제외) 첫차는 오전 5시 14분에 대화역에서 오금 방면으로 출발하며, 막차는 다음날 오전 0시 36분에 출발합니다.
5. 1. 첫차 및 막차 시간
평일(국경일 제외) 첫차는 오전 5시 14분에 오금역 방향으로 대화역에서 출발하며, 막차는 다음날 오전 0시 36분에 대화역에서 출발한다.6. 역 주변
역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고양도시관리공사를 비롯하여 고양종합운동장, 고양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고양체육관(실내체육관 및 실내수영장, 프로농구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홈구장)과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프로야구 KBO 퓨처스리그 2군 고양 히어로즈 홈구장) 등의 체육 시설이 있다. 교통개발연구원과 농수산물유통센터, 고양공영차고지도 인근에 위치하며, 대화도서관, 대화중학교, 일산대진고등학교, 장성중학교, 장성초등학교, 장촌초등학교, 주엽고등학교 등의 교육기관도 있다. 메가박스 킨텍스점, 원마운트, CJ ENM 일산 스튜디오 등의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 시설과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등의 의료기관도 이용 가능하다. 행정기관으로는 일산서구청과 일산서부경찰서가 있다. 쇼핑 시설로는 킨텍스(KINTEX) 내에 현대백화점 킨텍스점, 홈플러스 킨텍스점, 롯데마트 빅마켓 킨텍스점, 이마트 타운 킨텍스점, 이마트 킨텍스점, 이마트 트레이더스 킨텍스점, 메종티시아 킨텍스점, 일렉트로마트 킨텍스점 등이 있으며,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도 위치하고 있다. 한국국제전시장 (KINTEX)와 킨텍스역도 역과 가까운 거리에 있다.
6. 1. 주요 시설
대화역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고양시를 대표하는 시설인 킨텍스(한국국제전시장 (KINTEX))와 고양종합운동장, 고양체육관(실내체육관 및 실내수영장, 프로농구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홈구장) 등이 있으며,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프로야구 KBO 퓨처스리그 2군 고양 히어로즈 홈구장)도 있다. 고양도시관리공사와 교통개발연구원, 농수산물유통센터, 고양공영차고지도 위치하고 있다. 교육시설로는 대화도서관, 대화중학교, 일산대진고등학교, 장성중학교, 장성초등학교, 장촌초등학교, 주엽고등학교 등이 있다. 쇼핑 및 문화시설로는 메가박스 킨텍스점, 원마운트, CJ ENM 일산 스튜디오, 현대백화점 킨텍스점, 홈플러스 킨텍스점, 롯데마트 빅마켓 킨텍스점, 이마트 타운 킨텍스점, 이마트 킨텍스점, 이마트 트레이더스 킨텍스점, 메종티시아 킨텍스점, 일렉트로마트 킨텍스점 등이 있으며, 의료시설로는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이 있다. 행정시설로는 일산서구청과 일산서부경찰서가 있다. 교통편의를 위해 킨텍스역이 위치해 있다.7.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승하차 인원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
3호선 (일산선) | 승차 | 5,648 | 9,394 | 10,916 | 11,962 | 10,925 | 10,815 | 11,187 | 11,352 | 11,713 | 11,458 | 12,023 | 12,635 |
하차 | 3,794 | 5,836 | 6,479 | 8,386 | 8,075 | 8,760 | 8,945 | 9,206 | 9,399 | 9,205 | 9,680 | 10,200 | |
노선 | 일평균 승하차 인원 (명/일) | 각주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3호선 (일산선) | 승차 | 13,299 | 14,283 | 14,525 | 14,748 | 14,928 | 14,977 | 15,198 | 15,767 | 10,825 | 10,574 | ||
하차 | 10,543 | 11,394 | 11,511 | 11,788 | 12,070 | 12,080 | 12,221 | 12,608 | 8,659 | 8,713 |
[6] : 자료 출처 추가 필요. 출처를 명확하게 밝혀야 함.
7. 1. 승하차 인원 추이
년도 | 승차 인원 (명/일) | 하차 인원 (명/일) |
---|---|---|
2000 | 5,648 | 3,794 |
2001 | 9,394 | 5,836 |
2002 | 10,916 | 6,479 |
2003 | 11,962 | 8,386 |
2004 | 10,925 | 8,075 |
2005 | 10,815 | 8,760 |
2006 | 11,187 | 8,945 |
2007 | 11,352 | 9,206 |
2008 | 11,713 | 9,399 |
2009 | 11,458 | 9,205 |
2010 | 12,023 | 9,680 |
2011 | 12,635 | 10,200 |
2012 | 13,299 | 10,543 |
2013 | 14,283 | 11,394 |
2014 | 14,525 | 11,511 |
2015 | 14,748 | 11,788 |
2016 | 14,928 | 12,070 |
2017 | 14,977 | 12,080 |
2018 | 15,198 | 12,221 |
2019 | 15,767 | 12,608 |
2020 | 10,825 | 8,659 |
2021 | 10,574 | 8,713 |
2022 | 11,791 | 9,620 |
8. 사진
== 사진 ==
대화역의 사진들을 보여준다. 수서 방향 승강장(수서역~오금역 구간 연장·원흥역 개통·역 번호 변경·스크린도어 설치 전), 오금 방향 승강장, 대합실 사진 등이 있다.
8. 1. 승강장 및 대합실 사진
8. 2. 출입구 사진
9. 인접한 역
대화역의 다음 역은 주엽역이며, 오금역 방면으로 운행하는 일산선 열차가 정차한다. 3호선 열차가 운행된다.
9. 1. 수도권 전철 3호선
한국철도공사 3호선 '''대화역 (309)''' 다음 역은 주엽역 (310)이다. 오금 방면으로 운행한다.참조
[1]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3-10-15
[2]
웹사이트
ko:대화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4-09-17
[3]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4]
텍스트
[5]
텍스트
[6]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