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덕천군 (왕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천군은 조선 정종과 성빈 지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1460년 덕천군에 봉해졌다. 왕자 신분에도 농사일을 돕고 가난한 이웃을 도왔으며, 홍수로 인한 이재민을 구제하여 적덕공으로 불렸다. 묘소는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에 있으며, 신도비는 이광사가 짓고 썼다. 덕천군은 학문과 예절을 숭상하고, 적덕을 실천하며, 충효를 다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7년 출생 - 파올로 우첼로
    파올로 우첼로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원근법을 탐구하여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했으며, 《산 로마노 전투》와 같은 작품들을 통해 전투 장면의 혼란 속에서도 질서와 조화를 표현했다.
  • 1397년 출생 - 교황 니콜라오 5세
    니콜라오 5세는 1447년부터 1455년까지 재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208대 교황으로, 르네상스 시대 예술과 학문 장려, 바티칸 도서관 설립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이교도 정복 권한 부여와 노예 무역 묵인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목격하고 로마 부흥을 위해 노력했다.
  • 1465년 사망 - 이순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천문학자, 역법학자인 이순지는 세종의 신임을 받아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완성하여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고 천문학 관련 저술을 남겼다.
  • 1465년 사망 - 희령군
    희령군은 조선 태종의 열 번째 아들로, 이름은 타이며, 1433년에 군에 봉해졌고,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세조가 예장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명할 정도로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무림군
    무림군은 조선 세조의 아들 정종과 숙의 기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정부인 홍씨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으며, 세조의 순행을 호종하고 문폐사로 활동하며 지방 실정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도평군
    도평군은 조선 정종의 아들로, 기생 첩을 사랑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의 비호를 받았고, 예종 즉위년에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7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덕천군 (왕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德泉君
이후생
李厚生
출생일'1397년'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지'조선 한성부'
사망일'1465년 12월 7일
(향년 69세)'
매장지'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
36'
별칭적덕공(積德公)
작위군(君)
종교'유교(성리학)'
배우자고택군부인(高澤郡夫人) 장수 이씨
그 외에 첩실 1명
자녀슬하 4남 6녀
왕가'전주 이씨'
왕조'조선 (朝鮮)'
아버지'정종 (조선)'
어머니'성빈 지씨'
친인척'도평군(동복 남동생)'
정당'무소속'

2. 생애

덕천군은 조선 제2대 국왕 정종성빈 지씨 사이의 열째 왕자로, 1444년(세종 26년) 명선대부 덕원정(德原正)에 봉해졌으며, 이후 덕천정(德川正), 1460년(세조 6년) 덕천군(德泉君)으로 봉군되었다.[1] 왕자 신분임에도 들에 나가 농사일을 하였고, 가난한 이웃을 지성으로 도왔다. 어느 해 여름 홍수로 금강이 범람하였을 때, 덕천군은 수백 명의 이재민들을 구제하였다. 그래서 덕을 쌓은 어른, 적덕공(積德公)이라고도 불렀다고 전한다.[1]

3. 사후

처음 묘소는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거암리/거여리(현재 서울특별시 송파구 거여동/마천동) 남한산성 서문(西門) 앞에 있었다. 그러나 이 지역이 군용지로 편입되면서 1974년 현재 사당이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 문중 묘역으로 이장되었고, 석물(石物)도 함께 옮겨졌다.[1] 1975년 서울에서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송파구가 분리되어 강남구가 신설되었다.

사당은 충청남도 연기군 남면 방축리에 세워졌으나, 1739년(영조 15)에 낡아서 개보수 및 중건을 거쳐 현재 위치(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 문중 선산 근처로 옮겨졌다.[1] 신도비(神道碑)는 양명학 강화학파의 거두(巨頭)이자 육진팔광의 한 사람이며, 동국진체(원교체)를 남긴 서예가인 10대손 원교 이광사가 짓고 썼으며, 1808년(순조 8)에 건립되었다.[1]

4. 유지(遺志)

덕천군의 유지는 '덕천군유지해설비'에 새겨져 있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1]


  • '''호학숭례(好學崇禮)''' : 학문을 통해 인간의 도리와 예절을 배움.
  • '''적덕(積德)''' : 타인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베풂.
  • '''충효(忠孝)''' : 국가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함.
  • '''치서진업근(菑畬進業勤)''' : 어려움 속에서도 근면함.
  • '''회색솔리정(繪索率履正)''' : 단정한 의관과 바른 행동.

4. 1. 덕천군 유지 해설

好學崇禮|호학숭례중국어 사람은 학문을 배워야 인간의 도리와 예절을 다할 줄 알게 되나니 배움에 있어 게을리하지 말고 열심히 노력하라는 뜻으로 생각하며, 積德|적덕중국어은 목마른 사람에게는 냉수 한 그릇도 덕이니 작은 일이라 할지라도 남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면 곧 실천하라는 뜻으로 생각하며, 忠孝|충효중국어는 목숨을 다함도 충이지만 이적행위를 삼감도 충이요, 효는 호의호식으로 공경함도 효이나 옆에서 심신을 보살펴 드림도 효라는 뜻으로 생각하며, 菑畬進業勤|치서진업근중국어은 재앙으로 인하여 따비밭을 파서 업으로 할지라도 부지런히 돌보라시며 게으르고 나태해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생각하며, 繪索率履正|회색솔리정중국어은 의관은 깨끗하고 단정하게, 신발도 바르게 신어야 된다. 신을 구기며 신고 좋은 옷을 더럽게 입으면 그 가치를 잃는다는 유지로 생각된다.

5. 가족 관계

宗室|종실중국어 덕천군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조부태조조선 제1대 국왕
조모신의왕후 한씨
부왕정종조선 제2대 국왕
외조부지윤찬성사(贊成事) 역임
외조모순흥 안씨
생모성빈 지씨
동생도평군 말생(末生)
배우자이름비고
정부인고택군부인(高澤郡夫人) 장수 이씨(長水 李氏)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 이종무의 딸
자녀이름비고
장남신종군(新宗君) 공간공(恭簡公) 효백(孝伯)
차남부윤도정(富潤都正) 효숙(孝叔)
3남운수군(雲水君) 양호공(襄胡公) 효성(孝誠)
4남송림군(松林君) 효창(孝昌)1450년 출생, 사망년도 미상
장녀 사위창녕 성씨 성찬(成瓚)돈령부판관 역임, 외손자 성희안중종반정 공신
차녀 사위평산 신씨 신갑지(申甲之)
3녀 사위원주 원씨 원중치(元仲穉)
4녀 사위전의 이씨 이창신(李昌臣)
5녀 사위반남 박씨 박계로(朴季老)
6녀 (첩 소생)사위 능성 구씨 구세기(具世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