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종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종무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활동한 무신으로, 왜구 토벌과 대마도 정벌을 통해 국방 강화에 기여했다. 1360년에 태어나 어릴 때부터 무예에 능했고, 1381년 아버지와 함께 해적을 토벌했다.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에서 태종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1419년 삼군도체찰사로서 대마도 정벌을 이끌어 큰 전과를 올렸다. 말년에는 명나라에 사은사로 다녀오기도 했으며, 1425년에 사망했다. 그의 묘는 경기도 용인시에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은 그의 업적을 기려 잠수함에 이종무라는 이름을 붙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호군 - 하직의
    하직의는 고려 시대의 인물로, 1306년에 조현대부사순위 정용호군을 지냈으며, 충렬왕으로부터 자금어대를 하사받고 사후에 문하부도첨의정승에 추증되었다.
  • 장수 이씨 - 이상민 (1942년)
    이상민(1942년)은 태림상사 대표, 국회의원, 헌정회 회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및 정치인이다.
  • 장수 이씨 - 이중섭
    이중섭은 평안남도 출신의 한국 화가로, 오산학교와 일본 유학을 통해 서양화를 배우고 조선신미술가협회에서 활동했으며, 전쟁 이후 빈곤 속에서도 독창적인 작품 활동을 펼치다 대표작 《흰 소》 등을 남기고 1956년에 사망했다.
  • 조선의 병마사 - 조영무
    조영무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이성계의 사병으로 시작하여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태종 즉위 후 우정승에 이르렀고 사후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조선의 병마사 - 최윤덕
    조선 초기의 무신 최윤덕은 태종과 세종 시대에 대마도 정벌과 여진족 정벌을 통해 국방에 공헌하고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중추원사에 이르렀으며 축성 사업에도 기여하여 '축성 대감'으로 불린 명장으로, 사후 세종의 묘정에 배향되고 정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이종무
기본 정보
이종무의 초상
이종무의 초상
본관전주 이씨(全州 李氏)
중경(仲卿)
생애
출생1360년
사망1425년
묘소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
관력
주요 이력조전원수
동북면 도체찰사
삼군 도총제
가족 관계
아버지이을진(李乙珍)
어머니증 정경부인 안산 김씨(安山 金氏)
부인정부인 평산 신씨(平山 申氏)
아들이순몽(李順蒙)
이맹현(李孟賢)
이계전(李季甸)
손자이사철(李思哲)
이사증(李思曾)
이사온(李思溫)
증손자이억손(李億孫)
기타 정보
주요 업적쓰시마 섬 정벌

2. 생애

이종무는 1360년 전라도 장수현(長水縣)에서 태어났다. 1381년 아버지와 함께 강원도에서 해적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1397년 왜구 토벌에 공을 세워 절제사(節制使)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다. 1401년 제2차 왕자의 난에서 태종을 도와 공을 세웠다.

1406년 장천군(長川君)에 봉해졌고, 1417년 의정부참찬(議政府參贊)이 되었다. 1419년 세종 원년, 삼군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가 되어 태종의 명으로 쓰시마를 공격하였으나 종정성(宗貞盛)에게 패퇴하였다. 종정성(宗貞盛)은 폭풍우의 징후를 알리고 휴전을 권유하였고[2], 이종무는 강화를 맺고 귀환하였다. 이후 황해도에 왜구가 다시 출현하자 재차 쓰시마 공격을 검토하였으나 무산되었다. 그 후 의정부찬성(議政府贊成)이 되었다.

1420년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에 봉해졌고, 1423년-1424년 명나라에 사은사(謝恩使)로 다녀왔다. 1424년 죄를 받고 유배되었으나 병으로 과천(果川)에 머물렀다. 1425년 죄를 용서받고 복위되었으나, 같은 해 6월 9일 사망하였다(향년 66세).

2. 1. 초기 생애 및 군사 경력

이종무는 1360년(고려 공민왕 9년) 장천 부원군 이을진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하였다. 1381년(고려 우왕 7년) 14세의 나이로 아버지를 따라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물리치는 데 공을 세워 정용호군(精勇護軍)이 되었다.[4] 1392년 조선 건국 후, 1397년 옹진에서 만호(萬戶)로 재직 중 왜구의 침입을 막아내어 첨절제사(僉節制使)로 승진하고, 상장군이 되었다.[4]

2. 2. 제2차 왕자의 난과 공신 책봉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정안대군 이방원(훗날 태종)을 도와 회안대군 이방간의 군사를 격파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4] 1406년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익대좌명공신(翊戴佐命功臣)에 책봉되고 통원군(通原君)에 봉해졌으며, 의주 등지의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로 승진하였다.[4] 이후 안주도병마사(安州都兵馬使), 안주절제사(安州節制使)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左參贊) 등을 역임하였다.

2. 3. 대마도 정벌

1419년 (세종 1년) 삼군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가 된 이종무는 군함 227척을 이끌고 쓰시마섬 정벌에 나섰다.[5]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음력 6월 19일 이종무는 거제도 남쪽 주원방포(周原防浦, 현 추봉도)에서 출발하여 쓰시마섬으로 향했다.[5] 6월 20일 오시에 쓰시마섬에 도착하여 두지포에 내려 작전을 수행, 적선 129척을 빼앗고 가옥 1993호를 불태웠으며, 중국인이 포함된 포로를 구출하였다.[6] 이 공으로 이종무는 장천군(長川君)에 봉해졌다.[7] 그러나 기습으로 박실 등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자, 조정에서는 이종무의 책임을 물었고 세종은 이종무를 감쌌다.[8]

2. 4. 생애 후반

1419년 11월 9일 김훈과 노이를 추천한 죄로 의금부에 하옥되었다. 김훈과 노이는 무재가 뛰어나 스스로 공을 세우기 위해 종군하려 하였고, 이종무는 이를 세종에게 간하여 허락을 받았다. 그러나 사간원 등은 불충한 자를 종군시켰다고 하여 이종무와 김훈, 이적 등을 처단할 것을 청하였으나 세종이 거부하였고, 이종무는 "늙은 놈이 죽고 돌아오지 않는 것이 옳았다."며 탄식했다.[9] 그 후 끝없는 탄핵 요청에도 불구하고, 세종은 이종무를 감쌌으며, 1420년 6월 5일 풀려나 서울 밖에서 거주하게 되었다.

1423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1424년 2월 25일 부사 이종선과 함께 귀국했다.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다가 다시 보국숭록대부로 승진,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다.

2. 5. 사망과 사후

1425년 음력 6월 9일 향년 6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세종은 3일간 조회를 중단하고, 양후(襄厚)라는 시호를 내렸다. 6월 17일 내린 교서에서 세종은 '만리장성이 갑자기 무너졌다!'라는 표현으로 비통함을 표시하였다.

이종무 장군의 무덤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산 79번지에 있으며, 1975년 9월 5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25호로 지정되었다.

3. 가족 관계

아버지이을진 (고려 후기 무신)
아들이승평
아들이덕평
아들이승평


4. 평가

이종무는 고려 공민왕 때 태어나 우왕 때 벼슬을 하여, 창왕, 공양왕까지 고려 말 4명의 왕을 경험하였고, 1392년 조선 건국 후에도 태조, 정종, 태종, 세종에 이르기까지 조선 초기 4대 왕을 모신 무인이었다. 66세의 일기 동안 모두 8대에 걸친 왕을 경험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고, 대마도 정벌을 통해 안정된 대일 관계를 마련하였다.[1]

이종무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8명의 왕을 섬기며 격동의 시대를 살아온 무신이었다. 그는 왜구 토벌과 대마도 정벌을 통해 국방을 강화하고, 조선 초기 대일 관계를 안정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 백성을 보호한 영웅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그의 애국심과 헌신은 오늘날에도 귀감이 되며, 특히 국방력 강화와 자주적 외교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5. 이종무함

대한민국 해군은 1995년 이종무 장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200톤급 잠수함에 '이종무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잠수함은 거제도 옥포조선소에서 진수되었으며, 수중 최고 속도는 22KN이다. 어뢰기뢰를 장착하고 2개월 이상 단독 작전 수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최첨단 잠수함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핵심 전력 중 하나이다.

6. 관련 작품

참조

[1] 논문 Beyond Frontiers and Borderlands: A Reexamination of Tsushima's/Taema-Do's Geopolitical Position in Fifteenth Century East Asia http://ijkh.khistory[...] 2021-02-28
[2] 문서 老松堂のみた日本 http://www.isc.sensh[...] 専修大学
[3]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4] 웹인용 장천 부원군 이종무의 졸기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425-06-09
[5] 웹인용 이종무가 다시 대마도로 향해 진군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419-06-19
[6] 웹인용 대마도에 도착하여 성과를 올리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419-06-19
[7] 웹인용 이종무를 군으로 봉하고, 정역·이중지·정경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419-08-25
[8] 웹인용 우정언 이견기가 이종무 등의 치죄를 청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419-08-22
[9] 웹인용 사간원에서 이종무 등을 처단하기를 청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419-11-17
[10] 문서 봉군을 세습받는 것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