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이비드 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비드 길은 시계 제작자의 아들로 태어나 애버딘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개인 천문대를 갖추고 금성 및 화성 관측을 통해 태양과의 거리를 측정했다. 그는 케이프 천문대장으로 재직하며 사진 기술을 천문 관측에 활용했고, '남천 소천성표' 편찬을 주도했다. 또한 국제 도량형 위원회 회원을 역임하며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길은 왕립 천문학회 골드 메달, 브루스 메달 등을 수상했으며, 런던에서 폐렴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천문학자 - 제임스 아이보리 (수학자)
    제임스 아이보리는 1765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타원 보정, 인력 문제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코플리 메달을 수상하고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된 수학자이다.
  • 스코틀랜드의 천문학자 - 데이비드 브루스터
    데이비드 브루스터는 스코틀랜드의 과학자로서 광학 분야에서 브루스터 각과 브루스터의 법칙 등을 발견하고 만화경과 렌즈 입체경을 개량했으며, 등대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고,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왕립천문학회 석학회원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 왕립천문학회 석학회원 - 패트릭 무어
    패트릭 무어 경은 영국의 저명한 천문학자, 작가, 방송인이자 55년간 BBC의 밤하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기네스 기록을 세웠고, 아마추어 천문학 발전과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인물이다.
  • 애버딘 출신 - 애니 레녹스
    애니 레녹스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가수이자 작곡가로, 유리스믹스와 솔로 활동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음악적 업적, 사회 공헌 활동, 중성적인 이미지, 사회 참여적인 활동 등으로 큰 영향을 미친 아이콘이다.
  • 애버딘 출신 - 해리 수타
    스코틀랜드 출신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선수 해리 수타는 던디 유나이티드 데뷔 후 스토크 시티, 로스 카운티, 플리트우드 타운 임대를 거쳐 레스터 시티에 합류, 셰필드 유나이티드 임대 후 2019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2022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다재다능한 수비수 겸 미드필더이다.
데이비드 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데이비드 길의 사진
데이비드 길
출생 이름데이비드 길
출생일1843년 6월 12일
출생지애버딘, 스코틀랜드
배우자이소벨 사라 길
사망일1914년 1월 24일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안장 장소애버딘
학력애버딘 대학교
직업천문학자
소속왕립학회
에든버러 왕립 학회
왕립 천문 학회
수상브루스 메달 (1900년)
발츠 상 (1881년)
왕립 천문 학회 금메달
제임스 크레이그 왓슨 메달 (1899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푸르 르 메리테 훈장 (민사 부문)
데이비드 길 서명
데이비드 길 서명
경력
고용주케이프 천문대
칭호
작위KCB
학술 칭호FRS
LL.D.
훈장CB
KCB

2. 생애

데이비드 길은 시계 제작자인 아버지 데이비드 길과 어머니 마가렛 미첼 사이에서 애버딘의 48 스킨 테라스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애버딘의 벨뷰 아카데미에서, 이후 달러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았다.[2] 애버딘 대학교에서 2년간 공부하며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에게 가르침을 받았고,[3] 이후 아버지의 시계 제작 사업에 잠시 합류했다. 대학 시절 그에게 큰 영향을 준 인물은 데이비드 톰슨 교수였는데, 1863년 길은 톰슨 교수와 함께 대학 시계를 수리하고 크롬웰 타워 천문대에 새로운 기계식 망원경을 설치하며 천문학에 입문하게 되었다.[4]

몇 년 후 시계 제작 사업을 정리한 길은 린지 경의 개인 천문대가 있던 던치 지역에서 천문대 설비를 갖추는 데 시간을 보냈다. 1874년에는 모리셔스 원정에 참여하여 금성태양 앞을 지나는 금성 통과 현상을 관측했다. 3년 뒤인 1877년에는 어센션섬으로 가서 화성의 근접 접근을 관측하고, 이를 통해 태양 시차가 8″.78임을 이용하여 태양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계산해냈다.[6]

1879년 길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희망봉에 위치한 케이프 천문대의 천문대장("Her Majesty's Astronomer")으로 임명되어 1906년까지 27년간 재직했다. 그는 꼼꼼한 관측가로서 기기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내는 능력이 뛰어났으며, 재임 기간 동안 천문대를 일류 기관으로 발전시켰다. 특히 헬리오미터를 활용한 그의 태양 시차 관측과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계산은 그의 뛰어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그는 로버트 인네스를 케이프 천문대로 영입하기도 했다.[5]

1882년 남아프리카에서 데이비드 길이 관측한 대혜성 사진


길은 천체사진술을 천문학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선구자 중 한 명이다. 리처드 리치 매독스가 발명한 건판 사진술을 접한 그는 이 기술이 별의 이미지를 기록하고 상대적 위치와 밝기를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1882년에는 1882년 대혜성의 첫 번째 사진을 찍었으며, 네덜란드 천문학자 J.C. 카프테인과 협력하여 남반구 별 약 50만 개의 밝기와 위치를 담은 목록인 ''케이프 사진 측량''(''Cape Photographic Durchmusterung'')을 편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이 결과물은 1896년부터 1900년 사이에 3권으로 출판되었다. 길은 또한 하늘 전체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국제 공동 프로젝트인 ''하늘 지도''(''Carte du Ciel'')의 조직 과정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측량 분야에도 관심을 가졌던 길은 남아프리카에서 노르웨이까지 이어지는 동경 30도선을 따라 측지 측량을 수행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는데, 이는 지구상에서 측정된 가장 긴 자오선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공로로 그는 1907년부터 1914년까지 국제 도량형 위원회(CIPM) 회원으로 활동했으며,[7] 1907년 영국 과학 진흥 협회 회장 연설에서는 길이 표준을 임의의 금속 막대가 아닌 기본적인 물리적 상수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1883년에는 영국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870년 이소벨 블랙과 결혼했으며, 그녀는 남편의 어센션 섬 화성 관측에 동행하기도 했다.[9] 1906년 케이프 천문대장에서 물러나며 현업에서 은퇴한 길 부부는 런던으로 이주했다. 길은 1909년부터 1911년까지 왕립천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14년 런던에서 폐렴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유해는 고향 애버딘의 세인트 매커스 대성당 부지에 아내 이소벨 사라 길과 함께 안장되었다.[10][11] 그의 묘는 성당 동쪽 외벽에 자리하고 있다.

데이비드 길의 묘, 세인트 매커스 대성당

3. 주요 업적

데이비드 길은 19세기 말과 20세기천문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는 1874년 모리셔스에서 금성 통과를 관측하며 천문학자로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5] 1879년에는 희망봉 천문대 대장으로 임명되어 1906년까지 27년간 재직하며 천문대를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기관으로 발전시켰다.[5]

그의 주요 업적은 여러 분야에 걸쳐 있다. 화성 관측을 통해 태양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했으며,[6] 헬리오미터와 같은 정밀 기기를 활용한 천체 거리 측정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5] 또한, 천체사진술을 천문학 연구에 적극적으로 도입한 선구자 중 한 명으로, 1882년 대혜성의 선명한 사진을 남기기도 했다.[6] 그는 야코부스 카프테인과 협력하여 방대한 양의 남반구 별 목록인 ''케이프 사진 측량''을 편찬했으며,[6] ''하늘 지도''와 같은 국제적인 천문 프로젝트를 조직하고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측지학 분야에서도 동경 30도선 측량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국제 도량형 위원회 활동에 참여하는 등[7] 국제 협력에 기여했다.

1909년부터 1911년까지는 왕립천문학회 학회장을 역임하며 천문학계에서의 활동을 이어갔다.

3. 1. 태양과의 거리 측정

데이비드 길은 천문학자로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1877년 어센션 섬으로 가서 화성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현상을 관측했다.[5] 이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화성의 시차를 이용하여 태양까지의 거리를 계산했으며,[6] 이를 통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당시 기준으로 매우 정밀하게 측정했다.

길은 특히 헬리오미터라는 정밀 측정 기기를 능숙하게 다루었는데, 이를 활용한 태양 시차 관측은 그의 뛰어난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5] 그는 1879년부터 1906년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희망봉 왕립 천문대에서 활동하며 이러한 정밀 관측을 지속했다.

3. 2. 남천 소천성표 편찬

데이비드 길은 원래 시계 기술을 배웠으나, 제임스 린지의 사설 천문대 시계 측량에 협력한 것을 계기로 천문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1879년부터 1906년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천문대에서 "Her Majesty's Astronomer"로 임명되어 활동했다. 그는 이곳에서 26년간 남쪽 하늘의 별들을 관측하는 데 전념했으며, 특히 사진 기술을 천문 관측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 이러한 관측 성과는 야코부스 카프테인과의 협력을 통해 1882년 "케이프 사진 천체 목록"으로 정리되어 발표되었다. 이는 남반구 하늘에 대한 중요한 성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883년에는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런던에서 사망했다.

3. 3. 천체 사진술의 선구자

길은 천체사진술 사용의 선구자였다.[6] 리처드 리치 매독스가 건판 사진술을 발명하자, 길은 이 기술을 이용해 별의 이미지를 만들고 그 상대적인 위치와 밝기를 더 쉽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1882년 대혜성의 첫 번째 사진을 찍었으며,[6] 사진 기술을 천문 관측에 이용한 초기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인식은 네덜란드 천문학자 야코부스 카프테인과의 협력으로 이어졌다. 둘은 약 50만 개의 남반구 별들의 밝기와 위치에 대한 지수를 편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작업의 결과는 1896년부터 1900년 사이에 3권으로 출판된 ''케이프 사진 측량''(Cape Photographic Durchmusterung|케이프 포토그래픽 두르히무스터룽영어)이다. 길은 또한 하늘 전체를 지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 야심 찬 국제적인 사업인 ''하늘 지도''(Carte du Ciel|카르트 뒤 시엘프랑스어) 프로젝트의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었으며, 이를 조직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6]

3. 4. 국제 협력 프로젝트 주도

리처드 리치 매독스의 건판 사진술 발명이 별의 이미지를 만들고 상대적인 위치와 밝기를 더 쉽게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깨달은 길은 천체사진술 사용의 선구자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여러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주도했다.

그는 네덜란드 천문학자 J.C. 카프테인과 협력하여 약 50만 개의 남반구 별의 밝기와 위치에 대한 목록을 만드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결과물은 1896년에서 1900년 사이에 3권으로 '케이프 사진 측량'(''Cape Photographic Durchmusterung'')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또한, 길은 하늘 전체를 지도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 야심 찬 국제 프로젝트인 '하늘 지도'(''Carte du Ciel'')를 조직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측량 분야에서도 국제적인 협력을 이끌었다. 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노르웨이까지 이어지는 동경 30도선을 따라 측지 측량을 실시하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지구에서 측정된 가장 긴 자오선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측량에 대한 깊은 관심은 그가 1907년부터 1914년까지 국제 도량형 위원회(CIPM)의 회원으로 활동하는 배경이 되었다.[7]

4. 수상 및 서훈

'''수상 내역'''
연도상 이름비고
1879년발츠 상 (Prix Valzfra)
1882년왕립천문학회 골드 메달 (Gold Medal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eng)첫 번째 수상
1899년제임스 크레이그 왓슨 메달 (James Craig Watson Medaleng)
1900년브루스 메달 (Bruce Medaleng)
1903년로열 메달
1908년왕립천문학회 골드 메달두 번째 수상



'''서훈 내역'''
연도훈장 이름등급 및 비고
1896년 5월 20일바스 훈장3등급 (CB)[20]
1900년 5월 24일바스 훈장2등급 기사 사령관 (KCB, 작위급 훈장)[21][15]
1910년프로이센 푸르 르 메리트민사훈장
1913년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코망되르



'''회원 자격 및 직위'''
연도내용비고
1883년 6월 7일왕립 학회 회원 선출[13]
1898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국제 회원 선출[14]
1909년–1911년왕립 천문 학회 회장
1910년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10년미국 철학 학회 국제 회원 선출[16]
(연도 미상)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국제 명예 회원 선출[17]



그의 이름을 딴 달의 크레이터와 화성의 크레이터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y Came to South Africa H. Timmins 2010-12-01
[2] 서적 Biographical Index of Former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783–2002 https://www.royalsoc[...]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06-07
[3] 논문 Sir David Gill http://adsabs.harvar[...] 2008-05-17
[4] 웹사이트 David Thomson Aberdeen University https://homepages.ab[...]
[5] 논문 Anzeige des Todes von Robert Thorburn Ayton Innes
[6] 논문 Gill's Work on the Determination of the Solar Parallax
[7] 서적 The International Bureau of Weights and Measures 1875-1975 https://nvlpubs.nist[...] 2020-01-21
[8] 논문 Address of the President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07
[9] 서적 Six Months in Ascension: An Unscientific Account of a Scientific Expedition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0] 논문 Sir David Gill http://adsabs.harvar[...] 2008-05-17
[11] 서적 Catchers of the Light: The Forgotten Lives of the Men and Women Who First Photographed the Heavens https://books.google[...] ArtDeCiel
[12] 논문 Review of ''A History and Description of the Royal Observation, Cape of Good Hope'' by Sir David Gill https://babel.hathit[...] 1914-07
[13] 웹사이트 Library and Archive Catalogue http://www2.royalsoc[...] Royal Society 2010-12-31
[14] 웹사이트 David Gill https://www.nasonlin[...] 2023-12-04
[15] 간행물 1900-06-08
[1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12-04
[17] 웹사이트 David Gill https://www.amacad.o[...] 2023-12-04
[18] 논문 Our Astronomical Column https://books.google[...] 1882-02-16
[19] 웹사이트 James Craig Watson Medal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1-02-15
[20] 저널 https://www.thegazet[...] 2016-05-29
[21] 저널 https://www.thegazet[...] 2016-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